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25B1 -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 Google Patents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8925B1 KR102078925B1 KR1020180113614A KR20180113614A KR102078925B1 KR 102078925 B1 KR102078925 B1 KR 102078925B1 KR 1020180113614 A KR1020180113614 A KR 1020180113614A KR 20180113614 A KR20180113614 A KR 20180113614A KR 102078925 B1 KR102078925 B1 KR 102078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let
- window
- outlet
- f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claims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환기를 위한 별도의 환기설비 및 시공이 요구되지 않고 미세먼지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창호형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to enable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ventilation facility and construction for ventilation, and to reduce the fine dust and simultaneously ventilate the room, the structure is improved windows and doors It relates to a type ventilation device.
환기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환기 시스템은 자연 환기 방식과 기계 환기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의 자연 환기 방식은, 별도의 동력이나 에너지의 사용 없이 건축물 주위의 풍압과 온도차에 의한 압력 등으로 건축물의 개구부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기계 환기 방식은 환기팬과 같은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강제로 환기시키는 방식이다. Ventilation systems are essential to keep the building's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e. Ventilation system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natural venti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of the ventilation system allows ventilation to be made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by the pressure caused by the wind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around the building without using power or energy. On the other hand, mechanical ventilation is a method of forcibly ventilating the room using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ventilation fan.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환기 시스템은, 자연 환기 방식만으로 안정적인 환기량 확보와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이 어려움으로써 기계 환기 방식을 병용하고 있다.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실내의 벽체나 천장 등에 시공된 환기장치(환기설비)에 의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In general, the ventilation system of a building uses a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able ventilation amount and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using only a natural ventilation method.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has an advantage of allowing the indoor air to be ventilated by a ventilator (ventilation equipment) installed in a wall or a ceiling of a room.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환기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별도의 환기 장치를 건축물에 추가로 시공해야 하며, 환기 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Such a ventilation system has to increase energy consumption for ventilation and additionally install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in a building, and has a problem in that air cannot be purified during ventilation.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3761호 ‘이알브이 환기 시스템’이 있다. In the prior art, there 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0053761 'Ealb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별도의 환기 장치를 건축물에 추가로 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형 환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for ventilation and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install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in the building space utilization of the interior space It is to provide a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 시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to purify the indoor air during ventilatio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형 환기 장치는,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유동공간을 가지며, 창호 틀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창호용 프레임들; 각각 상기 창호용 프레임의 유동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한 쌍의 개폐부재들; 및 상기 한 쌍의 창호용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고, 실외측 공기가 실내 측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실내측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창호용 프레임들의 유동공간과 소통되는 유로를 가지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Window and door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each has an inlet for the air inlet, the outlet for the inlet air is discharged and the flow space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window frame A pair of frames for windows and window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low space of the window fram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outlet; And a connection pip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window frames and hav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low space of the window frames so that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ncludes;
상기 각 개폐부재는, 상기 유동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공기흐름 결정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low space, and may include an air flow determining passag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축열교환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heat storage exchanger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ng pipe.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로를 한정하는 내주면에 형성된 규조토 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diatomaceous earth co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flow path so as to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그 유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정화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pipe further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filt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low path so as to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형 환기 장치는, 한 쌍의 창호용 프레임들이 각각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그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부재들이 그 유동공간에 설치되어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연결관이 창호용 프레임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공간과 소통되는 유로를 가지며 실외측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실내측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환기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시키고 별도의 환기 장치를 건축물에 추가로 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환기 장치의 추가 시공을 요구하지 않아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window frames each have an inlet and an outlet, and forms a flow spa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the flow space It is installed at the inlet and outle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nnecting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hav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low space, allowing the outdoor air to enter the indoor side or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energy consumption for the ventilation is reduced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in the building, and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onstruc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창호형 환기 장치는, 실내공기나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한정하는 연결관의 내주면에 규조토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환기 시 미세먼지와 유해물질 등을 저감시켜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atomaceous earth coating lay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defining the flow path for indoor air or outdoor air, thereby reducing the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when the indoor air ventilation Has the effect of purifying the ai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창호용 프레임들과 개폐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개폐부재들의 회전 동작에 의한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에 채용된 환풍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창호용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공기정화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indow fra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fan employed in the window typ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adop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ir purification filter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창호용 프레임들과 개폐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개폐부재들의 회전 동작에 의한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typ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indow fra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It is sectional drawing III-III of FIG. 1, and FIG. 4 thru | or FIG. 6 is sectional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opening / closing members.
