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7980B1 - 코일 풀림기 - Google Patents

코일 풀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80B1
KR101917980B1 KR1020180035327A KR20180035327A KR101917980B1 KR 101917980 B1 KR101917980 B1 KR 101917980B1 KR 1020180035327 A KR1020180035327 A KR 1020180035327A KR 20180035327 A KR20180035327 A KR 20180035327A KR 101917980 B1 KR101917980 B1 KR 10191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nnular plate
surface fixing
hole
fix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8003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80B1/ko
Priority to PCT/KR2019/003505 priority patent/WO2019190168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겨있는 전선 코일을 이용한 작업시 신속 정확하며 엉킴 없이 코일을 풀어주며, 코일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코일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혀져서 부피를 줄어들어 보관이 쉬우며,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내려놓아도 코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코일 풀림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풀림기 {COIL PULLER}
본 발명은 감겨있는 전선 코일을 이용한 작업시 신속 정확하며 엉킴 없이 코일을 풀어주며, 코일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코일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혀져서 부피를 줄어들어 보관이 쉬우며,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내려놓아도 코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코일 풀림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 그리고 전기 공사 등 설비의 유지보수를 업으로 하는 업체의 경우 현장에서 그 규모에 따라 일정량의 전선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선은 일반적으로 원형 다발로 감겨져서 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전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형 다발 형태의 전선코일에서 전선을 풀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코일에서 전선을 풀어 사용할 때 전선의 엉킴이 발생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고 남은 전선은 절단 폐기함으로써 자재 손실을 유발하는 등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선을 푸는 작업을 위해서는 일정선을 풀고 작업진행 후 또 다시 풀어 작업을 하거나 다른 작업자를 동반하여 2인 1조로 작업을 진행하여 작업효율성을 떨어뜨렸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전선코일 풀림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296582호의 내측 전선 풀림장치도 그러한 전선코일 풀림기이다.
그런데 종래의 전선코일 풀림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설치 및 기구 철거 이동시 번거로운 조립, 해체를 하거나 운반기구를 통해 운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코일 풀림기는 평평한 바닥 위에서 사용해야 했으나 공사현장 등의 요철이 있는 바닥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코일 풀림기는 전선을 당길 때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코일 풀림기는 전선코일의 대부분이 풀려 남은 전선코일의 양이 적을 때 전선코일이 풀림기 내부에서 움직여 엉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부피가 되도록 접을 수 있어 작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고 운반이 편리하고 공사현장 등의 요철이 있는 바닥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며, 전선을 당길 때 넘어지지 않으며, 전선코일의 대부분이 풀려 남은 전선코일의 양이 적을 때에도 전선코일이 풀림기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운반이 용이하고, 공사현장에서 못이나 요철 등이 있는 바닥면에 내려놓더라도 코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코일 풀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2개의 환형판(100)과 상면고정부(201), 하면고정부(202), 정면고정부(203), 배면고정부(204)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판(100)은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환형판(100)에는 환형의 판부(110)와 중앙이 뚫린 개방부(111)와 상측에 형성된 상면고정부 결합홀(121)과 하측에 형성된 하면고정부(122)와 일측에 형성된 정면고정부 결합홀(123)과 타측에 형성된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개방부(111)의 직경은 코일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고정부(201)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상면고정부 결합홀(12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상면고정부 결합홀(121)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상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하면고정부(202)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하면고정부 결합홀(12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하면고정부 결합홀(122)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하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정면고정부(203)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정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배면고정부(204)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배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풀림기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상면고정부, 하면고정부, 정면고정부, 배면고정부는 탄력있는 벨크로로 형성되어 탈부착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상면고정부, 하면고정부, 정면고정부, 배면고정부는 상기 양측의 환형판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의 환형판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탄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판의 판부(110)의 상측에는 손잡이 결합홀(141,142)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21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판의 판부(110)에는 개방부(111)에 이웃한 부분에 말단고정홀(131)이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판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과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은 세로의 선형의 구멍이며, 아래쪽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두개의 환형판이 포개지도록 하여 작은 부피가 되도록 접을 수 있어 작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고 운반이 편리하고 