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8304B1 -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 Google Patents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04B1
KR101878304B1 KR1020170053937A KR20170053937A KR101878304B1 KR 101878304 B1 KR101878304 B1 KR 101878304B1 KR 1020170053937 A KR1020170053937 A KR 1020170053937A KR 20170053937 A KR20170053937 A KR 20170053937A KR 101878304 B1 KR101878304 B1 KR 10187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wall
container
blender
handle
noi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7005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304B1/ko
Priority to US15/624,276 priority patent/US10383481B2/en
Priority to PCT/KR2018/004855 priority patent/WO2018199650A1/en
Priority to CN201820612914.7U priority patent/CN208808280U/zh
Priority to JP2018534577A priority patent/JP6817311B2/ja
Priority to CN201810384593.4A priority patent/CN108784433B/zh
Priority to EP18731349.9A priority patent/EP3634189A4/en
Priority to AU2018204563A priority patent/AU20182045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04B1/ko
Priority to US16/503,185 priority patent/US11272811B2/en
Priority to AU2019264577A priority patent/AU2019264577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 차단 효과가 향상된 소음 차단 장치를 갖는 블렌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블렌더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용기가 상측에 탑재되며, 내부에 상기 가공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폐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소음 차단 장치로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소음 차단 장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CIVE}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컴팩트하고,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 차단 효과가 향상된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공(예를 들어 블렌딩 및 크러싱)하기 위한 전자 기기로서, 작동되는 동안에 블렌더 몸체 내에 배치되는 모터로부터 몸체 상측에 장착된 용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공 부재(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가공 부재를 고속 회전 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블렌더에는, 다양한 소음 발생원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터로부터 가공 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에서, 그리고, 용기 내에서 음식물이 가공 부재 및 용기 내벽과 부딪힘으로써 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은 사용자가 주변 사람과 대화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크고, 주위에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차단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 블렌더의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블렌더용 인클로져의 일례가 대한민국 특허 제10-1631979호에 개시된다. 이 인클로져는 모터를 수납하는 음식물가공기용 베이스 부재의 위에 배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대해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위로 젖혀질 수 있는 커버, 및 커버의 외측면 하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인클로져는 블렌더 용기 및 용기의 손잡이까지 수용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크고, 커버를 개폐할 때 사용되는 커버용 손잡이가 별도로 필요하다. 또한 커버가 인클로져의 전방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용기의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커버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인클로져 전방부가 전면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클로져의 본체부와 커버 사이의 분리된 라인이 길고, 이를 통해서 소음이 유출되고 있어, 소음 차단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631979호 (2011. 04. 27 공개)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컴팩트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 차단 효과가 향상된 소음 차단 장치를 갖는 블렌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블렌더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용기가 상측에 탑재되며, 내부에 상기 가공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폐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소음 차단 장치로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소음 차단 장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가 제공된다.
상기 소음 차단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하부 차단벽 및 상기 하부 차단벽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차단벽의 개방된 상단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상부 차단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차단벽의 하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소음 차단 장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허여하는 손잡이 노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부착부 및 상기 손잡이 부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부착부는 상기 상부 차단벽이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 노출 홈에 정합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 노출홈에는 시일링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하부 차단벽이 외측 표면을 둘러 싸도록 연결되는 연결 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 돌기의 내측 표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는 장착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블렌더는 배기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진공 펌프, 상기 상부 차단벽에 배치되는 흡입부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는 배기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렌더는 상기 상부 차단벽이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 및 상기 몸체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힌지 기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라인은 상기 힌지 기둥을 통해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 라인은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부분의 서로 마주 보는 일단에는, 상기 상부 차단벽이 닫혀있을 때는 서로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상부 차단벽이 열릴 때는 서로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차단벽에는 압력 게이지가 마련되며, 상기 압력 게이지는 상기 배기 라인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실린더 부재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복원력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렌더는 상기 상부 차단벽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서로 접촉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차단벽 및 하부 차단벽 또는 이들의 주변부에 마련되는 감지부 및 제1 피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제1 피감지부가 접촉되면, 상기 구동 장치가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제1 피감지부가 이격되면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이 정지될 수도 있다.
