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3584B1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584B1
KR101903584B1 KR1020170113056A KR20170113056A KR101903584B1 KR 101903584 B1 KR101903584 B1 KR 101903584B1 KR 1020170113056 A KR1020170113056 A KR 1020170113056A KR 20170113056 A KR20170113056 A KR 20170113056A KR 101903584 B1 KR101903584 B1 KR 101903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row
yarn
needle bed
knit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031A (ko
Inventor
가즈야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2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5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성시작부가 두꺼워지지 않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시작부(3)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3)에 연속하여 베이스 편성포부(5)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편성시작부(3)는, 편성포의 시단부가 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일방의 니들베드(BD)와 타방의 니들베드(FU)에 교대로 1스티치씩 결합된 상태로 하는 공정(A)과,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있어서의 일방의 니들베드(BD)에 결합된 복수의 스티치와 타방의 니들베드(FU)에 결합된 복수의 스티치 사이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싱커 루프를 지지하는 편사(Y9)를 삽입하는 공정(B)과,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니트 루프를 지지하는 새로운 고정용 스티치열(11)을 편성하는 공정(C)을 함으로써 편성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에 연속하여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먼저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하여 편성포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를 편성함으로써,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풀리지 않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성시작부를 편성할 때에, 편성시작부와는 다른 드로 스레드(draw thread)에 의하여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draw thread stitch row)을 편성하고, 그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에 계속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 드로 스레드는, 편성포의 편성이 종료된 후에 편성포로부터 제외된다. 즉 완성된 편성포에 있어서는, 편성시작부가 편성포의 시단(始端)이 된다.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도4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지그재그(zigzag) 모양으로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그 지그재그 모양의 스티치열 중에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티치를 코스방향(course方向)으로 연결하는 일측 스티치열(一側 stitch row)을 편성한 후에,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티치를 코스방향으로 연결하는 타측 스티치열(他側 stitch row)을 편성하는 자루편성(tubular knitting)을 하여, 편성시작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63765호 공보
종래의 편성시작부는,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부분을 구비하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보다도 편성시작부가 두꺼워지기 쉽다. 또한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부분 때문에 편성시작부가 수축되기 어려워져, 베이스 편성포부를 리브조직(rib組織) 등의 편성폭방향으로 수축하기 쉬운 편성조직으로 하는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시작부 측이 편성폭방향으로 벌어진 것처럼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의 하나는, 편성시작부가 두꺼워지지 않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성시작부가 편성폭방향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은,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제1니들베드(first needle bed)와 제2니들베드(second 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에 연속하여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부는,
편성포의 시단부(始端部)가 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set-up stitch row)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중의 어느 일방)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중의 어느 타방)에 교대로 1스티치씩 결합된 상태로 하는 공정(A)과,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복수의 스티치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복수의 스티치 사이에,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싱커 루프(sinker loop)를 지지하는 편사(編絲)를 삽입하는 공정(B)과,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니트 루프를 지지하는 새로운 고정용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공정(C)을
함으로써 편성한다.
여기에서 공정(A)에 있어서의 일방의 니들베드와 타방의 니들베드에 교대로 1스티치씩 결합된 편성시작 스티치열은, 일방의 니들베드와 타방의 니들베드에 교대로 1스티치씩 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얻어도 좋고,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편성한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일방의 니들베드와 타방의 니들베드에 나눔으로써 얻어도 좋다. 또한 공정(B)에서 사용하는 편사는,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와는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고, 같은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와 고정용 스티치열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는,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상기 공정(B)에서 사용하는 상기 편사는 탄성사(彈性絲)를 포함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통모양으로 연결된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상기 편사를 인레이 편성(inlay knitting)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에 삽입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인레이 편성은, 전후의 니들베드에 베이스 스티치열의 스티치를 나누고, 그 나누어진 스티치의 사이에 편사를 끼우는 편성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0-199953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7773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편성방법이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시작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전후로 나누어진 스티치 사이에 편사를 삽입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각 싱커 루프를 가압함으로써, 당해 싱커 루프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스티치열로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니트 루프를 지지함으로써, 편사에 의한 싱커 루프의 지지가 확정되어, 편성시작부의 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필요하였던 자루편성을 하지 않고,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전후의 스티치 사이에 편사를 삽입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편성포의 시단인 편성시작부의 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자루편성조직이 존재하지 않는 편성시작부는, 종래의 편성시작부보다도 얇게 완성된다. 