[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5774B1 - 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774B1
KR101945774B1 KR1020160167011A KR20160167011A KR101945774B1 KR 101945774 B1 KR101945774 B1 KR 101945774B1 KR 1020160167011 A KR1020160167011 A KR 1020160167011A KR 20160167011 A KR20160167011 A KR 20160167011A KR 101945774 B1 KR101945774 B1 KR 10194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leaning
target
unit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765A (ko
Inventor
유화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용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용농산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용농산
Priority to KR102016016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7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7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대상 마를 커팅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시키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커팅날로 가공대상 마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하는 커팅부, 커팅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며, 커팅날에 의해 절단작업이 완료된 가공대상 마를 전달받아 세척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시키고, 가공대상 마를 회전시키면서 가공대상 마로 세척액을 분사시켜 세척하는 세척부, 커팅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며, 세척부에서 세척 완료된 가공대상 마를 원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탈피날을 통과하도록 밀면서 가공대상 마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부를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for dioscorea batatas}
본 발명은 산지에서 생산된 마를 자동으로 절단, 세척, 껍질 제거 작업을 이루어지게 하는 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는 마과의 덩굴성 다년생 식물을 말하며 덩이뿌리를 식용으로 사용하며 흔히 ‘참마’로 불리는 국내 재배 마는 Dioscorea batatas Decne(이명: Dioscorea opposita Kunth.)를 말하며, 크게는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는 단마와 진주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장마로 구분되고 한의약에서 산과 들에 자생하는 마를 한약제로 사용할 때 ‘산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일반 식품으로 사용할 때의 마와 구분하고 있다.
최근 마의 노화방지, 혈당강하, 장관활동촉진, 항균, 항비만, 해독 작용, 면역조절작용과 같은 건강증진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신선 마는 물론 가공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함께 마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은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마의 영양적 및 기능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마를 가공 생산하기 위한 절단, 세척, 껍질 제거와 같은 선가공 작업이 일일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가공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분야의 가공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2946호(2014.12.15)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산지에서 생산된 마의 절단, 세척, 껍질 제거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여 가공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대상 마를 커팅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시키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커팅날로 상기 가공대상 마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커팅날에 의해 절단작업이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전달받아 세척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공대상 마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로 세척액을 분사시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커팅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원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탈피날을 통과하도록 밀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부를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 가공장치는, 커팅부의 커팅컨베이어 상에서 세척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공대상 마의 양단을 커팅날로 절단 가공한 후, 세척부에서는 양단을 절단 가공한 가공대상 마를 전달받아 세척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되게 함과 더불어 회전되게 하면서 세척액을 분사시켜 가공대상 마의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탈피부는 세척부에서 세척된 가공대상 마를 원둘레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탈피날을 통과하도록 밀면서, 탈피날에 의해 가공대상 마의 껍질 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수행되게 하는 바, 생산지에서 생산된 가공대상 마의 가공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 가공장치의 배치상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팅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커팅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세척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세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탈피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탈피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 가공장치의 배치상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팅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커팅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세척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세척부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탈피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탈피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마 가공장치는, 커팅부(100), 세척부(200), 탈피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팅부(100)는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잘라내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커팅부(100)는 작업자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한 후, 이후 설명될 세척부(200)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커팅부(100)는 커팅베이스프레임(110), 커팅지지프레임(120), 커팅모터(130), 모터승강실린더(140), 커팅고정유닛(150), 커팅전달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키면서 길이방향 양단의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은 커팅지지프레임(120), 커팅모터(130), 모터승강실린더(140), 커팅고정유닛(150), 커팅전달유닛(160)을 연결 지지하는 사각 박스 틀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의 단위부재들로 결합 형성된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커팅컨베이어(111)를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컨베이어(111)는 상기 작업자에 의해 세척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커팅베이스프레임(110)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 즉, 상기 커팅컨베이어(111)는 이후 설명될 세척부(200) 방향으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착대(112)를 결합 구비한다. 