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3098B1 - 진공 믹서기 - Google Patents

진공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098B1
KR101943098B1 KR1020180110229A KR20180110229A KR101943098B1 KR 101943098 B1 KR101943098 B1 KR 101943098B1 KR 1020180110229 A KR1020180110229 A KR 1020180110229A KR 20180110229 A KR20180110229 A KR 20180110229A KR 101943098 B1 KR101943098 B1 KR 10194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torage container
mixer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조
Original Assignee
이클립스리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클립스리빙(주) filed Critical 이클립스리빙(주)
Priority to KR102018011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0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상태에서 저장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컷팅, 분쇄, 교반 등의 믹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진공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력를 제공하는 믹서기 본체와, 믹서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믹서기날이 장착된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가 덮개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에 의하여 흡입하여 진공 상태에서 음식물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수단이 형성된 진공 믹서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을, 저장용기 상부의 덮개와 저장용기의 손잡이를 경유하여 믹서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진공수단과, 상기 저장용기 하부로부터 믹서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진공수단을 장착하여 저장용기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분기되는 이중 진공수단에 의하여 진공효율을 향상시키고 본체와 저장용기가 긴밀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용기 내의 진공 작업이 누설없이 진공효율을 높이고 진공도가 높은 환경에서 음식물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진공수단과 제2진공수단이 이중 진공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매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믹서기 본체에 장착되는 저장용기 및 커버가 믹서기 본체에 형성된 받침부의 유연성 재질의 실링패드에 의하여 긴밀히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외기를 더욱 차단하여 진공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믹서기{Mixer with vacuum function}
본 발명은 진공상태에서 음식물을 믹싱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저장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용기 내의 진공 작업이 누설없이 진공효율을 높이고 진공도가 높은 환경에서 음식물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공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가정에서 과일이나 채소, 곡물 등의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혼합하는데 사용하는 전기제품으로, 저장용기 내에 음식물을 넣은 후 덮개를 닫고 고속회전하는 모터에 의하여 믹서날을 회전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컷팅하거나, 분쇄, 교반합한다.
그런데 과일과 같이 음식물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경우 단순히 믹서기를 이용하여 믹싱하면 섬유질이 파괴되면서 저장용기 내에서 기포가 발생하고, 미관이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믹싱한 음식물을 즉시 섭취하지 않고 별도로 보관하는 경우, 신선도가 떨어지면서 변색되는 문제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식물에서 발생한 수분에 의하여 층분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상태에서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진공 믹서기가 개발되었다.
진공 믹서기는 저장용기를 밀봉할 수 있도록 덮개가 마련되고, 덮개에는 저장용기 내의 공기를 빼내 저장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준 상태에서 믹서가 이루어지도록 진공수단이 마련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방식은 저장용기 내의 진공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동시 진동에 의하여 믹서기 본체와 저장용기 간 결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유격이 발생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저장용기에는 구동모터로부터 연동하는 믹서기날이 구비되고, 그 믹서기날은 믹서기 본체의 구동모터와 연결되는데, 베어링 등의 구조로 인하여 완전히 밀폐되기는 어려운 구조이므로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면서 저장용기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믹서기 작동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믹서기를 작동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
또한, 믹서기 본체와 저장용기 사이에 또는 그 구동을 위한 연결부위가 유동되면서 지나치게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마련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커버가 적용되는 구조에서는 저장용기와 본체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커버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1673246호(2016.11.01.) 대한민국 특허 제1804162호(2017.11.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용기 내의 진공효율을 높이면서도 저장용기와 본체간 결합이 긴밀히 이루어지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러한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 진공 믹서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진공 믹서기 작동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공 믹서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력를 제공하는 믹서기 본체와, 믹서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믹서기날이 장착된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가 덮개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에 의하여 흡입하여 진공 상태에서 음식물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수단이 형성된 진공 믹서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을, 저장용기 상부의 덮개와 저장용기의 손잡이를 경유하여 믹서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진공수단과, 상기 저장용기 하부로부터 믹서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진공수단을 장착하여 저장용기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분기되는 이중 진공수단에 의하여 진공효율을 향상시키고 본체와 저장용기가 긴밀히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진공수단은 덮개에 형성되는 제1공기흡입구로부터 덮개유로, 손잡이유로, 제1본체유로, 진공펌프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진공감압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진공수단은 저장용기의 