상기 블렌더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누름봉 삽입구를 개방하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마련되는 제2 피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피감지부는 상기 소켓이 열리면 상기 감지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차단벽은 상기 몸체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소음 차단 장치는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폐쇄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인 단일 부재의 소음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소음 차단벽의 개방된 하단이 외측 표면을 둘러싸도록 연결되는 연결 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 돌기의 내측 표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는 장착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돌기에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소음 차단벽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허여하는 손잡이 노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음 차단벽의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연장되는 것을 허여하는 손잡이 노출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렌더는 배기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진공 펌프, 상기 소음 차단벽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부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는 배기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렌더의 상부 차단벽이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렌더의 상부 차단벽이 도 2의 상부 차단벽보다 더 개방되어 용기의 상부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블렌더에서 용기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선 V-V에 따른 일 변형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블렌더의 압력 게이지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소켓이 개방된 상태의 도 9의 블렌더의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블렌더의 소음 차단 장치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블렌더의 소음 차단 장치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4 및 도 15은 도 11의 선 IX-IX에 따른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및 이의 변형예에 따른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렌더(10)의 상부 차단벽(22)이 약간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렌더(10)의 상부 차단벽(22)이 도 2의 상부 차단벽(22)보다 더 개방되어 용기(11)의 상부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블렌더(10)에서 용기(11)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선 V-V에 따른 일 변형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10)는 가공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위한 용기(11), 용기(11)의 일측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 상측에 용기(11)가 장착되고, 이 용기(11) 내부에 노출되도록 용기(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공 부재(112)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장치(15)가 수용되는 몸체(13), 및 블렌더(10)의 작동 중 용기(11) 및 용기(11)와 몸체(13)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몸체(13)와 함께 형성되는 폐쇄 공간 내에 용기(11)를 수용하는 소음 차단 장치(20)를 포함한다. 한편, 소음 차단 장치(20)는 용기(11)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나, 용기(11)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12)는 소음 차단 장치(20)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블렌더(10)는 용기(11)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11)는 가공할 음식물이 투입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열고 닫기 위한 뚜껑(111) 및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112)를 포함한다. 용기(11)는 몸체(13)의 상측면(131)에 형성된 탑재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공 부재(112)는 몸체(13)의 내부에 수용된 구동 장치(15)로부터 구동축 및 기어 등을 포함하는 회전력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서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용기(11)의 일측에 부착되는 손잡이(12)는 용기(1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착부(121) 및 사용자의 손에 잡히는 파지부(122)를 구비한다. 부착부(121)는 용기(11)로부터 돌출되어 후술되는 소음 차단 장치(20)의 상부 차단벽(22)이 닫혔을 때 손잡이 노출 홈(221; 도 2 참조)과 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착부(121)가 손잡이 노출 홈(221)과 정합되면, 노출 홈(221)을 통해서 유출될 수 있는 소음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부착부(121)는 도면에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손잡이 노출 홈(221)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121)는 측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용기(11)에 더 근접한 부착부(121)의 부분이 손잡이 노출 홈(221)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도 있고, 이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부착부(121)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상부 차단벽(22)의 손잡이 노출 홈(221)에만 끼워지도록 구성되나,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부 차단벽(21)에 손잡이 노출 홈(도시 안됨)이 형성되면, 부착부(121) 전체 또는 하측 부분이 하부 차단벽(21)의 손잡이 노출 홈을 통해서 연장되거나 또는 이와 정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121)의 하측 부분에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용기(11)가 몸체(13)의 탑재부에 배치되면, 하부 차단벽(21)의 상단의 일부가 이 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손잡이(12)의 파지부(122)는 부착부(121)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이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후술되는 하부 차단벽(21)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22)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잡힐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122)는 하부 차단벽(21)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파지부(122)의 하단부 등에 후술되는 하부 차단벽(21)의 외측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용기(11)의 뚜껑(111)은 용기(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용기 뚜껑(11)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차단벽(22)이 닫혔을 때, 배기 장치(30)의 흡입부(33)와 연결될 수 있는 체크 밸브(117; 도 8 참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 장치(30)의 진공 펌프(31)가 작동되면, 용기(11) 내부의 공기가 밸브 및 배기 라인(3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용기(11) 내부의 진공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흡입부(33)와 체크 밸브(117)의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이 아니라, 흡입부(33)와 체크 밸브(117) 사이에 간격을 둔 공기 연통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즉, 흡입부(33)가 체크 밸브(117)와 맞닿지는 않으나, 뚜껑(111) 주위의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소음 차단 장치(20) 내부 공간(201)의 진공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용기(11) 내부의 공기가 체크 밸브를 통해서 용기(11) 외부로 유동됨으로써 흡입부(33)와 체크 밸브(117)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뚜껑(111)의 상측 표면이, 도 1과 같이 상부 차단벽(22)이 닫혔을 때, 상부 차단벽(22)의 하측 표면에 의해서 눌려, 그 눌리는 힘이 용기(11)에 전달되어, 용기(11)의 진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용기(11) 및 뚜껑(111)의 치수가 정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 차단 장치(20)는 하단이 블렌더(10)의 몸체(13)의 상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201)에 용기(11)가 수용될 때, 적어도 용기(11)의 하측 부분을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차단벽(21) 및 하부 차단벽(21)의 상측 개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하부 차단벽(21)에 연결되고, 하단은 개방되고, 상단을 폐쇄된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 차단벽(21)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11)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차단벽(22)을 포함한다.
