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647B1 - Centrifugal micropowder separator - Google Patents
Centrifugal micropowder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1647B1 KR101941647B1 KR1020160115478A KR20160115478A KR101941647B1 KR 101941647 B1 KR101941647 B1 KR 101941647B1 KR 1020160115478 A KR1020160115478 A KR 1020160115478A KR 20160115478 A KR20160115478 A KR 20160115478A KR 101941647 B1 KR101941647 B1 KR 101941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ution
- cylinder
- main body
- fine powder
- sepa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04B7/04—Casings facilitating dis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02—Electric motor drive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통, 투입구 및 배출구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통 내부 스핀보울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으로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거터의 안내를 받아 배출구로 배출함으로써, 용액에 잔재한 미세분말 등의 스와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powder centrifu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powder centrifuge comprising a main body composed of a separating cylinder, an inlet and an outlet,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separating cylinder inner spin bowl, And a fine powder centrifugal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swarf such as fine powder remaining in the solution by discharging it to the outlet through the guide of the gutt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가공 또는 액상반응공정 등의 작업 후 용액에 잔여하고 있는 미세분말을 회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미세분말 및 용액을 분리하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powder centrifu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fine powder remaining in a solution after a work such as a metal working or a liquid phase reaction process, And a fin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olution.
금속가공 또는 액상반응공정 등의 작업 후에는 사용된 용액 내에 있는 분말들을 회수해야하며, 용액 내에 있는 분말들을 포집함으로써 용액을 재사용하거나 효과적으로 처리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각종 필터(Filter)를 이용하여 분말들을 포집하였으며, 아무리 미세한 필터를 이용하더라도 용액 내에 미세분말들이 부유한 상태로 포함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압 압축방식이나 원심분리 방식을 채택하여 미세분말들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였다. After operations such as metal working or liquid phase reaction processes, the powders in the used solution must be recovered and the powders in the solution are collected to provide for reuse or effective treatment and discharge of the solution. However, in the past, various kinds of filters have been used to collect powders, and fine powders are floating in the solution even if a fine filter is used.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hydraulic compression method or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 apparatus for removing powders was provided.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건더기와 수분을 원심 분리하는 급속 원심분리기인 한국등록특허 제10-0289134호("급속 원심분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입구(1), 배출구 A(2), 배출구 B(3), 고속 회전통(4), 이송수단(5) 및 분산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공법의 각 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투입구(1)를 통해 처리물이 급속 원심분리기로 투입이 되며, 상기 처리물은 고속 회전통(4), 이송 수단(5) 및 분산부재(6)를 통해서 배출구 A(2) 및 배출구 B(3)로 나누어져 배출되는 장치이다.Korean Patent No. 10-0289134 ("Rapid Centrifuge"), which is a rapid centrifugal separator for centrifuging the mackerel and moisture using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As shown in Fig. 1, the above-mentioned method includes an inlet 1, an
상기한 공법은 고속 회전통(4), 이송 수단(5) 및 분산부재(6) 등과 연결된 많은 동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처리물의 처리용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도 있는 장점은 있지만, 장치를 구동할 시에 필요한 전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서 현장에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용액을 재활용하는 비용이 증대되어 사업장의 부담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미세분말 및 분말들이 케이크화가 되면서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데, 이송 수단 등이 구비된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Although the above-mention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processed material by providing a large number of power devices connected to the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분리통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용액상에 부유하고 있는 미세분말을 분리할 수 있으며, 본체에 탑도어를 설치하여 내부 잔여 미세분말을 회수하기가 용이한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e separator, which is formed so that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and a fin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which is easy to recover the inner residual fine powder by providing a top door on the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탑도어(11)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원심력을 통해 스와프 및 용액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통(100); 상기 탑도어(11)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을 통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이 유입되어 타측을 통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을 분리통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구(200); 상기 분리통(10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분리통(100)과 연결되는 동력기(300); 상기 탑도어(11)에 형성되되 탑도어(11)의 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되는 배출구(400); 및 상기 