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447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5447B1 KR101925447B1 KR1020120068590A KR20120068590A KR101925447B1 KR 101925447 B1 KR101925447 B1 KR 101925447B1 KR 1020120068590 A KR1020120068590 A KR 1020120068590A KR 20120068590 A KR20120068590 A KR 20120068590A KR 101925447 B1 KR101925447 B1 KR 101925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quipotential
- battery pack
- applying
- application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5 fu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케이스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전위 적용부를 포함함으로써, 간소화된 장치로 등전위 상태를 적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배터리 팩의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By including at least one equipotential application part on a battery case, the equipotential state can be applied to a simplified device,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a worker and improving reliability of a battery pack To a battery pack.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팩의 등전위 상태를 적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안정성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capable of ensuring stability of a battery as well as stability of a battery by applying an equal potential state of the battery pack without using wires.
일반적으로 가솔린이나 중유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대기오염 등 공해발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해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물론 이러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원으로는 전지가 사용된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는데, 전기 자동차의 모터 구동 등과 같은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는, 다수 개의 고출력 이차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대용량의 배터리 팩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utomobiles us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ing gasoline or heavy oil as the main fuel have a serious impact on pollution such as air pollution. 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duce pollution,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Of course, a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of such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electrolyte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has been developed. In a device requiring a large electric power such as a motor drive of an electric vehicle, a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high output secondary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It is common for battery packs to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배터리 팩은 통상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HEV용 배터리 팩의 경우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이차 전지가 충전과 방전을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충방전 등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적정한 동작 상태로 유지되도록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 large-capacity battery pack typically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EV battery pack, several to several tens of secondary batteries alternately perform charging and discharging, so that it is necessary to control such charging / discharging so as to maintain the battery in an appropriate operating state.
한편, 배터리 팩이 적정한 동작 상태로 유지되도록 관리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에 등전위 상태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등전위 상태는 그라운드와 배터리 팩의 전압차가 동일하거나 거의 미미한 수준을 말하는 것이며, 등전위 상태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전압차 및 저항이 커지게 되어, 접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전압인 배터리 팩에서 흘러나오는 전류로 인해 작업자가 감전될 위험이 있으며, 미세 전류로 인해 전자파와 연관되는 회로 및 다른 부품에 신호에 혼선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intain the battery pack in an appropriate operating stat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equal potential state to the battery pack. The equipotential state means that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battery pack is the same or almost insignificant. If the equipotential state is not applied, the voltage difference and resistance become large, and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battery pack having a relatively high voltage There is a risk that the operator may be electrocuted, and the micro current may confuse signals to circuits and other components associated with electromagnetic waves.
종래에는 배터리 팩에 등전위 상태를 적용하기 위해, 등전위 상태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배선을 연결하고, 배선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등전위 상태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등전위 상태를 적용할 경우, 배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단선될 경우, 작업자가 감전될 위험이 있으며, 배터리 팩의 안정성이 낮아져 신뢰성 또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apply the equipotential state to the battery pack, the equipotential state is applied by connecting the wiring to the position requiring the equipotential state and connecting the wiring to the ground. However, when the equipotential state is applied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risk that the worker is electrocuted when the coating of the wiring is peeled or broken,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pack is lowered and the reliability is also lowered.
따라서, 등전위 상태를 적용하면서도 배터리 팩의 안정성 및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배터리 팩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ttery pack that secures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pack and the safety of the operator while applying the equal potential stat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980078호가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80078 has been disclos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장치의 구성으로 배터리 팩의 등전위 상태를 적용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도 안전에 대한 신뢰성이 높고,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which is economical and has high reliability in safety, And a battery pack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accident.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내부에 셀 모듈을 수용하며, 냉각 공기가 흡기 또는 배기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배터리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 상에 등전위 적용 구조물이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등전위 적용부;를 포함한다.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ase in which a cell module is housed and in which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re formed for intake or exhaust of cooling air; And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unit having at least one or mor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s on the battery case.
또한,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 상에 형성된 등전위 적용홀에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이 삽입되고,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은 판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등전위 적용홀에 대응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The equipotential applying structure may include a plate-shaped supporting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extending from the supporting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
또한,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은 상기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의 저면에 와셔모양의 테가 형성되며, 상기 테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may have a washer-like rim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extended, and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또한,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등전위 적용홀이 상측은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하측은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The equipotential apply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ide corresponds to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lower side corresponds to the inserting portion.