이때, 상기 안착대(112)의 저면에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대(112)의 상면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삽입상태로 안착 배치되게 하는 안착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 상면에는 커팅전달유닛(160)을 연결 상태로 지지하도록 전달프레임(114)을 수직하게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전달프레임(114)의 상단에는 상기 전달프레임(114)에 수직한 상태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 즉 이후 설명될 세척부(2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레일(115)을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전달레일(115)은 커팅전달유닛(160)을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에 대해 전후로 왕복이동되게 가이드하면서, 커팅전달유닛(160)에 의한 세척부(200)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커팅날(130)의 승강동작을 통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커팅모터(130), 모터승강실린더(140), 커팅고정유닛(150)을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은 커팅날(131)을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될 수 있게 상기 커팅컨베이어(111) 양측에 마주보도록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 상면에 수직하게 한 쌍을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모터연결판(122)을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모터연결판(122)은 커팅모터(130)를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상태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의 상단 일측에는 커팅고정유닛(150)을 연결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21)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21)은 한 쌍의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의 상호 마주보는 면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설치한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121)은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게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커팅모터(130)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절단되게 하는 커팅날(131)을 회전되게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커팅모터(130)는 각각의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의 모터연결판(122)의 저면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모터(130)의 구동축 단부에는 커팅날(131)을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커팅날(131)은 상기 커팅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의 안착대(112)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날(131)은 원판 형상의 링 구조를 가지면서 날 부분이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는 상기 커팅모터(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는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의 로드 단부는 상기 커팅모터(130)에 연결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의 로드 단부는 상기 커팅모터(130)를 결합 지지하는 상기 모터연결판(12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모터연결판(122)을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면서 이에 대응되게 상기 커팅모터(130)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팅고정유닛(150)은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 및 상기 커팅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커팅날(131)이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절단하기 전, 상기 안착대(112)에 안착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커팅고정유닛(150)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가압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커팅날(131)에 의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절단시,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상기 안착대(112) 상에 안착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상기 커팅고정유닛(150)은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의 고정프레임(121)에 각각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고정유닛(150)은 고정실린더(151), 가압베이스판(152), 가압고정바(153), 가압고정스프링(15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실린더(151)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고정바(153)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고정실린더(151)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상기 커팅날(131)로 절단하고자 할 때는 가압고정바(153)를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하지 않을 때는 가압고정바(153)를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커팅컨베이어(111) 상에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실린더(151)는 상기 고정프레임(121)의 일측에 수직한 상태로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 설치한다.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은 상기 고정실린더(151)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의 상면은 상기 고정실린더(151)의 로드 단부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에는 가압고정바(153)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상태로 연결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은 가압고정바(153)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 상태로 상기 고정실린더(151)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고정바(153)의 하단에 의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게 가압고정바(153)를 연결 지지한다.
상기 가압고정바(153)는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바 형상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가압고정바(153)는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고정바(153)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실린더(15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실린더(151)의 로드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에 대응되게 상기 가압베이스판(152)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접촉상태로 가압고정시, 상기 가공대상 마(10)와의 가압면적을 늘려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판 형상의 가압대(154)를 결합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압대(154)의 저면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가압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패드(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압고정스프링(155)은 상기 가압고정바(153)의 하방 이동에 따른 상기 가압대(154)의 상기 가공대상 마(10)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바(153)를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가압고정스프링(155)은 상기 가압대(154)의 상면과 상기 가압베이스판(152)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바(153) 외측에 삽입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가압고정스프링(155)은 상기 가압고정바(153)를 상기 가압베이스판(152) 상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게 하는 바, 상기 가압대(154)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가압상태로 고정할 때, 상기 가압고정바(153)가 상방으로 일정길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하여,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은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의 작동 및 상기 커팅모터(130)의 작동에 따른 상기 커팅날(131)로 길이방향 양단 테두리 부분을 절단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후 설명될 세척부(200)로 이동 전달되게 한다. 즉,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은 상기 커팅날(131)에 의해 절단 작업이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에 의해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 후단에 이동 배치되면,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걸림상태로 거치시킨 후 세척부(200)의 선단 상부에 안착되도록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은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20)의 후단에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달프레임(114)의 전달레일(115)에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은 전달이동대(161), 전달구동발생기(162), 전달실린더(163), 전달베이스판(164), 거치실린더(165)를 포함한다.
