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6454B1 -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454B1
KR101926454B1 KR1020160021441A KR20160021441A KR101926454B1 KR 101926454 B1 KR101926454 B1 KR 101926454B1 KR 1020160021441 A KR1020160021441 A KR 1020160021441A KR 20160021441 A KR20160021441 A KR 20160021441A KR 101926454 B1 KR101926454 B1 KR 10192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hannel
reaction gas
gas flow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274A (ko
Inventor
최성현
김지연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2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454B1/ko
Priority to PCT/KR2016/014110 priority patent/WO2017146359A1/ko
Publication of KR2017009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01M8/2485Arrangements for sealing external manifolds; Arrangements for mounting external manifolds around a st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 스택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수소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은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를 갖는 분리판 몸체; 및 상기 분리판 몸체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채널 폭에 해당하는 밑변이 리브 폭에 해당하는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리브 폭의 길이는 상기 채널 폭의 길이의 3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FUEL CELL SEPARATOR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수소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스택은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수소) 및 공기(산소)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은 산화전극에서의 산화반응 및 환원전극에서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전력(electric power)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백금 또는 백금-루테늄 금속 등을 포함하는 촉매층과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구성된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가 사용되며 막-전극 접합체 양단으로 분리판이 체결되어 셀(CELL) 구조를 이루게 된다.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의 경우, 연료전지 분리판의 소재 특성을 개선하거나, 구동 조건을 최적화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전반적인 특성을 증진하였다. 연료전지 분리판의 구조를 변경하는 접근 방법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종래의 경우에는 연료전지 분리판의 유로 개수를 증가하거나, 추가적인 사행 유로나 보조 유로를 추가하는 것이 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 중 가장 큰 문제는 연료전지 분리판의 유로 개수 증가 및 보조 유로의 추가는 필연적으로 분리판의 크기를 증가시켜 전체적인 연료전지 스택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크기의 소형화가 가장 큰 이슈가 되는 것을 고려할 때, 크기의 대형화 또는 모양의 변화는 연료전지 스택의 활용적인 면에서 가장 큰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공정성의 문제에 있어서도 면적이 커질 경우, 해당 연료전지 분리판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크기가 커지며, 금형의 초기 투자 비용도 역시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공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화학반응으로 인해 생성되는 액상상태의 물의 배출이다. 연료전지 스택의 환원극에서 일어나는 산소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물이 반응가스 유로에서 바로 배출되지 못한 채 일정량 이상 축적될 경우, 공급되는 연료가 분리판과 접촉되어 있는 촉매층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반응 영역에서의 농도 손실을 불러온다.
따라서, 수분 배출이 어려울 경우, 연료전지 분리판 및 나아가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 성능을 저하시켜 불안정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3734호(2007.09.19.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 스택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수소 소모량을 감소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 활성화 면적을 막아 화학반응을 방해하는 생성수의 배출 효율을 개선하여 종합적인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은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를 갖는 분리판 몸체; 및 상기 분리판 몸체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채널 폭에 해당하는 밑변이 리브 폭에 해당하는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리브 폭의 길이는 상기 채널 폭의 길이의 4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은 적어도 2장 이상이 스택되며, 각각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를 갖는 분리판 몸체과, 상기 분리판 몸체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를 갖는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 및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채널 폭에 해당하는 밑변이 리브 폭에 해당하는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리브 폭의 길이는 상기 채널 폭의 길이의 3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은 반응가스 유로를 기하학적 구조로 설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물질 전달 손실이 억제될 수 있는바, 물질 전달 손실이 억제되면 전극 표면에서 반응 물질의 농도 손실이 억제되고, 이 결과 투입된 수소 대비 손실량이 감소하여 발전에 쓰이는 수소가 많아져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발전량 상승 및 이에 따른 총 출력 밀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은 반응가스 유로의 기하학적 구조 변화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 전체에 균일한 연료 분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가스 확산층과 애노드 및 캐소드에 차있는 반응 부산물질인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연료 유체인 수소가 반응가스 유로를 통과할 때 주입구(Inlet)와 배출구(outlet)에서의 압력강하가 줄어들어 분리판 전체 유로에 기체가 고른 압력으로분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특정 부위에만 집중 되지 않아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 효율과 수명 개선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 분리판 및 막-전극 접합체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반응가스 유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 ~ 4 및 비교에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의 I-V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하여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100)은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110) 및 막-전극 접합체(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100)은 가스 확산층(미도시) 및 엔드 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110)은 적어도 2장 이상이 스택되며, 각각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를 갖는 분리판 몸체(112)와, 분리판 몸체(112)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114)를 갖는다. 이러한 연료전지 분리판(110)은 기체의 투과도가 낮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조강도를 가져야 한다.