또한,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등전위 적용홀의 단면이 상기 삽입부의 단면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등전위 적용홀과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이 억지 끼움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may have a cross section of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narrower than an end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so that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and the equipotential applying structure are tightly fixed.
또한,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The equipotential appl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the equipotential applying structure.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배선을 연결하여 등전위 상태를 적용시키는 종래의 배터리 팩과는 달리 등전위 적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등전위 상태를 적용시키므로 장치가 간소화 되어 경제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by forming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part unlike a conventional battery pack in which wires are connected to apply an equipotential state, so that the device is simplified and economical.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배선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배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단선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감전 등의 작업자의 안전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미세전류가 다른 부품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 팩의 신뢰성 또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wiring,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problem of an operator, such as an electric shock, which may be caused by peeling or disconnection of a wire covering,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pack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등전위 적용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등전위 적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등전위 적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등전위 적용부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quipotential applying uni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quipotential applying uni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por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only typic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ider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00)은 배터리 케이스(100) 및 등전위 적용부(20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배터리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120)는 내부에 셀 모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20) 내부에 수용된 셀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유체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흡기구(111)와 배기구(113)가 형성된다. 이 때, 차량 외부의 수분이나 먼지가 배터리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진행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 측면의 상부 케이스(110) 상에 흡기구(111)가 형성되며, 차량의 후측 측면의 상부 케이스(110) 상에 배기구(113)가 형성된다.The
흡기커버(112)는 흡기구(111)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110) 상에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부 케이스(110)에 볼트 또는 너트 조립될 수 있다. 흡기커버(112)의 하측면은 흡기구(111)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중력에 의한 이물질 또는 수분 유입의 최소화 구조를 갖기 위함이다.The
또한, 배기구(113)에 인접하도록 배기커버(114)가 형성되며, 배기커버(114)는 배기구(113)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110) 상에 형성되며, 중력에 의한 이물질 또는 수분 유입이 최소화되되, 냉각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측면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An
일반적인 배터리 팩(1000)은 등전위 상태가 적용되어야 한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형성하는 냉간압연 강판 및 강철 뿐 아니라 절연물질이 도포 되는 등 다양한 재료가 복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각각의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달라 전압차가 발생할 수 있다. 등전위 상태는 배터리 팩(1000)과 그라운드의 전압차가 0이거나 최소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배터리 팩(1000)은 등전위 상태를 적용시키지 못할 경우, 작업자가 배터리 팩(1000)에 흐르는 전류로 인해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미세 전류로 인해 전자파와 연관되는 회로 및 다른 부품의 신호에 혼선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은 배터리 케이스(10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전위 적용부(200a)가 형성된다. 등전위 적용부(200a)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100)에 도체인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을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팩(1000)에 흐르는 전압 및 저항의 차이를 0으로 만들거나, 10mA 미만의 전류를 생성하는 전압 및 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In a
등전위 적용부(200a)는 배터리 케이스(100) 상에 형성되는 등전위 적용홀(220a) 및 등전위 적용홀(220a)에 삽입되는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에서 등전위 적용부(200a)는 흡기구(111) 및 배기구(113)에 인접하여 하나씩 형성되며, 흡기커버(112), 배기커버(114) 및 하부 케이스(120) 상에 이 하나씩 형성된다.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등전위 적용부(200a)가 흡기구(111) 및 배기구(113)에 인접하여 하나씩 형성되며, 흡기커버(112), 배기커버(114) 및 하부 케이스(120) 상에 이 하나씩 형성되나, 등전위 적용부(200a)는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이 결합 가능한 구조라면 등전위가 형성되어야 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은 지지부(211)와 삽입부(212)를 포함한다. 지지부(211)는 판 형상이며, 삽입부(212)는 지지부(211)의 일면으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21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은 볼트 형태일 수 있다.The