상기 전달이동대(161)는 상기 전달레일(115)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전달이동대(161)는 전달구동발생기(162)로부터 이동력되도록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한다.
상기 전달구동발생기(162)는 상기 전달이동대(161)를 상기 전달레일(115)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전달구동발생기(162)는 상기 전달이동대(161)와 연결되어 상기 전달레일(115)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리니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기어 및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이동대(161)를 상기 전달레일(115)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달실린더(163)는 전달베이스판(16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연결 지지한다. 즉, 상기 전달실린더(163)는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세척부(200)로 전달하고자 할 때, 전달베이스판(164)을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전달실린더(163)는 상기 전달이동대(161) 일측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로드 단부에는 전달베이스판(164)을 고정 결합한다.
상기 전달베이스판(164)은 거치실린더(165)를 결합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전달실린더(163)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전달베이스판(164)은 상기 거치실린더(165)의 로드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거치실린더(165)는 상기 전달베이스판(164)의 저면에 결합 설치되는 실린더이다. 이러한, 상기 거치실린더(165)는 양측에 각각 로드를 구비하는 복동실린더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로드 단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걸림거치대(166)를 결합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거치대(166)는 상기 거치실린더(165)의 작동에 의해 상호 인접하게 이동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걸림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면부에 거치홈(16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실린더(165)는 상기 전달실린더(163)에 의해 상기 전달베이스판(163)을 하방으로 이동시, 한 쌍의 상기 걸림거치대(166)가 상호 인접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의 안착대(112)에 안착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감싼상태로 상기 거치홈(167)에 삽입상태로 걸림 거치되게 한다.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커팅부(100)에서 상기 커팅날(131)에 의해 길이방향 양단의 절단작업이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전달받은 후,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후 설명될 탈피부(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으로 세척액을 분사시키면서 세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커팅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탈피부(300)로 이동시키는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세척액에 의해 세척시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커팅부(100)의 후단과 탈피부(300)의 선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부(200)의 선단은 상기 커팅부(100)의 후단에 연결하고, 상기 세척부(200)의 후단은 탈피부(300)의 선단에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세척부(200)는 세척베이스프레임(210), 세척지지프레임(220), 세척실린더(230), 세척베이스판(240), 세척액분사노즐(250), 세척회전유닛(26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은 상기 커팅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은 세척지지프레임(220), 세척실린더(230), 세척베이스판(240), 세척액분사노즐(250), 세척회전유닛(260)을 연결 지지하는 사각 박스 틀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의 단위부재들로 결합 형성된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 즉 탈피부(300) 방향으로 세척컨베이어(211)를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컨베이어(211)는 상기 커팅부(100)에서 가공된 상태로 전달받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 즉, 상기 세척컨베이어(211)는 탈피부(300) 방향으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컨베이어(211)는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각각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을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 또는 셋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의 양측에 대향 배치되게 한 쌍의 가이드판(212)을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판(212)은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서 탈피부(300) 방향으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탈피부(300)로의 이동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하단에는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을 이동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로 분사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을 모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단을 개방시킨 통 형상의 세척저장통(213)을 결합 구비한다.
상기 세척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세척액분사노즐(250)의 승강동작을 통한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세척실린더(230), 세척베이스판(240), 세척액분사노즐(250)을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세척지지프레임(220)은 세척실린더(230)를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한다.
