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1334B1 -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334B1
KR101931334B1 KR1020110142672A KR20110142672A KR101931334B1 KR 101931334 B1 KR101931334 B1 KR 101931334B1 KR 1020110142672 A KR1020110142672 A KR 1020110142672A KR 20110142672 A KR20110142672 A KR 20110142672A KR 101931334 B1 KR101931334 B1 KR 10193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panel storage
concav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4560A (en
Inventor
장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34B1/en
Publication of KR2013007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굽힘 응력, 비틀림 응력 등의 외력에 대한 강성이 보강된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복수의 오목부들과 복수의 볼록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rigidity against an external force such as bending stress and torsional stress is reinforced, And a sidewal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sidewall has a plurality of recess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erein the protrusions and the recesses are alternately arranged.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0001]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0002]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굽힘 응력, 비틀림 응력 등의 외력에 대한 강성이 보강된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rigidity against an external force such as a bending stress and a torsional stress is reinforced.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넷북 (netbook), 노트북(notebook)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이동하면서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는 가볍고 손으로 잡는 그립감(grip feel)이 좋아야 하므로 박형화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모바일 기기는 손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사용하기 때문에 실수로 떨어뜨렸을 때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강할 필요성이 있었다.Recently, the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ablets, netbooks, notebooks and the like has been widesprea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Such mobile devices are generally hand held and used. Therefore, the mobile device needs to be thin and light because it has good grip feeling to be held by hand.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device is used on the move using the hand, there is a need to be strong against the impact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device when the device is accidentally dropped.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박형화의 필요성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박형화하는 것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표시패널의 기판 두께를 얇게 하면 박형화의 목적은 달성되지만, 외부의 충격에 의한 굽힘 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는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의 표시패널을 수용하는 수납모듈의 강성보강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Techniques for thinning a mobile device by thinning the thickness of a display panel constituting a mobile device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inning of the mobile device.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is made thinner, the object of thinning can be attained, but the bending stress and torsional stress due to external impact are weak.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einforcement of the rigidity of the storage module accommodating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device is increasing.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패널 수납모듈(10)은 표시패널(도시생략)을 지지하기 위한 장방형의 바닥면(12)과, 장방형의 바닥면(12)의 단부들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4개의 측벽들(14)을 포함한다. 측벽들(14)은 바닥면(12)으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바닥면(12)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표시패널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general mobile device. 1,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10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12 for supporting a display panel (not shown), and four vertical extending portions 12 extending from the ends of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12 And sidewalls 14. The sidewalls 14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12 so as to be bent from the bottom surface 12 so that the display panel housed therein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10)은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는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 경향에 역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를 위해서는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의한 굽힘 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강한 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10 for a mobile device as shown in FIG. 1 generally h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to increase its strength.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slimness of the mobile devi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However, for the mobile device having a bending stress due to external impact and a strong torsional stress, There is a need for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외부의 충격에 의한 굽힘 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강한 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panel storage device for a mobile device, which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resistant to bending stress and torsional stress due to external impact, Module.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복수의 오목부들과 복수의 볼록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wal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sidewall has a plurality of recess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erein the protrusions and the recesses ar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상기 구성에서 바닥면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장방형 바닥면의 4 변으로부터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4 측벽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벽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ide walls have first to fourth sidewall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side walls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벽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측벽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은 각 측벽의 오목부와 오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idewalls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recesse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sidewalls facing each other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recesses and the recesses of the sidewalls face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벽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측벽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은 각 측벽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idewalls may have the plurality of recesse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sidewalls facing each other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recesses and the protrusions of the sidewalls face each other .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수직 절곡부와, 상기 제 1 수직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수직 절곡부와 함께 U자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해밍부를 포함한다.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bent portion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hamm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and bent to have a U-shape together with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또한,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연결하며,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 a gap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so as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to connect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cave portion.

