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108B1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4108B1 KR101904108B1 KR1020170063158A KR20170063158A KR101904108B1 KR 101904108 B1 KR101904108 B1 KR 101904108B1 KR 1020170063158 A KR1020170063158 A KR 1020170063158A KR 20170063158 A KR20170063158 A KR 20170063158A KR 101904108 B1 KR101904108 B1 KR 101904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th
- variable
- value
- plane
- variable siz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32 intermediate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영상 평면의 제2 좌표의 관계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오차와 오차한계를 비교하고 가변크기 재설정 여부에 따른 대상 블록의 부호화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평면의 인자를 검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다.
110: 영상 소스
120: 영상처리부
121: 메모리
122: 프로세서
130: 출력인터페이스
200: 데이터수신장치
210: 디스플레이 다비이스
220: 데이터 처리부
230: 입력 인터페이스
Claims (12)
- 객체에 대한 깊이 영상을 가변크기로 분할하여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대상 블록의 화소의 깊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평면 영역의 정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평면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의 화소의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대상 블록 내의 화소들 각각의 예측깊이값 및 측정깊이값의 오차들의 제곱의 합 또는 오차들의 합을 기 설정된 오차한계와 비교하는 제4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크기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오차가 상기 오차한계 미만인 경우 상기 가변크기를 재설정하지 않고 상기 예측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오차가 상기 오차한계 이상인 경우 상기 가변크기를 최소값과 비교하여 상기 가변크기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변크기가 상기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크기를 재설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가변크기를 재설정한 경우, 상기 오차가 상기 오차한계 미만일때까지 재설정된 가변크기로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가변크기를 절반의 크기로 재설정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크기가 상기 최소값 이하인 경우,
상기 대상 블록 내 화소들의 측정된 깊이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대상 블록의 화소들의 깊이 값에 기초하여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제1 평면의 방정식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제1 평면의 방정식을 상기 제1 좌표가 투영된 영상 평면의 좌표계 상의 제2 좌표와 상기 매개변수 및 예측깊이변수로 이루어진 제2 평면의 방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깊이변수와 상기 제2 좌표에 대응하는 깊이 영상의 화소의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평면의 방정식의 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자 그리고 상기 깊이 영상의 화소의 위치 정보와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깊이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객체에 대한 깊이 영상을 가변크기로 분할하여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대상 블록의 화소의 깊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평면 영역의 정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평면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의 화소의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대상 블록 내의 화소들 각각의 예측깊이값 및 측정깊이값의 오차들의 제곱의 합 또는 오차들의 합을 기 설정된 오차한계와 비교하는 제4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크기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오차가 상기 오차한계 미만인 경우 상기 가변크기를 재설정하지 않고 상기 예측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오차가 상기 오차한계 이상인 경우 상기 가변크기를 최소값과 비교하여 상기 가변크기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변크기가 상기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크기를 재설정하는 제6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장치. - 삭제
- 삭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변크기가 상기 최소값 이하인 경우, 상기 대상 블록 내 화소들의 측정된 깊이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하도록 구성되는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3158A KR101904108B1 (ko) | 2017-05-22 | 2017-05-22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3158A KR101904108B1 (ko) | 2017-05-22 | 2017-05-22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4108B1 true KR101904108B1 (ko) | 2018-10-04 |
Family
ID=6386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3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4108B1 (ko) | 2017-05-22 | 2017-05-22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410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7768A (ko) * | 2019-09-03 | 2021-03-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18857B2 (ja) * | 2013-10-24 | 2015-11-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2017
- 2017-05-22 KR KR1020170063158A patent/KR10190410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18857B2 (ja) * | 2013-10-24 | 2015-11-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권순각, 장원석. "가변 블록크기의 신축 움직임 추정 방법." 방송공학회논문지 vol. 19, no. 6, pp. 916-924 (2014.11.30.)*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7768A (ko) * | 2019-09-03 | 2021-03-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KR102231759B1 (ko) | 2019-09-03 | 2021-03-23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01507B2 (en) | Motion compensation of geometry information | |
US10205896B2 (en) | Automatic lens flare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light-field images | |
US9558543B2 (en) | Image fusion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KR101904120B1 (ko) | 타원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2080694B1 (ko) | 곡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에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20170031033A (ko) | 과노출 정정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
KR101865826B1 (ko)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CN110366001B (zh) | 视频清晰度的确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 |
JP2017515188A (ja) | ピクチャを処理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 |
JP2019165434A (ja) | 減少したクリップ領域を有するhdrイメージ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 |
KR102098322B1 (ko) | 평면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에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JP2011250013A (ja) | 画質評価方法、画質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WO2018153161A1 (zh) | 一种视频质量评价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 |
CN112511767A (zh) | 一种视频拼接方法及设备、存储介质 | |
KR102122905B1 (ko) | 히스토그램 구간 교정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휘도 보정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기록매체 | |
JP6138706B2 (ja) | 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または電子透かし検出方法 | |
KR101906173B1 (ko) | 깊이 영상에서 신축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 |
KR102074929B1 (ko) | 깊이 영상을 통한 평면 검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101904125B1 (ko) | 오목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
CN119545117A (zh) | 一种针对视频的单帧图像的稳像方法及装置 | |
KR101904108B1 (ko)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CN114972468A (zh) | 一种深度图像获取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KR102262030B1 (ko) | 구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102224272B1 (ko) | 깊이 영상을 통한 평면 검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US20220408013A1 (en) | DNN Assisted Object Detection and Image Optim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