이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는 창호용 프레임들(100), 개폐부재들(200) 및 연결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상기 창호용 프레임들(1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창호(窓戶) 틀을 형성하고, 공기 유입을 위한 유입구(110)를 각각 구비하고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각각 구비한다. The
또한, 상기 창호용 프레임들(100)은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에 유동공간(130)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공간(130)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창호용 프레임들(100)의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복수의 개구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The
상기 개폐부재들(200)은, 창호용 프레임들(100)의 유동공간(130)에 각각 설치되어서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일 창호용 프레임(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타 창호용 프레임(100)의 배출구(120)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기 이동로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재들(200)은 유동공간에 배치되어 함으로써, 상기 유동공간(130)의 내부 형태와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and
상기 연결관(300)은 한 쌍의 창호용 프레임들(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공간(130)과 소통되는 유로(310)를 가짐으로써, 개폐부재들(200)의 개폐에 따라 실외측 공기가 실내 측으로 유입(도 3 참조)되게 하거나, 실내측 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도 4 참조).The connecting
아울러 본 실시예는 상기 개폐부재들(200)의 개폐동작에 의해 일 창호용 프레임의 유입구(110)로 유입된 실외측 공기를, 타 창호용 프레임(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다시 실외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도 5 참조).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반면, 개폐부재들(200)의 개폐동작으로 일 창호용 프레임의 유입구(110)로 유입된 실내측 공기를, 타 창호용 프레임의 배출구(120)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도 6 참조).On the other han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는, 한 쌍의 창호용 프레임들이 각각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를 구비하고 그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에 유동공간(130)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부재들(200)이 그 유동공간(130)에 설치되어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연결관(300)이 창호용 프레임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공간과 소통되는 유로(310)를 가지며 실외측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실내측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환기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시키고 별도의 환기 장치를 건축물에 추가로 시공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windows and windows frame each has an
한편, 개폐부재(200)는 상기 유동공간(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흐름 결정유로(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흐름 결정유로(210)는, 개폐부재(200)의 회전 동작 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공기흐름을 위해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기 이동로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각각의 개폐부재들(200)에 포함된 상기 공기흐름 결정유로(210)는,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회전 동작 시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관(300)과 소통시키고, 그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을 향하더라도 연결관과 원활히 소통될 수 있게 한다. The air flow
한편 개폐부재(200)들은 회전 동작 시 공기흐름 결정유로(2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소통차단시킨다. Meanwhile, the opening /
본 실시예는 축열교환기(400) 및 규조토 코팅층(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heat storage exchanger (400) and a diatomaceous earth coating layer (500).
상기 축열교환기(400)는 연결관(30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그 연결관(300)을 이동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열을 축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실외로 공기를 유출할 경우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에너지 사용량 증가를 절감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The
상기 축열교환기(400)는, 일 창호용 프레임(100)의 유입구(110)로 실내공기가 유입된 후 타 창호용 프레임(100)의 배출구(120)로 그 실내공기가 다시 실내로 배출될 경우, 유동공간(130)을 경유하는 실내공기의 열을 축열하고,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순환시키며 온도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The
아울러 축열교환기(400)는, 개폐부재(200)의 회전동작으로 실외공기가 유입구를 경유하여 일 공기흐름 결정유로(210)로 유입된 후, 그 실외공기가 타 공기흐름 결정유로(210)를 경유해 배출구(120)로 배출될 경우, 상기 연결관을 지나는 실외공기에서 열을 축열하여 쾌적한 공기(실내 공기와 비교 시 온도차가 감소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기환기를 위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상기 규조토 코팅층(500)은, 상기 유로(310)를 한정하는 연결관(300)의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그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킨다. 상기 규조토 코팅층(500)은, 연결관의 내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의 순환이나,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경우, 외부 또는 내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시켜 실내환경을 개선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The diatomaceous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에 채용된 환풍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창호용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공기정화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fan employed in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ir purification filter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창호용 프레임들(100)의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고, 환풍팬(600) 및 공기정화필터(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is embodiment is similar in configuration to mos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환풍팬(6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창호용 프레임들(100)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에 배치되어, 일 창호용 프레임(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를 타 창호용 프레임(100)의 배출구(12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That is, the
상기 환풍팬(600)은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유입관(300)의 유로(310)에 강제로 유입시켜 배출구(120)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본 실시예의 창호용 프레임들(100)은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창호용 프레임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에 모두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유입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배출구를 통한 배출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장점을 도출한다.