또한, 상기 해밍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수직 절곡부의 높이의 0.70~0.85의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경사각은 30°~6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of the hamming portion is set in a range of 0.70 to 0.85 of the height of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set in a range of 30 to 60 degre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강성 보강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굽힘 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강한 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수납모듈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s with a rigid reinforc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characteristic of being resistant to bending stress and torsional stress due to external impact have.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일부분 R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과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대한 강성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R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5,
7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a rigidity test on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nd a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일부분 R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Fig.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100)(이하, 표시패널 수납모듈이라 함)은 표시패널(도시생략)을 지지하기 위한 장방형의 바닥면(110)과, 장방형의 바닥면(110)의 4 변의 단부들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내지 제 4 측벽들(SW1, SW2, SW3, SW4)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측벽들(SW1, SW2, SW3, SW4)은 바닥면(110)으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바닥면(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표시패널(도시생략)과 결합되어 표시패널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해 준다.  2 to 6,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100 for a mobil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floor for supporting a display panel (not shown) And first to fourth sidewalls SW1, SW2, SW3, and SW4 extending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nds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110. [ The first to fourth side walls SW1, SW2, SW3 and SW4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110 in a state of being ben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10, Omitted)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제 1 내지 제 3 측벽(SW1, SW2, SW3)의 각각은 바닥면(110)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측벽(SW1, SW2, SW3)의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오목-볼록 구조로 형성된다. 제 4 측벽(SW4)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4 측벽(SW4)을 오복부와 볼록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오목-볼록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side walls SW1, SW2, SW3 is bent and extend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10. [ Each of the first to third sidewalls SW1, SW2, and SW3 is form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which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fourth side wall SW4 is shown as not having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the fourth side wall SW4 into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which the opaqu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제 2 측벽(SW2)의 오목부와 제 3 측벽(SW3)의 오목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 측벽(SW2)의 볼록부와 제 3 측벽(SW3)의 볼록부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측벽(SW2)의 오목부와 제 3 측벽(SW3)의 오목부 사이의 바닥면(110)제 1 폭(w1)의 크기는 제 2 측벽(SW2)의 볼록부와 제 3 측벽(SW3)의 볼록부 사이의 바닥면(110)의 제 2 폭(w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3,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Is formed at the opposite position. The first width w1 of the bottom surface 110 between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is larger than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Is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bottom surface (110)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de (SW3).

오목부는 바닥면(110)으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수직 절곡부(120a)와, 제 1 수직 절곡부(120a)로부터 연장되며 제 1 수직 절곡부(120a)와 함께 U자형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해밍부(hamming portion)(120b)를 포함한다. 제 1 수직 절곡부(120a)와 해밍부(120b)는 강성 보강부(120)를 구성한다.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a ben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10 and a second vertical bent portion 120b extending from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a and bent And a hamming portion 120b.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a and the hamming portion 120b constitute a rigid reinforcing portion 120. [

볼록부는 바닥면(110)으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수직 절곡부(130)를 포함한다.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에는 바닥면(110)으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경사 연결부(140)가 형성된다. 이 경사 연결부(140)는 제 1 수직 절곡부(120a)와 제 2 수직 절곡부(130)를 연결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절곡부(120a)의 연장선과 소정의 각도(θ)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수직 절곡부(120a)의 연장선과 경사 연결부(140) 사이의 각도는 대략 3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다. The convex portion includes a second vertical bent portion 130 ben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10. Between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n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40 ben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10 is formed.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40 connects the first vertical bending portion 120a and the second vertical bending portion 130 and connects the first vertical bending portion 120a and the first vertical bending portion 120a at a predetermined angle theta]. The angle between the extended line of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a and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40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approximately 30 to 60 degrees.

제 2 수직 절곡부의 제 1 길이(d1)는 강성 보강부(120)의 길이와 경사 연결부의 길이를 합한 제 2 길이(d2)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 1 길이(d1)는 제 2 길이(d2)의 대략 0.7~0.8의 범위로 설정된다.The first length d1 of the second vertical bent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length d2 which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rigid reinforcing portion 120 and the length of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length d1 is less than the second length d2 ) To about 0.7 to 0.8.

또한, 제 1 수직 절곡부(120a)의 높이(h1)는 해밍부(120b)의 높이(h2)보다 크게 형성되며, 해밍부(120b)의 높이(h2)는 제 1 수직 절곡부(120a)의 높이(h1)의 0.70~0.85의 범위로 설정된다. The height h1 of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a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hamming portion 120b and the height h2 of the hamming portion 120b is greater than the height h1 of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a, Is set to a range of 0.70 to 0.85 of the height (h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과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대한 강성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측벽이 움직이는 정도인 변위를 나타낸 것으로 mm 단위로 표시하고, 세로축은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으로서 힘의 단위인 N(Newton)으로 표시하였다.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tiffness test for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nd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of Fig. 7, the abscissa indicates the displacement in which the side wall of the display panel housing module is mov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housing module, and the ordinate axis indicat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housing module (Newt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경우, 약 1.0N의 외력을 받았을 때 약 0.25mm의 변위가 발생하였고,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경우, 1.0N의 외력을 받았을 때 약 0.50mm의 변위가 발생하였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경우, 약 2.0N의 외력을 받았을 때 약 0.55mm의 변위가 발생하였고,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경우, 2.0N의 외력을 받았을 때 약 1.05mm의 변위가 발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경우, 약 3.0N의 외력을 받았을 때 약 0.80mm의 변위가 발생하였고,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경우, 3.0N의 외력을 받았을 때 약 1.58mm의 변위가 발생하였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case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cement of about 0.25 mm occurs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of about 1.0 N, 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 displacement of about 0.50 mm occurred. In the case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cement of about 0.55 mm occurred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of about 2.0 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 displacement of 1.05 mm occurred. Further, in the case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cement of about 0.80 mm occurred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of about 3.0 N, 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Displacement of 1.58 mm occurred.