소음 차단 장치(20)의 하부 차단벽(21) 및 상부 차단벽(22)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중 벽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소음 차단 장치(20)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용기(11)의 손잡이(12)가 소음 차단 장치(20)의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허여하는 손잡이 노출홈(2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소음 차단 장치(20) 외부에 용기(11)의 손잡이(12)가 배치되기 때문에, 소음 차단 장치(20)를 좀 더 소형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용기(11)의 손잡이(12)가 소음 차단 장치(20)의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부 차단벽(22)과 하부 차단벽(21)이 나뉘는 부분, 즉 분리 라인(40), 특히 전방 분리 라인(41)을 좀 더 높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어, 후방 분리 라인(42)도 높은 곳에 위치되고, 따라서, 상부 차단벽(2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상부 차단벽(22)이 사용자에 의해서 좀 더 용이하게(작은 힘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되는 위치로부터 분리 라인(40)이 더 멀어지기 때문에, 분리 라인(40)을 통해서 소음이 유출되는 현상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소음 차단 장치(20) 외부로 용기(11)의 손잡이(12)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11)를 소음 차단 장치(20)로부터 제거할 때, 용기(11)의 손잡이(12)를 잡고, 용기(11)를 위로 들어 올림으로써, 상부 차단벽(22)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차단벽(22)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불필요하므로, 소음 차단 장치(20)의 구성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소음 차단 장치(20)의 손잡이 노출 홈(221)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차단벽(22)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부 차단벽(21) 또는 이들 양자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 노출 홈(221)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에는 기밀성을 향상시켜 소음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시일링 부재, 예를 들어 패킹(2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차단 벽(22)에 형성된 노출 홈(221)의 3개의 변과 노출 홈(221)에 대응하는 하부 차단 벽(21)의 상단에도 시일링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소음 차단 장치(20)의 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3)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기둥(2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힌지 기둥(231)의 상단에는 힌지(23)의 하부가 연결될 수 있다. 힌지(23)의 상측은 상부 차단벽(22)이 연결되고, 힌지(23)의 하측의 일 측부는 하부 차단벽(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부 차단벽(21)이 몸체(13)로부터 탈착가능한 경우에는(도 6 참조), 힌지(23)가 하부 차단벽(21)에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힌지 기둥(231)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13) 내부의 진공 펌프(31)와 상부 차단벽(22)의 흡입부(33)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배기 라인(32)이 배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둥(231)은 힌지(23)의 상측에 상부 차단벽(22)과 연결되는 상단부분((233; 도 5, 도 6 및 도 9 참조)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배기 라인(32)은 힌지 기둥(231) 및 상단부분(233)을 통해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 라인(32)은,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 차단벽(22)이 열렸을 때, 배기 라인(32)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 라인(32)의 상부 차단벽(22)에 배치되는 부분과, 힌지 기둥(231)에 배치되는 부분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고,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암수 형태의 커플링 부재(321 및 322)가 각각 힌지 기둥(231)의 상단 및 상단부분(233)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음 차단 장치(20)에 수용된 용기(11)를 외부로 꺼내기 위해서 용기(11)의 손잡이(12)를 들어 올릴 때, 상부 차단벽(22)이 열리면서, 커플링 부재(321 및 322)에서의 배기 라인(32)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면서, 흡입부(33)와 용기(11)의 뚜껑(111) 사이에 형성된 진공이 해제될 수 있어, 용기(11)를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하부 차단벽(21)은 몸체(13)의 상측면(131)에 기밀하게 고정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몸체(13)의 상측면(131)에 연결 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기(132)는 상측면(131)으로부터 미리결정된 높이로 돌출되며,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돌기(132)의 측방향 외측면에는 하부 차단벽(21)의 내측 표면이 밀착됨으로써 하부 차단벽(21)이 연결 돌기(1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착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하부 차단벽이 몸체로부터 탈착가능하기 때문에, 하부 차단벽의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차단벽이 몸체로부터 제거되면, 몸체 상부의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돌기(132)의 측방향 내측면에는 용기(11)의 하측에 마련되는 장착부(114)가 말착됨으로써 용기(11)가 몸체(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동 장치(15)와 용기(11)의 회전축(11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3중 벽, 즉 용기(11)의 장착부(114), 연결 돌기(132) 및 하부 차단벽(21)의 하부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어,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부 차단벽(22)은 상술된 바와 같이, 힌지(23)에 의해서 하부 차단벽(21)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라인(40)에서 하부 차단벽(21)의 상단과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차단벽(22)은 분리 라인(40)에서 하부 차단벽(21)의 상단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거나, 또는 하부 차단벽(21)의 상단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하부 차단벽(21) 내측에 끼워지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다. 분리 라인(40)에는 시일링 부재, 예를 들어 패킹(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소음이 분리 라인(40)을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소음 차단 장치(20)는, 내부에 용기(11)가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11)의 외측 표면과 소음 차단 장치(20)의 내측 표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치수 지어질 수 있다.
