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826B1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826B1 KR101865826B1 KR1020170064060A KR20170064060A KR101865826B1 KR 101865826 B1 KR101865826 B1 KR 101865826B1 KR 1020170064060 A KR1020170064060 A KR 1020170064060A KR 20170064060 A KR20170064060 A KR 20170064060A KR 101865826 B1 KR101865826 B1 KR 101865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th
- equation
- value
- depth value
- coordin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의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평면 모델링 부호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영상 평면의 제2 좌표의 관계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곡면 모델링 부호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영상 평면의 제2 좌표의 관계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오목면 모델링 부호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영상 평면의 제2 좌표의 관계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타원면 모델링 부호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영상 평면의 제2 좌표의 관계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110: 영상 소스
120: 영상처리부
121: 메모리
122: 프로세서
130: 출력인터페이스
200: 데이터수신장치
210: 디스플레이 다비이스
220: 데이터 처리부
230: 입력 인터페이스
Claims (10)
- 깊이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대상 블록 내의 화소들의 깊이 값에 기초하여 객체의 형상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형상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객체 형상 모델링 부호화 모드 각각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의 화소에 대한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측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 형상 모델링 부호화 모드 각각에 대한 부호화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 효율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제1 방정식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정식을 상기 제1 좌표가 투영된 영상 평면의 좌표계 상의 제2 좌표와 상기 매개변수 및 예측깊이변수로 이루어진 제2 방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예측깊이변수와 상기 제2 좌표에 대응하는 깊이 영상의 화소의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방정식의 인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자 그리고 상기 깊이 영상의 화소의 위치 정보와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깊이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깊이값과 상기 측정깊이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 상기 예측깊이값과 상기 측정깊이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깊이변수와 상기 제2 좌표에 대응하는 깊이 영상의 화소의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방정식의 인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깊이변수와 상기 측정깊이값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동작들은:
깊이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대상 블록 내의 화소들의 깊이 값에 기초하여 객체의 형상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객체의 형상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객체 형상 모델링 부호화 모드 각각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의 화소에 대한 예측깊이값을 생성하고,
상기 예측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 형상 모델링 부호화 모드 각각에 대한 부호화 효율을 측정하며,
상기 부호화 효율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객체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제1 방정식을 모델링하고;
상기 제1 방정식을 상기 제1 좌표가 투영된 영상 평면의 좌표계 상의 제2 좌표와 상기 매개변수 및 예측깊이변수로 이루어진 제2 방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예측깊이변수와 상기 제2 좌표에 대응하는 깊이 영상의 화소의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방정식의 인자를 생성하며,
상기 인자 그리고 상기 깊이 영상의 화소의 위치 정보와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깊이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삭제
-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깊이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대상 블록 내의 화소들의 깊이 값에 기초하여 객체의 형상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객체의 형상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객체 형상 모델링 부호화 모드 각각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의 화소에 대한 예측깊이값을 생성하고,
상기 예측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 형상 모델링 부호화 모드 각각에 대한 부호화 효율을 측정하며,
상기 부호화 효율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을 부호화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 좌표계 상의 제1 좌표와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제1 방정식을 모델링하고;
상기 제1 방정식을 상기 제1 좌표가 투영된 영상 평면의 좌표계 상의 제2 좌표와 상기 매개변수 및 예측깊이변수로 이루어진 제2 방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예측깊이변수와 상기 제2 좌표에 대응하는 깊이 영상의 화소의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방정식의 인자를 생성하며,
상기 인자 그리고 상기 깊이 영상의 화소의 위치 정보와 측정깊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깊이변수의 값을 결정하고 예측깊이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060A KR101865826B1 (ko) | 2017-05-24 | 2017-05-24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060A KR101865826B1 (ko) | 2017-05-24 | 2017-05-24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5826B1 true KR101865826B1 (ko) | 2018-06-08 |
Family
ID=6259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0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5826B1 (ko) | 2017-05-24 | 2017-05-24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82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4315B1 (ko) | 2019-09-03 | 2021-03-0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KR102224321B1 (ko) * | 2019-09-03 | 2021-03-0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KR20210027768A (ko) * | 2019-09-03 | 2021-03-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KR20210059406A (ko) * | 2019-11-15 | 2021-05-2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485A (ko) * | 2009-09-23 | 2011-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하학 기반의 블록 분할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깊이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KR20110121003A (ko) | 2010-04-30 | 2011-11-0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
-
2017
- 2017-05-24 KR KR1020170064060A patent/KR10186582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485A (ko) * | 2009-09-23 | 2011-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하학 기반의 블록 분할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깊이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KR20110121003A (ko) | 2010-04-30 | 2011-11-0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4315B1 (ko) | 2019-09-03 | 2021-03-0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KR102224321B1 (ko) * | 2019-09-03 | 2021-03-0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KR20210027768A (ko) * | 2019-09-03 | 2021-03-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KR102231759B1 (ko) * | 2019-09-03 | 2021-03-23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KR20210059406A (ko) * | 2019-11-15 | 2021-05-2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KR102262030B1 (ko) * | 2019-11-15 | 2021-06-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4120B1 (ko) | 타원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1865826B1 (ko)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JP5729464B2 (ja) | 位置情報付加装置、位置情報付加方法及び位置情報付加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位置検出装置 | |
KR102080694B1 (ko) | 곡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에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20170031033A (ko) | 과노출 정정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
Zhang et al. | Fine-grained quality assessment for compressed images | |
CA2674149A1 (en) | Banding artifact detection in digital video content | |
US10531082B2 (en) | Predictive light-field compression | |
KR101817140B1 (ko)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 장치 | |
JP2017515188A (ja) | ピクチャを処理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 |
JP2019165434A (ja) | 減少したクリップ領域を有するhdrイメージ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 |
KR102098322B1 (ko) | 평면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에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101904125B1 (ko) | 오목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2122905B1 (ko) | 히스토그램 구간 교정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휘도 보정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기록매체 | |
KR101906173B1 (ko) | 깊이 영상에서 신축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 |
CN119545117A (zh) | 一种针对视频的单帧图像的稳像方法及装置 | |
KR102074929B1 (ko) | 깊이 영상을 통한 평면 검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JP2015136027A (ja) | 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または電子透かし検出方法 | |
KR101904108B1 (ko)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가변적 블록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62030B1 (ko) | 구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US12035033B2 (en) | DNN assisted object detection and image optimization | |
KR102382078B1 (ko) | 깊이 얼굴 영상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인자 결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얼굴 인식 방법 및 장치 | |
KR102224315B1 (ko) |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24321B1 (ko) | 평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31759B1 (ko) | 표면 모델링을 통한 깊이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