환형판과 하면고정부에 의해 코일이 보호되므로 공사현장 등의 요철이 있는 바닥에서도 코일의 손상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환형판이 공사현장 바닥에 닿도록 엎어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선을 당길 때 넘어지지 않으며, 상면고정부와 하면고정부, 정면고정부, 배면고정부에 탄력이 있어 두개의 환형판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박스형태를 유지하므로 전선코일의 대부분이 풀려 남은 전선코일의 양이 적을 때에도 전선코일이 풀림기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손잡이를 구비하여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운반이 용이하고, 상면고정부를 벨크로로 형성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면고정부를 분리하기만 하면 코일을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고, 정면고정부 결합홀과 배면 고정부 결합홀을 아래쪽이 기울게 형성하여 정면고정부와 배면 고정부의 상부가 넓어져서 코일을 상면부에서 삽입할 때 쉽게 장착되도록 하며, 쉽게 말단고정홀을 구비하여 코일의 말단을 말단고정홀에 끼워서 코일을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1 내지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코일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면고정부(201)는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코일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면고정부(201)는 분리되어 상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전선코일(20)이 장착된 상태이며, 전선코일 말단부(21)가 말단고정홀(131)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전선코일(20)이 장착되어 바닥면에 놓여 전선코일 말단부(21)를 개방부(111)를 통해 뽑아올리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인 일측의 환형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 풀림기는 2개의 환형판(100)과 상면고정부(201), 하면고정부(202), 정면고정부(203), 배면고정부(204)를 포함한다. 아울러 손잡이(211,2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코일(20) 등의 코일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주된 목적은 코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코일을 풀어서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부가적으로 코일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거나 바닥에 거치할 때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환형판(100)은 본 코일 풀림기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환형판(100)에는 환형의 판부(110)와 중앙이 뚫린 개방부(111)와 상측에 형성된 상면고정부 결합홀(121)과 하측에 형성된 하면고정부(122)와 일측에 형성된 정면고정부 결합홀(123)과 타측에 형성된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이 형성되며, 이때 코일은 도4와 같이 안쪽 말단부에서부터 풀리도록 하고 코일의 꼬임이나 코일이 링형태로 한번에 풀리지 않도록 선형으로 풀리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개방부(111)의 직경이 코일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고정부(121,122,123,124)는 선형의 구멍으로 형성하여 면형태의 고정부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멍의 갯수는 3개로 하여 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환형판의 재질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하여 내부의 잔여 코일량을 멀리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환형판의 판부(110)의 상측에는 손잡이 결합홀(141,142)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21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판의 판부(110)에는 개방부(111)에 이웃한 부분에 말단고정홀(131)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코일을 풀지 않을 때는 도3과 같이 전선 코일 말단부(21)를 말단고정홀(131)에 끼워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면고정부(201)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상면고정부 결합홀(12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상면고정부 결합홀(121)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상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탄력있는 벨크로를 이용하였으며, 탄력이 있어서 2개의 환형판이 간격을 두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코일이 많이 사용되어 적은 양의 코일만 남았을 때도 코일이 꼬이지 않도록 본 코일 풀림기가 박스형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벨크로 재질로 형성되어 탈부착 방식으로 도2와 같이 분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손쉽게 코일을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상기 하면고정부(202)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하면고정부 결합홀(12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하면고정부 결합홀(122)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하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상면고정부(201)와 같은 재질과 구성을 채택하였다. 아울러 상기 하면고정부(202)는 코일의 하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므로 손잡이(211,212)를 이용하여 운반하다가 바닥에 세워서 거치할 때 코일의 하면부의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면고정부(203)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정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상면고정부(201)와 같은 재질과 구성을 채택하였다.
상기 배면고정부(204)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배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상면고정부(201)와 같은 재질과 구성을 채택하였다.
아울러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환형판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과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은 세로의 선형의 구멍이며, 아래쪽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하여 코일의 장착을 위해서 상면부를 통해 코일을 삽입할 때 정면고정부와 배면고정부가 코일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 코일을 상면을 통해 삽입하여 코일을 다 사용할 때까지 개방부(111)로 코일을 뽑아쓰며, 코일을 상면으로 다시 인출하여 탈거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 없이 보관하거나 유통할 때는 도5와 같이 환형판을 서로 포개지게 눌러서 작은 부피로 보관 유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 : 전선코일
21 : 전선코일 말단부
100 : 환형판
110 : 판부
111 : 개방부
121 : 상면고정부 결합홀
122 : 하면고정부 결합홀
123 : 정면고정부 결합홀
124 : 배면고정부 결합홀
131 : 말단고정홀
141 : 손잡이 결합홀
142 : 손잡이 결합홀
201 : 상면고정부
202 : 하면고정부
203 : 정면고정부
204 : 배면고정부
211 : 손잡이
212 : 손잡이