또한 편성폭방향으로의 신축이 어려운 자루편성조직이 편성시작부에 존재하지 않아, 베이스 편성포부의 수축에 따라 편성시작부도 같이 수축하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시단부(편성시작부가 있는 측)가 편성폭방향으로 벌어진 것처럼 되기 어렵다.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스티치 사이에 탄성사를 포함하는 편사를 배치함으로써, 편성시작부의 신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경우에, 편성시작부도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이 통모양의 편성시작부를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 편성함으로써,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의 시단부가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편성시작부에서 사용한 편사와 동일한 편사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삽입함으로써, 베이스 편성포부와 편성시작부가 동일한 구성이 되기 때문에, 양자의 경계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에 있어서의 편성시작부의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에 있어서의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공정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4베드 횡편기(four-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통모양의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이어도 좋고, 또 편성시작부는 통모양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도1은,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이다. 도1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역삼각 마크는 급사구(給絲口)(8, 9)를 나타내고, FD는 하측 앞쪽 니들베드(lower front needle bed)(제1니들베드), FU는 상측 앞쪽 니들베드(upper front needle bed)(제1니들베드), BD는 하측 뒤쪽 니들베드(lower back needle bed)(제2니들베드), BU는 상측 뒤쪽 니들베드(upper back needle bed)(제2니들베드)를 나타낸다. 알파벳 대문자는 편침(編針)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스티치의 이동을 나타내고, 각 편성공정에서 실제로 편성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S0에는, BD의 편침(B∼K)과 FD의 편침(B∼K)에 각각 드로 스레드(draw thread)로 편성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draw thread stitch row)(1, 2)이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 2)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하여, 통모양으로 연결되는 편성시작부(3, 4)(S4, S6을 참조)를 편성한다. 여기에서, 편성할 때에 편사를 누르는 가동 싱커(可動 sinker)(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32026호 공보 등을 참조)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 2)을 형성하지 않고 편성시작부(3, 4)를 편성할 수도 있다.
S1에서는, BD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S0) 중에서 편침(C, E, G, I, K)의 스티치를, 대향(對向)하는 FU의 편침으로 이동시킨 후에, 편사(Y8)를 급사하는 급사구(8)를 지면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BD의 편침(B, D, F, H, J)과 FU의 편침(C, E, G, I, K)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편사(Y8)는, 드로 스레드와는 다른 편사이다.
여기에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의 일부를 FU로 이동시키지 않고, BD에서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할 수도 있다(후술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20)에 대해서도 동일).
S2에서는, FD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2)(S0) 중에서 편침(B, D, F, H, J)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BU의 편침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S1에서 FU에 형성한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를 BD로 되돌린다. S1에서 FU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을 이동시키지 않은 경우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를 BD로 되돌리는 조작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S2에서는 급사구(8)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편사(Y8)에 의하여,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을 FD의 편침(K, I, G, E, C)과 BU의 편침(J, H, F, D, B)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S3에서는, B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 중에서 편침(C, E, G, I, K)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FU의 편침으로 이동시킴(편성시작부(3)의 편성에 관한 공정(A)에 상당)과 아울러, S2에서 BU에 형성한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를 FD로 되돌린다.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가 BD(일방(一方)의 니들베드)와 FU(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교대로 1스티치씩 결합된 상태(1×1의 결합상태)가 된다.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1×1의 결합상태 이외의 결합상태(예를 들면, 1×2의 결합상태)로 하면, 편성시작 스티치열(10) 중에서 인접하는 스티치가 동일한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이 풀려버리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결합상태로는 하지 않는다.
또한 S3에서는, 편사(Y9)를 공급하는 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 니들베드의 사이, 즉 B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와 FU에 결합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 사이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싱커 루프(sinker loop)를 지지하는 편사(Y9)를 삽입한다(편성시작부(3)의 편성에 관한 공정(B)에 상당).
편사(Y9)는, 그 재질·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사(Y9)로서, 탄성사(彈性絲)를 포함하는 편사 등을 들 수 있다. 탄성사를 포함하는 편사(Y9)이면, 편성시작부(3)에 높은 신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삽입하는 편사로서, 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편사(Y8)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편사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우단(右端)의 스티치(FU의 편침(K))에 턱(tuck)을 하거나, 편침(K)보다도 우측의 공침(空針)에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S5보다도 나중에 걸림 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제외시키면 좋다.
