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5264B1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264B1
KR101905264B1 KR1020160126696A KR20160126696A KR101905264B1 KR 101905264 B1 KR101905264 B1 KR 101905264B1 KR 1020160126696 A KR1020160126696 A KR 1020160126696A KR 20160126696 A KR20160126696 A KR 20160126696A KR 101905264 B1 KR101905264 B1 KR 10190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charge
fluid inlet
water treatment
membrane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294A (ko
Inventor
홍성호
안형욱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2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2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9/00Membrane assemblies within one housing
    • B01D2319/04Elements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수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수처리 장치는, 멤브레인 모듈이 수용되며 원수에 침지되는 카세트부와, 카세트부에 설치되며, 세정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와, 유체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체유입부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하며, 유체유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멤브레인 모듈 사이로 세정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지식 수처리 장치는 피처리수(원수)에 분리막(membrane)을 침지시켜 원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침지식 수처리 장치는,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에 중공사를 포팅하여 시트 형상으로 제조되는 멤브레인 모듈을 카세트부에 장착하고, 이 카세트부를 수조에 수용된 원수에 침지시키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수처리 장치의 경우, 다수의 멤브레인 모듈을 카세트부에 설치하여 수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멤브레인 모듈의 세정을 위하여 공급되는 세정유체, 예를 들어 공기의 유량을 위치 별로 균일하게 배분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멤브레인 모듈의 세정효율이 떨어져 멤브레인 모듈의 오염도가 증가하며, 오염도를 줄이기 위하여 세정 공기의 분사압을 강하게 하거나, 화학세정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 멤브레인 모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8785호(2010.09.10 공개, 발명의 명칭: 여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된 카세트부에 세정유체를 균일하게 주입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멤브레인 모듈이 수용되며, 원수에 침지되는 카세트부; 상기 카세트부에 설치되며, 세정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 및 상기 유체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부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하며, 상기 유체유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유입부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세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배출부와 연통되도록 메인홀부가 형성되는 유체유입메인관; 및 상기 유체유입메인관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홀부를 매개로 상기 유체배출부와 연통되는 유체유입서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회전부; 및 상기 배출회전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입부와 연통되고, 배출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회전부는, 상기 유체유입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체유입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회전바디; 및 상기 배출회전바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유입부와 상기 유체배출관을 연통시키는 배출회전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배출관은,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회전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열되며, 각각 상기 배출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유체배출서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배출서브관은, 일단부가 상기 배출회전바디에 결합되고, 내부에 서브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회전유로를 매개로 상기 유체유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홀부는 상기 서브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서브유로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배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유입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유입부 또는 상기 유체배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연결되는 조절베이스부; 및 상기 조절베이스부와 지지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조절베이스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베이스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조절부를 연결하는 조절연결부; 및 상기 조절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연결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조절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절베이스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세정유체의 분사압, 분사량 등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분사압, 분사량 등에 따라 유체배출부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세정유체가 멤브레인 모듈에 전달되는 정도를 조절하므로, 세정유체를 멤브레인 모듈에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입부와 유체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입부와 유체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배출부에서 세정유체 분사압 또는 분사량의 차이가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배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서 위치조절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서 위치조절부가 유체유입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입부와 유체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입부와 유체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는 카세트부(100), 유체유입부(200) 및 유체배출부(300)를 포함하여, 카세트부(100)에 장착되는 멤브레인 모듈(미도시)을 원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카세트부(100)에는 멤브레인 모듈이 수용되며, 원수에 침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세트부(100)는 멤브레인 모듈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카세트하부(110)와, 멤브레인 모듈의 상단부가 장착되는 카세트상부(130)와, 카세트하부(110)와 카세트상부(130)를 연결하는 상하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모듈은 복수의 중공사형 막(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중공사형 막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 등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조에 수용된 원수로부터 이물질 등을 걸러낸다.