본 발명의 표시패널 수납모듈과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대한 강성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도 7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변위 정도는 동일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변위 정도 보다 훨씬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즉, 약 1.0N~3.0N의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변위 정도는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의 변위 정도의 약 1/2 정도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수납모듈은 종래의 표시패널 수납모듈에 비해 훨씬 향상된 강성구조를 가지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FIG. 7 showing the results of the rigidity test for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displacement becomes much smaller than the dis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of about 1.0 N to 3.0 N is applied,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bout 1/2 of the dis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 Therefore,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much improved rigidity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강성 보강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굽힘 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강한 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수납모듈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on at least one side wall thereof, the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a mobile dev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strong against the bending stress and the torsional stress due to external impact, Can be obtained.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측벽(SW1, SW2, SW3)의 각각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오목부(강성 보강부(120)가 형성된 부분)와 볼록부(제 2 수직 절곡부(130)가 형성된 부분)가 번갈아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오목부와 볼록부는 4개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 즉, 하나의 측벽, 2개의 측벽, 3개의 측벽, 또는 4개의 측벽 모두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외형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일 경우, 그 형상에 따라 상술한 구조를 갖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ide walls SW1, SW2, SW3 has a concave portion (the portion where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120 is formed) and the convex portion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bent portion 130 is formed) are alternately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 walls, that is, one side wall, two side walls, three side walls, or four side walls. In addition, when the outer shape of the mobile device is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측벽(SW2)의 오목부와 제 3 측벽(SW3)의 오목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측벽(SW2)의 볼록부와 제 3 측벽(SW3)의 볼록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2 측벽(SW2)의 오목부와 제 3 측벽(SW3)의 볼록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측벽(SW2)의 볼록부와 제 3 측벽(SW3)의 오목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SW2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third sidewall SW3 correspon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표시패널 수납모듈 110 : 바닥면
120: 강성 보강부 120a : 제 1 수직 절곡부
120b : 해밍부 130 : 제 2 수직 절곡부
140 : 경사 연결부 SW1, SW2, SW3, SW4 : 측벽
100: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110: bottom surface
120: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120a: first vertical bent portion
120b: Hamming portion 130: Second vertical bending portion
140: slant connection SW1, SW2, SW3, SW4: side wall

Claims (7)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오목부들과 복수의 볼록부들을 구비하는 측벽; 및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연결하며,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 연결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Bottom surface;
A sidewal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sses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rranged alternately; And
And a slant connec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so as to be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o connect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cave portion. Panel storage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장방형 바닥면의 4 변으로부터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4 측벽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벽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idewalls having first to fourth sidewall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botto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sidewalls has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벽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측벽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은 각 측벽의 오목부와 오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irst through fourth side walls have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opposed sidewalls are disposed such that the concave portions and the concave portions of the respective side walls face each other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mobile devic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벽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측벽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은 각 측벽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through fourth sidewalls include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are disposed such that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of each side wall face each other.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mobile devic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수직 절곡부와, 상기 제 1 수직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수직 절곡부와 함께 U자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해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bent portion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hamm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and bent to have a U shape together with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Display panel storage module for mobile devices.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밍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수직 절곡부의 높이의 0.70~0.85의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경사각은 30°~6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ight of the hamming portion is set in a range of 0.70 to 0.85 of the height of the first vertical bent por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set in a range of 30 to 60 degrees.
KR1020110142672A 2011-12-26 2011-12-26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Active KR101931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72A KR101931334B1 (en) 2011-12-26 2011-12-26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72A KR101931334B1 (en) 2011-12-26 2011-12-26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60A KR20130074560A (en) 2013-07-04
KR101931334B1 true KR101931334B1 (en) 2018-12-21

Family

ID=4898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672A Active KR101931334B1 (en) 2011-12-26 2011-12-26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334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535B2 (en) * 2003-03-20 2007-10-24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49843Y1 (en) * 2007-08-08 2010-08-13 이니디 엔터프라이즈 코., 엘티디. Liquid crystal panel packaging case with enhanced buffer function
KR100918060B1 (en) * 2008-01-09 2009-09-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95057B1 (en) * 2008-09-12 2010-11-18 주식회사 토비스 Display module and terminal having same
KR101182266B1 (en) * 2009-11-1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ntainer member,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60A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7451A1 (en) Flexible display panel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CN101267465B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US8058553B2 (en) Electronic device
US74237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7961457B2 (en) Display housing with interlocking members
WO2017113393A1 (en) Bendable mobile terminal
US2020020992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3888983B (en) Cover plate and flexible display module
US8385053B2 (en) Electronic device
US1074343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89831B1 (en) Display device
US10718894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4842747B (en) Flexible cover plate, flexible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TW201232099A (en) Display having a frame, touch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rame
JP5522732B2 (en) Support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N114401328A (en) Inner folding flexible screen support devic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220112104A (en)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931334B1 (en) Module of receiving display panel for mobile device
JP543951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8089755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surface features
US8373974B2 (en) Electronic device
CN201266287Y (en) Protection component of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and upper shell of mobile talking terminal
JP6671023B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reinforcing member of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EP4535768A1 (en) Electronic device
JP4960204B2 (en)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