본체(10)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분리통(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통(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통(100)은, 내부 하면의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적어짐으로써 경사부(111)가 형성되는 스핀보울(110)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111)는 서로 다른 각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유입된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이 상기 스핀보울(110)의 경사부(111)의 복수의 경사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 상에 공급되되, 상기 투입구(200)는 상기 경사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200)의 타측 단부가 상기 경사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이 보다 근접한 상태에서 투입되고, 외측으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400)는 일측을 통해 용액이 상승하여 투입되고, 타측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400)의 타측은 상기 분리통(100) 및 외통(500) 사이로 개방되되, 상기 분리통(100)의 외면으로 용액이 배출되고, 상기 분리통(100)으로 배출된 용액의 일부는 상기 분리통(100) 및 외통(500) 사이의 공간을 지나 본체(10)의 하측으로 배출되고, 용액의 다른 일부는 상기 외통(500)으로 향하되, 상기 본체(10) 하측의 중심에는 겹판(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e powder centrifuge apparatus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top doo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는 상기 외통(500)과 연결되어 외통(500) 내의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구(21); 및 상기 본체(10)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내 잔여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구(2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ne powder centrifuge includes a first drain hole (21) connected to the outer tube (500) to discharge the solution in the outer tube (500) to the outside; And a second drain hole (2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solution in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는 상기 분리통(100)의 회전력으로 인한 본체(10)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상기 분리통(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밸런서(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ne powder centrifuge further comprises a
또한 상기 동력기(300)는 전동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통(100) 및 동력기(300)가 서로 풀리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분리통(100)의 내면을 따라 용액이 권회함으로써, 용액 내의 스와프가 기벽에 부착되어 스와프 및 용액이 분리하게 제공하여 미세분말 스와프들이 쉽게 제거가 가능하도록 제공한다.In the fin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is wou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ng
또한 용액을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분리통(100)의 내부 하면의 중심에 돌출형성된 스핀보울(110)의 경사부(111)에 투입함으로써, 일정한 경로를 따라서 용액이 권회하여 연속적인 공급, 분리 및 배출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또한 상기 분리통(100)의 기벽을 따라 상승하는 용액은 배출구(400)의 일측에 형성된 거터(410)의 안내를 통하여 상승하여,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이도 배출이 가능하여 구동 전력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solution rising along the wall of the separating
또한 외통(500)과 연결된 제1배수구(21) 및 본체(10)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2배수구(22)를 통해 자연배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상기 분리통(100) 및 밸런서(600)의 외면을 거쳐서 제2배수구(22)로 향하기 때문에 잔류된 미세분말들을 한 번 더 여과할 수 있기에 장치의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The natural drainage system can be provided through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속 원심분리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이 도시된 본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평면도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centrifugal separato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body in which a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7 is a side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fine powder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unless otherwise indicat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and configuration that can be blurred is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는 상면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탑도어(11)를 포함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동력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탑도어(11)에는 사용자가 탑도어(11)를 개방 시에 보조할 수 있도록 손잡이(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도어(11)에는 스와프가 잔재되어 있는 용액을 투입하는 투입구(200) 및 스와프가 제거된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4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 구성 및 동력전달 방식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하게 기술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fine powder centrifu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은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내부를 투영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10) 및 동력기(300)의 구성관계를 설명하자면, 상기 동력기(300)는 전동기로 이루어져 모터(310), 동력전달부재(320) 및 샤프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310)에서 회전력을 발생시켜 동력전달부재(320) 및 샤프트(330)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원심분리기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ine powder centrifuge device projected. Referring to FIG. 3, the