막-전극 접합체(120)는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11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이러한 막-전극 접합체(120)는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전해질막과,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전해질막의 양면에 도포된 촉매층인 애노드 및 캐소드를 포함한다.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료전지 분리판(110) 및 막-전극 접합체(120) 사이에는 반응가스를 막-전극 접합체(120)의 표면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다공성 매체인 가스 확산층(Gas Diffusion Layer : GDL)이 삽입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110) 및 막-전극 접합체(120)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110) 및 막-전극 접합체(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110), 막-전극 집합체(120) 및 가스 확산층을 지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연료전지 분리판(110)의 채널부로 반응가스인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 역할을 한다. 이때, 엔드 플레이트(130)는 적정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막-전극 접합체(120)와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연료전지 스택(100)에 대한 전기에너지 생성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애노드에서 수소의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수소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수소 이온과 전자는 각각 전해질막과 연료전지 분리판(110)을 통하여 캐소드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캐소드에서는 수소이온과, 전자와, 공기 중의 산소가 참여하는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 물이 생성되고,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자의 흐름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발생된다.
즉, 애노드로 공급된 수소는 수소이온(H+)과 전자(electron, e-)로 분해되고, 분해된 수소이온은 전해질을 통과하여 캐소드로 이동하게 되고, 이 캐소드에서는 애노드에서 이동해 온 수소이온(H+)과 외부도선을 통하여 이동한 전자(electron, e-) 및 캐소드로 공급된 산소가 전극에서 만나 물을 생성함과 동시에 열을 발생시키는 반응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 분리판 및 막-전극 접합체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반응가스 유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110)은 분리판 몸체(112) 및 반응가스 유로(1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110)은 냉각 유로(116) 및 가스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 몸체(112)는 중앙 부분에 배치된 채널부와, 가장자리에 배치된 매니폴드부를 갖는다. 이러한 분리판 몸체(112)는 기체의 투과도가 낮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조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가스 유로(114)는 분리판 몸체(112)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반응가스 유로(114)는 막-전극 접합체(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반응가스 유로(114)는 채널 폭(w1)에 해당하는 밑변이 리브 폭(w2)에 해당하는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갖는다.
냉각 유로(116)는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114)들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냉각 유로(116)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로 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 유로일 수 있다.
도면으로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가스켓은 분리판 몸체(112)의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의 경계를 따라 부착되어, 작동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스켓은 기밀성을 확보하고 연료전지 분리판(110)의 적층 시 연료전지 분리판(110) 상호 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고무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라스틱 재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가스 유로(114)는 리브 폭(w2)의 길이가 채널 폭(w1)의 길이의 30 ~ 80%로 설계되어 기하학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때, 리브 폭(w2)의 길이가 채널 폭(w1)의 길이의 30% 미만일 경우에는 유로 성형성이 저하됨은 물론, 반응가스 유로(114)의 밑변 부분과 윗변 부분의 길이 차이가 심해져 반응가스 유로(114)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에서의 압력 분포가 불균일해져 연료전지 스택(도 1의 100)의 전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리브 폭(w2)의 길이가 채널 폭(w1)의 길이의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갖는 반응가스 유로(114)의 내각(θ)이 커지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30% 미만과 마찬가지 경우로 성형성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에는 반응가스 유로(114) 자체의 성형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각수 유로 확보가 어려워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 성능 저하를 초래하여, 전체적인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더불어, 리브 폭(w2)의 길이가 채널 폭(w1)의 길이의 80%를 초과할 경우, 연료가스의 공급 및 미반응물/반응 생성물(주로 H2O 등)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캐소드(Cathode)로부터 반응 생성물인 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물 넘침(Water flooding)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체 연료전지 스택의 물질 전달에 방해를 받아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초래한다.