카세트부(100)는 카세트지지부(30)에 의하여 지지프레임부(10) 등에 설치된다. 카세트지지부(30)는 대략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지지프레임부(10) 및 카세트상부(130)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카세트부(100)를 지지한다.
지지프레임부(10)는 원수가 수용되는 수조 등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카세트지지부(3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카세트지지부(30)를 매개로 카세트부(100)를 지지한다.
유체유입부(200)는 카세트부(100)에 설치되며, 공기로 예시되는 세정유체가 내부로 유입된다.
유체유입부(200)는 단일의 관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유체가 내부로 공급되면, 해당 세정유체를 유체배출부(300)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중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관에 공급된 유체를 외부관을 관통하여 유체배출부(300)로 전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내부관과 외부관의 이중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는, 내부관에 전달된 세정유체를 외부관에 우선 전달하여, 내부관 및 외부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력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유체배출부(300)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유체배출부(300)에서 멤브레인 모듈 측으로 전달되는 세정유체의 공급 정도가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유체배출부(300)와 연통되는 내부관을 외부관이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관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내부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체유입부(200)는 유체유입메인관(210) 및 유체유입서브관(230)을 포함하여, 유체유입메인관(210)이 유체유입서브관(230)을 둘러싸는 형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체유입메인관(210)은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며, 카세트하부(110)에 장착되고, 유체배출부(300)와 연통되도록 메인홀부(2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유입메인관(210)은, 판 형상이며 일렬로 배열되는 멤브레인 모듈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유체유입서브관(230)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유입메인관(210)은 유체유입서브관(23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유체유입서브관(230)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하며, 유체배출부(300) 등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유체유입서브관(230)은 유체유입메인관(210)에 수용되고 서브홀부(231)가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메인홀부(211)를 매개로 유체배출부(30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유입서브관(230)은 카세트부(100)에 결합되는 세정유체안내부(50)와 연결되어, 세정유체저장부(미도시)로부터 세정유체인 공기 등을 공급받은 후 유체배출부(300)에 전달한다.
유체배출부(300)는 유체유입부(200)와 연통되어, 유체유입부(200)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하며, 유체유입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배출부(300)는 배출회전부(310) 및 유체배출관(330)을 포함한다.
배출회전부(310)는 유체유입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회전부(310)는 배출회전바디(311) 및 배출회전유로(313)를 포함한다.
배출회전바디(311)는 유체유입부(200)를 둘러싸며, 유체유입부(200)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회전바디(31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유체유입부(20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유체유입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회전유로(313)는 배출회전바디(311)에 관통 형성되며, 유체유입부(200)와 유체배출관(330)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회전유로(313)는 유체배출관(330)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유체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세정유체가 유체배출관(3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유체배출관(330)은 배출회전부(310)에 결합되며, 유체유입부(200)와 연통되고 배출홀부(334)가 형성되어, 멤브레인 모듈에 세정유체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배출관(330)은 한 쌍의 유체배출서브관(331)을 포함한다. 한 쌍의 유체배출서브관(331)은 배출회전부(31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열되며, 각각 배출회전부(3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배출서브관(331)은 일단부가 배출회전바디(311)에 결합되고, 내부에 서브유로(333)가 형성되어 배출회전유로(313)를 매개로 유체유입부(20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배출서브관(331)은 대략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멤브레인 모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브유로(333)를 통하여 세정유체가 멤브레인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배출홀부(334)는 유체배출서브관(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서브유로(333)와 연통되어 서브유로(333)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멤브레인 모듈 측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배출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유체유입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멤브레인 모듈에 세정유체가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배출부(300)는 유체유입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체를 멤브레인 모듈 사이로 공급한다. 