이때, 상기 본체(10) 및 모터(310)는 하나의 하우징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 및 모터(310)의 하측에 하부하우징(30)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320)가 내장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하우징 속에 상기 본체(10) 및 모터(310)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하우징(30)의 하측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4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본체 및 샤프트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원심력을 통해 스와프 및 용액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통(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통(100)이 회전력으로 인한 본체(10)의 진동을 감쇠하면서, 장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분리통(100)의 하측에 밸런서(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런서(600)는 상기 분리통(100)으로 샤프트(330)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중심에 천공이 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분리통(100), 밸런서(600) 및 샤프트(33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 또는 리벳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main body and a shaft portion of a fine powder centrifuge device. Referring to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5는 본체를 더 상세히 설명하고 원심분리장치의 핵심 구성요소가 포함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명확하게 재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탑도어(11)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원심력을 통해 스와프 및 용액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통(100), 상기 탑도어(11)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을 통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을 투입하는 투입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통(100)은, 내부 하면의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적어짐으로써 경사부(111)가 형성되는 스핀보울(110)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a main body that includes the main components of the centrifugal device and the main body in greater detail. 5, the fin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including a
상기 투입구(200)는 외부에 위치하여, 개방되어 있는 일측을 통해 작업자가 용액을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용액은 내부에 미세분말 등의 스와프가 잔재된 상태이며, 투입된 용액은 투입구(200)의 타측을 통하여 상기 분리통(100)의 내부에 유입된다. 이때 용액은 상기 분리통(100)의 내부에 형성된 스핀보울(110) 부분에 투입될 수 있으며, 더욱 명확하게는 상기 스핀보울(110)의 경사지점에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입구(200)의 타측 단부의 형상이 경사지점과 유사한 각도로 형성이 되어 더 근접한 상태에서 투입되도록 한다.The
상기 스핀보울(110)은 상하가 반전된 V자형 또는 U자형 중에 선택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핀보울(110)이 V자형으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경사부(111)에 각기 다른 각도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5를 통하여 더 명확하게 설명하자면, 복합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부(111)의 일 경사면은 상기 분리통(100)의 하부면이자 회전면과 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경사면은 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111)이 형성된 상기 스핀보울(110)에 유입된 용액은 상기 분리통(100)의 원심력으로 인하여 상기 분리통(100)의 외측으로 이송되며, 용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서 상기 분리통(100)의 외측 기벽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와프 및 용액은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기에 분리되고 스와프가 기벽에 부착됨으로써 여과가 될 수 있다.Th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스와프가 제거가 된 용액은 상기 분리통(100)을 따라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탑도어(11)에 형성되되 탑도어(11)의 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20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되는 배출구(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400)를 통해 기벽을 따라 상승한 용액이 투입되고, 타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용액은 상기 분리통(100)의 원주방향에 따라 권회되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400)는 용액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출구(400)의 일측에 거터(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거터는 한 쪽이 상기 배출구(4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쪽은 상기 용액이 권회하는 방향과 대향하게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으로 배출이 되어 원심력을 통해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여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어도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The solution with the swab remo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gradually rises along the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분리통(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40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용액을 수용하는 외통(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통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 면과 연결된 상태의 홈통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외통(500)은 상기 배출구(400)의 타측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보다 많은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통(100)의 외측을 둘러쌓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상기 배출구(400)의 타측은 상기 외통(500) 부분을 향해서 개방될 수도 있으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통(100) 및 외통(500)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400)가 사이 공간으로 개방이 된다면 회전하고 있는 상기 분리통(100)을 통해 아직 여과되지 못한 잔재 스와프들을 한번 더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에서 이어간다.The other sid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6은 용액이 도시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터(410)를 통한 안내를 받아 상기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된 용액은 상기 본체(10)의 하측이나 상기 외통(500)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하측으로 배출된 용액이 원심분리장치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겹판(40)이 덧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에 머물러있는 용액의 배수에 관해서는 도 7에서 설명한다.