또한,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은 지지부(211)와 삽입부(212) 사이에 판 형상의 와셔 구조를 갖는 테(214)가 일체로 형성된 칼라머리 나사가 바람직하며, 테(214)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접촉돌기(213)가 더 형성된다. 접촉돌기(213)는 단면이 삼각형이며 경사진 형태로 삽입부(212)의 둘레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은 접촉돌기(213)가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100)와 등전위 적용구조물이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즉, 평면 끼리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돌기가 형성된 경우 접촉돌기(213)의 외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배터리 케이스(100)와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이 더욱 밀착되어 효과적으로 등전위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즉, 배터리 팩(1000)의 결합에 사용되는 나사의 경우, 접촉돌기(213)가 형성되지 않아, 지지부(211)의 배터리 케이스(100)와 맞닿는 부분의 전압이 배터리 케이스(100)와 맞닿지 않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전압이 적용되며, 등전위 상태를 만족시키는 10mA 미만의 전류가 생성되는 미세전압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은 결합용 나사에 비하여 배터리 케이스(10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등전위 상태를 형성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screw used for coupl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의 접촉돌기(213)는 단면이 삼각형 형태이나, 접촉돌기(213)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케이스(100)와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가능하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a)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부(200a)를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qual
등전위 적용부(200a)는 등전위 적용홀(220a)에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이 삽입되어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상태를 적용시킨다. 등전위 적용홀(220a)은 배터리 케이스(100) 상에 형성되며,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의 삽입부(212)가 삽입된다. 이 때, 등전위 적용홀(220a)은 삽입부(2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삽입부(2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The equipotential applying
또한, 배터리 케이스(100)는 배터리 케이스(100) 외주면에 절연을 위하여 절연물질이 도포된 절연층(130)을 포함하며, 등전위 적용부(200a)가 형성되기 위하여 배터리 케이스(100)에서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과 맞닿는 부분의 절연층(130)을 제거한다. 따라서,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과 배터리 케이스(100)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또한, 등전위 적용부(200a)는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과 결합되어,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과 배터리 케이스(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물(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구조물(230)은 중앙부에 삽입홀(231)이 형성되고, 삽입홀(231)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 형태일 수 있으며, 결합구조물(230)의 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a)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a)를 상세하게 설명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qual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a)와 동일하게 등전위 적용홀(220b) 및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을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부(200b)의 등전위 적용홀(220b)은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의 지지부(211)와 삽입부(212)에 모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등전위 적용홀(220b)의 상측은 지지부(2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삽입부(2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의 지지부(211)의 일부와 삽입부(212)가 등전위 적용홀(220b)에 삽입되어 등전위 상태를 형성한다. 이 경우, 테(214)가 없는 나사형태의 등전위 적용 구조물(21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부(200b) 역시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과 결합되는 결합구조물(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quipotential applyin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부(200b)의 등전위 적용홀(220b)은 지지부(211)와 삽입부(212)가 모두 등전위 적용홀(220b)에 삽입되므로,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과 배터리 케이스(100)의 접촉면적이 극대화 되어 효과적으로 등전위 상태를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c)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c)를 상세하게 설명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qual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c) 역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의 등전위 적용부(200a)와 동일하게 등전위 적용홀(220c) 및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을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부(200c)의 등전위 적용홀(220c)은 등전위 적용구조물의 삽입부(212)만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삽입부(212)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되어, 등전위 적용 구조물(210)이 등전위 적용홀(220c)에 억지 끼움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전위 적용부(200c)는 결합구조물(230)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장치가 간소화 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The equipotential applying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0 : 배터리 팩
100 : 배터리 케이스 110 : 상부 케이스
111 : 흡기구 112 : 흡기커버
113 : 배기구 114 : 배기커버
120 : 하부케이스 130 : 절연층
200a, 200b, 200c : 등전위 적용부 210 : 등전위 적용 구조물
211 : 지지부 212 : 삽입부
213 : 접촉돌기 214 : 테
220a, 220b, 220c : 등전위 적용홀
230 : 결합구조물 231 : 삽입홀1000: Battery pack
100: battery case 110: upper case
111: Intake port 112: Intake cover
113: exhaust port 114: exhaust cover
120: lower case 130: insulating layer
200a, 200b, 200c: equipotential application part 210: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211: support part 212:
213: contact protrusion 214:
220a, 220b, 220c: Equipotential application hole
230: coupling structure 231: insertion hole
Claims (8)
상기 조립체의 연결부분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등전위 적용홀과 상기 등전위 적용홀에 삽입되는 등전위 적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등전위 적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 물질은 상기 조립체와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이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에 대응하는 상기 등전위 적용홀의 주면 영역에는 도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case in which at least two assemblies are assembled and assembled, an outer surface of which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cell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se;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part including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hole formed through a connection part of the assembly and an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inserted into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hole;
