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26B1 -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8526B1 KR101918526B1 KR1020160093873A KR20160093873A KR101918526B1 KR 101918526 B1 KR101918526 B1 KR 101918526B1 KR 1020160093873 A KR1020160093873 A KR 1020160093873A KR 20160093873 A KR20160093873 A KR 20160093873A KR 101918526 B1 KR101918526 B1 KR 101918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vy
- group
- mixture
- composition
- scopolam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이용한 치매 유도 마우스에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이 포함된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Y-maze 미로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N(Normal)은 정상군이며, C(Control)는 치매 유도물질인 5mg/kg의 스코폴라민을 복강 주사한 것이며, PC(Positive control)는 5mg/kg의 스코폴라민과 치매 치료제인 2mg/kg의 타크린을 복강 주사한 것이며, S(시료군)는 5mg/kg의 스코폴라민을 복강 주사한 후 5중량%의 초석잠이 포함된 사료를 급이한 것이며, 1CS(시료군)는 5mg/kg의 스코폴라민을 복강 주사한 후 4.5중량%의 초석잠과 0.5중량%의 멸치가 포함된 사료를 급이한 것이며, 5CS(시료군)는 5mg/kg의 스코폴라민을 복강 주사한 후 2.5중량%의 초석잠과 2.5중량%의 멸치가 포함된 사료를 급이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이용한 치매 유도 마우스에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이 포함된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모리스 수중 미로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이용한 치매 유도 마우스에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이 포함된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아세틸콜린(acetylcholne, ACh)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이용한 치매 유도 마우스에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이 포함된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nesterase, ACh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이용한 치매 유도 마우스에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이 포함된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H&E 염색을 통해 마우스 해마부위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N | C | PC | S | 1CS | 5CS | |
수크로오스(Sucrose) | 45 | 45 | 45 | 45 | 45 | 45 |
카제인(Casein) | 20 | 20 | 20 | 20 | 20 | 20 |
α-Corn starch | 15 | 15 | 15 | 10 | 10 | 10 |
옥수수 오일(Corn oil) | 10 | 10 | 10 | 10 | 10 | 10 |
셀룰로오스(Cellulose) | 5 | 5 | 5 | 5 | 5 | 5 |
미네랄 믹스(Mineral mix1 )) | 3.5 | 3.5 | 3.5 | 3.5 | 3.5 | 3.5 |
비타민 믹스(Vitamin mix2 )) | 1 | 1 | 1 | 1 | 1 | 1 |
L-메티오닌(L-methionine) | 0.3 | 0.3 | 0.3 | 0.3 | 0.3 | 0.3 |
콜린 비타트레이트 (Choline bitartrate) |
0.2 | 0.2 | 0.2 | 0.2 | 0.2 | 0.2 |
초석잠 (Stachyssieboldii MIQ.) |
- | - | - | 5 | 4.5 | 2.5 |
멸치 | - | - | - | - | 0.5 | 2.5 |
총량(%)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일 | 2일 | 3일 | |
N | 10.00±0.82a | 8.00±1.27a | 6.57±0.65a |
C | 30.29±2.31b | 26.57±2.52b | 21.71±2.31b |
PC | 10.86±0.74ad | 8.14±0.91a | 7.29±1.15a |
S | 22.57±1.17c | 19.14±2.09c | 13.29±2.11c |
1CS | 14.00±0.87d | 12.00±1.20ac | 9.14±0.83a |
5CS | 12.00±1.05ad | 10.14±1.01ac | 8.71±1.48a |
Claims (8)
- 초석잠 및 멸치 분말이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초석잠 및 멸치 분말이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신경 질환은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3873A KR101918526B1 (ko) | 2016-07-25 | 2016-07-25 |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3873A KR101918526B1 (ko) | 2016-07-25 | 2016-07-25 |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1488A KR20180011488A (ko) | 2018-02-02 |
KR101918526B1 true KR101918526B1 (ko) | 2018-11-14 |
Family
ID=6122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3873A Active KR101918526B1 (ko) | 2016-07-25 | 2016-07-25 |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852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04639A1 (en) | 2005-07-01 | 2007-01-04 | Bodybio,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
-
2016
- 2016-07-25 KR KR1020160093873A patent/KR10191852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04639A1 (en) | 2005-07-01 | 2007-01-04 | Bodybio,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류명호 외 1명, 초석잠 메탄올 추출물의 Acetylcholine Esterase 및 Monoamine Oxidase 활성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7권, 4호, 347-355쪽 (20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1488A (ko) | 2018-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172B1 (ko) |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20190314425A1 (en) | Akkermansia muciniphila strain having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effect on a degenerative brain disease or metabolic disease and use thereof | |
US12156895B2 (en) |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 |
KR101799829B1 (ko) |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및 이의 용도 | |
US8168237B2 (en) | Medicinal herbal extract having anti-obesity effect | |
KR101464337B1 (ko) |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20180071987A (ko) |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US10286021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 |
KR102351514B1 (ko) |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
KR101302652B1 (ko) |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WO2016190566A9 (ko) |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 |
KR101802970B1 (ko) |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101918526B1 (ko) | 초석잠 및 멸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 |
KR102790960B1 (ko) | 커큐민 유도체와 TGF-β 수용체 억제제의 병용투여를 통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 방법 | |
KR20190046245A (ko) |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93145B1 (ko) |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40160833A (ko) | 해파리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25104B1 (ko) |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KR102715515B1 (ko) |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또는 알코올 뇌 손상 보호용 조성물 | |
KR101887585B1 (ko) | 암브로시아 아르테미시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신경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809385B1 (ko) |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250027973A (ko) |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대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50039071A (ko) | Chikusetsusaponin III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또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20250039070A (ko) | Chikusetsusaponin IV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또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20160115670A (ko) |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