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065B1 -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2065B1 KR101912065B1 KR1020180035090A KR20180035090A KR101912065B1 KR 101912065 B1 KR101912065 B1 KR 101912065B1 KR 1020180035090 A KR1020180035090 A KR 1020180035090A KR 20180035090 A KR20180035090 A KR 20180035090A KR 101912065 B1 KR101912065 B1 KR 101912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idity
- heat
- air
- heat exchanging
- heat trans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6 thermoelec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항온항습 환경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지하고, 항온항습 환경으로 토출되는 항온항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fluctuation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discharg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and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항온항습장치란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주로 전산실, 정밀측정실, 정밀부품 가공실, 박물관, 반도체 제조현장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is design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building constantly. It is mainly used in many fields such as computer room, precision measuring room, precision parts processing room, museu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ite.
이러한 항온항습장치는, 항온항습공간으로 항온항습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및 실내기에서 흡엽된 열을 항온항습공간 외측으로 방열하는 실외기로 구성되고; 실내기에는 증발기, 히터 및 가습기가 내장되며; 실외기에는 콘덴서 및 압축기등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Such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pparatus comprises an indoor unit for discharg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in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and an outdoor unit for dissipating heat absorbed from the indoor unit to the outside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The indoor unit is equipped with an evaporator, a heater and a humidifier; And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그런데 상기한 항온항습장치에 있어서, 토출하는 공기를 항온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은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냉매라인을 경유하는 열매체를 증발시키고 압축하는 물리적 과정에서 열매체 잠열을 흡열하고 방열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항온온도로 세팅하더라도 온도의 변동(fluctuation), 즉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세팅된 항온온도 사이에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되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stant-temperature and constant-humidity device, the process of keeping the discharged air at a constant temperature is performed by absorbing and dissipating the latent heat of the heat medium in the physical process of evaporating and compressing the heat medium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lin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herefore,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set to a specific constant temperature, a slight error occurs between the fluctuation of the temperature,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set constant temperature.
또한 항온항습공간이 특정 항온 습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세팅하여도, 냉방이 되는 동안에 습도가 낮아지므로 특정 습도가 되도록 가습기를 정밀제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특정 항습습도로 세팅하더라도 습도의 변동, 즉 토출되는 공기의 습도와 세팅된 항습습도 사이에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되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is set so as to be maintained at a specific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humidifier so that the humidity becomes low during the cooling. Therefore, A slight error occurred between the humidity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set humidity and humidity.
즉, 항온항습장치를 특정 온도 및 습도로 세팅하더라도 현실적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의 변동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제조공정에서 사용될 경우 제조되는 제품에서 불량이 발생되거나, 또는 실험실에서 얻어지는 데이터값에서 오차가 발생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is set to a specific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discharged air are fluctuated. Therefore, when the device is used in a manufacturing process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Or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data value obtained in the laborator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설정된 항온온도 및 항습습도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사이에서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고품질의 항온항습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항온항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high qual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by minimizing an error between a se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of discharged ai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장치는,