또한, 블렌더(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차단벽(21)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부 차단 벽(22)이 닫힐 때, 상부 차단 벽(22)에 의해 눌려 구동 장치(1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반대로 상부 차단벽(22)이 개방될 때, 눌림이 해제되어 구동 장치(15)의 회전을 중지되거나 또는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동 중단 스위치(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블렌더(1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모드 운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용기(11)를 소음 차단 장치(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용기(11)를 들어 올리면서 상부 차단벽(22)이 열리게 되면, 구동 장치(15)의 회전이 중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는, 블렌더(10)는, 상술된 바와 같은 안전 모드 운전을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차단벽(22)의 닫힘과 열림에 따라 회로가 닫히거나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감지부(51) 및 제1 피감지부(5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감지부(52)는 힌지 기둥(231)의 상단에 마련되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부 차단벽(22)이 닫힐 때, 제1 피감지부(52)와 실질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단부분(233)에 위치되는 리드(reed)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부 차단벽(22)이 닫혀 제1 피감지부(52)가 감지부(51)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면, 감지부(51)의 회로가 폐쇄되어, 구동 장치(15)가 회전될 수 있고, 반대로, 상부 차단벽(22)이 열려, 제1 피감지부(52)가 감지부(51)로부터 이격되면 감지부(51)의 회로가 열려, 구동 장치(15)의 회전이 멈추거나, 회전이 가능하지 않은 상대로 될 수 있다.
또한, 블렌더(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11)의 뚜껑(111)에 마련되는 누름봉 삽입구(117)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도록 뚜껑(11)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소켓(116)에 마련되는 제2 피감지부(5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피감지부(53)는, 소켓(116)이 누름봉 삽입구(117)를 개방하도록 열리면, 감지부(5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소켓(116)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감지부(53)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소켓(116)이 열려 제2 피감지부(53)가 감지부(51)에 접촉되면, 상부 차단벽(22)의 열림에 의해 개방된 감지부(51)의 회로가 다시 닫힐 수 있다. 따라서, 용기(11) 내부의 음식물을 누름봉(미도시)으로 가공 부재(112)에 가압하기 위해서, 소켓(116)을 완전히 열면, 감지부(51)의 회로가 닫혀 구동 장치(15)가 다시 회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 변형예에 따른 블렌더는 소음 차단 장치(20)에 마련되는 배기 장치의 진공 압력을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 게이지(90)를 더 포함한다.
압력 게이지(90)는 상부 차단벽(22)에 마련될 수 있다. 압력 게이지(90)는 배기 장치(30)의 배기관(32)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지 연결라인(94), 게이지 연결라인(94)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전달받는 실린더 부재(91), 실린더 부재(91)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피스톤 부재(92), 이 피스톤 부재(9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복원력을 피스톤 부재(92) 작용할 수 있는 복원력 부재(93)를 포함한다. 실린더 부재(91)의 일부분은 투명 부재(95; 도 8의 일점 쇄선 동그라미 내 도면 참조)로 형성되어, 실린더 부재(9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 부재(92)(또는, 피스톤 부재(92)에 연결된 인디케이터(미도시) 등)가 외부에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부재(91)에는, 피스톤 부재(91)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린더 부재(91)와 피스톤 부재(91)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홀(미도시)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압력 게이지(9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8의 일점 쇄선 동그라미 내의 도면은 상부 차단벽의 상측에서 본 실린더 부재(91)의 평면도이다. 블렌더(10)의 진공 펌프(31)가 작동되면, 배기 라인(32)에 흡입력이 형성되고, 이 흡입력은 흡입부(33)에 작용됨과 동시에, 게이지 연결 라인(94)을 통해서 실린더 부재(91) 내부에도 작용될 수 있다. 이 때, 실린더 부재(91)의 내부에 공기가 배기됨으로써, 피스톤 부재(92)는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복원력 부재(93)가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피스톤 부재(92)의 이동은 실린더 부(91)의 진공도가 커질수록 더욱 좌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투명 부재(95)를 통해서 보여지는 피스톤 부재(92)의 위치로부터 용기(11) 내부의 진공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11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소음 차단 장치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도 11의 블렌더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소음 차단 장치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도 11의 블렌더의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4 및 도 15은 도 11의 선 IX-IX에 따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60)는, 구동 장치(15; 도 5 참조)를 수용하고 조작부가 마련되는 몸체(13), 몸체(13)의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61), 용기(61)의 외측 표면에 연결되는 손잡이(62), 및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폐쇄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이고, 내부에 용기(61)를 수용하도록 몸체(13)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음 차단 장치(70)를 포함한다. 한편, 소음 차단 장치(70)는 내부에 용기(6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나, 용기(61)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62)는 소음 차단 장치(70)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기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61)는 가공할 음식물이 투입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열고 닫기 위한 뚜껑(611) 및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용기(61)는 몸체(13)의 상측면(131)에 형성된 탑재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공 부재는 몸체(13)의 내부에 수용된 구동 장치로부터 구동축 및 기어 등을 포함하는 회전력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서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용기(61)의 하단 일측에 부착되는 손잡이(62)는 용기(6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착부(621) 및 사용자의 손에 잡히는 파지부(622)를 구비한다. 