Claims (5)

  1. 원형 다발 형태의 전선코일(20)의 코일을 풀기 위한 코일 풀림기에 있어서,
    2개의 환형판(100)과 상면고정부(201), 하면고정부(202), 정면고정부(203), 배면고정부(204)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판(100)은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환형판(100)에는 환형의 판부(110)와 중앙이 뚫린 개방부(111)와 상측에 형성된 상면고정부 결합홀(121)과 하측에 형성된 하면고정부(122)와 일측에 형성된 정면고정부 결합홀(123)과 타측에 형성된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개방부(111)의 뚫린 중앙으로 코일의 말단이 뽑아져서 사용되며, 상기 개방부(111)의 직경은 원형 다발 형태의 코일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고정부(201)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상면고정부 결합홀(12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상면고정부 결합홀(121)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상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하면고정부(202)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하면고정부 결합홀(12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하면고정부 결합홀(122)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하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정면고정부(203)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정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배면고정부(204)는 일단부가 일측의 환형판(100)의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타측의 환형판(100)의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에 결합되어 2개의 환형판을 연결하며 코일의 배면부를 덮어서 고정하며,
    상기 상면고정부, 하면고정부, 정면고정부, 배면고정부는 탄력있는 벨크로로 형성되어 탈부착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상면고정부, 하면고정부, 정면고정부, 배면고정부는 상기 양측의 환형판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의 환형판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고, 눌렀을 때는 포개지도록 탄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풀림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판의 판부(110)의 상측에는 손잡이 결합홀(141,142)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21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풀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판의 판부(110)에는 개방부(111)에 이웃한 부분에 말단고정홀(13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풀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판의 정면고정부 결합홀(123)과 배면고정부 결합홀(124)은 세로의 선형의 구멍이며, 아래쪽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풀림기.


KR1020180035327A 2018-03-27 2018-03-27 코일 풀림기 Active KR10191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27A KR101917980B1 (ko) 2018-03-27 2018-03-27 코일 풀림기
PCT/KR2019/003505 WO2019190168A1 (ko) 2018-03-27 2019-03-26 코일 풀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27A KR101917980B1 (ko) 2018-03-27 2018-03-27 코일 풀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980B1 true KR101917980B1 (ko) 2018-11-12

Family

ID=6439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327A Active KR101917980B1 (ko) 2018-03-27 2018-03-27 코일 풀림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7980B1 (ko)
WO (1) WO20191901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28874C1 (ru) * 2023-12-16 2024-10-21 Иван Юрьевич Пугачев Размотчи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064B1 (ko) 2014-10-22 2016-03-09 박재홍 접이식 코일 풀림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582B2 (ja) * 1996-11-27 2001-07-23 阪堺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束の保持装置及び治具
KR200205243Y1 (ko) * 1998-08-21 2000-12-01 박석규 전선권취구
KR101154331B1 (ko) * 2010-03-10 2012-06-13 정혜민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064B1 (ko) 2014-10-22 2016-03-09 박재홍 접이식 코일 풀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28874C1 (ru) * 2023-12-16 2024-10-21 Иван Юрьевич Пугачев Размотчи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168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212B2 (en) Small hand carried barrel-shaped case for the storage and dispensing of spools of electrical wire
US20080023358A1 (en) Bucket and cord
EP1206013B1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arranging electric cables
KR101602064B1 (ko) 접이식 코일 풀림기
KR200471536Y1 (ko) 케이블드럼용 지그
KR101917980B1 (ko) 코일 풀림기
WO2011106181A1 (en) System for securing welding wire with a floating tie-down assembly; floating tie-down assembly for such system
KR20100104662A (ko)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
CN203911429U (zh) 电力线收纳装置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KR200478821Y1 (ko)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KR101538065B1 (ko) 구조가 간단한 재사용 케이블 타이
CN203845248U (zh) 接地线存放盒
CN204179543U (zh) 接地桩式接地线一体装置
JP6562206B2 (ja) 間接シート
KR200468209Y1 (ko) 용접 와이어용 릴의 보호캡 조립체
KR20090010185U (ko) 다양한 두께의 케이블드럼이 하나의 드럼봉에 설치되는케이블드럼봉
KR20190002889U (ko) 롤 케이블의 풀림 제지구
KR20080002668U (ko) 낚싯줄 스풀
KR101510819B1 (ko) 권취장치가 구비된 전자척 시스템
KR20220108311A (ko) 코일풀림기용 이동 대차
KR20150111039A (ko) 케이블 가방
KR101261504B1 (ko) 못으로 고정하지 않는 전선릴용 보호대
KR200472915Y1 (ko) 배선케이블용 릴 스톱퍼
JP5602258B2 (ja) 鳥害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