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6114B1 - Pipe Hanger - Google Patents

Pipe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114B1
KR101916114B1 KR1020160150395A KR20160150395A KR101916114B1 KR 101916114 B1 KR101916114 B1 KR 101916114B1 KR 1020160150395 A KR1020160150395 A KR 1020160150395A KR 20160150395 A KR20160150395 A KR 20160150395A KR 101916114 B1 KR101916114 B1 KR 10191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iece
mounting
pipe
piece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3050A (en
Inventor
강한표
Original Assignee
강한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표 filed Critical 강한표
Priority to KR102016015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14B1/en
Publication of KR2018005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는 체결편과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 또는 해제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밴드 중 고정되어 있는 제1 밴드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브래킷의 일단에 제1 장착편이 형성되고, 자유상태의 제2 밴드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장착편과 함께 체결가능한 제2 장착편과, 상기 제2 장착편의 상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3 장착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장착편, 제2 장착편 및 제3 장착편에는 각각 제1 장착공, 제2 장착공 및 제3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편과 제3 장착편에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잠금장치부가 설치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밴드에서 자유상태의 밴드를 분리하더라도 파이프가 바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파이프의 설치 및 해제를 볼트 체결방식이 아닌 원터치 방식으로 하여 작업성이 좋으면서도 파이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hanger for attaching a pipe to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and fastening the pipe. In the pipe hanger having a fastening piece and a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Wherein a first mounting piece is formed at one end of a support bracket formed at an upper end of a first band fixed to one of the two bands, And a third mounting piec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wherein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re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piece A second mounting hole and a third mounting hole ar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are fitted to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The first and second bands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ipe in such a manner that the pipe does not drop immediately even if the free band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and, The installation and disconnection are made by a one-touch method instead of the bolt fastening method, and the workability is good, but the pipe installation state is firmly maintained, thereby providing a safe effect.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행거{Pipe Hanger}{Pipe Hanger}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되어 있는 밴드에서 자유상태의 밴드를 분리하더라도 파이프가 바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파이프의 설치 및 해제를 볼트 체결방식이 아닌 원터치 방식으로 하여 작업성이 좋으면서도 파이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전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hanger for fixing a pipe by attaching to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hanger for piping which is secured by a simple one-touch method rather than a bolt fastening method.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상수관 및 옥내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각종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는 전산볼트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전산볼트의 하단에 파이프 행거를 장착하며, 파이프 행거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억류시켜 설치하게 된다.Generally, when installing various kinds of pipes used in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such as a water pipe or an indoor pipe, a bolt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 pipe hanger is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bolt, They are detained and installed.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반원형태의 밴드 내측으로 파이프를 삽입시킨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편의 양측부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속시킨다.Such a conventional pipe hanger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composed of a bolt and a nut. After inserting the pipe into the semicircular band, the pipe hanger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itting by using bolts and nuts.

이러한 구조를 갖는 파이프 행거는 파이프를 삽입시킨 후 이를 결속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조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볼트와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고 작업성이 안좋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인력낭비, 부실공사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The pipe hanger having such a structure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ipe from escaping by tightening the bolts and nuts to fasten the pipes after inserting the pipes. However, since the work of fastening and unscrewing the bolts and nuts is long and the workability is poor Furthermore, it causes problems such as waste of manpower and insolvency construction.

구체적으로,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반원형태의 밴드에 체결된 너트를 풀어 일측의 밴드를 분리시키고, 고정되어 있는 밴드와 자유상태의 밴드 사이로 파이프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파이프를 손으로 받쳐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된 밴드에 볼트를 끼운 후 나사결합시켜 주어야 하므로, 설치공정이 매우 까다로웠다. Specifically, in a conventional pipe hanger, when a pipe is installed, a nut fastened to a semicircular band is released to separate one band, and a pipe is pulled by hand in a state where a pipe is drawn between a fixed band and a free band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bolts into the separated bands while screwing them together, so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very difficult.

또한, 밴드가 완전반원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부가 수직선상에 위치하므로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손으로 지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band is formed in a completely semicircular shape and the end portion is located on the vertical lin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pipe must be supported by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pipe drawn into the inside from dropping.