상기 세척실린더(230)는 세척액분사노즐(250)을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세척실린더(230)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세척회전유닛(260)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세척하고자 할 때는 세척액분사노즐(250)을 상기 가공대상 마(10)에 인접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세척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세척액분사노즐(250)을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세척실린더(230)는 상기 세척지지프레임(220)의 상단에 수직한 상태로 하방으로 향하도록 결합 설치한다.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은 상기 세척실린더(2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의 상면은 상기 세척실린더(230)의 로드 단부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세척액분사노즐(250)을 연결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은 세척액분사노즐(250)을 연결 설치한 상태로 상기 세척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척액분사노즐(250)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지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의 양측에는 회전유닛조절바(241)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유닛조절바(241)는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의 양측 저면에 수직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 배치되게, 상단을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의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조절바(241)의 하단은 세척회전유닛(260)의 회전롤러(261)에 연결된다.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은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으로 세척액을 분사되게 한다. 즉,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은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의 저면에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세척실린더(230)에 의해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이 상기 가공대상 마(10)에 인접하도록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상기 가공대상 마(10) 방향으로 분사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은 세척액을 저장한 세척액공급탱크(도면미도시)와 세척액공급라인(도면미도시)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세척액공급라인에는 상기 세척액공급탱크의 세척액을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을 통해 외부로 분사 배출되게 하도록 유압을 발생시키는 세척액공급펌프(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은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회전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은 상기 세척실린더(230)의 작동과 그에 따른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의 하방 이동 전, 그리고,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을 통한 세척액의 분사 전,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회전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회전되게 하면서,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을 통해 분사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이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에 골고루 접촉되게 하면서, 깨끗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은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롤러(261), 회전구동기(26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롤러(261)는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하며, 회전구동기(26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롤러(261)는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의 양측에 한 쌍을 상호 대향되게 배치하며, 축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 상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242)로 연결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롤러(261)는 상기 가이드판(212)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양측에서 축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이러한, 상기 회전롤러(261)는 상기 회전유닛조절바(241)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조절바(241)의 승강 동작에 따라 힌지(24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 있던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되게 하거나, 상기 세척컨베이어(211)를 통해 탈피부(300)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구동기(262)는 상기 회전롤러(261)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동기(262)는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롤러(261)와 연결되며, 회전구동모터(263), 회전구동링크(26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모터(263)는 상기 회전롤러(261)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동모터(263)는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일측에 결합 설치한다.
상기 회전구동링크(264)는 상기 회전구동모터(263)와 상기 회전롤러(261)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구동모터(26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롤러(261)로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동링크(264)는 구동연결축(265), 구동연결체인(266)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연결축(265)의 일단은 상기 회전롤러(261)의 일단에 고정상태로 연결 결합되며, 상기 구동연결축(265)의 타단은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연결축(265)의 양단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261)의 상하 이동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연결체인(266)은 상기 회전구동모터(263)의 회전축을 상기 구동연결축(265)의 타단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회전구동모터(263)의 회전시 상기 구동연결축(265)을 회전되게 한다.
상기 탈피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에 세척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전달받아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껍질을 제거되게 한다. 즉, 상기 탈피부(300)는 세척부(200)에서 세척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밀림 이동하면서 복수의 탈피날(331)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껍질을 제거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탈피부(300)는 상기 세척부(200)로부터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베이스프레임(210) 후단에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탈피부(300)는 탈피베이스프레임(310), 탈피삽입판(320), 탈피연결대(330), 탈피밀림유닛(340)을 포함한다.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은 상기 세척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껍질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은 탈피삽입판(320), 탈피연결대(330), 탈피밀림유닛(340)을 연결 지지하는 사각 박스 틀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의 단위부재들로 결합 형성된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은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베이스프레임(210) 후단에 나란하게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탈피밀림유닛(340)에 의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밀림 이동시, 탈피삽입판(320)의 관통공(321)으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관(311)이 결합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311)은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컨베이어(211)를 통해 세척된 각각의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에는 탈피지지프레임(312)을 수직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탈피지지프레임(312)은 탈피밀림유닛(340)을 연결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하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탈피연결대(330)의 탈피날(331)에 하방에는 상기 탈피날(331)을 통해 탈피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껍질을 수납하도록 하는 껍질수납통(313)을 결합 구비한다.