, ≪ / RTI &
Wherein the insulating material is not applied to the main surface area of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so that the assembly and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can b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은
판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등전위 적용홀에 대응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나사 형태인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Wherein the battery pack has a plate-like support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hole.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은
상기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의 저면에 와셔 모양의 테가 형성되는 배터리 팩.The method of claim 3,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Wherein a washer-like rim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extended.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은
상기 테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배터리 팩.5. The method of claim 4,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Wherein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등전위 적용홀이 상측은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하측은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팩.The method of claim 3,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unit
Wherein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to correspond to the inserting portion on the lower side.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등전위 적용홀의 단면이 상기 삽입부의 단면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등전위 적용홀과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이 억지 끼움 고정되는 배터리 팩.The method of claim 3,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unit
Wherein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and the equipotential applying structure are tightly fitted to each other such that an end surface of the equipotential applying hole is narrower than an end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상기 등전위 적용부는 상기 등전위 적용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the equipotential application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8590A KR101925447B1 (en) | 2012-06-26 | 2012-06-26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8590A KR101925447B1 (en) | 2012-06-26 | 2012-06-26 | Battery pa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2838A KR20140002838A (en) | 2014-01-09 |
KR101925447B1 true KR101925447B1 (en) | 2018-12-06 |
Family
ID=5013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8590A Active KR101925447B1 (en) | 2012-06-26 | 2012-06-26 |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544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20519A (en) | 2003-04-17 | 2004-11-11 | Nissan Motor Co Ltd | Nut and structure for antenna fitting |
WO2007046490A1 (en) | 2005-10-20 | 2007-04-26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Fuel cell stack case |
JP2008192551A (en) | 2007-02-07 | 2008-08-21 | Toyota Motor Corp | Battery pack structure |
JP2010108823A (en) * | 2008-10-31 | 2010-05-13 | Sanyo Electric Co Ltd | Battery system |
-
2012
- 2012-06-26 KR KR1020120068590A patent/KR1019254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20519A (en) | 2003-04-17 | 2004-11-11 | Nissan Motor Co Ltd | Nut and structure for antenna fitting |
WO2007046490A1 (en) | 2005-10-20 | 2007-04-26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Fuel cell stack case |
JP2008192551A (en) | 2007-02-07 | 2008-08-21 | Toyota Motor Corp | Battery pack structure |
JP2010108823A (en) * | 2008-10-31 | 2010-05-13 | Sanyo Electric Co Ltd | Batter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2838A (en) | 2014-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66158B1 (en) | Rechargeable battery module | |
US10833372B2 (en) |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 |
KR101726883B1 (en) | Secondary Battery Inculding Flexible Current Collector | |
US10910673B2 (en) |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882187B2 (en) | Battery cell, battery, or battery cell module, method for producing a battery cell, and motor vehicle | |
KR102085344B1 (en) | Battery pack for a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US20200014005A1 (en) |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853397B1 (en) | Battery Module | |
JP5424218B2 (en) | Secondary battery | |
US8877369B2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s with deformable portions underneath a vent | |
US9627677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20150171413A1 (en) | Cell Connector for a Battery System or for a Battery Cell of an Electrical Energy Store, Battery and Motor Vehicle | |
US20110171516A1 (en) | Rechargeable battery | |
CN107534105A (en) | Battery cell dividing plate | |
US9412992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20130115494A1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9281511B2 (en) | Battery cell and device provided with the battery cell | |
US20130309533A1 (en) | Electric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6859851B2 (en) | Square secondary batteries, assembled batteries and vehicles using them | |
KR101441423B1 (en) | High-Voltage Battery with Integrated Battery Connector | |
JP6334893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925447B1 (en) | Battery pack | |
KR101385938B1 (en) | High voltage secondary battery with earth member | |
JP7353254B2 (en) | secondary battery | |
JP5668703B2 (en) | Assembled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