항온항습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토출구(11a)가 형성된 실내기본체(11)와, 상기 실내기본체(11)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2)와, 열매체의 증발에 의하여 상기 필터(12)를 경유한 공기에서 잠열을 흡열하기 위한 증발기(13)와, 상기 증발기(13)를 경유한 공기로 증기를 공급하는 가습기(14)와, 상기 증발기(13)를 경유한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히터(15)와, 상기 증발기(13), 가습기(14) 및 히터(15)에 의하여 항온항습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1a)로 토출하는 송풍팬(16)을 포함하는 실내기(10); 상기 항온항습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실외기본체(21)와, 상기 실외기본체(2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증발기(13)를 경유한 열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22)와. 상기 압축기(22)에 의하여 압축된 상기 열매체가 경유하면서 잠열을 방출하는 콘덴서(23)와, 상기 콘덴서(23)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실외기본체(21)로 방출하는 방열팬(26)을 포함하는 실외기(20); 및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항온항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 변동(fluctu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펠티어소자(110) 및 제1,2가습관(150)(160)을 가지는 서브항온항습기(1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항온항습기(100)는, 중간에 배치된 상기 펠티어소자(110)와;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와; 상기 제1열교환부(120)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일측면 테두리에 맞물리게 연결된 것으로서, 전단에 제1유로(B)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141)과; 상기 제2열교환부(130)가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타측면 테두리에 맞물리게 연결된 것으로서, 전단에 제2유로(C)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142)과; 상기 제1하우징(14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1통공(151)이 형성된 상기 제1가습관(150)과; 상기 제2하우징(142)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2통공(161)이 형성된 상기 제2가습관(160)과; 상기 제1하우징(141)의 선단과 상기 제2하우징(142)의 선단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제1유로(B)와 제2유로(C)가 만나는 혼합공간(D)이 형성된 합체하우징(143)와; 상기 합체하우징(143)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혼합공간(D)에서의 혼합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stant temperature /
A
The sub-thermo-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41)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송풍을 위한 제1서브송풍팬(144) 및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B)의 공기 유동을 정지시키는 셔터 형태의 제1개폐부(14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142)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송풍을 위한 제2서브송풍팬(146) 및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로(C)의 공기 유동을 정지시키는 셔터 형태의 제2개폐부(147)를 더 포함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일면에 접합 설치된 제1열전달판(121) 및 상기 제1열전달판(121)에서 외부로 돌출된 핀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1열전달핀(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타면에 접합 설치된 제2열전달판(131) 및 상기 제2열전달판(131)에서 외부로 돌출된 핀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2열전달핀(132)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습관(150)은,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제1열전달핀(122)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1열전달판(121)과 제1열전달핀(12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에서 폭이 넓어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제1통공(15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가습관(160)은,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제2열전달핀(132) 사이의 공간에서 제2열전달판(131)과 제2열전달핀(13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에서 폭이 넓어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제2통공(16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10) 및 실외기(20)를 이용하여 항온항습공기를 발생함으로써 항온항습공간을 구현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서브항온항습기(100)를 작동시켜 설정된 공기의 항온온도와 항습습도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항온항습 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항온항습 환경에서 제조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거나, 실험실에서 데이터 오차값을 최소화함으로써 실험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can be realized by generating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using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실내기의 도면,
도 3은 도 1의 실내기에 설치되는 서브항온항습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서브항온항습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1,
FIG. 3 is an excerpt of a sub-thermo-hygrostat provided in the indoor unit of FIG. 1,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sub-thermo-hygrostat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내기의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실내기에 설치되는 서브항온항습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1, FIG. 3 is an excerpt of a sub-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본원발명의 항온항습기장치는, 항온항습공간으로 항온항습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10)와, 실내기(10)에서 흡열된 열을 항온항습공간 외측으로 방열하는 실외기(20)와, 실내기(10)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항온항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 변동(fluctu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한 서브항온항습기(100)를 포함한다. The
실내기(10)는, 항온항습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기본체(11)와, 실내기본체(11)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2)와, 필터(12)를 경유한 공기에서 잠열을 흡열하기 위한 증발기(13)와, 증발기(13)를 경유한 공기로 증기를 공급하는 가습기(14)와, 증발기(13)를 경유한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히터(15)와, 증발기(13), 가습기(14) 및 히터(15)에 의하여 항온항습된 공기를 실내기본체(11)의 토출구(11a)로 토출하는 송풍팬(16)과, 공기를 항습습도로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부로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라인(미도시)등을 포함한다. The
가습기(14)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공급관(14a)과 연결되어, 공기를 항습습도로 유지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는다. The
