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1883B1 -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883B1
KR101941883B1 KR1020180032385A KR20180032385A KR101941883B1 KR 101941883 B1 KR101941883 B1 KR 101941883B1 KR 1020180032385 A KR1020180032385 A KR 1020180032385A KR 20180032385 A KR20180032385 A KR 20180032385A KR 101941883 B1 KR101941883 B1 KR 10194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hydrotalcite
weight
pvc
hydrox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운
김영선
홍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산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산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산화학
Priority to KR102018003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PVC에 함유됨으로써 열 안정성뿐만 아니라 가공 안정성 및 장기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열 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HEAT STABILIZER COMPOSITION OF PVC COMPRISING HYDROTALCITE}
본 발명은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물 혼합물을 포함하여 PVC의 열 안정화제로서의 특성을 향상시킨 열 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VC에 적용되는 납, 바륨, 카드뮴 등의 중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제 대신 독성이나 환경오염 문제가 적은 물질을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26604호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PVC에 첨가함으로써 PVC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9220호에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반응성 층간 삽입물을 첨가하고 있는데 층상 금속 수산화물로서 음이온 교환이 가능하므로 고분자의 내열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열 안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층간 삽입물을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층간에 삽입함으로써 PVC의 열 안정성과 착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다만, 층간에 삽입된 물질은 시간이 지나면서 pH 조건이 변화하게 되어 장기 보관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9285호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과염소산염을 포집하는 담체로 적용함으로써 과염소산염에 의한 안정화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하이드로탈사이트 자체의 열 안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으며, 장기 보관성에 있어서도 더 나은 효과를 얻고 있지는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110997호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적용하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026117호에서는 알루민산 리튬 하이드로탈사이트를 PVC 안정화제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부가 성분의 상승효과를 얻거나 하이드로탈사이트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종류를 최적화함으로써 PVC 안정화 효과를 얻고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장기 보관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266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92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92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1109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0261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PVC의 열 안정화제로서 요구되는 열 안정성의 특성뿐만 아니라, 가공 안정성 및 장기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열 안정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은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층간 삽입물은 지방산 및 무수 말레인산을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방산은 부티르산(Butyric Acid), 카프론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운데실산(undecyl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박센산(Vaccenic Acid),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아라키틱산(Arachidic Acid), 가돌레산(Gadole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에루스산(Erueic acid), 리그노세린산(Ligfnoceric A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염소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아연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열 안정화제는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PVC의 열 안정화제로서 요구되는 열 안정성의 특성뿐만 아니라, 가공 안정성 및 장기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열 안정화제 조성물의 열 안정화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열 안정화제 조성물의 장기 보관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달리 층간 삽입물을 첨가함으로써 열 안정성과 착색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 함으로써 PVC에 적용할 때 상용성을 높여 가공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장기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우선 층간 삽입물을 첨가한 후 상기 얻어진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표면에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반응시켜 표면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층간 삽입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26604호나 10-0909220호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하이드로탈사이트를 구성하기 위한 금속염과 염기성 화합물 및 층간 음이온 공급 물질을 분산 혼합하고 이를 고온 고압 반응을 통해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제조한 후 여기에 반응성 층간 삽입물을 첨가하고 고온 고압 상태에서 반응시켜 층간 삽입물이 첨가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얻게 된다. 