공기정화필터(700)는 상기 연결관(300)의 유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로(310)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킨다. 상기 공기정화필터(700)는 관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관(300)에 삽입되어 실내공기나 실외공기가 연결관의 유로를 이동할 때, 그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흡착시킴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나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The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developments can be mad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elf-explanatory
10: 창문 프레임 100: 창호용 프레임들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30: 유동공간 200: 개폐부재들
210: 공기흐름 결정유로 300: 연결관
310: 유로 400: 축열교환기
500: 규조토 코팅층 600: 환풍팬
700: 공기정화필터10: window frame 100: frames for windows and doors
110: inlet 120: outlet
130: flow space 200: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10: air flow crystal flow path 300: connector
310: Euro 400: heat storage exchanger
500: diatomaceous earth coating layer 600: ventilation fan
700: air purification filter
Claims (5)
각각 상기 창호용 프레임의 유동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한 쌍의 개폐부재들;
상기 한 쌍의 창호용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고, 실외측 공기가 실내 측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실내측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창호용 프레임들의 유동공간과 소통되는 유로를 가지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축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A pair of window frames each having a flow space formed between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inlet air is discharged, and a flow space form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window frame;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low space of the window fram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outlet;
A connection pip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window frames and hav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space of the window frames so that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d a heat storage exchanger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on pipe.
상기 각 개폐부재는, 상기 유동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공기흐름 결정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low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flow determining passag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outle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로를 한정하는 내주면에 형성된 규조토 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ipe is a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diatomaceous earth co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defining the flow path so as to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그 유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정화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nection pipe further comprises an air purification filt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low path so as to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3614A KR102078925B1 (en) | 2018-09-21 | 2018-09-21 |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3614A KR102078925B1 (en) | 2018-09-21 | 2018-09-21 |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8925B1 true KR102078925B1 (en) | 2020-02-18 |
Family
ID=6963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3614A Active KR102078925B1 (en) | 2018-09-21 | 2018-09-21 |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892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2050A (en) * | 2021-10-29 | 2023-05-09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ndow frame ventilation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81960A1 (en) * | 2008-04-23 | 2011-02-09 | Ishinoyu Co. Ltd. | Indoor environment regulation system |
KR101231306B1 (en) * | 2012-04-05 | 2013-02-07 | 인 우 이 | A multi functional and complex window system |
-
2018
- 2018-09-21 KR KR1020180113614A patent/KR1020789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81960A1 (en) * | 2008-04-23 | 2011-02-09 | Ishinoyu Co. Ltd. | Indoor environment regulation system |
KR101231306B1 (en) * | 2012-04-05 | 2013-02-07 | 인 우 이 | A multi functional and complex window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2050A (en) * | 2021-10-29 | 2023-05-09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indow frame ventilation device |
KR102681177B1 (en) * | 2021-10-29 | 2024-07-03 | 바운더리컨디션 주식회사 | window frame ventila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45896A (en) | A window ventilation system equipped having a heat exchange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 |
WO2019184506A1 (en) | Outdoor pipe-connecting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same | |
KR20180063813A (en) | Window-type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472669B2 (en) | Ventilation system for horizontal and vertical partition landfill windows | |
KR102052348B1 (en) | Vantilation | |
CN107036223A (en) | Multifunctional indoor fresh air conditioner | |
EP1600705A2 (en) | Ventilating system | |
JP5741880B2 (en) | Window door ventilation system | |
KR102078925B1 (en) |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 |
KR100628088B1 (en) | Thin ventilator | |
CN104896644A (en) | System for allocating indoor ventilation and air quality adjustment equipment | |
KR20210106836A (en) | Building ventilation system | |
KR102540630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air quality of indoor of buil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6125825A (en) | Ventilation device | |
KR101122584B1 (en) | Windows and doors system have the faculty of ventilation | |
CN210267545U (en) | External air purification case for building | |
KR102143407B1 (en) | Heat exchnage ventilation apparatus | |
JP7228836B2 (en) | Pressurized heat exchange ventilated building | |
KR101330447B1 (en) | Ventilation module for window | |
KR101480323B1 (en) | A installation of indoor ventilation using existing building. | |
CN203869248U (en) | System for arranging indoor ventilation devices and air quality regulation devices | |
KR200391419Y1 (en) | Natural ventilating device for building | |
JP2007170712A (en) |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 |
CN210638240U (en) | New fan of austral window, sliding sash room air purification new fan | |
JP2006010269A (en) | Ductless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 for 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