부착부(621)는 용기(61)로부터 돌출되어, 후술되는 소음 차단 장치(70)의 차단벽(70)이 닫혔을 때 소음 차단 장치(70)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노출 홈(711)을 통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621)는 노출 홈(711)과 정합되어, 노출 홈(711)을 통해서 유출될 수 있는 소음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노출 홈(711)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에는 시일링 부재, 예를 들어 패킹(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다르게, 소음 차단 장치(70)에 노출 홈(71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변형예와 같이, 손잡이(62)의 부착부(621)는 후술되는 연결 돌기(132)에 형성되는 손잡이 노출 홈(134)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부착부(621)는 도 11 내지 도 15에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손잡이 노출 홈(711 또는 134)과 정합될 수 있도록 노출 홈(711 또는 134)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621)는 측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기(61)에 더 근접한 부착부(621)의 부분이 손잡이 노출 홈(711 또는 134)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도 있고, 이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부착부(621)의 양 측부에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용기(61)가 몸체(13)의 탑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음 차단 장치(70)가 장착될 때, 손잡이 노출 홈(711)의 양측 주변부가 이 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손잡이(62)의 파지부(622)는 부착부(621)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이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후술되는 소음 차단벽(71)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622)는 도 11 내지 도 15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잡힐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622)는 소음 차단벽(71)과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파지부(622)의 상단부 등에 후술되는 소음 차단벽(71)의 외측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용기(61)의 뚜껑(611)은 용기(6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용기 뚜껑(611)의 상부에는, 소음 차단벽(71)이 씌워졌을 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배기 장치의 흡입부와 연결될 수 있는 체크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 장치의 진공 펌프가 작동되면, 용기(61) 내부의 공기가 체크 밸브 및 배기 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용기(61) 내부의 진공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흡입부와 체크 밸브의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이 아니라, 흡입부와 체크 밸브 사이에 간격을 둔 공기 연통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즉, 흡입부가 체크 밸브와 맞닿지는 않으나, 뚜껑(611) 주위의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소음 차단 장치(70) 내부 공간의 진공도가 높아져 용기(61) 내부의 공기가 체크 밸브를 통해서 용기(61) 외부로 유동됨으로써 흡입부와 체크 밸브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뚜껑(611)의 상측 표면이, 도 11과 같이 소음 차단벽(71)이 씌워졌을 때, 소음 차단벽(71)의 하측 표면에 의해서 눌려, 그 눌리는 힘이 용기(61)에 전달되어, 용기(61)의 진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소음 차단벽(71), 용기(61) 및 뚜껑(611)의 치수가 정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 차단 장치(70)의 차단벽(71)은 하단이 블렌더(60)의 몸체(13)의 상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폐쇄된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에 용기(61)가 수용될 때, 용기(61) 전체를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소음 차단 장치(70)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용기(61)의 손잡이(62)가 소음 차단 장치(70) 외부에 용기(61)의 손잡이(62)가 배치되기 때문에, 소음 차단 장치(70)를 좀 더 소형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용기(61)의 손잡이(62)가 소음 차단 장치(70)의 하부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소음 차단벽(71)을 단일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고, 아울러 소음이 누출될 수 있는 틈새가 없어져, 소음 차단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소음 차단 장치(70) 외부로 용기(61)의 손잡이(62)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61)를 소음 차단 장치(70)로부터 제거할 때, 용기(61)의 손잡이(62)를 잡고, 용기(61)를 위로 들어 올림으로써, 소음 차단벽(71)이 몸체(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차단벽(71)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불필요하므로, 소음 차단 장치(70)의 구성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소음 차단벽(7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변형예와 같이, 몸체(13) 내부의 진공 펌프(31)와 소음 차단벽(71)의 흡입부(미도시)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배기 라인(미도시)이 배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소음 차단벽(71)은 몸체(13)의 상측면(131)에 기밀하게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3)의 상측면(131)에 연결 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기(132)는 상측면(131)으로부터 미리결정된 높이로 돌출되며,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돌기(132)의 측방향 외측면에는 소음 차단벽(71)의 내측 표면이 밀착됨으로써 소음 차단벽(71)이 연결 돌기(1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착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차단벽이 몸체로부터 탈착가능하기 때문에, 차단벽의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차단벽이 몸체로부터 제거되면, 몸체 상부의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연결 돌기(132)의 외측 일부분에는 연결 돌기(132)보다 측방향으로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소음 차단벽(71)의 손잡이 노출홈(711)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손잡이(622)의 측방향 연결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부(133)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 돌기(132)의 측방향 내측면에는 용기(61)의 하측에 마련되는 장착부(114; 도 5 참조)가 말착됨으로써 용기(61)가 몸체(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동 장치와 용기(61)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3중 벽, 즉 용기(61)의 장착부(114), 연결 돌기(132) 및 소음 차단벽(71)의 하부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어,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소음 차단 장치(70)는, 내부에 용기(61)가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61)의 외측 표면과 소음 차단 장치(70)의 내측 표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치수 지어질 수 있다. 또한, 소음 차단벽(71)은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 실시형태에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으나, 이 변경된 실시형태도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는 점이 주의된다.
