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82B1 -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0482B1 KR101930482B1 KR1020180107633A KR20180107633A KR101930482B1 KR 101930482 B1 KR101930482 B1 KR 101930482B1 KR 1020180107633 A KR1020180107633 A KR 1020180107633A KR 20180107633 A KR20180107633 A KR 20180107633A KR 101930482 B1 KR101930482 B1 KR 101930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flow
- flow rate
- air
- ope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환풍 대상 공간 -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은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 내지 제N 공간을 구비함, N은 3이상의 자연수 -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1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흡기 배관;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부;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2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흡기 배관; 상기 제2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부; 상기 제2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배출 공간을 제공하는 배기 배관; 및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유량 조절부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ntilation target space, wherein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has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to an Nth space, A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ng the ventilated space, the ventilating system comprising: a housing part for providing an internal space,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ventilating space; A fa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 allowing air to flow by rotation; A first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first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in the first space so that air in the first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first flow rate regulator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space to the inner space; A first backflow preve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first space; A secon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second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in the second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second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second flow regulator disposed in the second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second space to the inner space; A second flow-back preve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second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second space;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n exhaust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exhausted from the internal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internal space is guided to the outside; And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base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first space and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base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second space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 수의 공간을 하나의 환풍기로서 환풍을 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현대 사회로 진행될수록, 대기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심화되는 대기 오염으로 인해, 각종 피부 질환 및 호흡기 질환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건물 내의 공기 청정기나 환풍기와 같이 실내 공기 정화를 위한 설비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되고 있다. As we move into modern society, air pollution is getting worse. Various skin diseases and respiratory diseases are increasing due to deepening air pollu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facilities for indoor air purification such as air cleaners and ventilators in buildings.
다만,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 및 2의 기존의 환풍기는 일 공간에 대해서만 환풍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복 수의 이격된 공간에 대해서 환풍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복 수개의 환풍기가 건물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건축 비용, 유지 비용 및 사용 비용 등이 증가되는 단점을 발생시켰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ventilators of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환풍기를 이용하여 복 수개의 공간을 환기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ventilating a plurality of spaces using one ventilato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환풍 대상 공간 -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은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 내지 제N 공간을 구비함, N은 3이상의 자연수 -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1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흡기 배관;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부;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2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흡기 배관; 상기 제2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부; 상기 제2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배출 공간을 제공하는 배기 배관; 및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유량 조절부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ntilation target space, wherein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has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to an Nth space, A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ng the ventilated space, the ventilating system comprising: a housing part for providing an internal space,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ventilating space; A fa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 allowing air to flow by rotation; A first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first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in the first space so that air in the first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first flow rate regulator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space to the inner space; A first backflow preve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first space; A secon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second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in the second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second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second flow regulator disposed in the second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second space to the inner space; A second flow-back preve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second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second space;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n exhaust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exhausted from the internal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internal space is guided to the outside; And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base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first space and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base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second spac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1 흡기 배관과 상기 제2 흡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과 상기 제2 유동 공간에 연통되는 공간인 제1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연통 배관; 및 상기 제1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에서 상기 제2 유동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연통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second intake pipe for providing a first communication space which is a spac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flow space and the second flow space; And a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and controlling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flow space to the second flow space.
또한,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1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유량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연통 조절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연통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And a first flow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and providing first flow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an amount of air flowing on the first flow space, And wherein 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are open,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소정의 값 이하인 조건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tha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flow amou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상기 제1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동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1 보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제1 연통 조절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보조 팬이 가동되도록, 상기 제1 보조 팬을 제어할 수 있다.And a first sub-fan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for allowing air on the first flow space to flow into the second flow spa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sub-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is opened and the predetermined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The auxiliary fan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1 연통 조절부가 개방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제1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어야 하는 공기의 양보다 적은 조건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econd condition may be that the amount of air flowing on the first flow spac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is opened is smaller than the
또한,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3 공간이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3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3 흡기 배관; 상기 제3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3 유량 조절부; 및 상기 제3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3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흡기 배관은, 상기 배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흡기 배관은, 상기 배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흡기 배관은, 상기 배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흡기 배관과 상기 제2 흡기 배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thir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to provide a third flow space,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third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third space is guided to the inner space; A third flow regulator disposed in the third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third space to the inner space; And a third backflow prevention portion disposed in the third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to the third space, wherein the first intake pipe includes: And the second intake pipe is disposed closest to the exhaust pip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a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an with respect to the exhaust pipe, And the third intake pip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second intake pip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with respect to the exhaust pipe.