실외기(20)는, 항온항습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실외기본체(21)와, 증발기(13)를 경유한 열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22)와. 압축기(22)에 의하여 압축된 열매체가 응축되어 잠열을 방출하는 콘덴서(23)와, 콘덴서(23)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실외기본체(21)로 방출하는 방열팬(26)을 가진다. The outdoor unit (20) includes an outdoor unit main body (21) disposed outside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a compressor (22) for compressing the heating medium via the evaporator (13) A
서브항온항습기(100)는, 실내기(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출구(11a)로 토출되는 항온항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의 변동((fluctuation)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하여, 서브항온항습기(100)는, 중간에 배치된 펠티어소자(110)와; 펠티어소자(1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와; 제1열교환부(120)를 둘러싸고 펠티어소자(110)의 일면 테두리에 맞물리게 설치되며, 전단에 제1유로(B)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141)과; 제2열교환부(130)를 둘러싸고 펠티어소자(110)의 타면 테두리에 맞물리게 설치되며, 전단에 제2유로(C)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142)과; 제1하우징(141)을 관통하고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 제1가습관(150)과; 제2하우징(142)을 관통하고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 제2가습관(160)과; 제1하우징(141)의 선단과 제2하우징(142)의 선단이 결합되고, 제1유로(B)와 제2유로(C)가 만나 내부에 혼합공간(D)을 형성하는 된 합체하우징(143)과; 합체하우징(143)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170);를 포함한다.The sub thermo-
펠티어소자(110)는 N, P형의 열전 반도체를 전기적으로 직렬연결하고, 열적으로는 병렬이 되도록 연결한 모듈의 형태를 갖는 소자로서, 소자 양단에 전류를 인가하면 저온의 일면에서 열을 흡수하고 고온의 타면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전현상(Thermoelectric effect)을 갖는 소자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각각 저온 또는 고온의 면을 구현한다. The Peltier
이러한 펠티어소자(11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1열교환부(120)의 방향으로의 일면은 저온으로 구현되고, 제2열교환부(130)의 방향으로의 타면은 고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펠티어소자(110)의 일면과 타면은 저온과 고온을 서로 변경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Peltier
제1열교환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펠티어소자(110)의 일면에 접합 설치된 제1열전달판(121) 및 제1열전달판(121)에서 외부로 돌출된 핀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1열전달핀(122)을 포함한다. 4, the first
제2열교환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제1열교환부(120)에 대응하여 펠티어소자(110)의 타면에 접합 설치된 제2열전달판(131) 및 제2열전달판(131)에서 외부로 돌출된 핀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2열전달핀(132)을 포함한다. 4, the second
상기 제1,2,3하우징(141)(142)(143)은 일체로 되어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교환부(120)를 둘러싸고 펠티어소자(110)의 일면 테두리에 맞물려 설치되어 제1유로(B)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141)과, 제2열교환부(130)를 둘러싸고 펠티어소자(110)의 타면 테두리에 맞물려 설치되어 제2유로(C)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142)과, 제1하우징(141)과 제2하우징(142)이 결합되고 제1유로(B)와 제2유로(C)가 만나 내부에 혼합공간(D)을 형성한 합체하우징(143)으로 구성된다. The first, second and
제1하우징(141)은 예컨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관의 형태를 가지며, 제1열교환부(120)를 기준으로 후단에는 송풍을 위한 제1서브송풍팬(144)이 설치되고, 전단에는 제1유로(B)의 공기 유동을 정지시키는 셔터 형태의 제1개폐부(145)가 설치된다. A
제2하우징(142)은 제1하우징(141)과 마찬가지의 형태를 갖고, 제1하우징(141)에 대응하여 예컨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관의 형태를 가지며, 제2열교환부(130)를 기준으로 후단에 송풍을 위한 제2서브송풍팬(146)이 설치되고, 전단에는 제2유로(C)의 공기 유동을 정지시키는 셔터 형태의 제2개폐부(147)가 설치된다. The
합체하우징(143)은 제1하우징(141)의 전단과 제2하우징(142)의 전단이 결합하여 원형 단면의 혼합공간(D)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170)가 설치된다. 이러한 합체하우징(143)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내부의 혼합공간(D)에서 제1유로(B)의 공기와 제2유로(C)의 공기를 혼합하여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The combined
제1가습관(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기(14)의 물공급관(14a)과 연결된 관의 형태를 가지며, 제1하우징(141)을 관통하여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습관(150)은 제1열교환부(120)의 제1열전달핀(122) 사이의 공간에서 제1열전달판(121)과 제1열전달핀(12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에서 폭이 넓어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제1통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제1열교환부(120)의 온도에 의해 기화시켜 제1통공(151)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배출되고, 제1통공(151)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제1유로(B)의 공기와 혼합되어 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and 4, the first humidifying
제2가습관(1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기(41)의 물공급관(14a)과 연결된 관의 형태를 가지며, 제2하우징(142)을 관통하여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를 거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가습관(160)은 제2열교환부(130)의 제2열전달핀(132) 사이의 공간에서 제2열전달판(131)과 제2열전달핀(13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에서 폭이 넓어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제2통공(1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2가습관(160)은 제1가습관(150)의 가습 기능과 반대로 제습 기능을 수행하며, 제2통공(161)을 통해 제2유로(C)의 결로(結露) 수증기를 흡입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다. 3 and 4, the second humidifying
물론, 제1가습관(150)과 제2가습관(160)은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 각각의 발열 또는 흡열 동작에 따라 가습 또는 제습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Of course, the first humidifying pipe (1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pipe (160) selectively perform the function of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according to the heat generation or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20)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can do.