한편, 볼트와 너트의 체결방식으로 인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탈착 방식으로 파이프를 설치하는 행거도 종래에 있었으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파이프의 무게 또는 반복되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부가 풀림 현상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파지력이 약해져 파이프가 뒤틀리거나 심지어는 탈락하는 경우의 문제가 야기되는바,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어 왔다. Conventionally, a hanger has been used to install a pipe in a detachable manner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bolt and nut fastening method.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fastening portion is loosened due to the weight of the pipe or repeated vib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ripping force is weakened and the pipe is twisted or even dropped, and measures have been demanded.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75533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5533.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14681호.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0-1468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안한 것으로, 고정되어 있는 밴드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여 고정되어 있는 밴드에서 자유상태의 밴드를 분리하더라도 파이프가 바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파이프의 설치 및 해제를 볼트 체결방식이 아닌 원터치 방식으로 하여 작업성이 좋으면서도 파이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전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having a fixed length,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ipe hanger for piping that is safe and safe becaus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ipe is maintained while the workability is good, by using a one-touch method instead of the bolt fastening method.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에는 체결편과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 또는 해제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밴드 중 고정되어 있는 제1 밴드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브래킷의 일단에 제1 장착편이 형성되고, 자유상태의 제2 밴드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장착편과 함께 체결가능한 제2 장착편과, 상기 제2 장착편의 상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3 장착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장착편, 제2 장착편 및 제3 장착편에는 각각 제1 장착공, 제2 장착공 및 제3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편과 제3 장착편에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잠금장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ing hanger for supporting or releasing a pipe by joining or separating two band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spectively, in which a fastening piece and a fastening hole are formed at the lower end, A first mounting piece is formed at one end of a support bracket formed at an upper end of a first band fixed to one of the bands and a second mounting piece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and in a free state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re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hole, a second mounting hole and a third mounting hole, respectively, in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re selectively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mounting hole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A pipe hanger for piping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joining or separating two band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부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끼워지며 상기 제2 장착편과 제3 장착편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고정구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삽입되며 상기 코일스프링과 제2 장착편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fixture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up-and-down direction while being hel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And a pressing member inserted in the fixing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hole and positioned between the coil spring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to compress the coil spring, . ≪ / RTI >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가 절곡형성되어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xture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is bent so that the fixture can be held by the operator without being detached while being held by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한편, 상기 제1 장착편, 제2 장착편 및 제3 장착편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절곡형성되며, 상기 제2 장착편은 상기 제2 밴드를 절개한 후 절곡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장착편과 제2 장착편의 결합 시 상기 제2 장착편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개공에 상기 제1 장착편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re bent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is bent after the second band is cut, And the first mounting piece is inserted into a cutt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when the second mounting piece is coupled.

또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제1 밴드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2 밴드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iece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band.

이 경우, 상기 체결편은 그 단부가 상기 제1 밴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수직선상보다 소정의 각도를 더 포함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상기 체결편에 얹혀지어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stening piece is formed such that its end portion is not locat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band, but is further form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dropping on the fastening pie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는 체결편이 형성된 제1 밴드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여 고정되어 있는 제1 밴드에서 자유상태의 제2 밴드를 분리하더라도 파이프가 바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교체나 설치작업 시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손으로 지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ip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band having the fastening piece is made longer, even if the second band in the free state is separated from the fixed first band,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pipe pulled in the inside during pipe replacement or installation work must be supported by a hand so as not to fall.

또한, 파이프의 설치 및 해제 시 고정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볼트 체결방식과 비교하여 적은 힘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can be joined or separated by moving the faste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pipe is installed and released, the pipe can be installed in a one-touch manner even with less force than the conventional bolt fastening method The worker can work more safely,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파이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파이프 행거가 풀리는 등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극복한 효과가 있다. Further, there is an effect of completely overcoming the problems such as the pipe hanger being loosened by firmly holding the pipe installation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상태를 순서대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ipe hanger for a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talled in a pipe hanger for a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talled in the pip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pe hanger for pi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iping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talled in a piping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밴드(10)(20)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 또는 해제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 상기 2개의 밴드 중 고정되어 있는 제1 밴드(10)의 상단에 제1 장착편(14)이 형성되고, 자유상태의 제2 밴드(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장착편(14)과 함께 체결가능한 제2 장착편(24)과, 상기 제2 장착편(24)의 상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3 장착편(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잠금장치부가 구비되는데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hanger for supporting or releasing a pipe by joining or separating two bands (10) and (20)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wherein a first band (10) A second mounting piece 24 which is fastened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piece 14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and 20 in a free state, A third mounting piece 22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iece 24 and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first band 10 and the second band 20 Feature.

상기 제1 밴드(10)는 상단에 형성된 지지브래킷(1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래킷(12)에는 전산볼트(도시안함)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뭉치(13)가 설치되어 고정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밴드(10)의 하단에는 체결편(11)이 형성된다. The first band 10 is formed with a support bracket 12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support bracket 12 is provided with a nut bundle 13 for fixing to a computerized bolt (not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and (10), a fastening piece (11) is formed.