10 블렌더
11 용기
111 뚜껑
112 가공 부재
113 회전축
114 장착부
116 소켓
117 누름봉 삽입구
12 손잡이
121 부착부
122 파지부
13 몸체
131 상측면
132 연결 돌기
134 손잡이 노출 홈
14 조작부
20 소음 차단 장치
201 내부 공간
21 하부 차단벽
22 상부 차단벽
23 힌지
221 손잡이 노출 홈
231 힌지 기둥
30 배기 장치
31 진공 펌프
32 배기 라인
321; 322 커플링 부재
40 분리 라인
41 전방 분리 라인
42 후방 분리 라인
50 구동 중단 스위치
51 감지부
52 제1 피감지부
53 제2 피감지부

Claims (20)

  1.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블렌더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용기가 상측에 탑재되며, 내부에 상기 가공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폐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소음 차단 장치로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소음 차단 장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차단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하부 차단벽 및 상기 하부 차단벽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차단벽의 개방된 상단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폐쇄된 상부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차단벽의 하부 및 상기 하부 차단벽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소음 차단 장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허여하는 손잡이 노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부착부, 및 상기 손잡이 부착부에 연결되되, 상기 용기가 상기 몸체의 상측에 탑재되면 상기 소음 차단 장치의 상기 하부 차단벽의 외부에 위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렌더는 배기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진공 펌프, 상기 상부 차단벽에 배치되는 흡입부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는 배기 라인을 포함하는, 블렌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노출홈에는 시일링 부재가 마련되는, 블렌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하부 차단벽이 외측 표면을 둘러 싸도록 연결되는 연결 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블렌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 돌기의 내측 표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는 장착부가 마련되는, 블렌더.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렌더는 상기 상부 차단벽이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 및 상기 몸체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힌지 기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라인은 상기 힌지 기둥을 통해서 연장되는, 블렌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 라인은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부분의 서로 마주 보는 일단에는, 상기 상부 차단벽이 닫혀있을 때는 서로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상부 차단벽이 열릴 때는 서로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 부재가 마련되는, 블렌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차단벽에는 압력 게이지가 마련되며, 상기 압력 게이지는 상기 배기 라인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실린더 부재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복원력 부재를 포함하는, 블렌더.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렌더는 상기 상부 차단벽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서로 접촉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차단벽 및 하부 차단벽 또는 이들의 주변부에 마련되는 감지부 및 제1 피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제1 피감지부가 접촉되면, 상기 구동 장치가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제1 피감지부가 이격되면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이 정지되는, 블렌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음식물이 투입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열고 닫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블렌더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누름봉 삽입구를 개방하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마련되는 제2 피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피감지부는 상기 소켓이 열리면 상기 감지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블렌더.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차단벽은 상기 몸체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렌더.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53937A 2017-04-26 2017-04-26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Active KR10187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37A KR101878304B1 (ko) 2017-04-26 2017-04-26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US15/624,276 US10383481B2 (en) 2017-04-26 2017-06-15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vice
CN201820612914.7U CN208808280U (zh) 2017-04-26 2018-04-26 用于处理食物的搅拌机
JP2018534577A JP6817311B2 (ja) 2017-04-26 2018-04-26 騒音遮断装置を含むブレンダー
PCT/KR2018/004855 WO2018199650A1 (en) 2017-04-26 2018-04-26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vice
CN201810384593.4A CN108784433B (zh) 2017-04-26 2018-04-26 用于处理食物的搅拌机
EP18731349.9A EP3634189A4 (en) 2017-04-26 2018-04-26 MIXER WITH NOISE BLOCKING DEVICE
AU2018204563A AU2018204563B2 (en) 2017-04-26 2018-04-26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vice
US16/503,185 US11272811B2 (en) 2017-04-26 2019-07-03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vice
AU2019264577A AU2019264577B2 (en) 2017-04-26 2019-11-13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37A KR101878304B1 (ko) 2017-04-26 2017-04-26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304B1 true KR101878304B1 (ko) 2018-07-16

Family

ID=6304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37A Active KR101878304B1 (ko) 2017-04-26 2017-04-26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383481B2 (ko)
EP (1) EP3634189A4 (ko)