다만, 유체배출부(300)에서 멤브레인 모듈 측으로 공급되는 세정유체의 분사압 등은 유체배출부(300)의 위치, 세정유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의 세정유체의 유동 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유체유입부(200)를 기준으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배출부(300)의 세정유체 분사압 등이 유체유입부(200)를 기준으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 유체배출부(300)가 유체유입부(200)에 대하여 분사압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배출부에서 세정유체 분사압 또는 분사량의 차이가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배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유체유입부(200)를 기준으로 일측(도 6 기준 좌측)에 있는 유체배출서브관(331)이 세정유체를 분사하는 압력이 유체유입부(200)를 기준으로 타측(도 6 기준 우측)에 있는 유체배출서브관(331)이 세정유체를 분사하는 압력보다 높은 경우, 세정유체를 분사하는 힘에 대한 반작용에 의하여 일측에 있는 유체배출서브관(33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측에 있는 유체배출서브관(33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유체배출서브관(331)과 멤브레인 모듈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는 반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배출서브관(331)과 멤브레인 모듈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나아가 하측으로 이동한 유체배출서브관(331)에 작용하는 원수에 의한 압력은 상측으로 이동한 유체배출서브관(331)에 작용하는 원수에 의한 압력보다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유체배출서브관(331)에서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되는 세정유체의 분배 정도가 균일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서 위치조절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서 위치조절부가 유체유입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처리 장치(1)는 위치조절부(400)를 더 포함한다. 위치조절부(400)는 유체유입부(200)에 연결되며, 카세트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유입부(200) 또는 유체배출부(3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멤브레인 모듈에 전달되는 세정유체의 양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400)는 조절베이스부(410) 및 베이스조절부(430)를 포함한다.
조절베이스부(410)는 유체유입부(2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베이스부(410)는 유체유입부(200)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유체유입부(20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카세트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조절부(430)는 조절베이스부(410)와 지지프레임부(10)에 연결되며, 지지프레임부(10)에 대한 조절베이스부(410)의 위치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조절부(430)는 조절연결부(431) 및 조절연결변경부(433)를 포함한다.
조절연결부(431)는 지지프레임부(10)와 베이스조절부(43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연결부(431)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위치하며 베이스조절부(430)와 지지프레임부(10)를 연결하여 베이스조절부(430)를 지지한다.
조절연결변경부(433)는 조절연결부(431)에 장착되어 조절연결부(4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조절부(43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조절부(430)는 유체유입부(20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므로, 베이스조절부(430)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유체유입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연결부(431)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직렬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봉으로 형성되고, 조절연결변경부(433)는 한 쌍의 봉과 각각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조절연결변경부(433)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조절연결부(431)의 전체의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조절연결변경부(433)와 조절연결부(431)는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롤러/와이어 형식 등으로 적용하여 조절연결부(431)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조절부(430)를 매개로 유체유입부(200)의 위치를 조절하면, 유체유입부(200)에 연결된 유체배출부(300)의 위치 역시 변경되므로, 유체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세정유체가 멤브레인 모듈에 전달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는 세정유체의 분사압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분사압에 따라 유체배출부(300)의 위치가 조정되어, 세정유체가 멤브레인 모듈에 전달되는 정도를 조절하므로, 세정유체를 멤브레인 모듈에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수처리 장치 10: 지지프레임부
30: 카세트지지부 50: 세정유체안내부
100: 카세트부 110: 카세트하부
130: 카세트상부 150: 상하연결부
200: 유체유입부 210: 유체유입메인관
211: 메인홀부 230: 유체유입서브관
231: 서브홀부 C: 중심축
300: 유체배출부 310: 배출회전부
311: 배출회전바디 313: 배출회전유로
330: 유체배출관 331: 유체배출서브관
333: 서브유로 334: 배출홀부
400: 위치조절부 410: 조절베이스부
430: 베이스조절부 431: 조절연결부
433: 조절연결변경부

Claims (11)

  1. 멤브레인 모듈이 수용되며, 원수에 침지되는 카세트부;
    상기 카세트부에 설치되며, 세정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 및
    상기 유체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부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하며, 상기 유체유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회전부; 및 상기 배출회전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입부와 연통되고, 배출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회전부는,