상기 탈피삽입판(320)은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가이드관(311)에서 탈피밀림유닛(340)에 의해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밀림 이동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탈피연결대(330)에 구비된 탈피날(331)에 의해 껍질이 벗겨지도록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일측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전면은 상기 가이드관(311)의 후단에 연결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관(311)의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이동시키는 이동로는 상기 관통공(321)과 연결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관(311)을 이동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상기 관통공(321)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탈피연결대(330)는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후면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321)을 통과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껍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복수의 탈피날(331)을 연결 구비한다. 이같이, 상기 탈피연결대(330)의 일단은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후면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탈피연결대(330)의 타단에는 상기 탈피날(331)을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탈피연결대(330)는 상기 관통공(321)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관통공(321)을 통과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껍질을 상기 탈피날(331)이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탈피밀림유닛(340)은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가이드관(311) 상으로 전달된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관통공(321)을 통과한 후, 상기 탈피연결대(330) 사이를 지나면서 탈피날(331)에 의해 껍질이 제거될 수 있게,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밀어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탈피밀림유닛(340)은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탈피지지프레임(312)에 연결 설치하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 밀림이동레일(342), 밀림이동대(343), 밀림구동발생기(345), 밀림바(346)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은 밀림바(346)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실린더이다. 즉,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는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가이드관(311) 상에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밀림바(346)의 이동에 의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밀림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밀림바(346)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밀림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는 상기 탈피지지프레임(312)의 상단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로드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의 로드 단부에는 밀림이동레일(342)을 고정상태로 연결 지지한다.
상기 밀림이동레일(342)은 밀림이동대(343)를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레일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밀림이동레일(342)은 상기 가이드관(311)과 나란한 방향, 즉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의 로드 단부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밀림이동대(343)는 상기 밀림이동레일(3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판 부분이다. 즉, 상기 밀림이동대(343)는 밀림구동발생기(345)에서 발생된 이동력을 통해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밀림이동레일(342)에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밀림이동대(343)의 선단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밀림연결바(344)를 결합 구비한다. 상기 밀림연결바(344)는 밀림바(346)를 상기 밀림이동대(343)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밀림이동대(343)가 상기 밀림이동레일(343) 상에서 이동시 상기 가이드관(311)과의 충돌과 같은 관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밀림구동발생기(345)는 상기 밀림이동대(343)를 상기 밀림이동레일(342)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밀림구동발생기(345)는 상기 밀림이동대(343)와 연결되어 상기 밀림이동레일(34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리니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기어 및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밀림이동대(343)를 상기 밀림이동레일(24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밀림바(346)은 상기 밀림이동대(343)를 상기 밀림이동레일(342)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가이드관(311)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밀림 이동되게 하는 봉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밀림바(346)는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밀림이동대(343)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밀림구동발생기(345)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관(311)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관(311) 선단 내측에서 후단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관(311) 상에 안착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밀어,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관통공(321)으로 삽입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밀림바(346)는 상기 가이드관(311)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밀림이동대(343)의 하단에 연결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마 가공장치를 이용한 마의 가공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지에서 생산된 가공대상 마(10)를 상기 커팅부(100)에 공급하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 길이방향 양단의 절단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110)의 커팅컨베이어(111)에 구비된 상기 안착대(112)의 안착홈(113) 상으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안착 상태로 배치한다. 