하단 받침테 내측에 진공실이 마련되도록 하여 그 진공실로부터 제2공기흡입구와 제2본체유로와 진공펌프로 연결되는 제2진공감압유로를 형성하여 제1진공수단과 제2진공수단의 이중 진공구로조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를 유연성 재질의 실링패드로 구성하여 저장용기의 받침테와 긴밀히 밀착되어 외기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저장용기의 외측에는 저장용기를 덮어 소음을 줄이기 위한 커버를 마련하고, 이 커버가 실림패드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하여 외기를 더욱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커버가 탈착될 때 믹서기 본체에 구비된 안전버튼을 온/오프작동되도록 하여 진공펌프 또는 모터의 작동유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 믹서기에 의하면,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에서 믹싱이 이루어짐은 물론, 진공펌프에 의한 진공효율을 높여 진공 믹싱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와 믹서기 본체와의 결합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이 향상되며, 믹서기 작동중 유동을 최소화하여 부품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진공구조로 이루어짐에도 하나의 진공펌프를 사용하고 종래와 동일한 용량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사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도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커버사용으로 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고, 진공라인의 일부에서 누설되더라도 동일한 진공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를 사용할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 믹서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 믹서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 믹서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용기와 덮개의 조립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덮개의 내부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덮개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믹서기 본체의 내부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믹서기 본체와 저장용기의 장착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믹서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진공 믹서기의 저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전버튼 작동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믹서기 본체와 커버의 조립구조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믹서기는 믹서기 본체(100), 저장용기(200), 덮개(300), 진공수단(400), 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진공수단(400)을 이용하여 저장용기(2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용기 내부가 진공상태을 유지한 상태에서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믹서기 본체(100)는 믹서기의 하측에 위치하여 베이스를 이루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믹서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모터(1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모터(11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저장용기(200)의 믹서기날(210)과 연동되어 믹서기날(21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믹서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저장용기(20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믹서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받침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120)는 저장용기(200) 하단의 형상에 대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받침부(120)에는 저장용기의 믹서기날(210)이 모터(110)에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기어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200)는 믹싱하기 위한 음식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믹서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200)의 내부에는 모터(110)와 연동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믹서기날(210)이 장착되어 모터(110)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저장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믹싱한다.
여기서 '믹싱'이라 함은 믹서기의 고유기능인 컷팅, 분쇄, 교반기능 등의 여러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믹서기날(210)은 믹서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자날 또는 십자날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용도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믹서기날을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사용자가 들고 이동하거나 저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일측에 손잡이(2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200)의 개구된 상부측으로는 개폐가능한 덮개(300)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300)는 테두리를 따라서 밀봉패킹(3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밀봉패킹은 저장용기(2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저장용기의 개구부 상측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300)에는 저장용기(200) 내부가 진공인 상태에서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배기구(360) 및 진공해제밸브(3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믹서기 본체(100)와 저장용기(200)와 덮개(300)에는 저장용기(2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다.
진공수단(400)은 도 3과 같이 저장용기(200)의 상부측으로 공기를 인출하는 제1진공수단(420)과 저장용기(200)의 하부측으로 공기를 인출하는 제2진공수단(4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진공수단(420)은 저장용기 상부의 덮개(300)로부터 저장용기의 손잡이(220)를 경유하여 믹서기 본체(100)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2진공수단(440)은 상기 저장용기(200) 하부로부터 믹서기 본체(100)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진공수단(420)과 제2진공수단(44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진공수단(420)은 덮개(300)의 하단에 제1공기흡입구(320)가 형성되고, 제1공기흡입구(320)는 덮개에 내장된 덮개유로(340)와 연통되고, 덮개유로(340)는 저장용기(200)의 손잡이(220)에 형성된 손잡이유로(240)와 연결되며, 손잡이유로(240)는 믹서기 본체에 내장된 제1본체유로(140)와 연결되며, 본체유로(140)가 진공펌프(410)에 연결되어 공기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로(340)과 손잡이유로(240)와 제1본체유로(140)는 그 연결되는 접속부가 접속패킹(142,242,342)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정확히 