상기 제1 장착편(14)은 제1 밴드(10)의 상단, 즉, 상기 지지브래킷(12)의 일단에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장착편(14)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12)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절곡형성된다. The first mounting piece 1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nd 10, that is, at one end of the supporting bracket 12. As shown in FIG. 1, the first mounting piece 14 is bent at one end of the supporting bracket 12 so as to be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제1 장착편(14)에는 상기 잠금장치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장착공(15)이 형성된다. The first mounting piece 14 is formed with a first mounting hole 15 for engaging with the locking device.

한편, 상기 제2 밴드(20)는 상기 제1 밴드(10)와 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을 상기 제1 밴드(10)와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파이프를 지지 또는 해제하는 것으로, 그 상단에 상기 제1 장착편(14)과 함께 체결가능한 제2 장착편(24)과, 상기 제2 장착편(24)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3 장착편(22)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체결편(11)이 삽입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된다. The second band 20 supports or releases the pipe by engaging or disengaging the upper end with the first band 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band 10 and the lower e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 second mounting piece 24 that can be fastened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piece 14 and a third mounting piece 22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are provided, A fastening hole 21 into which the fastening piece 11 is inserted is formed.

이러한 한 쌍의 밴드(10)(20)는 각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21)과 체결편(11)을 서로 엇갈리게 삽입시킴으로써 밴드의 하단을 결합하며, 상기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의 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14)(22)(24)들을 결합 또는 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 또는 해제하도록 한다. The pair of bands 10 and 20 join the lower ends of the bands by inserting the fastening holes 21 formed at the lower ends and the fastening pieces 11 in a staggered manner and the first bands 10 and the second bands 10, 22, 24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pipe 20 is engaged or disengaged to support or release the pipe.

상기 제2 장착편(24)과 제3 장착편(22)에도 각각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장착공(15), 제2 장착공(25) 및 제3 장착공(23)은 후술할 고정구(30)가 관통설치되어 각 장착편들을 결합해야 하므로, 상기 제1 장착공(15), 제2 장착공(25) 및 제3 장착공(23)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중심선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A second mounting hole 25 and a third mounting hole 23 are also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22. The first mounting hole 15, The first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ar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15,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5, respectively, The holes 23 should be formed on the same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장착편(14), 제2 장착편(24) 및 제3 장착편(22)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편(14)과 제3 장착편(22)은 각각의 밴드의 단부에 형성되므로, 각각의 밴드에서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에 비해 상기 제2 장착편(24)은 상기 제2 밴드(20)의 중간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2 밴드(20)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first mounting piece 14,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22 are bent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mounting piece 14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22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bands and thus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espective band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ounting pieces 2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band 20,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second band 20 is cut and then bent.

이와 같은 제2 장착편(24)은 상기 제2 밴드(20)를 절개한 후 절곡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장착편(24)의 하부에는 절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편(14)과 제2 장착편(24)의 결합 시 상기 절개공에 상기 제1 장착편(1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is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band 20 and then bent so that a cutt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The first mounting piece 14, And the first mounting piece 14 is inserted into the cut-out hole when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is coupled.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장착편(14)이 상기 제2 장착편(24)의 하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착편(24)의 하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장치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mounting piece 14 is tightly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more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To be coupled by a locking device.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체결편(11)은 그 단부가 상기 제1 밴드(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수직선상보다 소정의 각도를 더 포함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meantime, the fastening piec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its end portion is not locat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band 10, but is formed so as to includ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do.

즉, 상기 제1 밴드(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선상보다 좀더 위에 위치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밴드(10)의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상기 체결편(11)에 얹혀지어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 That is, the pip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band 10, so that the pip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band 10 is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fastening piece 11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는 체결편(11)이 형성된 제1 밴드(10)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여 고정되어 있는 제1 밴드(10)에서 자유상태의 제2 밴드(20)를 분리하더라도 파이프가 바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파이프 교체나 설치작업 시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손으로 지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pe hanger for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free second band 20 from the fixed first band 10 by making the length of the first band 10 formed with the fastening piece 11 longe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pip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pipe during the pipe replacement or installation work must be supported by the hand so as not to fall.