그러면,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세척부(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세척부(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상기 커팅지지프레임(120)의 커팅날(131)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커팅컨베이어(111)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후, 상기 커팅고정유닛(150)의 고정실린더(151)가 작동하면서 상기 가압고정바(153)의 하방 이동에 따른 상기 가압대(154)를 통해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가압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 및 상기 커팅모터(130)가 작동하면서, 상기 커팅모터(130)의 하방 이동에 대응되게 상기 커팅날(131)이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양단을 절단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커팅날(131)에 의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절단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고정실린더(15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압고정바(15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대(154)에 의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가압 고정상태를 해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모터(130)의 작동 정지 및 상기 모터승강실린더(1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커팅날(131)은 상방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다시 상기 커팅컨베이어(111)가 작동하면서 상기 커팅날(131)에 의해 양단이 절단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상기 커팅전달유닛(160)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에 의해 걸림 거치된 상태로 상기 세척부(200)로 전달된다. 즉,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의 전달실린더(163) 작동에 의해 상기 전달베이스판(164)을 하방으로 이동되게 한 후, 상기 거치실린더(165)의 작동을 통해 상기 안착대(112) 상에 안착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상기 걸림거치대(166)에 의해 걸림 거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실린더(163) 작동에 의해 다시 상기 전달베이스판(164)을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 후, 상기 전달구동발생기(162)가 상기 전달이동대(161)를 상기 전달레일(115) 상에서 상기 세척부(20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세척부(200)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다시 앞서 설명한 상기 커팅전달유닛(16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베이스프레임(210) 선단 상면에 전달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커팅부(100)에서 커팅 작업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210)의 세척컨베이어(211) 상에 안착되도록 전달되며,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의 작동을 통해 상기 탈피부(3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의 작동은 정지하고, 상기 세척실린더(2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에 결합된 회전유닛조절바(241)가 힌지(242)를 중심으로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의 회전롤러(261)를 상방으로 회전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세척컨베이어(211) 상에 있던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한 쌍의 상기 회전롤러(261)에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의 회전구동기(262)를 통해 상기 회전롤러(261)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회전되게 한다. 이후,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50)을 통해 세척액이 상기 가공대상 마(10)로 분사되면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공대상 마(10)가 세척액의 분사를 통해 세척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세척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세척베이스판(24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회전유닛조절바(23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힌지(242)를 중심으로 상기 세척회전유닛(260)의 회전롤러(261)가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다시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에 안착된 후, 상기 세척컨베이어(21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탈피부(300)의 탈피베이스프레임(310)으로 이동 전달된다.
상기 탈피부(300)의 탈피베이스프레임(310)으로 전달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310)의 가이드관(311) 상에 안착 배치되며, 상기 탈피밀림유닛(340)을 통해 밀림 이동되면서 상기 탈피날(331)에 의해 상기 가공대상 마(10) 표면의 껍질을 제거한 상태로 배출되게 한다. 즉, 상기 탈피밀림유닛(340)의 상하탈피이동실린더(341)가 작동하면서 상기 밀림바(346)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일직선상 전방에 배치된다. 이후, 상기 밀림구동발생기(345)가 작동하면서 상기 밀림이동대(343)를 상기 밀림이동레일(342)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게 함에 따라 상기 밀림바(346)는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후방으로 밀림 이동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밀림바(346)가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후방으로 밀림 이동되게 하면, 상기 가공대상 마(10)는 상기 탈피삽입판(320)의 관통공(321)을 통과하고, 상기 탈피연결대(330)에 연결된 상기 탈피날(331)이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표면에 닿은 상태로 껍질을 제거하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가공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마 가공장치는, 상기 커팅부(100)의 커팅컨베이어(111) 상에서 상기 세척부(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양단을 커팅날(131)로 절단 가공한 후, 상기 세척부(200)에서는 양단을 절단 가공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전달받아 세척컨베이어(211) 상에서 이동되게 함과 더불어 회전되게 하면서 세척액을 분사시켜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탈피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에서 세척된 상기 가공대상 마(10)를 원둘레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탈피날(331)을 통과하도록 밀면서, 상기 탈피날(331)에 의해 상기 가공대상 마(10)의 껍질 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수행되게 하는 바, 생산지에서 생산된 가공대상 마(10)의 가공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커팅부 110: 커팅베이스프레임
120: 커팅지지프레임 130: 커팅모터
131: 커팅날 140: 모터승강실린더
150: 커팅고정유닛 151: 고정실린더
152: 가압베이스판 153: 가압고정바
155: 가압고정스프링 160: 커팅전달유닛
161: 전달이동대 162: 전달구동발생기
163: 전달실린더 164: 전달베이스판
165: 거치실린더 200: 세척부
210: 세척베이스프레임 220: 세척지지프레임
230: 세척실린더 240: 세척베이스판
250: 세척액분사노즐 260: 세척회전유닛
261: 회전롤러 262: 회전구동기
300: 탈피부 310: 탈피베이스프레임
320: 탈피삽입판 330: 탈피연결대
340: 탈피밀림유닛 341: 상하탈피이동실린더
342: 밀림이동레일 343: 밀림이동대
345: 밀림구동발생기 346: 밀림바

Claims (8)

  1. 커팅컨베이어의 안착대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 배치된 가공대상 마를 상기 커팅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시키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커팅날로 상기 가공대상 마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하며, 일측에는 가공대상 마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프레임이 구비된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커팅날로 상기 가공대상 마 양단을 절단하기 전에 상기 안착대의 안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가공대상 마가 상기 커팅부에 의한 절단시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커팅고정유닛과;