일치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공기흡입구(3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덮개(300)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 제1공기흡입구(320)에는 저장용기(200) 내부의 믹싱된 음식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3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필터(330)는 나선구조로 조임되는 조임캡(332)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필터(330)가 음식물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 조임캡을 분리한 후 필터를 꺼내 세척한 후 다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로(340)는 제1공기흡입구(320)와 연통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0)에 내입홈(344)이 형성되고, 그 내입홈(344)에는 튜브(346)가 내장되어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덮개유로(340)에는 튜브(346)의 일단에 일방향으로만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체크밸브(348)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200)를 믹서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도 저장용기가 덮개(300)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저장용기(200) 내부의 진공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유로(340)는 저장용기(200)의 손잡이유로(240)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유로(240)는 도 7과 같이 저장용기(200)의 손잡이(220)에 내장되는 것으로, 손잡이가 분리구성되어 그 내측에 튜브(246)가 내장되어 유로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튜브(246)의 일단이 손잡이(220)의 상단에서 직하방으로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덮개(300)의 하단에 손잡이유로가 직결되도록 하고, 튜브의 타단은 손잡이(200)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믹서기 본체(100)의 받침부(120)에 형성된 내입부(122)와 직결되어 본체유로(140)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유로(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20)에는 저장용기(200)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면에 하부측으로 내입되게 내입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내입부(122)의 측변에 본체유로(140)가 연결되며, 본체유로의 단부에는 손잡이유로와의 밀착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속패킹(14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유로(140)는 믹서기 본체(100) 내에 배치된 진공펌프(4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410)를 작동시키면 저장용기(200) 내의 공기를 제1공기흡입구(320)로 흡입하여 덮개유로(340), 손잡이유로(240), 본체유로(140)를 경유하여 공기흡입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유로들, 즉 제1진공감압유로(4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터(110) 작동과 함께 진공펌프(410)를 작동시켜 진공 믹서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진공수단(440)은 믹서기 본체(100)의 받침부(120)로부터 진공펌프(410)로 공기를 흡입하여 믹서기 본체(100)와 저장용기(200)의 장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2진공수단(400)은 저장용기(200)의 하단에 받침테(260)가 형성되고, 받침테(260)가 믹서기 본체의 받침부(120)에 밀착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받침테 내측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공기흡입구(130)가 형성되며, 제2공기흡입구는 믹서기 본체에 내장된 제2본체유로(150)와 연결되며, 제2본체유로(150)가 진공펌프(410)와 연결되어 제2진공감압유로(44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200)가 믹서기 본체(100)의 받침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받침테(260)에 의하여 진공실(262)이 구비되며 이 진공실(262)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용기(200)가 믹서기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믹서기 본체(100)의 받침부(120)는 받침테(260)의 외주연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게 내입부(122)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120)에는 유연성 재질의 실링패드(170)가 장착되어 저장용기(200) 하단의 받침테(260)와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외기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즉, 받침테(260)의 바닥면이 실링패드(17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실이 밀폐되고, 이와 함께 받침부(120)에 형성된 내입부(122)의 내벽이 받침테(260)의 외주연 둘레와 밀착 고정되어 2중으로 외기차단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입부(122)는 상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하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인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제작하면 저장용기의 받침테(260)를 삽입할 때 더 용이하게 삽입하면서도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경사도는 육안으로 거의 보이지 않게 미세한 기울기를 갖도록 하더라도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밀성 유지를 위해서는 실링패드(170)의 단면구성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링패드(170)는 다양한 종류의 유연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진공감압유로(422)와 제2진공감압유로(442)의 제1본체유로(140)와 제2본체유로(150)는 통기관(160)으로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진공감압유로가 통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통합된 진공감압유로를 진공펌프(410)의 흡입구에 연결하여 하나의 진공펌프(410)를 사용함에도 양방향 진공흡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믹서기 본체에 내장되는 부품을 최소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진공펌프(410)는 믹서기 본체의 모터(110)와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펌프(410)와 모터(11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동시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진공펌프(410)가 먼저 작동한 이후에 모터(110)가 순차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저장용기(200) 내에 진공을 걸어준 상태에서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믹서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믹서기 본체에 전원을 연결하면 전원 표시등에 불이 켜지도록 되어 대기상태로 전환되고, 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를 누르면 가동준비상태로 전환된다. 