한편, 상기 잠금장치부는 제2 장착편(24)과 제3 장착편(22)에 설치되어 제1 장착편(14)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locking unit is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22, and serves to couple or separate the first mounting piece 14.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장치부는 상기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장착공(15)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uni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mounting hole (15)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unit is engaged with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10) and the second band (2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부는 상기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구(30)와, 상기 고정구(30)에 끼워지며 상기 제2 장착편(24)과 제3 장착편(22)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4)과, 상기 고정구(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홀(32)에 삽입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4)과 제2 장착편(24)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34)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코일스프링(34)을 압축시키는 가압부재(36)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unit includes a fixing hole 30 which is vertically movable while being fitted to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And a coil spring 34 inser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ounting pieces 24 and 22 and inserted into a fixing hole 32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hole 30, And a pressing member 36 positioned between the coil spring 34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34 to compress the coil spring 34.

여기서, 상기 고정구(30)는 상기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가 절곡형성되어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xture 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and is bent so as to be held by the operator without being separated while being held in a coupled state.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34)은 상기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장착편(24)과 제3 장착편(22)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단은 제3 장착편(22)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가압부재(36)에 지지되도록 한다. The coil spring 34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so that the coil spring 34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22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third mounting piece 22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pressing member 36. [

한편, 상기 가압부재(36)는 상기 코일스프링(34)과 제2 장착편(24)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34)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스프링(34)과 상기 제2 장착공(25)의 직경(크기)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The urging member 36 is positioned between the coil spring 34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and supports the coil spring 34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24 so as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34. [ (Size) of the mounting hole 25, as a matter of course.

이뿐 아니라, 상기 가압부재(36)는 상기 고정구(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홀(3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구(30)는 상기 가압부재(36)로 인해 상기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장착공(25)과 제3 장착공(2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sing member 36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30 so that the fixing member 30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and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hole 25 and the third mounting hole 23. [

이와 같은 고정구(30)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4)이 가압부재(36)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구(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fixture 30 is pulled upwards, the coil spring 34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36, and the fixture 30 can move upward.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상태를 순서대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S. 3 to 5 are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of installing a pipe in a pip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pe hanger for a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는 상기 제2 밴드(20)를 개방한 상태에서 파이프(1)를 제1 밴드(10)에 인입시킨 후 상기 제2 밴드(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를 결합시키는데, 상기 제2 밴드(20)를 회동시키면 상기 고정구(30)의 하단이 상기 제1 장착편(14)의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지 않는다. In the pip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pipe (1) is drawn into the first band (10) while the second band (20) is opened and then the second band The first band 10 and the second ban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second band 20 is rotated,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14 .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30)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코일스프링(34)이 가압부재(36)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구(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1 장착편(14)을 절개공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4, when the worker pulls the fixture 30 upward, the fixture 30 moves upward while the coil spring 34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36, The first mounting piece 14 can be inserted into the incision hole.

이후, 상기 고정구(30)를 잡았던 손을 놓으면 상기 코일스프링(34)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고정구(30)가 원위치로 내려오게 되므로, 상기 고정구(30)가 제1 장착편(14)의 장착공(15)에 삽입되어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hand holding the fixture 30 is released, the fixture 30 comes down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34, so that the fixture 30 is fitted to the first fixture 14 So that the first band 10 and the second band 20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15.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는 상기 고정구(30)의 하단이 제1 장착편(14)의 장착공(15)에 삽입되어 하부로 더 돌출되므로, 상기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의 결합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ip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5 of the first mounting piece 14 and protrudes further downward, the first and second bands 10, The bonding state of the band 20 can be maintained extremely firmly.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구(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1 밴드(10)와 제2 밴드(2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볼트 체결방식과 비교하여 적은 힘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and 10 and the second band 20 can be joined or separated by the operation of moving the fastene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olt fastening metho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ipe in a safe manner,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코일스프링(34)의 탄발력에 의해 파이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파이프 행거가 풀리는 등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극복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completely overcoming the problems such as the pipe hanger being loosened by firmly holding the pipe installation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34.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 제1 밴드 11: 체결편
12: 지지브래킷 13: 너트뭉치
14: 제1 장착편 15: 제1 장착공
20: 제2 밴드 21: 체결공
22: 제3 장착편 24: 제2 장착편
30: 고정구 32: 고정홀
34: 코일스프링 36: 가압부재
10: first band 11: fastening piece
12: support bracket 13: nut bundle
14: first mounting piece 15: first mounting piece
20: second band 21: fastening hole
22: third mounting piece 24: second mounting piece
30: fixture 32: fixed hole
34: coil spring 36: pressing member

Claims (6)