이와 같이 구성된 서브항온항습기(100)는, 펠티어소자(110)의 열전현상(Thermoelectric effect)을 이용하여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 각각에서 발열에 의한 고온 가열 분위기 및 흡열에 의한 저온 냉각 분위기를 구현하고, 이런 분위기의 공기를 각각 혼합공간(D)에서 혼합하여 설정된 온도 및 습도를 갖는 공기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장치는 종래의 항온항습장치에 비하여, 토출되는 항온항습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sub-thermo-
도 5는 도 3의 서브항온항습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ub-thermo-hygrostat of FIG.
먼저 항온항습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서브항온항습기(100)를 구동한다(S310). First,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drives the subcategory thermostatic / hygrostat 100 (S310).
즉,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갖는 항온항습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펠티어소자(110)를 구동하고, 제1서브송풍팬(144)과 제2서브송풍팬(146)을 동작시킨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가습관(150) 또는 제2가습관(160)을 구동하여 가습 또는 제습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후 제1개폐부(145)와 제2개폐부(147)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유로(B)를 거친 공기와 제2유로(C)를 거친 공기를 혼합공간(D)에서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drives the
구체적으로, 펠티어소자(110)에서 펠티어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량(Q)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인가전류(I)에 비례한다. Specifically, the amount of heat absorbed or generated Q by the Peltier effect in the
여기서, π는 펠티어 계수로서 n형, p형 반도체 접합부에서의 냉각 또는 가열에 대한 당량 전압에 해당하고, 이러한 펠티어 계수는 아래의 [수학식 2]에서처럼 제벡 계수(α) 및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 사이의 온도차(T)로 표시된다. Here,? Corresponds to the equivalent voltage for cooling or heating at the n-type and p-type semiconductor junctions as Peltier coefficients, and the Peltier coefficient is expressed by Equation (2) 120)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30).
(α: 제벡 계수[V/K], T: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 사이의 온도차) (α: Seebeck coefficient [V / K ], T: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이러한 펠티어소자(110)에 인가되는 인가전류(I)를 조절하여,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 사이의 온도차를 조정함으로써,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에서 발생하는 흡열 또는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가전류(I)의 전류 방향에 따라, 제1열교환부(120)의 방향으로 흡열 또는 발열이 발생하고 제2열교환부(130)의 방향에는 반대로 발열 또는 흡열이 발생할 수 있다. By adjusting the applied current I applied to the
이렇게 펠티어소자(110)를 구동하면서, 제어부는 센서부(170)를 통해 혼합공간(D)에서 제1유로(B)를 거친 공기 및 제2유로(C)를 거친 공기를 혼합한 공기에 대한 온도와 습도를 검출한다(S32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ow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B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C in the mixing space D through the
이어서 제어부는 센서부(170)를 통해 검출된 혼합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갖는 항온, 항습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30). T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detected through the
항온항습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혼합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 제어부는 펠티어소자(110)의 인가전류(I), 제1서브송풍팬(144), 제2서브송풍팬(146), 제1가습관(150) 또는 제2가습관(160)을 제어하여 혼합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한다(S340). When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of the mixed ai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pplication current I of the