또한, 상기 제1 흡기 배관과 상기 제3 흡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과 상기 제3 유동 공간이 연통되는 공간인 제2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연통 배관; 및 상기 제2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에서 상기 제3 유동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연통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third intake pipe to provide a second communica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first flow space and the third flow space communicate; And a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space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flow space to the third flow space.
또한,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1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유량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유량 조절부들 중 하나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And a first flow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and providing first flow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an amount of air flowing on the first flow space, And when one of the flow rate control unit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is opened and 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in the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in which the flow rate control portion is disposed can be open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연통 조절부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while the fan is rotated and a plurality of flow rate controller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are open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is ope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econd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is open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하고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하고 개방된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개방 정도가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하고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모든 연통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an is rotated, a plurality of flow rate controller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are open,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Whe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ing unit is not opened, if there is a flow rate regulator which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among the opened flow rate regulators except for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in the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in which the flow rate control section having the smallest opening degree is opened among the flow rate control sections is opened, When there is no control unit, all of the valves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arranged with the open flow control unit excluding the first flow control unit Communication control in the cylinder can be open por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으로 연통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an is rotated, a plurality of flow rate controller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are open,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Whe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first communication regulator is opened, and whe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communication regulator can be controlled by a separate opening control method have.
또한,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개방 정도가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모든 연통 공간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flow control unit that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open flow control units other than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the separate open control method may include the first flow control unit and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in the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disposed with the flow control unit having the smallest opening degree among the plurality of the opened flow control units is opened, If there is no flow control portion opened below the reference, the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in all the communication spaces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arranged with the open flow control portion other than the first flow control portion can be opened.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환풍기로 복 수개의 공간을 환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paces can be ventilated with one ventilator.
또한, 건설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construction costs can be reduced.
또한, 유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Further, the maintenance cost can be saved.
또한, 건물 내의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secure more space in the building.
또한, 환풍기 내의 역류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lso, the backflow phenomenon in the ventilato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os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연통 조절부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서 역류 현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서 역류 현상 발생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algorithm when a backflow phenomenon occurs in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when a reverse flow phenomenon occurs in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00)은, 환풍 대상 공간 -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은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 내지 제N 공간을 구비함, N은 3이상의 자연수 -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100)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S110)을 제공하는 하우징부(110), 상기 내부 공간(S110)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120), 상기 하우징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1 유동 공간(S130)을 제공하는 제1 흡기 배관(130),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부(131),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0)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132), 상기 하우징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2 유동 공간(S140)을 제공하는 제2 흡기 배관(140),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부(141),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0)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142),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0) 내의 공기가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배출 공간을 제공하는 배기 배관(170) 및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상기 제1 흡기 배관(130)과 상기 제2 흡기 배관(14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과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에 연통되는 공간인 제1 연통 공간(S10)을 제공하는 제1 연통 배관(B10) 및 상기 제1 연통 공간(S1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에서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연통 조절부(B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1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유량 센싱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2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유량 센싱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연통 공간(S1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1 보조 팬(B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환풍 대상 공간은 환기가 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The space to be ventilated can be a space for ventilation.
일례로, 상기 환풍 대상 공간은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 내지 제N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may include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to an Nth space.