    상기 커팅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커팅날에 의해 절단작업이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전달받아 세척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공대상 마로 세척액을 분사시켜 세척하고, 일측에는 회전유닛조절바를 구비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가공대상 마로 상기 세척액을 분사하기 전에 상기 세척컨베이어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회전되게 하는 세척회전유닛; 및
    상기 커팅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 완료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원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탈피날을 통과하도록 밀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부를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면에 상기 커팅컨베이어를 설치한 커팅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커팅컨베이어의 양측에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한 쌍의 커팅지지프레임과,
    상기 커팅지지프레임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구동축 단부에는 상기 커팅날이 결합된 커팅모터와,
    상기 커팅지지프레임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로드 단부는 상기 커팅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모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모터승강실린더와,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에 설치하며, 상기 커팅모터의 커팅날에 의해 양단이 절단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상기 세척부로 이동 전달하는 커팅전달유닛을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고정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고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 설치하는 가압베이스판과,
    상기 가압베이스판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하단에는 상기 고정실린더의 로드가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접촉상태로 가압하는 가압대를 결합 구비하는 가압고정바 및,
    상기 가압대의 상면과 상기 가압베이스판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바 외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가압고정바를 탄성지지하는 가압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팅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는 수직하게 전달프레임을 결합 구비하며, 상기 전달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레일을 결합 구비하고,
    상기 커팅전달유닛은,
    상기 전달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전달이동대와,
    상기 전달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전달이동대가 상기 전달레일 상에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달구동발생기와,
    상기 전달이동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전달실린더와,
    상기 전달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 설치하는 전달베이스판 및,
    상기 전달베이스판의 저면에 결합 설치하며, 양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걸림거치대가 구비되어, 상기 전달실린더에 의해 상기 전달베이스판이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거치대가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하면서 상기 가공대상 마를 감싼상태로 거치되게 하는 거치실린더를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면에 상기 세척컨베이어를 설치하며, 상기 세척컨베이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가공대상 마를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이 결합된 세척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세척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세척지지프레임과,
    상기 세척컨베이어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세척지지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는 세척실린더와,
    상기 세척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 설치하는 세척베이스판과,
    상기 세척베이스판의 저면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세척실린더에 의해 상기 세척베이스판이 하방으로 이동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상기 세척컨베이어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로 분사시키는 복수의 세척액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회전유닛은,
    상기 세척컨베이어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유닛조절바의 하단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세척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기를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피부는,
    상기 세척부의 후단에 나란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면에는 상기 가공대상 마를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이 형성된 탈피베이스프레임과,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관과 연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전면이 상기 가이드관의 후단에 결합되는 탈피삽입판과,
    상기 관통공 둘레로 상호 이격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탈피삽입판 후면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에는 탈피날이 구비된 복수의 탈피연결대 및,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에 설치하며, 상기 세척부에서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의 가이드관으로 이동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상기 탈피삽입판의 관통공 및 상기 탈피날 통과하면서 껍질이 벗겨지도록 밀어주는 탈피밀림유닛을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피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는 수직하게 탈피지지프레임을 결합 구비하며,
    상기 탈피밀림유닛은,
    상기 탈피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상하탈피이동실린더와,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관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밀림이동레일과,
    상기 밀림이동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밀림연결바가 결합된 밀림이동대와,
    상기 밀림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밀림이동대가 상기 밀림이동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밀림구동발생기 및,
    상기 가이드관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밀림이동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탈피이동실린더와 상기 밀림구동발생기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밀림이동대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대상 마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관 상에 배치된 상기 가공대상 마를 밀림 이동되게 하는 밀림바를 포함하는 마 가공장치.




