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310B1 - 건물 시공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건물 시공용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9310B1 KR101939310B1 KR1020180061458A KR20180061458A KR101939310B1 KR 101939310 B1 KR101939310 B1 KR 101939310B1 KR 1020180061458 A KR1020180061458 A KR 1020180061458A KR 20180061458 A KR20180061458 A KR 20180061458A KR 101939310 B1 KR101939310 B1 KR 101939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s
- rod
- building
- vertical
- vertical cylin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4—Mobile wall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크레인이 건물의 빔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측면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2a는 크레인이 빔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상부 횡형실린더들의 로드를 후퇴시킨 후 제2 종형실린더의 로드를 전방으로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수직 실린더들의 로드를 상부로 전진시켜 상부 상승부재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2d는 제2 종형실린더의 로드를 후방으로 전진시킨 후 상부 횡형실린더들의 로드를 전진시켜 상부 상승부재를 빔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e는 하부 횡형실린더들의 로드를 후퇴시킨 후 제1 종형실린더의 로드를 전방으로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2f는 수직 실린더들의 로드를 후퇴시켜 하부 상승부재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2g는 제1 종형실린더의 로드를 후방으로 전진시킨 후 하부 횡형실린더들의 로드를 전진시켜 하부 상승부재를 빔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11 : 수평판
12 : 수직 실린더
13 : 제1 종형실린더
2 : 하부 상승부재
21 : 하부 횡형실린더
22 : 삽입 브래킷
3 : 상부 수직판
31 : 제2 종형실린더
4 : 상부 상승부재
41 : 상부 횡형실린더
42 : 삽입 브래킷
5 : 인상수단
51 : 수직골조
52 : 회전판
53 : 선회장치
54 : 인상장치
Claims (2)
- 하부에 배치되고 전면의 중앙에는 수평판이 구비되고, 전면의 양측에는 로드가 상부에 위치되는 수직 실린더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로드를 가진 제1 종형실린더가 구비된 하부 수직판과;
상기 제1 종형실린더의 후방에 고정되고, 내부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의 로드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네 개의 하부 횡형실린더가 내장되며, 각각의 하부 횡형실런더의 로드의 외측 단부에는 상,하부와 외측이 개방되어 건물의 빔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브래킷이 구비되는 하부 상승부재와;
양측의 수직 실린더의 로드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로드를 가지는 제2 종형실린더가 구비된 상부 수직판과;
상기 제2 종형실린더의 후방에 고정되고, 내부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의 로드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네 개의 상부 횡형실린더가 내장되며, 각각의 상부 횡형실런더의 로드의 외측 단부에는 상,하부와 외측이 개방되어 건물에 빔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브래킷이 구비되는 상부 상승부재와;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하강시키는 인상수단;
상기 실린더들, 인상수단과 연결되어 실린더들과 인상수단을 지상에서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시공용 크레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수단은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 구비된 수직골조와,
상기 수직골조의 상부에 조작 제어부와 연결된 선회장치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되고 전방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구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하강시키는 인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상 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구비된 메인지브 및 보조지브와,
상기 메인지브의 상단에서 하부로 인출되고 후크에 연결된 인상 와이어와,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인상 와이어가 권취되고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인상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시공용 크레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1458A KR101939310B1 (ko) | 2018-05-30 | 2018-05-30 | 건물 시공용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1458A KR101939310B1 (ko) | 2018-05-30 | 2018-05-30 | 건물 시공용 크레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9310B1 true KR101939310B1 (ko) | 2019-01-16 |
Family
ID=6528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1458A Active KR101939310B1 (ko) | 2018-05-30 | 2018-05-30 | 건물 시공용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931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184U (ko) * | 1989-06-12 | 1991-01-23 | ||
KR20040104221A (ko) | 2003-06-03 | 2004-12-10 | 주식회사 건일 | 인양물의 중량을 통한 지브 크레인의 균형 유지장치 |
JP5599056B2 (ja) * | 2010-09-28 | 2014-10-01 | 株式会社コシハラ | クライミング工法およびクライミング装置 |
-
2018
- 2018-05-30 KR KR1020180061458A patent/KR10193931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184U (ko) * | 1989-06-12 | 1991-01-23 | ||
KR20040104221A (ko) | 2003-06-03 | 2004-12-10 | 주식회사 건일 | 인양물의 중량을 통한 지브 크레인의 균형 유지장치 |
JP5599056B2 (ja) * | 2010-09-28 | 2014-10-01 | 株式会社コシハラ | クライミング工法およびクライミング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007849U (zh) | 带挂檐现浇混凝土防撞护栏的可移动施工装置 | |
EP3556717B1 (en) | Construction machine | |
US10202262B2 (en) | Method of operating a crane, and crane | |
CN105839607B (zh) | 一种适用于升降平台的插销升降机构 | |
JP5039374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 |
KR101939310B1 (ko) | 건물 시공용 크레인 | |
JP5914203B2 (ja) |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 |
KR101116254B1 (ko) |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 |
CN213116337U (zh) | 一种折叠式加宽段专用隧道衬砌台车 | |
CN114922132A (zh) | 一种基于组合斜桩的高桩码头上部结构部品化施工方法 | |
CN105401581B (zh) | 一种钢筋笼挂放装置和钢筋笼拼接方法 | |
JP2000192551A (ja) | 大張間架構の構築工法 | |
CN111720145A (zh) | 一种折叠式加宽段专用隧道衬砌台车 | |
DE102010048192B4 (de) | Faltbare Treppenbauvorrichtung | |
JP3656888B2 (ja) | 塔状建築物の構築方法 | |
CN217680595U (zh) | 一种桁架式3d打印机 | |
JP2890341B2 (ja) | 構造物構築用最上階フレームのリフトアップ方法及び装置 | |
JP7085346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クライミング工法 | |
KR102770445B1 (ko) | 원격 조종형 타워크레인 | |
JP3785742B2 (ja) | 鉄塔支持型煙突の筒身架設工法 | |
JPH10245994A (ja) | 仮設養生体 | |
JPH09137506A (ja) | 建物の建設方法 | |
JP3192543B2 (ja) | 建物の解体工法 | |
CN214786170U (zh) | 一种用于预制柱的辅助装置 | |
CN212050186U (zh) | 一种插板式混凝土吸声板吊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