    상기 유체유입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체유입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회전바디; 및 상기 배출회전바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유입부와 상기 유체배출관을 연통시키는 배출회전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배출관은,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회전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열되며, 각각 상기 배출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유체배출서브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부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세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배출부와 연통되도록 메인홀부가 형성되는 유체유입메인관; 및
    상기 유체유입메인관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홀부를 매개로 상기 유체배출부와 연통되는 유체유입서브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서브관은,
    일단부가 상기 배출회전바디에 결합되고, 내부에 서브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회전유로를 매개로 상기 유체유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홀부는 상기 서브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서브유로에서 전달받은 세정유체를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유입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유입부 또는 상기 유체배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연결되는 조절베이스부; 및
    상기 조절베이스부와 지지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조절베이스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베이스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조절부를 연결하는 조절연결부; 및
    상기 조절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연결변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조절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절베이스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160126696A 2016-09-30 2016-09-30 수처리 장치 Active KR10190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696A KR101905264B1 (ko) 2016-09-30 2016-09-30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696A KR101905264B1 (ko) 2016-09-30 2016-09-30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94A KR20180036294A (ko) 2018-04-09
KR101905264B1 true KR101905264B1 (ko) 2018-10-05

Family

ID=6197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696A Active KR101905264B1 (ko) 2016-09-30 2016-09-30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04B1 (ko) *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JP2015027648A (ja) * 2013-07-30 2015-02-12 住重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散気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9976B2 (ja) * 2002-09-30 2008-12-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浸漬型膜分離装置
JP2006015275A (ja) * 2004-07-02 2006-01-19 Nishihara:Kk 水処理装置
US20150265980A1 (en) * 2012-10-19 2015-09-24 Mitsubishi Rayon Co., Ltd. Air diffusion device, air diffusion method, and water 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7648A (ja) * 2013-07-30 2015-02-12 住重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散気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101479904B1 (ko) *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94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6107T5 (es) Procedimiento y disposición para suministrar productos químicos en una corriente de proceso
US8556238B2 (en) Diffuser for aeration
US20060196831A1 (en) Membrane filter for water treatment
US20150265980A1 (en) Air diffusion device, air diffusion method, and water treatment device
CN1890015B (zh) 具有平行地可通流的过滤模块的膜过滤设备
MX2009001885A (es) Metodo para tratar botellas o recipientes similares en una maquina de lavado y la maquina de lavado.
CN107996939A (zh) 具有离子交换装置的巴氏消毒设备和用于运行巴氏消毒设备的方法
KR101905264B1 (ko) 수처리 장치
JP2010005615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ろ過方法
RU27283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олесодержащей воды посредством обратного осмоса
KR102069929B1 (ko) 하부 개방형 다수 채널 전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침지된 멤브레인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US10071924B2 (en) Diffusion pipe and method for cleaning diffusion pipe
KR101998320B1 (ko) 수처리 설비의 유량 분배 장치
KR101282133B1 (ko) 정수장치의 필터간 유량 균등분배 구조
JP2007534481A (ja) 濾過性媒体がフィルタクリーニングガス注入手段へ逆流するのを防止する手段を備える浸漬膜水処理濾過装置
KR20160006252A (ko) 산기 장치의 운전 방법
TWI766921B (zh) 液體處理裝置及液體處理方法
TW201338852A (zh) 用於浸溼膜體之脈衝通氣
JP5949834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洗浄方法
JP6060762B2 (ja) 水処理装置
JP2005525954A (ja) 印刷機ビームの幾つかの噴霧ノズルを清浄に維持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960457B2 (ja) 基板処理装置
KR102227634B1 (ko) 수처리 설비의 유량분배장치
JP7311242B2 (ja) 散気装置、散気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5743096B2 (ja) 膜分離活性汚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