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2371B1 -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71B1
KR101912371B1 KR1020180031661A KR20180031661A KR101912371B1 KR 101912371 B1 KR101912371 B1 KR 101912371B1 KR 1020180031661 A KR1020180031661 A KR 1020180031661A KR 20180031661 A KR20180031661 A KR 20180031661A KR 101912371 B1 KR101912371 B1 KR 10191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packing
terminated
vinylmethylsiloxane
c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태
이한철
Original Assignee
류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병태 filed Critical 류병태
Priority to KR102018003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B29C47/000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09K3/1018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silicon lin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또는 공업용 배관, 소방시스템 파이프로 사용되는 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silicone packing)을 성형 함에 있어서 실리콘 패킹은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로 이루어져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특성이 안정되어 연속 가능하도록 내열성을 갖으며, 비결정성이고 온도 의존성이 적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고무에 비해 우수한 내한성을 갖으며, 장시간 물에 침전되거나 스팀에 접촉하여도 거의 물성변화가 없도록 하여 내열성을 갖는 실리콘 패킹을 제공할 수 있는 하는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Method and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ilicone packing for piping joint}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배관 또는 공업용 배관, 소방시스템 파이프로 사용되는 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silicone packing)을 성형함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를 주 조성물로 한 것으로,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1 실리콘 수지와,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인 제2 실리콘 수지와, 이산화규소와,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인 제4 실리콘 수지와,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인 제5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준비하여 가열 프레스로 실리콘 패킹을 형성하여 기계적 성질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구성, 내열성, 내한성을 갖도록 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용, 하수도용, 공업용, 농업용의 합성수지 관을 연결시 합성수지 관 사이에는 연결 소켓을 이용한 관 연결 이음장치가 사용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관과 관을 연결시키는 관 연결 이음장치는 소켓 등 다양한 형상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관 연결 이음장치 내부에는 다양한 패킹이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패킹의 종류는 고무패킹, 합성수지 패킹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제품은 외부환경의 계절적인 온도와 매설된 지반의 환경에 따라서 물성의 변화가 발생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시 신축성이 떨어져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무패킹과 합성수지 패킹을 제조시 신축성이 있도록 제작하면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떨어지고,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면 신축성과 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 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645호(공개일자 2011년02월18일)의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이하 " 선행기술 1"이라한다)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강관 또는 합성수지관(10)의 한쪽 끝부분에 확관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102)에 패킹홈(103)을 형성하여 패킹(110)의 삽입으로 관체(11)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에 있어서,
상기 외경에 경사면(121)이 형성된 끝부분에 고정돌기(122)가 설치되는 푸셔(120)와;
상기 푸셔(12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관체(11)의 외경에서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110)으로 이루어진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이 개시되어있다.
이와 같이 된 선행시술 1은 PVC, PP, PE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재질로 성형한 상하수도관용 합성수지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이 삽입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을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푸셔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합성수지관을 고정시키면서 분리를 방지하고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수밀을 유지하는 패 킹과 이를 밀어주는 푸셔를 결합하여 관연결시 푸셔가 패킹을 밀어 수밀을 유지하는 구조이나 이는 장기간 사용시 상기에서 설명함 바와 같이 패킹 또는 푸셔에 신축성과 탄성이 떨어지면 틈이 발생되어 수밀을 유지하지 못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예시는 한가지만 설명하였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관 연결 패킹은 다수의 종류가 있으며 모두 구조적으로 수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재질과 재질에 따른 물성은 모두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 할 것이며, 패킹의 재질에 대한 문제점 역시 동일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6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리콘 패킹을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로 성형하여 기계적 성질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프레스시 치수 균일하여 규격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질김성과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갖도록하여 기존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내수성과 내열성 및 내한성이 떨어져 관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패킹의 수명을 길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조성물은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 CAS No 68083-19-2)인 제1 실리콘 수지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Vinyl terminated ; 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와, ⒞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 CAS No 7631-86-9)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Hydroxy terminated Silicone ; 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Silanol terminated ; CAS No 67923-19-7)인 제5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내수성과 내열성 및 내한성, 무독성, 내후성, 신축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시 패킹의 신축성이 떨어져 관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패킹의 수명을 길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특성이 안정되어 연속 가능하도록 내열성을 갖는 효과와, 비결정성이고 온도 의존성이 적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고무에 비해 우수한 내한성을 갖는 효과와, 장시간 물에 침전되거나 스팀에 접촉하여도 거의 물성변화가 없도록 하여 내열성을 갖는 효과와, 분자중 탄소비율이 낮아 절연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연소되어도 절연성물질인 실리카가 남게되어 절연체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실리콘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킹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리콘 기계적 성질시험 성적서이며,
도3, 도4, 도5는 본 발명의 위생안전기준 용출 성적서를 나타낸 것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실리콘 패킹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을 관 연결부에 적용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형태의 실리콘 패킹이 사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실리콘 패킹 조성물 준비단계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 CAS No 68083-19-2)인 제1 실리콘 수지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Vinyl terminated ; 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와,
⒞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 CAS No 7631-86-9)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Hydroxy terminated Silicone ; 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Silanol terminated ; CAS No 67923-19-7)인 제5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준비한다.