이 가동준비상태에서는 음식의 종류와 맞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가동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동상태에서 진공 및 믹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진공펌프(410)가 먼저 동작하여 저장용기(200) 내부의 공기와, 저장용기(200) 하단의 진공실(26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진공상태가 사전 설정된 부압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모터(110)의 시동 모드로 전환되며 믹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410)에는 진공펌프(410)로 흡입한 공기를 믹서기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밴트유로(4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믹서기 본체(100)의 외면에는 에어밸트유로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6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기 본체(100)에는 모터(110)의 작동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믹서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팬(112)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밴트유로(412)를 튜브체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냉각팬(112)에 의하여 배출되는 통기로와 분리 되어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진공모터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모터(110)에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손상이나,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믹서기 본체의 외면에는 냉각팬(112)으로 배출되는 공기만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믹서기 본체(100)에 저장용기(2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저장용기가 외기와 차단되도록 커버(5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0)는 하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도록 되어 믹서기 본체(100)의 받침부(120)에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믹서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작 바람직하게는 믹서기 본체(100)가 평면도상 대략적인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커버(500)가 그 외곽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200)의 일측에 손잡이(220)가 형성되더라도 그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커버가 구성될 수 있으며, 믹서기의 미관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깔끔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500)는 받침부(120)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의 하단 테두리가 받침부(120)의 상단 테두리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으며, 커버와 받침부의 밀폐를 위하여 받침부(120)의 테두리에 내입턱(124)을 형성하고, 받침부에 장착된 실링패드(160)가 받침부 테두리의 내입턱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커버(500)의 하단이 연질체의 실링패드(160)에 밀착되어 외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20)에는 안전버튼(180)이 장착되어 커버(500)의 장착 유무에 따라서 안전버튼이 온/오프되어 모터 또는 진공펌프의 작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안전버튼(180)은 커버(500)의 자중에 의하여 눌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커버(500)의 내벽에는 누름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510)는 커버(500)의 내벽 중 어느 일측벽에만 내측으로 돌출벽(520)이 형성되어 안전버튼(180)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받침부(120)의 외면 전체와 커버의 내면 전체가 밀착되어 밀폐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500)의 외면에 파지부가 형성되는 경우 그 파지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구조에서 설명한대로 믹서기 본체(100)에 전원을 연결하면 전원 표시등에 불이 켜지면서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믹서기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 안전버튼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즉 커버(500)를 닫고 안전버튼(180)을 온(ON)한 상태에서는 믹서기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반대로 커버(500)가 닫히지 않은 경우 안전버튼(180)이 오프(OFF)상태를 유지하여 대기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커버(500)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는 믹서기 작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00: 믹서기 본체
110: 모터 120: 받침부
130: 제2공기흡입구 140: 제1본체유로
150: 제2본체유로 160: 통기관
170: 실링패드 180: 안전버튼
200: 저장용기
210: 믹서기날 220: 손잡이
240: 손잡이유로 260: 받침테
300: 덮개
310: 밀봉패킹 320: 제1공기흡입구
330: 필터 340: 덮개유로
400: 진공수단
410: 진공펌프 420: 제1진공수단
440: 제2진공수단

Claims (8)

  1.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력를 제공하는 믹서기 본체(100)와, 믹서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믹서기날이 장착된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덮개(30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가 덮개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410)에 의하여 흡입하여 진공 상태에서 음식물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수단(400)이 형성된 진공 믹서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400)은, 저장용기 상부의 덮개와 저장용기의 손잡이를 경유하여 믹서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진공수단(420)과, 상기 저장용기 하부로부터 믹서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진공수단(440)이 장착되어 저장용기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분기되는 이중 진공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진공수단(420)은 덮개(300)의 하단에 제1공기흡입구(320)가 형성되고, 제1공기흡입구(320)는 덮개에 내장된 덮개유로(340)와 연통되고, 덮개유로(340)는 저장용기(200)의 손잡이(220)에 형성된 손잡이유로(240)와 연결되며, 손잡이유로(240)는 믹서기 본체에 내장된 제1본체유로(140)와 연결되며, 제1본체유로(140)가 진공펌프(410)와 연결되어 제1진공감압유로(42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진공수단(440)은 저장용기(200)의 하단에 받침테(260)가 형성되고, 받침테(260)가 믹서기 본체의 받침부(120)에 밀착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받침테 내측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공기흡입구(130)가 형성되며, 제2공기흡입구는 믹서기 본체에 내장된 제2본체유로(150)와 연결되며, 제2본체유로(150)가 진공펌프(410)와 연결되어 제2진공감압유로(442)가 구비되어 저장용기 내부를 진공시킴과 동시에 본체와 저장용기가 진공에 의하여 긴밀히 고정되며,
    상기 믹서기 본체의 받침부(120)에는 유연성 재질의 실링패드(170)가 장착되어 저장용기(200) 하단의 받침테(260)와 밀착된 상태에서 외기 차단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120) 상측으로는 저장용기의 상부를 덮어 소음을 줄이기 위한 커버(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믹서기 본체(100)에는 받침부(120) 테두리에 내입턱(122)이 형성되고, 받침부에 장착된 실링패드(170)가 받침부 테두리의 내입턱까지 연장되어 커버(500)의 하단에 밀착되어 외기를 차단하며,