JP (1) JP6817311B2 (ko)
KR (1) KR101878304B1 (ko)
CN (2) CN108784433B (ko)
AU (2) AU2018204563B2 (ko)
WO (1) WO201819965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98B1 (ko) * 2018-09-14 2019-01-28 이클립스리빙(주) 진공 믹서기
WO2020050548A1 (ko) * 2018-09-05 2020-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WO2021049809A1 (ko) * 2019-09-11 2021-03-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266599B1 (ko) * 2020-12-21 2021-06-18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쌀통
WO2021206270A1 (ko) * 2020-04-08 2021-10-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WO2022085960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KR20230099965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KR20230001715U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피엔풍년 안전장치를 구비한 진공 블렌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2355B1 (en) * 2016-03-24 2018-10-24 Metso Minerals, Inc. Compact noise encapsulation for mobile processing devices
US10556208B2 (en) * 2017-01-09 2020-02-11 Nuwave, Llc Vacuum blender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US10750907B2 (en) * 2017-11-07 2020-08-25 Nuc Electronics Co., Ltd. Food processor
USD883021S1 (en) 2018-08-22 2020-05-05 Whirlpool Corporation Enclosure for a blender assembly
CN112888348A (zh) * 2018-10-19 2021-06-01 艾迪亚实验室有限责任公司 真空混合器、真空混合系统和真空混合器盖
USD905493S1 (en) * 2019-02-13 2020-12-22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JP2022517771A (ja) 2019-03-08 2022-03-10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真空食品加工システム
WO2020185684A1 (en) 2019-03-08 2020-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CN212939453U (zh) 2019-03-08 2021-04-13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系统、用于其的容器组合件及与其一起使用的附件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KR102287287B1 (ko) * 2019-07-05 2021-08-0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20210037271A (ko)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US11992161B2 (en) 2020-11-12 2024-05-28 Conair Llc Sound enclosure system for food blender
US20240206680A1 (en) * 2021-04-12 2024-06-27 Nuc Electronics Co., Ltd. Vacuum blender
CN115569682B (zh) * 2022-09-23 2025-03-11 福建佰奥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银耳破碎、降解、熬胶出糖、多糖分离一体机
USD1022586S1 (en) * 2022-11-21 2024-04-16 Starglory Limited Blender
US20240366032A1 (en) * 2023-05-03 2024-11-07 Paul Howard Nye Blender enclosure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734A (ja) * 1992-12-15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調理機
KR20030005757A (ko) * 2001-07-10 2003-01-23 김경순 믹서기를 이용한 진공장치
US20030034200A1 (en) * 2001-08-20 2003-02-20 Hamilton Beach/Proctor Silex, Inc. Shielding enclosure
US20050023940A1 (en) * 2003-07-28 2005-02-03 Van Beusekom Thomas J. Sound minimizing apparatus
KR20070101972A (ko) * 2006-04-13 2007-10-18 김홍배 간접 가열 방식의 복합 조리 장치
CN201101393Y (zh) * 2007-10-29 2008-08-20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降噪音果汁机
JP4238257B2 (ja) * 2006-06-28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CN201320105Y (zh) * 2008-11-12 2009-10-07 宋宏斌 带有真空隔音罩的食品处理机
KR20110044904A (ko) * 2008-08-15 2011-05-02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KR101391972B1 (ko) * 2013-05-29 2014-05-07 (주)현대가전업 다용도 믹서기
JP2015119868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CN105142472A (zh) * 2013-03-21 2015-12-09 德国福维克控股公司 电机驱动的厨用机器、数据存储元件和电机驱动的厨用机器与数据存储元件的组合设备
KR20150145163A (ko) * 2014-06-18 2015-12-2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631979B1 (ko) 2008-07-21 2016-06-20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블렌더용 엔클로져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1372A (en) * 1977-04-25 1978-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Food processor interlock
JPS6142383Y2 (ko) * 1980-06-23 1986-12-02
US4892413A (en) * 1987-07-01 1990-01-09 Vats Raj K Sound and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JP3021906B2 (ja) * 1992-01-28 2000-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調理機
US5957577A (en) * 1997-10-01 1999-09-28 K-Tec, Inc. Enclosure apparatus for processing devices
US6776086B1 (en) * 2003-04-25 2004-08-17 Ken Ying Enterprise Co., Ltd. Safety switch for a food processor
TWM246053U (en) * 2003-12-29 2004-10-11 Chuen-Yu Dai Heat dissipation and sound isolation structure for juice and food processor body
USD556506S1 (en) * 2006-12-06 2007-12-04 Conair Corporation Blender
US8752481B2 (en) * 2007-10-10 2014-06-17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air intake snorkel for countertop or in-counter installations
KR20130022839A (ko) * 2011-08-26 2013-03-07 이화신 소음 저감 믹서기
US9057654B2 (en) * 2012-05-01 2015-06-16 James H. Gammon Differential pressure gauge
JP5639136B2 (ja) * 2012-10-05 2014-12-10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US20140217211A1 (en) * 2013-02-04 2014-08-07 Hamilton Beach Brands, Inc. Kitchan Appliance With Quiet Shield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5246581A (zh) * 2013-03-15 2016-01-13 维他拌管理有限公司 电动搅拌容器