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body in which the solution is shown. Referring to FIG. 6, the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7은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외통(500)과 연결되어 외통(500) 내의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구(21) 및 상기 본체(10)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내 잔여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구(2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배수구(21)는 상기 외통으로 유입된 용액들을 외부로 배출하며, 제2배수구(22)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유입된 용액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배수구(21) 및 제2배수구(22)는 외부 탱크와 연결되어 자연배수 또는 동력을 통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7,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 분리통(100)은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여 잔재된 용액을 상기 분리통(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통(50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개방된 상면(120)은 상기 외통(500)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면 이와 대응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외통(500)이 상기 분리통(100)을 둘러싸 연속적인 형태로 형성된다면, 이와 대응하도록 상기 분리통(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8은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동력전달방식 및 거터(410)의 형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동력전달방식은 풀리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거터(410)의 형상은 용액의 권회방향과 대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미세분말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며, 저속 및 고속 원심분리기의 사이 정도인 6,000rpm ~ 20,00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a fine powder centrifuge. Referring to FIG. 8, the shape of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he
10 : 본체
11 : 탑도어 12 : 손잡이
21 : 제1배수구 22 : 제2배수구
30 : 하부하우징 40 : 겹판
100 : 분리통
110 : 스핀보울 111 : 경사부
200 : 투입구 300 : 동력기
400 : 배출구 410 : 거터
500 : 외통 600 : 밸런서10: Body
11: Top door 12: Handle
21: first drain hole 22: second drain hole
30: lower housing 40:
100: Separator
110: spin bowl 111:
200: input port 300: power generator
400: Outlet 410: Gutter
500: outer tube 600: balancer
Claims (9)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원심력을 통해 스와프 및 용액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통(100);
상기 탑도어(11)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을 통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이 유입되어 타측을 통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을 분리통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구(200);
상기 분리통(10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분리통(100)과 연결되는 동력기(300);
상기 탑도어(11)에 형성되되 탑도어(11)의 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되는 배출구(400); 및
상기 본체(10)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분리통(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통(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통(100)은, 내부 하면의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적어짐으로써 경사부(111)가 형성되는 스핀보울(110)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111)는 서로 다른 각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유입된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이 상기 스핀보울(110)의 경사부(111)의 복수의 경사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 상에 공급되되,
상기 투입구(200)는 상기 경사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200)의 타측 단부가 상기 경사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스와프가 잔재된 용액이 보다 근접한 상태에서 투입되고, 외측으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400)는 일측을 통해 용액이 상승하여 투입되고, 타측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400)의 타측은 상기 분리통(100) 및 외통(500) 사이로 개방되되, 상기 분리통(100)의 외면으로 용액이 배출되고,
상기 분리통(100)으로 배출된 용액의 일부는 상기 분리통(100) 및 외통(500) 사이의 공간을 지나 본체(10)의 하측으로 배출되고, 용액의 다른 일부는 상기 외통(500)으로 향하되,
상기 본체(10) 하측의 중심에는 겹판(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
A main body 10 including a top door 11 formed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separation cylinder 1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decreasing gradually toward the upper side, the separation cylinder 100 separating the swab and the solution through a centrifugal force;
A hollow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top door 11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A solution containing the swarf is introduced through the one side, and a solution containing the swarf through the other side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or 200);
A power distributor (300) connected to the separating cylinder (10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eparating cylinder (100);
A discharge port 400 formed in the top door 11 and spaced apart from the charging por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top door 11 and having a hollow portion open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n outer cylinder 5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disposed outside the separation cylinder 100;
, ≪ / RTI >
The separating cylinder 100 includes a spin bowl 110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111 formed by decreasing the radius toward the upper side,
The inclined portion 111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formed at different angles,
The solution in which the swarf which has bee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0 is supplied onto one of the plurality of slopes of the slope 111 of the spin bowl 110,
The inle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port 200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olution in which the remnant of the swarf is remained is injected in a state of being closer to the charging port,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outlet 400 through one side and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400 is opened between the separation cylinder 100 and the outer cylinder 500 and the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cylinder 100,