여기서,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 내지 제N 공간 각각은 서로 연통되지 않는 공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space,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to the Nth space may be spaces that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 내지 제N 공간 각각은 서로 연통되는 공간이 일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pace,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to the Nth space may be spac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팬(120)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S110)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팬(120)은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 차를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팬(120)은 모터, 블레이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1 유량 조절부(131)는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배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일례로,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는 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댐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a general technician.
제1 역류 방지부(132)는 상기 내부 공간(S110)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는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Also, the first
일례로,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는 일 방향 수동 댐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a general technician.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2)는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흡기 배관(130) 상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와 가장 가까이에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또한, 상기 제1 흡기 배관(130) 상에서,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를 제외하고 상기 하우징부(110)와 가장 가까이에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또한,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에서 상기 제1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량 센싱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이하, 그 이외의 유량 조절부, 역류 방지부 및 유량 센싱부도 이와 같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other flow control units, backflow prevention units, and flow sensing units may be the sam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제1 보조 팬(B12)은 소정의 유압 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fan B12 may include any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일례로, 상기 제1 보조 팬(B12)은 모터, 블레이드 등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b-fan B12 may include any means capable of generating wind, such as a motor, a blade, or the like.
다만, 이에 한정하 않고, 상기 제1 보조 팬(B12)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b-fan B12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상기 제1 흡기 배관(130)은 상기 배기 배관(170)을 기준으로 상기 팬(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170)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2 흡기 배관(140)은 상기 배기 배관(170)을 기준으로 상기 팬(12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170)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어부(180)의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각 공간의 오염 정도는 별도의 오염 센싱부(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180)가 산출할 수 있다.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each space can be calculated by the
상기 제어부(180)는 각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각 공간에서 대응되는 유동 공간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유량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유량 정보를 기초로 유량 조절부의 개폐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공간의 공기가 오염되었다고 가정하는 경우(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환기하여야 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으로 유동되어야 하는 공기의 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As a concrete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air in the first space is polluted (in a situation where the air in the first space needs to be ventilated), the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팬(120)을 가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유동 공간(S130)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과 앞서 결정된 공기의 유량이 일치될 때까지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유량 공간 상에 공기가 계획된 대로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팬(1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잇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연통 조절부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제어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소정의 값 이하인 조건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tha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S130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amou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a)를 참조하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이 모두 공기가 오염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팬(120)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및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를 제어할 수 있다.2 (a), when the air is contaminated in both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여기서,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과 상기 내부 공간(S110)이 연통되는 부분의 압력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의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상기 내부 공간(S110)의 공기는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Since the amoun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S110 in the second flow space S140 is large, the pressur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flow space S130 and the internal space S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f the pressure in the first space S130 is higher than the pressure in the first space S130, the air in the first space S130 may flow into the first space S130.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부터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을 거쳐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2)가 존재할 수 있다.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과 상기 내부 공간(S110)이 연통되는 부분의 압력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의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소정의 값 이하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flow space S130 and the inner space S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flow space S130,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one flow space S130 may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여기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0'일 수 있다.Here,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S130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may be '0'.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의 환기가 필요한 상황인데, 제1 공간의 환기를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pace is required to be ventilated, but the first space can not be ventilated.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이로 인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과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일부, 상기 제1 연통 공간(S10) 및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유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flow space S130 and the second flow space S14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n the first space flows into the first flow space S130, S10 and the second flow space S140 to the internal space S110.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의 개폐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보조 팬(B12)이 가동되도록, 상기 제1 보조 팬(B12)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communication adjustment unit B11 is opened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is satisfied, The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가 개방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제1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유동되어야 하는 공기의 양보다, 적은 조건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econd condition is that the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S130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adjustment portion B11 is opened May be less than the amount of air to be flowed in the first flow space S130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space to ventilate the first space.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a general technician.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하여, 상기 제1 공간을 환기하려고 하여도, 상기 제1 연통 배관(B10)의 길이 및 지름 등으로 인해, 상기 제1 공간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다.The ventilation of the first space may not be effective due to the length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B10 even i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B11 is opened to ventilate the first space have.