US20150044344A1 (en) * 2013-08-07 2015-02-12 Tribe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blender with noise damping elements
WO2015194750A1 (ko) 2014-06-18 2015-12-23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US10562672B2 (en) * 2014-08-01 2020-02-18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Sound dampening blending container
JP6470537B2 (ja) * 2014-10-02 2019-02-13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電動式ミル・ミキサー
KR20170070870A (ko) * 2015-12-14 2017-06-23 (주)제이월드텍 믹서기를 이용한 규격 용기 진공 장치
CN106037525B (zh) * 2016-06-03 2018-08-17 中山市康龙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式料理机
CN106377181A (zh) * 2016-10-30 2017-02-08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搅拌机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734A (ja) * 1992-12-15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調理機
KR20030005757A (ko) * 2001-07-10 2003-01-23 김경순 믹서기를 이용한 진공장치
US20030034200A1 (en) * 2001-08-20 2003-02-20 Hamilton Beach/Proctor Silex, Inc. Shielding enclosure
US20050023940A1 (en) * 2003-07-28 2005-02-03 Van Beusekom Thomas J. Sound minimizing apparatus
KR20070101972A (ko) * 2006-04-13 2007-10-18 김홍배 간접 가열 방식의 복합 조리 장치
JP4238257B2 (ja) * 2006-06-28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CN201101393Y (zh) * 2007-10-29 2008-08-20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降噪音果汁机
KR101631979B1 (ko) 2008-07-21 2016-06-20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블렌더용 엔클로져
KR20110044904A (ko) * 2008-08-15 2011-05-02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CN201320105Y (zh) * 2008-11-12 2009-10-07 宋宏斌 带有真空隔音罩的食品处理机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CN105142472A (zh) * 2013-03-21 2015-12-09 德国福维克控股公司 电机驱动的厨用机器、数据存储元件和电机驱动的厨用机器与数据存储元件的组合设备
KR101391972B1 (ko) * 2013-05-29 2014-05-07 (주)현대가전업 다용도 믹서기
JP2015119868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KR20150145163A (ko) * 2014-06-18 2015-12-2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238257호(2009.03.18.) 1부. *
중국특허공개공보 102631153(2012.08.15.) 1부. *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548A1 (ko) * 2018-09-05 2020-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200027788A (ko) *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US11589705B2 (en) 2018-09-05 2023-02-28 Nuc Electronics Co., Ltd. Foreign substance trap device and cooking device using same
KR101943098B1 (ko) * 2018-09-14 2019-01-28 이클립스리빙(주) 진공 믹서기
WO2021049809A1 (ko) * 2019-09-11 2021-03-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20210031143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254478B1 (ko) * 2019-09-11 2021-05-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KR20210059682A (ko) * 2019-09-11 2021-05-2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KR102309492B1 (ko) 2019-09-11 2021-10-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CN114364292A (zh) * 2019-09-11 2022-04-15 株式会社Nuc电子 烹饪器具
WO2021206270A1 (ko) * 2020-04-08 2021-10-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WO2022085960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KR102266599B1 (ko) * 2020-12-21 2021-06-18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쌀통
KR20230099965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KR102554189B1 (ko) * 2021-12-28 2023-07-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KR20230001715U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피엔풍년 안전장치를 구비한 진공 블렌더
KR200497250Y1 (ko) * 2022-02-18 2023-09-12 주식회사 피엔풍년 안전장치를 구비한 진공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84433B (zh) 2021-10-29
AU2019264577B2 (en) 2021-10-14
CN208808280U (zh) 2019-05-03
WO2018199650A1 (en) 2018-11-01
AU2018204563B2 (en) 2019-08-15
JP6817311B2 (ja) 2021-01-20
US10383481B2 (en) 2019-08-20
US20190380537A1 (en) 2019-12-19
CN108784433A (zh) 2018-11-13
JP2019516418A (ja) 2019-06-20
AU2019264577A1 (en) 2019-12-05
EP3634189A1 (en) 2020-04-15
US11272811B2 (en) 2022-03-15
US20180310769A1 (en) 2018-11-01
AU2018204563A1 (en) 2018-11-15
EP3634189A4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304B1 (ko)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AU2004320761B2 (en) 'Device for forming a vacuum in containers with separable and washable liquid recovery tray'
KR101804162B1 (ko) 블렌더
KR101851526B1 (ko) 진공블렌더
KR102453176B1 (ko) 조리기
KR20180077123A (ko) 블렌더
KR101873900B1 (ko) 블렌더
KR102674966B1 (ko) 컵 덮개 조립체, 컵 본체 조립체 및 식품 처리기
KR101479043B1 (ko) 핸디형 진공기
CN111453182A (zh) 一种真空储存装置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1971101B1 (ko) 조리기
CN116867410A (zh) 电动吸尘器
JPH09206247A (ja) 電気掃除機
KR100538520B1 (ko)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CN111110068A (zh) 过滤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213263651U (zh) 盖组件及真空储存装置
CN218651376U (zh) 一种泄压手柄及锅盖
KR101648485B1 (ko) 매립형 진공 포장기
JPH11276390A (ja) 電気掃除機
CN112956890A (zh) 一种米箱
JP2005279182A (ja) 真空保存鍋
TW202033144A (zh) 電動調理器
JP2002065821A (ja) アイソレータ
JP2018070185A (ja) 真空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