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581B1 -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9581B1 KR101939581B1 KR1020160174991A KR20160174991A KR101939581B1 KR 101939581 B1 KR101939581 B1 KR 101939581B1 KR 1020160174991 A KR1020160174991 A KR 1020160174991A KR 20160174991 A KR20160174991 A KR 20160174991A KR 101939581 B1 KR101939581 B1 KR 101939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ccupant
- walking
- rehabilitation robot
- operation mod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보행 재활 로봇에서 보행 궤도 레일 등을 제거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링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보행 재활 로봇에서 구동 모터, 동력 전달부, 그리고 링크 유닛이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보행 재활 로봇에 반장슬 억제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반장슬 억제부에 의해 반장슬이 억제된 상태를 하나의 보행 사이클을 통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하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하퇴 고정부의 하퇴 파지부가 위치 조절되는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발 디딤부에 장착된 압력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발의 토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자동 정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110: 프레임부 111: 수평 받침부
112: 수직 받침부 120: 보행 궤도 레일
130: 링크 유닛 131: 제1 링크 부재
132: 제2 링크 부재 132a: 벤딩부
133: 제3 링크 부재 134: 제4 링크 부재
140: 구동 모터 150: 동력 전달부
151: 구동축 152: 제1 풀리-벨트
153: 제2 풀리-벨트 160: 반장슬 억제부
161: 높이 조절 부재 162: 반장슬 억제봉
163: 수평 실린더 164: 충격 흡수 부재
165: 높이 조절홈 166: 마그네틱
170: 하퇴 고정부 171: 상하 위치 조절부
171a: 수직 실린더 171b: 위치 조절 피스톤
172: 하퇴 파지부 173: 전후 위치 조절부
173a: 전후 안내 레일 173b: 전후 이동 부재
174: 좌우 위치 조절부 174a: 좌우 안내 레일
174b: 좌우 이동 부재 181: 입력부
182: 제어부 183: 압력 검출부
184: 거울 184a: 디스플레이부
H1: 제1 힌지 H2: 제2 힌지
H3: 제3 힌지 H4: 제4 힌지
H5: 제5 힌지 VL: 가상의 수직선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미리 정해진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발 디딤부,
운전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 발 디딤부에 구비된 압력 검출부를 통해 측정된 탑승자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의 위치를 기초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탑승자의 보행 의도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발 디딤부를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가변 보조 모드이면, 탑승자 양 발의 COP의 위치 및 양 발의 COP에서 구해지는 수직력을 기초로 탑승자의 좌측 발목 토크 및 우측 발목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좌측 발목 토크 및 상기 우측 발목 토크의 합에 비례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상기 구동 모터에 인가하고,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동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동작을 정지시키며,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되는 보행 재활 로봇. - 제 6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일정 보조 모드이면, 상기 구동 모터에 미리 정해진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일정하게 인가하는 보행 재활 로봇.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991A KR101939581B1 (ko) | 2016-12-20 | 2016-12-20 |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991A KR101939581B1 (ko) | 2016-12-20 | 2016-12-20 |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878A KR20180071878A (ko) | 2018-06-28 |
KR101939581B1 true KR101939581B1 (ko) | 2019-01-23 |
Family
ID=6278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991A Active KR101939581B1 (ko) | 2016-12-20 | 2016-12-20 |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958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5241A (ko) | 2019-02-28 | 2020-09-07 | 한국기계연구원 | 보행의도 기반 이동형 플랫폼 및 이의 제어방법 |
WO2021060759A1 (ko) * | 2019-09-27 | 2021-04-0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보행 재활 로봇의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3113856A1 (en) * | 2018-11-10 | 2020-05-14 | Stoko Design Inc. | Garment for stabilizing a human anatomical joint |
CN113749912B (zh) * | 2021-08-30 | 2023-12-29 |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 一种膝关节和髋关节助力行走且防摔的下肢恢复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752B1 (ko) * | 2006-09-14 | 2008-02-11 | 이광덕 | 재활 운동장치 |
JP2014147636A (ja) | 2013-02-04 | 2014-08-21 | Toyota Motor Corp | 評価装置、その評価方法、及び歩行補助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1555A (ko) * | 2010-12-23 | 2012-07-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재활 로봇 제어 장치 |
KR101661465B1 (ko) | 2015-05-14 | 2016-10-10 | 대한민국 | 상하지 보행운동기기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991A patent/KR10193958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752B1 (ko) * | 2006-09-14 | 2008-02-11 | 이광덕 | 재활 운동장치 |
JP2014147636A (ja) | 2013-02-04 | 2014-08-21 | Toyota Motor Corp | 評価装置、その評価方法、及び歩行補助装置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5241A (ko) | 2019-02-28 | 2020-09-07 | 한국기계연구원 | 보행의도 기반 이동형 플랫폼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272988B1 (ko) * | 2019-02-28 | 2021-07-05 | 한국기계연구원 | 보행의도 기반 이동형 플랫폼 및 이의 제어방법 |
WO2021060759A1 (ko) * | 2019-09-27 | 2021-04-0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보행 재활 로봇의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KR20210037769A (ko) * | 2019-09-27 | 2021-04-07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보행 재활 로봇의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KR102241922B1 (ko) * | 2019-09-27 | 2021-04-2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보행 재활 로봇의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878A (ko) | 2018-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4268B1 (ko) | 보행 재활 로봇 | |
KR101939581B1 (ko) |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327178B1 (ko) |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 | |
KR101602728B1 (ko) | 고정훈련과 이동훈련이 가능한 분리형 하지 재활로봇 | |
KR101869968B1 (ko) | 하지 외골격을 구비한 보행 보조 로봇 | |
KR101384988B1 (ko) | 능동적 로보틱 보행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
CN104997597B (zh) | 一种脚踏式下肢外骨骼运动康复轮椅 | |
KR100795195B1 (ko) |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 |
US8083695B2 (en) | Walk assistance device | |
CN111110519B (zh) | 一种多传感智能化可穿戴下肢外骨骼机器人 | |
JP2018521719A (ja) | 着座型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ロボット | |
CN112370305B (zh) | 一种下肢康复训练外骨骼机器人 | |
ITBO20110506A1 (it) | Macchina ginnica e metodo per eseguire un esercizio ginnico. | |
CA2608259A1 (en) | Hip assist walker | |
KR20180010838A (ko) |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 |
JP3584663B2 (ja) | 歩行訓練装置 | |
JP2002126019A (ja) | 脚部訓練装置 | |
CN108095985B (zh) | 多模式步行训练之电动步行辅具及该辅具之控制方法 | |
KR101673166B1 (ko) |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 보조 장치 | |
WO2018133050A1 (zh) | 多模式步行训练之电动步行辅具及该辅具之控制方法 | |
JP2001037908A (ja) | 歩行訓練装置 | |
KR100459629B1 (ko) | 장애인용 재활 물리치료기 | |
JP2011172604A (ja) | 関節可動域訓練装置 | |
KR102565193B1 (ko) | 모빌리티 보행 훈련 장치 | |
KR102203170B1 (ko) | 재활보행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1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1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