예를 들어, 설정된 온도와 차이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는 펠티어소자(110)의 인가전류(I)를 조정하여 제1열교환부(120)와 제2열교환부(130) 각각에서 발열 또는 흡열 정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제1유로(B)를 거친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2유로(C)를 거친 공기의 온도를 낮춰 혼합공간(D)에서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difference from the set temperatur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applied current I of the
이때, 제어부는 제1서브송풍팬(144), 제2서브송풍팬(146), 제1개폐부(145) 및 제2개폐부(147)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유로(B)를 거친 공기 또는 제2유로(C)를 거친 공기의 흐름을 유량 정도로 조절하여 혼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공간(D)에서 혼합되는 제1유로(B)를 거친 공기 및 제2유로(C)를 거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설정된 온도를 갖는 공기로 배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st
또는, 설정된 습도와 차이가 검출되어 가습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는 예를 들어 발열이 이루어지는 제1열교환부(120)에 설치된 제1가습관(150)에 공급된 물을 기화시켜 제1통공(151)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습관(150)의 통공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제1유로(B)의 공기와 혼합되어 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if a difference between the se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is required and humidification is required, the control unit may vaporize the water supplied to the
반면에, 제습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는 흡열에 따른 냉각이 이루어지는 제2열교환부(130)에 설치된 제2가습관(160)을 제어하여, 제2통공(161)을 통해 냉각에 따라 발생한 제2유로(C)의 결로(結露) 수증기를 흡입하여 제2유로(C)에 흐르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혼합공간(D)에서 혼합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dehumidification is requir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혼합공간(D)에서 혼합된 공기에 대해, 제어부는 센서부(170)를 이용하여 혼합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갖는 항온, 항습 상태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350). With respect to the air mixed in the mixing space 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ontrol unit again uses the
항온항습 상태인지를 다시 판단하여 혼합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 제어부는 다시 온도 또는 습도의 조절단계(S340)를 다시 반복하여, 혼합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한다.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differ from the set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the control unit repeats the step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S340) again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mixed air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온항습장치는 실내기(10) 및 실외기(20)를 이용하여 항온항습공기를 발생함으로써 항온항습공간을 구현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서브항온항습기(100)를 작동시켜 설정된 공기의 항온온도와 항습습도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항온항습 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항온항습 환경에서 제조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거나, 실험실에서 데이터 오차값을 최소화함으로써 실험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hygrostat may generate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by us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실내기 11 ... 실내기본체
11a ... 토출구 12 ... 필터
13 ... 증발기 14 ... 가습기
14a ... 물공급관 15 ... 히터
16 ... 송풍팬 20 ... 실외기
21 ... 실외기본체 22 ... 압축기
23 ... 콘덴서 26 ... 방열팬
100 ... 서브항온항습기 110 ... 펠티어소자
120 ... 제1열교환부 121 ... 제1열전달판
122 ... 제1열전달핀 130 ... 제2열교환부
131 ... 제2열전달판 132 ... 제2열전달핀
141 ... 제1하우징 142 ... 제하우징
143 ... 합체하우징 144 ... 제1서브송풍팬
145 ... 제1개폐부 146 .. 제2서브송풍팬
147 ... 제2개폐부 150 ...제1가습관
151 ... 제1통공 160 ... 제2가습관
161 ... 제2통공 170 ... 센서부 10 ...
11a ...
13 ... evaporator 14 ... humidifier
14a ...
16 ... blowing
21 ...
23 ...
100 ... Sub-thermo-
120 ... first
122 ... first
131 ... second
141 ...