따라서,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한 뒤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 상기 제1 공간이 효과적으로 청정되지 못하는 경우, 제1 공간 내의 사람들은 큰 불쾌감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space can not be effectively clean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first communication adjusting unit B11 is opened, people in the first space may have a great discomfort.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보조 팬(B12)을 가동시켜,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제2 보조 팬(B22)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sub-fan B22 may be determined or chang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하나의 환풍기로도 복 수개의 공간에 대해서 환기를 할 수 있으며, 환풍기 역류 현상이 일어나도 계속적으로 환기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entilate several spaces even with one ventilator, and can continuously ventilate even if ventilator backflow occur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000)은 상기 하우징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3 공간이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3 유동 공간(S150)을 제공하는 제3 흡기 배관(150),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3 유량 조절부(151) 및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0)에서 상기 제3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역류 방지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0)은,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3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유량 센싱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0)은, 상기 하우징부(110)와 연결되어, 제4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4 공간이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4 유동 공간(S160)을 제공하는 제4 흡기 배관(160),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4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4 유량 조절부(161) 및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0)에서 상기 제4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 역류 방지부(162) 및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4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유량 센싱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0)은 상기 제1 흡기 배관(130)과 상기 제3 흡기 배관(15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과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이 연통되는 공간인 제2 연통 공간(S20)을 제공하는 제2 연통 배관(B20), 상기 제2 연통 공간(S2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에서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연통 조절부(B21) 및 상기 제2 연통 공간(S2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의 공기가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2 보조 팬(B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1000)은 상기 제1 흡기 배관(130)과 상기 제4 흡기 배관(16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과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이 연통되는 공간인 제3 연통 공간(S30)을 제공하는 제3 연통 배관(B30), 상기 제3 연통 공간(S3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에서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3 연통 조절부(B31) 및 상기 제3 연통 공간(S3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의 공기가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3 보조 팬(B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detail as long as they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제3 흡기 배관(150)은 상기 배기 배관(170)을 기준으로 상기 팬(12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흡기 배관(130)과 상기 제2 흡기 배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4 흡기 배관(160)은 상기 제3 흡기 배관(150)을 기준으로 상기 팬(12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3 흡기 배관(150)과 상기 제4 흡기 배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팬(120)의 회전 방향과 대응되어서, 상기 제1 흡기 배관(130)에서 역류가 발생될 확률이 가장 높을 수 있다. The possibility that the reverse flow is generated in the
따라서, 상기 제1 흡기 배관(130)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연통 배관(B10), 상기 제2 연통 배관(B20) 및 상기 제3 연통 배관(B30)을 배치하여, 역류가 발생되어도 환기에 영향이 미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B10,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B2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pipe B30, which are connected to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서 역류 현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서 역류 현상 발생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lgorithm when a backflow phenomenon occurs in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when a backflow phenomenon occurs in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유량 조절부들 중 하나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대해서 환기가 필요할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및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를 개방할 수 있다.5 (a), wh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re required to be ventilated, the
다만, 여기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에서 역류가 발생되어,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However, here, a back flow is generated in the first flow space S130, and a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can be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b), the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제1 연통 공간(S10) 및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유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 the first space can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S1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S10 and the second flow space S140.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상기 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연통 조절부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도 4에서의 기준 유량 조절부일 수 있다.The second
다시 말해서, 상기 기준 유량 조절부는 상기 배기 배관(170)을 기준으로 상기 팬(12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170)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되는 배관에 배치되는 유량 조절부를 의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ference flow rate regulator may include a flow rate regulator disposed in the pipeline disposed closest to the
이는, 상기 제1 흡기 배관(13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흡기 배관에 배치된 유량 조절부가 기준 유량 조절부일 수 있다.The flow rate regulator may be a reference flow rate regulator arranged in the intake pipe farthest from the
상기 제2 흡기 배관(140)은 상기 제1 흡기 배관(13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서, 상기 제1 흡기 배관(130)의 압력에 대해서 가장 영향이 적을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개방되어 있다면, 우선적으로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시키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second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상태에서, 개방된 유량 조절부 중에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존재하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6 (a),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할 수 있다.Here, the
여기서, 소정 기준은 개방된 정도가 최대로 개방된 것을 기준으로 80% 개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mean that 80% is opened based on that the degree of opening is maximally opened.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 기준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determined standard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a typical technician.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는 40% 개방될 수 있다. As a concrete example, referring to FIG. 6 (b), the second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배치된 상기 제2 흡기 배관(140)에 연결된 제1 연통 배관(B10) 내에 배치된 제1 연통 조절부(B11)를 개방할 수 있다. The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는 상기 제1 연통 공간(S10)과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S110)으로 유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 the first space can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S1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S10 and the second flow space S140.