제2공정: 준비된 실리콘 패킹을 혼합 및 배합 단계
상기 준비된 실리콘 패킹 조성물 중
제1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제2 실리콘 수지 40∼50중중량%와, 이산화규소 15∼25중량%와, 제4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제5 실리콘 수지 1∼9중량%를 배합기에 넣고 배합한다.
이때 배합된 실리콘 패킹 조성물은 겔 형태의 고상이다.
상기 제1공정에서 준비된 각각의 실리콘 패킹 조성물은 계량용기의 영점을 설정하고, 상기 계량용기에 일정량의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계량하여 배합기에 넣고 천천히 교반시켜 배합하여 골고루 혼합되도록 한다.
제3공정: 배합된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열 프레스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배합기에 계량 배합된 실리콘 배합물을 열 프레스에 널고 가압하여 만들고자 하는 성형물의 형상 및 모양으로 실리콘 패킹을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 성형되는 실리콘 패킹은 어느 하나의 형성 모양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관과 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실리콘 패킹은 조성물의 혼합 비율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성형된 실리콘 패킹의 물성은 변화가 없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제4공정: 검수공정
상기 성형된 실리콘 패킹 제품의 사상 및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실시하여패킹 성형을 완성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또는 공업용 배관, 소방시스템 파이프로 사용되는 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silicone packing)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CAS No 68083-19-2)인 제1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 40∼50중량%와,
⒞ 이산화규소(CAS No 7631-86-9) 15∼25중량%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7923-19-7)인 제5 실리콘 수지 1∼9중량%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구성한다.
<실시예 2>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CAS No 68083-19-2)인 제1 실리콘 수지 15∼30중량%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 40∼55중량%와,
⒞ 이산화규소(CAS No 7631-86-9) 20∼29중량%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 1∼10중량%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로 구성된다.
<실시예 3>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 55∼63중량%와,
⒝ 이산화규소(CAS No 7631-86-9) 30∼40중량%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 1∼5중량%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7923-19-7)인 제5 실리콘 수지 1∼5중량%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로 구성된다.
<실시예 4>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CAS No 68083-19-2)인 제1 실리콘 수지 25∼35중량%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이산화규소(CAS No 7631-86-9) 30∼40중량%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CAS No 67923-19-7)인 제5 실리콘 수지 1∼9중량%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구성한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또는 공업용 배관, 소방시스템 파이프로 사용되는 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silicone packing)을 성형함에 있어서, 관의 용도에 따른 여러가지 조건을 가정하여 실리콘 조성물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1의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패킹을 시료로하여 시험을 하였다.
1. 내열성 실험: 열 시험측정으로 간접가열방식으로 드라이 오븐에서 250℃∼315℃까지 순차적으로 온도를 올려 60분 이상 장시간 실시하였으나 실리콘 패킹의 외현적인 변형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2. 내한성 실험: -55℃∼-70℃까지 온도를 내려 60분 이상 장시간 유지한 결과 탄력성을 유지하였으며 이는 비결정성이고 온도의 의존성이 적기 때문에 기존의 고무재질에 비하여 내한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무독성 실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 연구원에서 시험한 결과 표2 및 표3에서와 같이 잔류염소의 감량, 나트륨, 염소이온, 증발잔류물, 포름알데히드 만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고 나머지는 불검출됨.