또한, 재료의 안정성을 위하여 지방산으로 표면을 코팅하는 처리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층간 삽입물이 첨가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얻은 후 표면 처리를 위하여 염소화 폴리에틸렌과 반응하여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얻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9285호에서는 과염소산을 첨가할 때 PVC의 안정화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염소-함유 중합체의 PVC 안정화제로서의 효과를 언급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함으로써 PVC 열 안정화제로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열 안정화제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층간 삽입물은 지방산 및 무수 말레인산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지방산으로는 부티르산(Butyric Acid), 카프론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운데실산(undecyl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박센산(Vaccenic Acid),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아라키틱산(Arachidic Acid), 가돌레산(Gadole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에루스산(Erueic acid), 리그노세린산(Ligfnoceric Acid) 등의 다양한 지방산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 중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등의 탄소수 9 내지 11의 지방산을 적용할 때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층간 삽입물을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층간에 삽입하는 방법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고온, 고압 반응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단 층간 삽입물이 삽입된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표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이드로탈사이트의 표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반응하며 PVC에 혼합했을 때의 상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인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열 안정화제의 안정성 및 PVC와의 상용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염소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인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적용하고 있는데, 염소 함량이 너무 적으면 PVC 열 안정화제로서의 충분한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며, 염소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열 안정화제의 보관 시 염소 화합물이 생성되어 열 안정화제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 범위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5.0㎏)가 0.001 내지 100이며, 분자량분포도(MWD)가 20 이하이며, 용융온도가 125 내지 140℃이고, 밀도가 0.94 g/㎤ 이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하이드로탈사이트는 2가 및 3가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열 안정화제에 적용하는 경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아연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각각 제조하여 이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 보관에 따른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로는 6MgO·Al2O3·CO2·12H2O, 4MgO·Al2O3·CO2·9H2O, 4MgO·Al2O3·CO2·6H2O 등을 들 수 있고, 아연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로는 ZnO·3MgO·Al2O3·CO2·5H2O, ZnO·3MgO·Al2O3·CO2·6H2O, ZnO·3MgO·Al2O3·CO2·8H2O, ZnO·3MgO·Al2O3·CO2·9H2O 등을 들 수 있는데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아연을 침착시킨 하이드로탈사이트에서 특히 더 나은 효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아연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어느 한쪽이 너무 많은 경우 열 안정화제의 장기 보관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VC의 열 안정화제는 조성물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물 혼합물로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알루미늄의 첨가에 의해 열 안정화제의 상승된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110997호에서도 공지된 바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을 혼합한 수산화물 혼합물을 적용하여 열 안정성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성도 향상시키는데, 다양한 실험을 거친 결과 상기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은 1:2 내지 1:1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의 중량비로 혼합할 때 가장 좋은 효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수산화칼슘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PVC의 열 안정성면에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산화칼슘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장기 보관성이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성물 전체에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상기 수산화물 혼합물은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양이 너무 적거나 많은 경우 장기 보관성이나 열 안정화 효과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 둔다.
<층간 삽입물의 제조>
펠라프곤산과 무수말레인산을 1:1의 몰비로 혼합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80 내지 110℃의 온도를 유지하고 반응물 총 중량에 대해 이온교환수지 2 중량%를 첨가하여 8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층간 삽입물을 제조하였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제조>
반응기에 물 5,000 중량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CE6040X, LG화학) 500 중량부, 소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옥시프로필렌 및 옥시에틸렌 코폴리에테르,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투입하고, 130 ℃, 3 시간 동안 염소 기체를 주입하여 염소화하였다.
상기 염소화된 반응물에 수산화나트륨 투입하여 4 시간 동안 중화하고, 이를 다시 흐르는 물에 의해 4 시간 동안 세정한 다음, 마지막으로 120 ℃에서 건조하여 분말형태의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제조하였다.
<마그네슘 함유 하이드로탈사이트(Mg-H)의 제조>
물과 염화마그네슘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염화마그네슘 수용액 700 중량부를 3L 스테인레스 고압반응기에 투입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0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 330 중량부 및 수산화알루미늄 4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 중량부를 물 300 중량부에 용해시킨 분산액을 상기 고압 반응기에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반응물을 얻었다. 얻어진 1차 반응물에 층간 삽입물 5 중량부를 첨가하고 30분 간 교반한 후 170℃, 10㎏f/㎠의 조건에서 7시간 반응시켜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생성물을 여과 및 수세한 후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170℃, 10㎏f/㎠의 조건에서 1시간 반응시켜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제조하였다.