143 ... coalesced
145 ... First opening and closing
147 ... second opening and closing
151 ... first through
161 ... second through
Claims (8)
상기 항온항습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실외기본체(21)와, 상기 실외기본체(2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증발기(13)를 경유한 열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22)와. 상기 압축기(22)에 의하여 압축된 상기 열매체가 경유하면서 잠열을 방출하는 콘덴서(23)와, 상기 콘덴서(23)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실외기본체(21)로 방출하는 방열팬(26)을 포함하는 실외기(20); 및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항온항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 변동(fluctu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펠티어소자(110) 및 제1,2가습관(150)(160)을 가지는 서브항온항습기(1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항온항습기(100)는,
중간에 배치된 상기 펠티어소자(110)와;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와;
상기 제1열교환부(120)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일측면 테두리에 맞물리게 연결된 것으로서, 전단에 제1유로(B)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141)과;
상기 제2열교환부(130)가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타측면 테두리에 맞물리게 연결된 것으로서, 전단에 제2유로(C)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142)과;
상기 제1하우징(14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1통공(151)이 형성된 상기 제1가습관(150)과;
상기 제2하우징(142)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를 거치게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2통공(161)이 형성된 상기 제2가습관(160)과;
상기 제1하우징(141)의 선단과 상기 제2하우징(142)의 선단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제1유로(B)와 제2유로(C)가 만나는 혼합공간(D)이 형성된 합체하우징(143)와;
상기 합체하우징(143)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혼합공간(D)에서의 혼합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장치.A filter 12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11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main body 11 and having a discharge port 11a, An evaporator 13 for absorbing latent heat in the air passed through the filter 12 by evaporation, a humidifier 14 for supplying steam with the air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3, And a blowing fan 16 for blowing air heated and humidified by the evaporator 13, the humidifier 14 and the heater 15 to the discharge port 11a, An indoor unit (10) comprising:
A compressor 22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main body 21 and compressing a heating medium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3; A condenser 23 for discharging latent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medium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22 and a heat dissipating fan 26 for discharging the air heated by the condenser 23 to the outdoor unit main body 21, (20); And
The Peltier element 110 and the second and third Peltier element 110 and the second and third Peltier element 110 and the second and third Peltier element 110, And a sub-thermo-hygrostat (100) having a humidifying tube (150) (160);
The sub-thermo-hygrostat (100)
A Peltier element (110) disposed in the middle;
A first heat exchange unit 120 and a second heat exchange unit 1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eltier element 110;
A first housing 141 coupled to one side edge of the Peltier element 110 with the first heat exchanging part 120 built therein, the first housing 141 forming a first flow path B at a front end thereof;
A second housing 142 connected to the other side edge of the Peltier element 11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30 is embedded therein and forming a second flow path C at the front end thereof;
The first humidifying pipe 150 passing through the first housing 141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51;
The second humidifying pipe 160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using 142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30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61;
A combined housing D in which a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141 and a front end of the second housing 142 are coupled and a mixing space D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B and the second flow path C meet is formed, 143);
And a sensor unit 170 installed in the merging housing 143 and composed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in the mixing space D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상기 제1하우징(141)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송풍을 위한 제1서브송풍팬(144) 및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B)의 공기 유동을 정지시키는 셔터 형태의 제1개폐부(14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142)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송풍을 위한 제2서브송풍팬(146) 및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로(C)의 공기 유동을 정지시키는 셔터 형태의 제2개폐부(1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ub blowing fan 144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20 for blowing air and a second sub blowing fan 144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20, Further comprising a shutter-shaped first opening / closing part (145) for stopping air flow of the first flow path (B);
A second sub air blowing fan 146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30 for blowing air and a second sub air blowing fan 146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30, Further comprising a shutter-shaped second opening / closing portion (147) for stopping air flow of the second flow path (C).
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일면에 접합 설치된 제1열전달판(121) 및 상기 제1열전달판(121)에서 외부로 돌출된 핀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1열전달핀(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상기 펠티어소자(110)의 타면에 접합 설치된 제2열전달판(131) 및 상기 제2열전달판(131)에서 외부로 돌출된 핀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2열전달핀(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eat exchang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heat transfer plate 121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heat transfer plates 12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heat transfer plate 121, A heat transfer pin (122);
The second heat exchanger 130 includes a second heat transfer plate 131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 heat transfer plates 131 protruding from the second heat transfer plate 131 And a heat transfer fin (132).