4. 내후성 시험: 내오존성이 매우 뛰어나 코로나 방전으로 발생하는 오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시간 자외선이나 비바람에 노출되어도 물성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내열수성 시험: 장시간 물에 침전되거나 스팀에 접촉하여도 거의 물성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 실험은 수도관 연결후 수밀 패킹으로 사용시 먹는 물과 장시간 접촉됨으로 인하여 유해물질이 발생될 경우 이는 사람이 먹게 됨으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은 수도관 등에 사용되며 고온에서도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특성이 안정되어 150℃ 이상 300℃까지 열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비결정성이고 온도 의존성이 적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고무에 비해 우수한 내한성(-55℃∼-70℃)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에 대한 기계적 성질을 살펴보면 아래의 표1과 같다.
Figure 112018027400938-pat00001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에 대한 경도, 인장강도, 연신율, 신장율과 내열에 대한 노화시험을 한 결과 미국수도협회, EM규격, 산업자원부(KS M 6613)에서 정한 규격에 비하여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표1에 기재된 미국 수도협회, EM규격, 산업자원부 규격은 고무링을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서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본원 발명의 실리콘패킹이 고무제의 패킹에 비하여 경도, 인장강도, 연신율, 수축성(줄어듬), 경도변화 인장강도율변화율, 연신율변화 등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내열성 시험에 따른 노화시험을 살펴보면, 경도변화 2, 인장강도변화율 -0.1, 연신율변화 -3인데 반하여, 산업자원부에서 규정한 경도+7, 인장강도변화율 -20, 연신율 +10 -30임을 알 수 있는바, 이는 본원 발명의 실리콘 패킹이 기존의 고무제 패킹에 비하여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연신율변화에서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은 수도관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위생적으로 안전해야 함으로 이를 분석한 위생안전 기준값 대비 본원 발명의 실리콘 패킹을 대비하여 살펴보면 아래의 표2 및 표3과 같다.
Figure 112018027400938-pat00002
Figure 112018027400938-pat00003
상기 표2와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의 실리콘 시편을 검사한 결과 수은 0.43㎎/L, 질산성 질소 및 아질산성 질소 0.56㎖/L, 사염화탄소 0.60.56㎖/L, 1,2-디클로로에탄 90.56㎖/L, 페놀류 0.0050.56㎖/L으로 기준치에 비하여 상당히 낮게 나왔으며 그 외는 모든 항목에서 불검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은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 패킹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는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 패킹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는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Vinyl terminated)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 패킹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는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Hydroxy terminated Silicone)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 패킹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는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Silanol terminated)의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리콘 기계적 성질시험 성적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본원 발명의 실리콘 패킹에 대한 기계적성질시험을 한 것으로서 노화시험에 있어서 스프링경도의 변화 2, 인장강도변화율 -0.1, 신장변화(연신율으로) -3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이는 기존의 고무패킹에 비하여 월등한 효과가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3, 도4, 도5는 본 발명의 위생안전기준 용출 성적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상기 표2 및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먹는 수돗물과 실리콘 패킹이 접촉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대부분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일부에 미량이 검출되는 것으로 이는 법적인 제한 규정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안전기준에 적함 한것 임을 알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실리콘 패킹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것으로서, 상수도용, 하수도용, 공업용, 농업용 또는 소방시스템 파이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관을 연결시 합성수지 관 사이에는 연결 소켓에 실리콘 패킹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도4와 같이 관과 관이 접속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은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특성을 갖는 동시에 내열성, 내한성을 갖는 효과와, 장시간 물에 침전되거나 스팀에 접촉하여도 거의 물성변화가 없도록 하여 내열성을 갖는 효과와, 분자중 탄소비율이 낮아 절연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연소되어도 절연성 물질인 실리카가 남게되어 절연체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실리콘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도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실리콘 패킹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실리콘 패킹의 외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 관과 관을 연결시 연결관 단부가 실리콘 패킹 내부 경사면을 밀고 들어가는 동시에 외주면에 복수로 형성된 홈이 오므라들면서 대응되는 다른 관내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 수밀을 견고하게 유지도록 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리콘 패킹을 관 연결부에 적용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관과 관의 연결부에 끼워진 실리콘 패킹은 신출율이 양호한 관계로 밀착되어 틈이 발생되지 않아 수밀이 이루어진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형태의 실리콘 패킹이 사용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른 형태의 패킹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실리콘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또는 공업용 배관, 소방시스템 파이프로 사용되는 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silicone packing)을 성형토록 함으로서 기계적 성질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구성, 내열성, 내한성을 갖도록 한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0,10':실리콘 패킹 11a:외부경사면
11b: 내부경사면 12:몸체
13: 홈 14a, 14b:관
15:관 이음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실리콘 패킹 조성물이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1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인 제2 실리콘 수지 40∼50중량%와,
    ⒞ 이산화규소 15∼25중량%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인 제4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인 제5 실리콘 수지 1∼9중량%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조성물.