적게 개방된 유량 조절부에 대해서는, 유량을 더욱 조절할 수 있는 재량이 남아 있으므로, 소정의 기준 이하로 유량 조절부가 개방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여, 효율적으로 환기를 할 수 있다.When the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he communication regulator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to allow efficient ventilation.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7(a) 및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상태에서, 개방된 유량 조절부 중에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존재하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7 (a) and 8 (a), when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으로 연통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일례로, 도 7(a)를 참조하면, 제2 유량 조절부(141)는 90% 개방될 수 있으며, 제3 유량 조절부(151)는 50% 개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a), the second
일례로, 도 8(a)를 참조하면, 제2 유량 조절부(141)는 90% 개방될 수 있으며, 제3 유량 조절부(151)는 90% 개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a), the second
이는, 제2 유량 조절부(141)의 개방 정도가 크면,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여지가 얼마 없기 때문에,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을 통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if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second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 이외의 개방된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개방 정도가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a flow control unit that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open flow control units other than the second
일례로, 도 7(a)를 참조하면 제3 유량 조절부(151)는 50%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유량 조절부(131)와 제2 유량 조절부(141)를 제외하며 소정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 중에서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제3 유량 조절부(151))가 배치된 흡기 배관(제3 흡기 배관(150))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제2 연통 배관(B20)) 내의 연통 조절부(제2 연통 조절부(B21))를 개방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a), the third
또한,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모든 연통 공간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flow control unit that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open flow control units other than the second
일례로, 도 8(b)을 참조하면, 제3 유량 조절부(151)는 90%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와 상기 제2 연통 조절부(B21)를 개방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b), the third
다음으로, 상기 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Next, when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를 제외하고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를 제외하고 개방된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개방 정도가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Here, the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유량 조절부(151)는 10%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유량 조절부(161)는 20% 개방될 수 있다.9 (a), the third
따라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연통 조절부(B21)를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9 (b), the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를 제외하고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를 제외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모든 연통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할 수 있다.The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유량 조절부(151)는 90%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유량 조절부(161)는 85% 개방될 수 있다. 10 (a), the third
따라서,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연통 조절부(B21) 및 제3 연통 조절부(B31)를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0 (b), the
상술한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1 유동 공간(S130), 상기 제2 유동 공간(S140), 상기 제3 유동 공간(S150) 및/또는 상기 제4 유동 공간(S160)에 희망하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131), 상기 제2 유량 조절부(141), 상기 제3 유량 조절부(151), 상기 제4 유량 조절부(161), 상기 제1 연통 조절부(B11), 상기 제2 연통 조절부(B21), 상기 제3 연통 조절부(B31), 상기 제1 보조 팬(B12), 상기 제2 보조 팬(B22), 상기 제3 보조 팬(B32) 및 팬(120)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desired air flows in the first flow space S130, the second flow space S140, the third flow space S150, and / or the fourth flow space S160 The
상술한 예시에서, 제1 흡기 배관(130) 내지 제4 흡기 배관(160)을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는 흡기 배관의 숫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intake pipes connected to the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환기 시스템 110 : 하우징부
120 : 팬 130 : 제1 흡기 배관
140 : 제2 흡기 배관 150 : 제3 흡기 배관
160 : 제4 흡기 배관 170 : 배기 배관
180 : 제어부100: ventilation system 110: housing part
120: fan 130: first intake pipe
140: second intake pipe 150: third intake pipe
160: fourth intake pipe 170: exhaust pipe
180:
Claims (13)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1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흡기 배관;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부;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2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흡기 배관;
상기 제2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부;
상기 제2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배출 공간을 제공하는 배기 배관;
상기 제1 흡기 배관과 상기 제2 흡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과 상기 제2 유동 공간에 연통되는 공간인 제1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연통 배관;
상기 제1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에서 상기 제2 유동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연통 조절부; 및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유량 조절부의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Wherein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comprises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to an Nth space,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three or more, and discharges air to the outside, thereby ventilating the ventilated space In the system,
A housing part for providing an internal space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A fa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 allowing air to flow by rotation;
A first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first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in the first space so that air in the first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first flow rate regulator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space to the inner space;
A first backflow preve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first space;
A secon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second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in the second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second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second flow regulator disposed in the second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second space to the inner space;
A second flow-back preve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second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second space;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n exhaust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exhausted from the internal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internal space is guided to the outside;
A first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second intake pipe for providing a first communication space which is a spac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flow space and the second flow space;
A first communication regulator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the first communication regulat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flow space to the second flow space;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base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first space and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base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second space, ≪ / RTI >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1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유량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연통 조절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연통 조절부를 제어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flow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and providing first flow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an amount of air flowing on the first flow space,
Wherein,