상기 제1가습관(150)은,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제1열전달핀(122)과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1열전달판(121)과 제1열전달핀(12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내부에서 폭이 넓어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상기 제1통공(15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가습관(160)은,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제2열전달핀(132)과의 사이의 공간에서 제2열전달판(131)과 제2열전달핀(13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부(130)의 내부에서 폭이 넓어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상기 제2통공(16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humidifying pipe 150 is closely adhered to the first heat transfer plate 121 and the first heat transfer fin 122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humidifying pipe 150 and the first heat transfer fin 122 of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20,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through holes 15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20,
The second humidifying pipe 160 is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heat transfer plate 131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fin 132 in a space between the second humidification pipe 160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fin 132 of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30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61) ar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30), wherein the second through holes (161) are formed in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090A KR101912065B1 (en) | 2018-03-27 | 2018-03-27 |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090A KR101912065B1 (en) | 2018-03-27 | 2018-03-27 |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2065B1 true KR101912065B1 (en) | 2018-10-25 |
Family
ID=6413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5090A Active KR101912065B1 (en) | 2018-03-27 | 2018-03-27 |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2065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56633A (en) * | 2021-01-20 | 2021-05-28 |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 Cross-season cold accumulation regulation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
CN112964529A (en) * | 2021-02-23 | 2021-06-15 | 安徽合大环境检测有限公司 | Device for pretreating volatile soil sample |
KR102379783B1 (en) | 2021-07-30 | 2022-03-28 | 주식회사 위너이엔지 | Thermo-hygrostat |
KR102459889B1 (en) | 2021-10-15 | 2022-10-27 | 주식회사 플랜트코리아 | A thermo-hygrostat of humidifying method with air inject type |
KR102500579B1 (en) | 2022-07-05 | 2023-02-20 | 조영환 |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using dehumidifying compressed ai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7391Y1 (en) * | 2001-12-08 | 2002-03-09 | 주식회사공간코리아 | Constant humidity control unit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
JP2010096454A (en) * | 2008-10-17 | 2010-04-30 | Denso Corp | Dehumidifying/humidifying device |
KR101677957B1 (en) * | 2016-07-12 | 2016-11-21 | 강성덕 | Thermo-hygrostat apparatus |
-
2018
- 2018-03-27 KR KR1020180035090A patent/KR1019120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7391Y1 (en) * | 2001-12-08 | 2002-03-09 | 주식회사공간코리아 | Constant humidity control unit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
JP2010096454A (en) * | 2008-10-17 | 2010-04-30 | Denso Corp | Dehumidifying/humidifying device |
KR101677957B1 (en) * | 2016-07-12 | 2016-11-21 | 강성덕 | Thermo-hygrostat apparatus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56633A (en) * | 2021-01-20 | 2021-05-28 |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 Cross-season cold accumulation regulation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
CN112964529A (en) * | 2021-02-23 | 2021-06-15 | 安徽合大环境检测有限公司 | Device for pretreating volatile soil sample |
KR102379783B1 (en) | 2021-07-30 | 2022-03-28 | 주식회사 위너이엔지 | Thermo-hygrostat |
KR102459889B1 (en) | 2021-10-15 | 2022-10-27 | 주식회사 플랜트코리아 | A thermo-hygrostat of humidifying method with air inject type |
KR102500579B1 (en) | 2022-07-05 | 2023-02-20 | 조영환 |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using dehumidifying compressed ai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2065B1 (en) |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N101688673B (en) | Humidity control equipment, environment test equipment and temperature/humidity controller | |
US6393842B2 (en) | Air conditioner for individual cooling/heating | |
US8516839B2 (en) | Combined heat exchange unit | |
US2005027911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porative cooling of a cooling fluid | |
JP2000274788A (en) | Heating device, cool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utilzing the cooling device | |
JP2014505229A (en) | Indoor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gas-liquid heat exchanger having Peltier element | |
US20070256433A1 (en) | Portable air conditioner | |
WO2012099465A1 (en) | Cooling system for cooling air in a room and data centre comprising such cooling system | |
US11378303B2 (en) | Humidifier and air conditioner | |
WO2017175345A1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US10866009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regula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 |
KR20070114097A (en) | Portable air-conditioner | |
TW201727158A (en) | Air conditioner | |
JP3942820B2 (en) | Humidification method for air conditioning | |
KR20180057807A (en) | Ventilation module of ventilation seat | |
KR101227080B1 (en) | Thermo-hygrostat | |
JP2603407B2 (en) |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 |
EP3995774A1 (en) | Air-conditioning unit,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CN114174735A (en) | Thermoelectric element heat exchange module | |
US11105523B2 (en) | Air conditioner | |
US6674076B1 (en) | Humidified imaging with an environment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
CN112005354B (en) | Thermally stable flow meter for precise fluid delivery | |
KR200267391Y1 (en) | Constant humidity control unit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 |
JPH0335592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