하단에는 체결편과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 또는 해제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밴드 중 고정되어 있는 제1 밴드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브래킷의 일단에 제1 장착편이 형성되고,
자유상태의 제2 밴드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장착편과 함께 체결가능한 제2 장착편과, 상기 제2 장착편의 상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3 장착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장착편, 제2 장착편 및 제3 장착편에는 각각 제1 장착공, 제2 장착공 및 제3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편과 제3 장착편에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잠금장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부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끼워지며 상기 제2 장착편과 제3 장착편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고정구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삽입되며 상기 코일스프링과 제2 장착편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A pipe hanger for supporting or releasing a pipe by joining or separating two bands which are formed with a fastening piece and a fastening hole respectively and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 first mounting piece is formed at one end of a support bracket formed at an upper end of a first band fixed among the two bands,
A second mounting piece which is fastenable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piece at an upper end of a second band in a free state and a third mounting piec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A first mounting hole, a second mounting hole, and a third mounting hole ar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re selectively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mounting hole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A locking device unit for separating is provided,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fixture installed movab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A coil spring fitted to the fixture and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nd
A pressing member inserted in a fixing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ture and positioned between the coil spring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to compress the coil spring; Wherein the pipe hanger compris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장착공과 제3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가 절곡형성되어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ture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B' so that the fixture can be held by the operator without being detached while being held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the third mounting hole. hang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편, 제2 장착편 및 제3 장착편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절곡형성되며,
상기 제2 장착편은 상기 제2 밴드를 절개한 후 절곡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장착편과 제2 장착편의 결합 시 상기 제2 장착편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개공에 상기 제1 장착편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unting piece, the second mounting piece, and the third mounting piece are bent to b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mounting piece is bent and formed after the second band is cut so that the first mount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utting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wh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ieces are engaged Features a pipe hanger for pip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제1 밴드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2 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ie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an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그 단부가 상기 제1 밴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수직선상보다 소정의 각도를 더 포함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상기 체결편에 얹혀지어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astening piece is elongated such that an end thereof is not locat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a center axis of the first band but further include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and a pip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band, Wherein the pipe hanger is mounted on the pipe hanger so as not to fall.

KR1020160150395A 2016-11-11 2016-11-11 Pipe Hanger Active KR101916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95A KR101916114B1 (en) 2016-11-11 2016-11-11 Pipe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95A KR101916114B1 (en) 2016-11-11 2016-11-11 Pipe 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50A KR20180053050A (en) 2018-05-21
KR101916114B1 true KR101916114B1 (en) 2018-11-07

Family

ID=6245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95A Active KR101916114B1 (en) 2016-11-11 2016-11-11 Pipe 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30B1 (en) 2021-10-26 2022-05-17 (주)양수금속 Longitudinal/Lateral Sway Brace for Narrow Space
KR102753010B1 (en) 2023-12-04 2025-01-14 (주)건일엠이씨 Pipe Hanger for Building Plumb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3514B2 (en) * 2017-06-20 2020-08-25 Paccar Inc Interlocking pipe suppo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258A (en) * 2011-05-10 2012-12-06 Hitachi Cable Ltd Cable clam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60Y1 (en) * 2009-04-06 2011-08-2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ipe ha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258A (en) * 2011-05-10 2012-12-06 Hitachi Cable Ltd Cable cla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30B1 (en) 2021-10-26 2022-05-17 (주)양수금속 Longitudinal/Lateral Sway Brace for Narrow Space
KR102753010B1 (en) 2023-12-04 2025-01-14 (주)건일엠이씨 Pipe Hanger for Building Plumb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50A (en)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KR101916114B1 (en) Pipe Hanger
US8596589B2 (en) Attachable grommets for hanging pipes
KR101825017B1 (en) The pipe hanger clamp for H-beam construction
CN101755160A (en) Clip and seismic sway brace
CN110026947B (en) Tool for fastening bolt of angle steel flange air pipe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0439706Y1 (en) Pipe hangers for plumbing
KR101095818B1 (en) Pipe hangers for plumbing
KR101645922B1 (en) Pipe Hanger
KR200455260Y1 (en) Pipe hanger
KR200446638Y1 (en) Pipe hangers for plumbing
KR20080085348A (en) Pipe hanger clamp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102489025B1 (en) Construction Plumbing Saddle
KR20160004142A (en) a pipe hanger of pipe arrangement
KR101370455B1 (en) Functional clamp
KR100666012B1 (en) Drainage pipe support device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apartment house
KR101576742B1 (en) Side Bracket for Fixing Sprinkler Joint
JP4002665B2 (en) Vertical bolt support
EP1914461A1 (en) System for securing pipes to a supporting structural element
KR20180054214A (en) Steel reinforcing coupler
KR200489405Y1 (en) A customized fixing tool for installation of safety nets
KR102799460B1 (en) Pipe Hanger
KR101538269B1 (en) Easy attachment type duct hanger
KR101031544B1 (en) Pipe hangers for plum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