<아연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MgZn-H)의 제조>
물과 염화마그네슘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염화마그네슘 수용액 700 중량부를 3L 스테인레스 고압반응기에 투입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0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 330 중량부 및 수산화알루미늄 4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 중량부를 물 300 중량부에 용해시킨 분산액을 상기 고압 반응기에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반응물을 얻었다.
상기 1차 반응물 10 중량부를 물 300 중량부에 분산시키고, 아연판을 양극과 음극의 전극에 간격을 5 mm로 하여 연결하였다.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30 V로 0.5-3시간 동안 전류를 인가하여 아연 이온을 하이드로탈사이트에 침착시켰다. 얻어진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여과 및 수세한 후 층간 삽입물 5 중량부를 첨가하고 30분 간 교반한 후 170℃, 10㎏f/㎠의 조건에서 7시간 반응시켜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생성물을 여과 및 수세한 후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170℃, 10㎏f/㎠의 조건에서 1시간 반응시켜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제조하였다.
<열 안정화제 조성물의 제조>
열 안정화제 조성물은 표 1에서와 같이 제조되었다. 표 1에서 단위는 중량부이다.
Mg-H MgZn-H Ca(OH)2 Al(OH)3
실시예1 20 10 3 12
실시예2 30 10 7 30
비교예1 30 10 20 -
비교예2 40 - 5 25
비교예3 40 - 20 -
<열 안정화 효과 평가>
각 조성물의 PVC 열 안정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DOP 35 중량부, TiO2 3 중량부, 안정제(stabilizer) 1 중량부 및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3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편은 170℃에서 5분간 혼련한 후 두께 1㎜로 제조되었으며 205℃ 오븐에 두고 10분 간격으로 꺼내어 색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열 안정화제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PVC 시편을 blank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의 결과를 살펴보면, blank와 대비하여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3 모두 양호한 열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조금 더 나은 열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나 열 안정화제로서의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장기 보관성 평가>
각 조성물의 장기 보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3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을 밀폐된 시약병에 담고 이를 40℃의 오븐에 30일간 방치한 후 사용하였다. 시편 및 평가는 열 안정화 효과 평가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비교를 위하여 열 안정화제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PVC 시편을 blank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2는 장기 보관 후에도 열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어 장기 보관성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장기 보관 후 열 안정화제로서의 성능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으며, 80분 경과 후에는 blank의 색 변화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열 안정화제로서는 부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40 내지 50분 경과 시점에서 비교예 1 내지 3의 PVC 시편은 색상 변화가 매우 커서 급격히 열 안정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열 안정성과 장기 보관성의 상세한 평가를 위하여 각 시편에 대하여 ASTM D1925-70에 따라 황색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시험 전후의 황색 지수의 변화량(ΔYI)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황색지수(ΔYI)
열 안정성 평가 시편 장기 보관성 평가 시편
실시예1 29.2 30.1
실시예2 27.4 27.8
비교예1 39.6 56.8
비교예2 42.5 72.3
비교예3 53.4 61.5
상기 표 2의 측정결과를 살펴보아도, 실시예 1, 2의 시편은 장기 보관에 따른 열 안정화제로서의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 안정화제 조성물은 PVC의 열 안정화 효과뿐만 아니라 열 안정화제 조성물 자체의 장기 보관에 따른 열화나 성능 감소가 없는 매우 안정적인 열 안정화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층간 삽입물이 첨가되며 염소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물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염소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이며,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아연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는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며, 상기 수산화칼슘 및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1:2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층간 삽입물은 지방산 및 무수 말레인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부티르산(Butyric Acid), 카프론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운데실산(undecyl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박센산(Vaccenic Acid),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아라키틱산(Arachidic Acid), 가돌레산(Gadole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에루스산(Erueic acid), 리그노세린산(Ligfnoceric Ac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2385A 2018-03-21 2018-03-21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Active KR10194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85A KR101941883B1 (ko) 2018-03-21 2018-03-21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85A KR101941883B1 (ko) 2018-03-21 2018-03-21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883B1 true KR101941883B1 (ko) 2019-01-24