이를 위해, 채널 폭(w1)은 0.9 ~ 1.2mm의 길이를 갖고, 리브 폭(w2)은 0.4 ~ 0.7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채널 폭(w1)과 리브 폭(w2)의 합산 길이는 1.4 ~ 1.8mm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채널 폭(w1)과 리브 폭(w2)의 합산 길이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늘어나거나 줄어들 경우, 단일 유로의 전체 길이의 변경은 단일 유로의 반복으로 구성되는 연료전지 분리판(110)의 전체 크기를 변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 디자인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국, 연료전지 분리판(11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금형 교체가 불가피해지므로 공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채널 폭(w1)과 리브 폭(w2)의 합산 길이를 1.4 ~ 1.8mm로 엄격히 한정된 범위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반응가스 유로(114)의 전체적인 길이 및 체적의 증가는 최소화하면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체적에서 반응가스 유로(114)의 채널 폭(w1) 및 리브 폭(w2)의 길이 변화를 통해 기하학적 구조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연료전지 분리판(11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공정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리브 폭(w2)의 길이가 채널 폭(w1)의 길이의 30 ~ 80%를 갖는 기하학적인 구조로 반응가스 유로(114)를 설계할 경우, 반응가스인 수소의 소모량이 감소하여 발전에 사용되는 수소가 전반적으로 저감하며, 사용한 수소 대비 발전 출력, 즉 전환 효율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전환 효율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스택의 발전에 방해가 되는 생성물질인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물질 전달 및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반응가스 유로(114)는 0.5 ~ 0.7mm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의 범위로 설계해야 연료 유체인 수소가 반응가스 유로(114)를 통과할 때 압력강하가 줄어들어 고른 압력으로분포되어 연료전지 스택의 물질 전달 및 반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가스 유로(114)는 밑변과 밑변의 양 꼭지점(B, C)과 윗변의 양 꼭지점(A, D)의 연결선이 이루는 내각(θ)이 서로 동일한 등각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등각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반응가스 유로(114)를 설계해야 연료 유체인 수소가 반응가스 유로(114)를 통과할 때 압력강하가 줄어들어 고른 압력으로분포되어 연료전지 스택의 물질 전달 및 반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등각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갖는 반응가스 유로(114)의 내각(θ)은 55 ~ 8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가스 유로(114)의 내각(θ)이 55°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가스 유로(114)의 밑변 부분과 윗변 부분의 길이 차이가 심해져 반응가스 유로(114)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에서의 압력 분포가 불균일해져 연료전지 스택의 전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반응가스 유로(114)의 내각(θ)이 85°를 초과할 경우에는 직각에 가까운 과도한 각도 설계로 인하여 연료전지 분리판(110)의 성형성이 매우 좋지 않아질 우려가 크며, 반응가스 유로(114) 자체의 성형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은 반응가스 유로를 기하학적 구조로 설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물질 전달 손실이 억제될 수 있는바, 물질 전달 손실이 억제되면 전극 표면에서 반응 물질의 농도 손실이 억제되고, 이 결과 투입된 수소 대비 손실량이 감소하여 발전에 쓰이는 수소가 많아져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발전량 상승 및 이에 따른 총 출력 밀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물질 전달 손실은 전극표면에서 반응물질의 농도 변화 뿐만 아니라, 생성수 배출량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생성수 배출은 현상적인 부분이며,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되어 가스 확산층과 애노드 및 캐소드를 막고 있던,생성수가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인해 연료가분리판 전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앞서 언급한 물질 전달 손실로 인한 출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은 반응가스 유로의 기하학적 구조 변화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 전체에 균일한 연료 분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가스 확산층과 애노드 및 캐소드에 차있는 반응 부산물질인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연료 유체인 수소가 반응가스 유로를 통과할 때 주입구(Inlet)와 배출구(outlet)에서의 압력강하가 줄어들어 분리판 전체 유로에 기체가 고른 압력으로분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특정 부위에만 집중 되지 않아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 효율과 수명 개선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 제조
표 1의 조건으로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은 50mm(가로) × 50mm(세로)를 갖고, 유로의 높이는 0.6mm를 갖는다.
[표 1]
Figure 112016017883143-pat00001

2. 물성 평가
표 2는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최종 반응후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112016017883143-pat00002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가스 유로의 리브 폭을 기준으로 최종반응 후 배출 수분 함유량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배출 수분 함유량은 배출 생성수 수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출 생성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최종 반응후의 반응 수소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반응에 사용한 수소량을 산출하기 위해 배출 생성수에서 나오는 반응 후의 수소량을 계산하였으며, 초기 투입 수분함량은 74.30%이었다.
[표 3]
Figure 112016017883143-pat00003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의 셀 출력을 위한 반응에 수소 사용으로 배출 수소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이때, 수소 저감순은 실시예 4 > 비교예 1 > 실시예 3 > 실시예 1 > 실시예 2이었다. 즉, 실시예 4의 경우가 반응 수소량이 가장 적었고, 실시예 2의 경우가 반응 수소량이 가장 많았다.