    상기 받침부(120)에는 안전버튼(180)이 장착되어 커버(500)의 장착 유무에 따라서 안전버튼이 온/오프되어 모터 또는 진공펌프의 작동제어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믹서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로(340)에는 저장용기(200)를 믹서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임의 공기유입을 차단하고 저장용기(200)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348)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믹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감압유로(422)와 제2진공감압유로(442)는 제1본체유로(140)와 제2본체유로(150)가 통기관(160)으로 연결되어 한 라인의 진공감압유로로 통합되어 진공펌프(410)의 흡입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믹서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한 이후에 모터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진공펌프와 모터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펌프(410)와 모터가 연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믹서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10229A 2018-09-14 2018-09-14 진공 믹서기 Active KR10194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29A KR101943098B1 (ko) 2018-09-14 2018-09-14 진공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29A KR101943098B1 (ko) 2018-09-14 2018-09-14 진공 믹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098B1 true KR101943098B1 (ko) 2019-01-28

Family

ID=6526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229A Active KR101943098B1 (ko) 2018-09-14 2018-09-14 진공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09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19B1 (ko) * 2019-06-24 2020-12-15 이지인 진공 믹싱 장치
WO2021040259A1 (ko) * 2019-08-29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WO2021095939A1 (ko) * 2019-11-12 2021-05-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363451B1 (ko) * 2020-10-15 2022-02-17 (주)포에스텍 내용물 유입 방지 구조가 적용된 진공블렌더
KR102396544B1 (ko) * 2021-04-12 2022-05-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블렌더
WO2022220395A1 (ko) * 2021-04-12 2022-10-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블렌더
KR20220159304A (ko) * 2020-07-31 2022-12-02 안중근 진공블렌더
KR20230003956A (ko) 2021-06-30 2023-01-06 비엘티 주식회사 용기의 진공 형성용 밀폐 장치
KR102585506B1 (ko) * 2023-06-13 2023-10-06 주식회사 로닉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KR102738362B1 (ko) 2023-12-26 2024-12-06 (주)우일코퍼레이션 회동커버를 구비한 믹서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9611A (ja) * 2016-07-11 2016-12-15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WO2017181838A1 (zh) * 2016-04-22 2017-10-26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KR101821786B1 (ko) *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KR101873900B1 (ko) * 2017-11-28 2018-08-0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1838A1 (zh) * 2016-04-22 2017-10-26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JP2016209611A (ja) * 2016-07-11 2016-12-15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KR101821786B1 (ko) *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KR101873900B1 (ko) * 2017-11-28 2018-08-0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19B1 (ko) * 2019-06-24 2020-12-15 이지인 진공 믹싱 장치
WO2021040259A1 (ko) * 2019-08-29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US12357126B2 (en) 2019-08-29 2025-07-15 Lg Electronics Inc. Blender
WO2021095939A1 (ko) * 2019-11-12 2021-05-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20210057314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257104B1 (ko) * 2019-11-12 2021-05-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US12213627B2 (en) 2019-11-12 2025-02-04 Nuc Electronics Co., Ltd. Food processor
KR102489976B1 (ko) 2020-07-31 2023-01-18 안중근 진공블렌더
KR20220159304A (ko) * 2020-07-31 2022-12-02 안중근 진공블렌더
KR102363451B1 (ko) * 2020-10-15 2022-02-17 (주)포에스텍 내용물 유입 방지 구조가 적용된 진공블렌더
KR102396544B1 (ko) * 2021-04-12 2022-05-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블렌더
WO2022220395A1 (ko) * 2021-04-12 2022-10-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블렌더
KR20230003956A (ko) 2021-06-30 2023-01-06 비엘티 주식회사 용기의 진공 형성용 밀폐 장치
KR102585506B1 (ko) * 2023-06-13 2023-10-06 주식회사 로닉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KR102738362B1 (ko) 2023-12-26 2024-12-06 (주)우일코퍼레이션 회동커버를 구비한 믹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098B1 (ko) 진공 믹서기
CN208491863U (zh) 搅拌机
WO2017181838A1 (zh) 真空食品粉碎搅拌机
TWI583335B (zh) Vacuum electric conditioner
US10299630B2 (en) Vacuum mix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A2689483C (en)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US7096893B2 (en) Food storage containers
CN110997150B (zh) 真空破壁机
US8360628B2 (en) Marinating device
KR20170016021A (ko) 조리기
US11771265B2 (en)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KR102374738B1 (ko) 블렌더
US8056845B2 (en) Combination coffee grinder and coffee storage device
KR200482022Y1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KR101873900B1 (ko) 블렌더
CN112221627B (zh) 一种封闭式研磨装置
KR102826862B1 (ko)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뚜껑을 구비한 진공 블렌더
CN114025649A (zh) 真空食物处理系统
KR20230006415A (ko)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0325652Y1 (ko) 가정용 믹서기를 이용한 진공용기의 진공장치
CN211155386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1559676U (zh) 一种汁液制取机
CN111110068A (zh) 过滤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KR20040108455A (ko) 가정용 믹서기를 이용한 진공용기의 진공장치
CN213046625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