When the first condition determined in advance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is satisfied in a state in which the fan is rotated and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are opened,
And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such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is opened,
Ventilation system.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소정의 값 이하인 조건인,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is a first condition,
Wherei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flow amount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1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동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1 보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제1 연통 조절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보조 팬이 가동되도록, 상기 제1 보조 팬을 제어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first sub-fan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and allowing air on the first flow space to flow into the second flow space,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is open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first sub-fan so that the first sub-
Ventilation system.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1 연통 조절부가 개방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제1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공기 오염 정도를 기초로 산출된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어야 하는 공기의 양보다 적은 조건인,
환기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determined second condition is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is continuously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is opened,
Wherei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flow amount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the first flow spac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space Which is less than the amount of air to be flowed,
Ventilation system.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3 공간이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3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제3 흡기 배관;
상기 제3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공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3 유량 조절부; 및
상기 제3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3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흡기 배관은,
상기 배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흡기 배관은,
상기 배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 배관으로부터 가장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흡기 배관은,
상기 배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흡기 배관과 상기 제2 흡기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third flow space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third space flows, so that air in the third space is guided to the internal space;
A third flow regulator disposed in the third flow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from the third space to the inner space; And
And a third backflow prevention portion disposed in the third flow spac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inner space into the third space,
Wherein the first intake pipe comprises:
Wherein the exhaust pipe is disposed nearest to the exhaust pi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with respect to the exhaust pipe,
The second intake pipe may include:
Wherein the exhaust pipe is disposed nearest to the exhaust pip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with respect to the exhaust pipe,
Wherein the third intake pipe comprises:
Wherein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second intake pipe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with respect to the exhaust pipe,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1 흡기 배관과 상기 제3 흡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과 상기 제3 유동 공간이 연통되는 공간인 제2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연통 배관; 및
상기 제2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에서 상기 제3 유동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연통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second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third intake pipe for providing a second communication space which is a space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space and the third flow space; And
And a second communication regulator dispos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space to regulate the flow of air into the third flow space in the first flow space,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1 유동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정보인 제1 유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유량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유량 조절부들 중 하나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는,
환기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first flow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flow space and providing first flow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an amount of air flowing on the first flow space,
Wherein,
When the fan is rotated and one of the flow rate control unit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open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in the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arranged with the open flow control unit other than the first flow control unit,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연통 조절부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환기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while the fan is rotated and a plurality of flow rate control unit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are opene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is ope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unit is opened.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하고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하고 개방된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개방 정도가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하고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를 제외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모든 연통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는,
환기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an is rotated, a plurality of flow rate controller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are opened, 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Whe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not opened,
When there is a flow rate regulator which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opened flow rate regulators except for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the flow rate regulator having the smallest opening degree among the plural flow rate regulators except for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Open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in the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in which the control portion is disposed,
When there is no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that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among the opened flow rate regulating sections except for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all of the communicating tubes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arranged with the open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except for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Ventilation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이 회전되고,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이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유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가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으로 연통 조절부를 제어하는,
환기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an is rotated, a plurality of flow rate controller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are opened, the predetermined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flow rate information,
Wherein whe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first communication regulator is opened,
Wherein whe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communication regulator is controlled by a separate opening control method,
Ventilation system.