표 4는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최종 반응후의 총 출력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실시예 1 ~ 4 및 비교에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의 I-V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4]
Figure 112016017883143-pat00004
표 4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폭 및 채널 폭의 증가시 연료전지 스택의 I-V 특성 및 총 출력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리브 폭 및 채널 폭을 0.6mm/1.0mm로 설계한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이 배출 생성수, 수소저감율 및 총 출력밀도를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한 유로 설계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료전지 스택
110 : 연료전지 분리판
112 : 분리판 몸체
114 : 반응가스 유로
116 : 냉각 유로
120 : 막-전극 접합체
130 : 엔드 플레이트

Claims (10)

  1.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를 갖는 분리판 몸체; 및
    상기 분리판 몸체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채널 폭에 해당하는 밑변이 리브 폭에 해당하는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리브 폭의 길이는 상기 채널 폭의 길이의 30 ~ 80%이고,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밑변과 상기 밑변의 양 꼭지점과 윗변의 양 꼭지점의 연결선이 이루는 내각이 서로 동일한 등각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각은 55 ~ 85°를 갖는 연료전지 분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분리판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들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된 냉각 유로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분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폭은
    0.9 ~ 1.2mm의 길이를 갖고, 상기 리브 폭은 0.4 ~ 0.7mm의 길이를 갖는 연료전지 분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폭과 리브 폭의 합산 길이는
    1.4 ~ 1.8mm인 연료전지 분리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0.5 ~ 0.7mm의 높이를 갖는 연료전지 분리판.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분리판은
    상기 분리판 몸체의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의 경계를 따라 부착된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분리판.
  9. 적어도 2장 이상이 스택되며, 각각 채널부 및 매니폴드부를 갖는 분리판 몸체과, 상기 분리판 몸체의 채널부에 배치되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된 반응가스 유로를 갖는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 및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채널 폭에 해당하는 밑변이 리브 폭에 해당하는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리브 폭의 길이는 상기 채널 폭의 길이의 30 ~ 80%이고,
    상기 반응가스 유로는 밑변과 상기 밑변의 양 꼭지점과 윗변의 양 꼭지점의 연결선이 이루는 내각이 서로 동일한 등각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각은 55 ~ 85°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은
    상기 연료전지 분리판과 막-전극 접합체 사이에 배치된 가스 확산층과,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 및 막-전극 접합체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 분리판 및 막-전극 접합체를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KR1020160021441A 2016-02-23 2016-02-23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KR101926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41A KR101926454B1 (ko) 2016-02-23 2016-02-23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PCT/KR2016/014110 WO2017146359A1 (ko) 2016-02-23 2016-12-02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41A KR101926454B1 (ko) 2016-02-23 2016-02-23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74A KR20170099274A (ko) 2017-08-31
KR101926454B1 true KR101926454B1 (ko) 2018-12-07

Family

ID=5968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41A KR101926454B1 (ko) 2016-02-23 2016-02-23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6454B1 (ko)
WO (1) WO2017146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6373B (zh) * 2018-03-16 2022-05-20 清华大学 一种燃料电池用复合双极板及其双通道三维流场
JP7188323B2 (ja) * 2019-08-13 2022-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ー及び燃料電池セ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470A (ja) * 2008-04-04 2009-10-29 Hitachi Ltd 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570B2 (ja) * 2003-05-08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08258134A (ja) * 2007-03-12 2008-10-23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KR100938023B1 (ko) * 2009-07-31 2010-01-21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공냉식 금속 분리판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전지 스택
JP5180946B2 (ja) * 2009-11-26 2013-04-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470A (ja) * 2008-04-04 2009-10-29 Hitachi Ltd 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359A1 (ko) 2017-08-31
KR20170099274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5015B2 (en) Fuel cell
JP5240282B2 (ja) 燃料電池セル
US9799898B2 (en) Fuel cell
WO2011027539A1 (ja) 膜電極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
US20110053030A1 (en) Fuel Cell with Gas Diffusion Layer having Flow Chan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569301B2 (en) Fuel cell
JP5429357B2 (ja) 燃料電池
EP2533336B1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7396609B2 (en) Fuel cell and metal separator for fuel cell
US7883814B2 (en) Fuel cell separator with integral seal member
US7572538B2 (en) Fuel cell
US20050158599A1 (en) Fuel cell
US8409767B2 (en) Fuel cell
KR101926454B1 (ko)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CA2781095C (en) Fuel cell capable of miniaturization
WO2024037530A1 (zh) 燃料电池
US20140162163A1 (en) Fuel cell stack
US8053125B2 (en) Fuel cell having buffer and seal for coolant
CN115513486B (zh) 一种单极板、双极板、电堆及燃料电池
KR102063060B1 (ko) 연료전지 스택
KR10128261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US8268506B2 (en) Fuel cell structure and separator plate for use therein
US20230223563A1 (en) Power generation cell
CN112993304A (zh) 一种梯度波纹状流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