Family

ID=6527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385A Active KR101941883B1 (ko) 2018-03-21 2018-03-21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9067A (zh) * 2021-12-29 2022-04-19 广东科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酰胺基尿嘧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997A (ja) 1995-10-11 1997-04-28 Ceca Sa ハイドロタルサイトと水酸化カルシウムまたは水酸化カルシウム/アルミニウムと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0026117A (ja) 1998-06-08 2000-01-25 Ceca Sa 層状アルミ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pvcの安定剤としての使用
JP2003292712A (ja) * 2002-04-01 2003-10-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押出成形してなる成形品
KR100909220B1 (ko) 2008-12-30 2009-07-23 신원화학 주식회사 물성이 개선된 탈수산화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제조 방법
KR101039285B1 (ko) 2003-01-17 2011-06-07 갈라타 케미컬스 게엠베하 Pvc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시스템
KR20140039906A (ko) *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케이엔티테크노밸리 유기계 반응성 층간 삽입물이 첨가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997A (ja) 1995-10-11 1997-04-28 Ceca Sa ハイドロタルサイトと水酸化カルシウムまたは水酸化カルシウム/アルミニウムと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0026117A (ja) 1998-06-08 2000-01-25 Ceca Sa 層状アルミ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pvcの安定剤としての使用
JP2003292712A (ja) * 2002-04-01 2003-10-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押出成形してなる成形品
KR101039285B1 (ko) 2003-01-17 2011-06-07 갈라타 케미컬스 게엠베하 Pvc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시스템
KR100909220B1 (ko) 2008-12-30 2009-07-23 신원화학 주식회사 물성이 개선된 탈수산화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제조 방법
KR20140039906A (ko) *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케이엔티테크노밸리 유기계 반응성 층간 삽입물이 첨가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제조방법
KR101426604B1 (ko) 2012-09-25 2014-08-13 주식회사 케이엔티테크노밸리 유기계 반응성 층간 삽입물이 첨가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9067A (zh) * 2021-12-29 2022-04-19 广东科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酰胺基尿嘧啶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883B1 (ko)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는 pvc의 열 안정화제 조성물.
US6077882A (en) Halogenate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a metal compound stabilizer and a coated acid absorber costabilizer
JP4785134B2 (ja) 電気絶縁性が改良された受酸剤、それ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ES2371251T3 (es) Sistema de estabilización para polímeros que contienen halógeno.
JP4176013B2 (ja) アルカリ土類金属塩基性ケイ酸塩粒子
EP1263869B1 (en) Halogen containing polymer compounds containing modified zeolite stabilizers
US7405359B2 (en) Mg-Al-based hydrotalcite-type particles, chlorine-containing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articles
JPWO2010005090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3590297B2 (ja) 難燃性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
JP2008214466A (ja) 安定化された含ハロゲン樹脂組成物
US7847005B2 (en) Stabilized halogen-containing resin composition
US4711921A (en) Stabilization of vinyl chloride polymers
CA1047682A (en) Heat stable low toxic chlorine-containing resin composition
US4118227A (en) Process for producing dicalcium silicate power
JP4439917B2 (ja) Pvcコンパウンド中の水酸化アルミニウムの安定性改良
JP2018184306A (ja) ハイドロタルサイト類化合物、該ハイドロタルサイト類化合物を配合してなる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US3041311A (en) Polypropylene stabilized with a dithiophosphate metal salt
US7851533B2 (en) Stabilized halogen-containing resin composition
JPS6036573A (ja) 無機物質用表面処理剤
KR100735067B1 (ko) 수처리 효율이 높은 비경화성 액상석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41105A (ja) 塩素含有樹脂組成物
JPH0564174B2 (ko)
WO2010032564A1 (ja) 発泡不良現象を抑えた塩素含有樹脂組成物
JP2004059603A (ja) 塩素含有重合体用安定剤及び樹脂組成物
JPH10168265A (ja) 抗菌性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31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8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