별도의 개방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복수의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개방 정도가 가장 적은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통 배관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존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이외의 개방된 유량 조절부가 배치된 흡기 배관과 연결되는 모든 연통 공간 내의 연통 조절부를 개방하는,
환기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As a separate open control method,
When there is a flow rate adjusting unit that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opened flow rate adjusting units other than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unit,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flow rate adjusting unit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unit and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unit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in the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having the flow rate control part with the smallest opening degree is opened,
When there is no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that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opened flow rate regulators other tha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all of the flow rate regulating sections other than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in the communication space is opened,
Ventila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633A KR101930482B1 (en) | 2018-09-10 | 2018-09-10 | Venti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633A KR101930482B1 (en) | 2018-09-10 | 2018-09-10 | Ventil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0482B1 true KR101930482B1 (en) | 2018-12-18 |
Family
ID=6495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6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0482B1 (en) | 2018-09-10 | 2018-09-10 | Venti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048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6941A (en) | 2000-09-29 | 2002-04-10 | Kajima Corp | Branch / merge header duct unit |
KR101598890B1 (en) | 2014-12-09 | 2016-03-04 | (주)태성이엠씨 | Damper unit for selecting flow path, and by-pass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
2018
- 2018-09-10 KR KR1020180107633A patent/KR1019304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6941A (en) | 2000-09-29 | 2002-04-10 | Kajima Corp | Branch / merge header duct unit |
KR101598890B1 (en) | 2014-12-09 | 2016-03-04 | (주)태성이엠씨 | Damper unit for selecting flow path, and by-pass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69783B2 (en) | Supply ai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airflow rate | |
US9285135B2 (en) | Method for regulating room comfort variables | |
KR101115314B1 (en) | Ventilating apparatus with smoke removal function on fire | |
JP5788254B2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688606B1 (en) |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 exchanger | |
KR102055298B1 (en) |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 |
CN112303785A (en) | Static pressure air dividing box, fresh air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807273B1 (en) | High rise ventilation system | |
JP7228371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EP1600705A2 (en) | Ventilating system | |
KR101930482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210106836A (en) | Building ventilation system | |
AU2008261322A1 (en) | Modular ventilation system | |
US4535684A (en) | Ventilation system for an enclosed space | |
EP3312521B1 (en) | Ventilation device | |
KR102078925B1 (en) |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 |
US2024039299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hvac system to reduce infection risk in a building | |
CN206724425U (en) | A kind of cloud terminal control mechanism for global optimization all-air system | |
JPH09273792A (en) | Forced exhaust system for hot air removal from houses | |
JP7645769B2 (en) | Ventilation systems for nuclear facilities | |
BE1031086B1 (en) | HYBRID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VENTILATION SYSTEM | |
JP2004309042A (en) | Branch type variable air volume unit | |
JP2024176890A (en) | Ventilation system | |
JP2007170712A (en) | Heat exchange ventilator | |
JP7012217B2 (en) | Ventil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