A part of the solution discharged to the separating cylinder 100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ing cylinder 100 and the outer cylinder 500 and the other part of the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outer cylinder 500 Heading,
(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상기 외통(500)과 연결되어 외통(500) 내의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구(21);
상기 본체(10)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내 잔여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구(22);
를 더 포함하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powder centrifuge
A first drain port (21) connected to the outer cylinder (500) and discharging the solution in the outer cylinder (500) to the outside;
A second drain port (22)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main body (10) and discharging residual solution in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fin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상기 분리통(100)의 회전력으로 인한 본체(10)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상기 분리통(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밸런서(600);
를 더 포함하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powder centrifuge
A balancer 6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or 100 to damp vibrations of the body 10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parator 100;
Further comprising a fine powder centrifugal separator
전동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통(100) 및 동력기(300)가 서로 풀리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원심분리장치The power unit (3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or (100) and the power unit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pulleys to transmit power.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478A KR101941647B1 (en) | 2016-09-08 | 2016-09-08 | Centrifugal micropowder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478A KR101941647B1 (en) | 2016-09-08 | 2016-09-08 | Centrifugal micropowder sepa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8156A KR20180028156A (en) | 2018-03-16 |
KR101941647B1 true KR101941647B1 (en) | 2019-01-24 |
Family
ID=6191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478A Active KR101941647B1 (en) | 2016-09-08 | 2016-09-08 | Centrifugal micropowder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16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5276B1 (en) * | 2020-02-21 | 2022-06-30 | 주식회사 지에스나노셀 | Cellulose nano-mixing drvice using ultrasonic wav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5637A (en) * | 1998-06-24 | 2000-01-11 | Usuda Seisakusho:Kk | High speed separator |
JP2009039685A (en) * | 2007-08-10 | 2009-02-26 | Matsumoto Kikai Seisakusho:Kk | centrifug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459233B (en) * | 1987-10-13 | 1989-06-19 | Alfa Laval Separation Ab | CENTRIFUGAL SEPARATOR INCLUDING AN INTERMEDIATE BODY |
KR100289134B1 (en) | 1998-06-10 | 2001-06-01 | 이형복 | Rapid Centrifuge |
EP2628545B1 (en) * | 2012-02-15 | 2014-12-31 | Alfa Laval Corporate AB | A cleaning in place system and a method of cleaning a centrifugal separator |
-
2016
- 2016-09-08 KR KR1020160115478A patent/KR1019416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5637A (en) * | 1998-06-24 | 2000-01-11 | Usuda Seisakusho:Kk | High speed separator |
JP2009039685A (en) * | 2007-08-10 | 2009-02-26 | Matsumoto Kikai Seisakusho:Kk | centrifu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8156A (en) | 2018-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7805B1 (en) | Iron content removing device having cleaning function | |
CN103495510A (en) | Flat plate type full-automatic sedimentation scraper centrifugal machine | |
CN105880042A (en) | Spiral scraping type vertical centrifugal machine | |
KR101941647B1 (en) | Centrifugal micropowder separator | |
CN105921290B (en) | A kind of pre-separation type vertical centrifugal machine | |
CN105880043A (en) | Centrifugal machine conducting discharging thoroughly | |
KR101275881B1 (en) | A sanitary drain disposed device for sanitary drain for trailer | |
CN207189297U (en) | Iron filings spin-drying device and iron filings processing system | |
US4332621A (en) | Continuously operable centrifugal for mixing and curing sugar massecuites | |
CN106669985A (en) | Conical basket centrifuge | |
KR200445222Y1 (en) | Oil separator | |
CN208230138U (en) | centrifugal separator | |
JP3172467U (en) | Centrifuge capable of three-phase separation | |
KR200411144Y1 (en) | Sludge Removal Centrifuge | |
KR101570706B1 (en) | Vehicle having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 |
JP3172467U7 (en) | ||
CN105944845B (en) | A kind of spiral separation type vertical centrifugal machine | |
US327514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mptying and filling centrifuges | |
CN209772423U (en) | Full-automatic spraying type centrifugal separation equipment | |
US145693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s | |
CN208066557U (en) | Automatic centrifugal machine | |
CN207615615U (en) | A kind of cold headers material-receiving device | |
US12169097B1 (en) | Centrifugal s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e | |
CN208131279U (en) | A kind of bridge drilling stake Mud Sepa Machine | |
CN107890950B (en) | A kind of automatic control system of mine magnetic sepa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4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