  7.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Vinyl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 CAS No 68083-19-2)인 제1 실리콘 수지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Vinyl terminated ; CAS No 68083-18-1)인 제2 실리콘 수지와, ⒞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 CAS No 7631-86-9)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Hydroxy terminated Silicone ; CAS No 70131-67-8)인 제4 실리콘 수지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Vinylmeth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 Silanol terminated ; CAS No 67923-19-7)인 제5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리콘 수지 혼합물 내지 제5 실리콘혼합물을 계량용기의 영점을 설정하고, 상기 계량용기에 일정량의 혼합하여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준비하되, ⒜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1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인 제2 실리콘 수지 40∼50중량%와, ⒞ 이산화규소 15∼25중량%와, ⒟ 하이드록시 말단 실리콘인 제4 실리콘 수지 10∼20중량%와, ⒠ 실란올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인 제5 실리콘 수지 1∼9중량%가 되도록 계량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패킹 조성물을 배합기에 넣고 배합한 후 이의 배합물을 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정 형상 및 모양으로 실리콘 패킹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실리콘 패킹 제품의 사상 및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KR1020180031661A 2018-03-19 2018-03-19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Active KR101912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61A KR101912371B1 (ko) 2018-03-19 2018-03-19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61A KR101912371B1 (ko) 2018-03-19 2018-03-19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371B1 true KR101912371B1 (ko) 2018-10-26

Family

ID=6409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661A Active KR101912371B1 (ko) 2018-03-19 2018-03-19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599A (ko) * 1999-12-21 2001-07-07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충전된 실리콘 조성물의 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배합시스템
KR20110016645A (ko) 2009-08-12 2011-02-18 김학건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
JP4921667B2 (ja) * 1999-12-21 2012-04-25 モー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インク 充填材配合シリコーン組成物のコンパウンディング
KR20160043184A (ko) * 2014-10-10 2016-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9155B1 (ko) * 2011-01-20 2018-01-1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 실리콘 고무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한 마그네슘 화합물의 사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599A (ko) * 1999-12-21 2001-07-07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충전된 실리콘 조성물의 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배합시스템
JP4921667B2 (ja) * 1999-12-21 2012-04-25 モー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インク 充填材配合シリコーン組成物のコンパウンディング
KR20110016645A (ko) 2009-08-12 2011-02-18 김학건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
KR101819155B1 (ko) * 2011-01-20 2018-01-1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 실리콘 고무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한 마그네슘 화합물의 사용
KR20160043184A (ko) * 2014-10-10 2016-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9202A (en) Elastomer seal
EP0132834A2 (en) Thermoplastic fluoroelastomer composition
CN105860179B (zh) 橡胶密封制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0928315B1 (en) Improved polymer reinforced fluid seal
AU2003200814B2 (en) Compositions based on polyvinylidene fluoride
KR101912371B1 (ko) 배관 이음관용 실리콘 패킹 제조방법 및 조성물
AU734733B2 (en) Flexible and tough poly(vinylidene fluoride)-based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 of preparation
TW577853B (en)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critical fluids
US9453577B2 (en) Variable Tg article, method of making, and use of same
KR100817979B1 (ko) 저온 열수축 튜브 제조용 조성물 및 저온 열수축 튜브
Kass et al. Compatibility assessment of elastomer materials to test fuels representing gasoline blends containing ethanol and isobutanol
He et al. Investigation of the low‐temperature properties and oil resistance of peroxide‐cured epichlorohydrin rubber and nitrile butadiene rubber blends
AU2016299374B2 (en) Fluorinated polymer composition
JP2019199549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シール材
DK202430041A1 (en) Polymer blends for use in wellbore applications
KR101799547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선박엔진 오링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엔진용 오링
JP2005350654A (ja) 目地材及びガスケット
JPH0912785A (ja) ポリオレフィンパイプ
JP2008106131A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品
JP3563884B2 (ja) パッキン
JP2850085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JP4052519B2 (ja) 耐火二層管継手
JPH02166135A (ja) ポリ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
KR20230153561A (ko) 압착식 연결관 수밀 실리콘고무패킹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JP2015013972A (ja) フッ素ゴム系シール材用組成物およびフッ素ゴム系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