KR1020160167011A 2016-12-08 2016-12-08 마 가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4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11A KR101945774B1 (ko) 2016-12-08 2016-12-08 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11A KR101945774B1 (ko) 2016-12-08 2016-12-08 마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765A KR20180065765A (ko) 2018-06-18
KR101945774B1 true KR101945774B1 (ko) 2019-02-11

Family

ID=6276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0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5774B1 (ko) 2016-12-08 2016-12-08 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6295B (zh) * 2019-12-28 2022-05-06 烟台时代葡萄酒有限公司 一种葡萄酒酿酒用智能清洗脱皮去籽系统
CN114601133A (zh) * 2022-04-01 2022-06-10 高军 一种食品加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76B1 (ko) 2007-02-20 2008-05-30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더덕 박피기
KR200450380Y1 (ko) * 2008-04-25 2010-09-29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더덕, 우엉 및 도라지 박피기
JP2011055746A (ja) 2009-09-08 2011-03-24 Fe:Kk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068A (ko)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
KR101482408B1 (ko) * 2013-06-05 2015-01-14 강윤수 대마제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76B1 (ko) 2007-02-20 2008-05-30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더덕 박피기
KR200450380Y1 (ko) * 2008-04-25 2010-09-29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더덕, 우엉 및 도라지 박피기
JP2011055746A (ja) 2009-09-08 2011-03-24 Fe:Kk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765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6738B (zh) 海绵发泡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280677B1 (ko) 자동 양파 탈피장치
CN205214037U (zh) 一种通用型杀鱼机
CN208717162U (zh) 一种全自动玻璃切割机
KR101945774B1 (ko) 마 가공장치
CN216135144U (zh) 一种柚子清洗剥皮一体机
KR20210062219A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KR102002326B1 (ko) 마늘 뿌리 절단 기능을 가진 마늘 가공장치
KR102270335B1 (ko) 통살호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A2812645C (en) Device for automatically and mechanically processing pieces of meat conveyed in a row and method carried out by means of the device
CN211861725U (zh) 水果处理设备
CN111418855A (zh) 一种自动化甘蔗处理用机械设备
CN221011752U (zh) 一种用于鱼产品加工的腌制设备
CN211861726U (zh) 水果处理设备
CN110978073A (zh) 水果切块机构
CN110978110A (zh) 水果切块刀清洗结构
CN211861724U (zh) 水果处理设备
CN211861733U (zh) 水果处理设备
CN212394549U (zh) 水果处理设备、水果榨汁设备
JP3467106B2 (ja) 長ねぎの皮剥装置
CN210412642U (zh) 一种防偏移的打孔装置
FR2875105A1 (fr) Guide pattes escamotable
WO20070138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afting plants
JP5939670B2 (ja) 長ねぎ処理装置
CN111084393A (zh) 水果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