S4에서는, 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고정용 스티치열(11)을, BD의 편침(B, D, F, H, J)과 FU의 편침(C, E, G, I, K)에 형성한다(편성시작부(3)의 편성에 관한 공정(C)에 상당). 고정용 스티치열(11)에 의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니트 루프가 지지되고,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한 편사(Y9)가 편성시작 스티치열(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편성시작 스티치열(10)과, 그 스티치 사이에 배치된 편사(Y9)와,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계속되는 고정용 스티치열(11)에 의하여, 편성시작부(3)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후술하는 베이스 편성포부(5, 6)를 플레인 스티치 조직으로 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예와는 달리, FU에 결합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를 BD로 되돌린 후에, 고정용 스티치열(11)을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에서는, 고정용 스티치열(11)의 스티치 중에서 FU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대향하는 BD의 편침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 중에서 FD의 편침(B, D, F, H, J)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대향하는 BU의 편침으로 이동시킨다(편성시작부(4)의 편성에 관한 공정(A)에 상당).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가 FD(일방의 니들베드)와 BU(타방의 니들베드)에 교대로 1스티치씩 결합된 상태(1×1의 결합상태)가 된다.
또한 S5에서는, 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 니들베드의 사이, 즉 F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와 BU에 결합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 사이에,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싱커 루프를 지지하는 편사(Y9)를 삽입한다(편성시작부(4)의 편성에 관한 공정(B)에 상당).
S6에서는,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고정용 스티치열(21)을, FD의 편침(K, I, G, E, C)과 BU의 편침(J, H, F, D, B)에 형성한다(편성시작부(4)의 편성에 관한 공정(C)에 상당). 고정용 스티치열(21)에 의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니트 루프가 지지되고, 편성시작 스티치열(20)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한 편사(Y9)가 편성시작 스티치열(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편성시작 스티치열(20)과, 그 스티치 사이에 끼워져 있는 편사(Y9)와, 편성시작 스티치열(20)에 계속되는 고정용 스티치열(21)에 의하여, 편성시작부(4)가 구성된다.
S7에서는, 고정용 스티치열(21)의 스티치 중에서 BU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대향하는 FD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에 의하여, B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3)와 F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4)가 통모양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예에서는, 편성시작부(3)의 편성에 관한 공정(A, B, C)을 한 후에, 편성시작부(4)의 편성에 관한 공정(A, B, C)을 함으로써, 편성시작부(3)에 삽입되는 편사(Y9)와 편성시작부(4)에 삽입되는 편사(Y9)가 연결되기 때문에, 편성포의 시단부(始端部)가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후에는 편성시작부(3, 4)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베이스 편성포부(5, 6)를 편성한다. 본 예에서는, 편성시작부(3, 4)의 편성에 사용한 편사(Y9)를 인레이 편성(inlay knitting)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5, 6)에 편입(編入)한다. 그 편성의 일례를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보는 방법은, 도1과 마찬가지이다.
도2의 S10에는, 도1의 S7에 나타내는 편성시작부(3, 4)가 완성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S11에서는, 편성시작부(3)의 스티치를 BD와 FU에 나누고, 급사구(8)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편성시작부(3)에 계속되는 베이스 스티치열(50)을 편성한다. 베이스 스티치열(50)은, 베이스 편성포부(5)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티치열로서, 급사구(8)와는 다른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로 편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S11에서는, 1×1의 결합상태로 편성시작부(3)의 스티치를 나누고 있지만, 다른 분배방식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베이스 편성포부(5, 6)는, 편성포의 시단부가 되는 편성시작부(3, 4)와 같이 풀림방지가 필요한 장소가 아니고, 1×1의 결합상태 이외의 결합상태로 하더라도 풀려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2, 2×1, 2×2의 결합상태가 되도록 편성시작부(3)의 스티치를 나누어도 상관없다. 또한 베이스 스티치열(50)을 편성한 후에, 베이스 스티치열(50)의 스티치를 BD와 FU에 나누더라도 상관없다.
S12에서는, 급사구(9)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전후 니들베드의 사이에 편사(Y9)를 삽입하고, BD와 FU에 배치된 베이스 스티치열(50)의 스티치 사이에 편사(Y9)를 배치시킨다.
S13에서는, FU에 결합되는 베이스 스티치열(50)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BD의 편침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F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4)의 스티치를 FD와 BU에 나누고, 급사구(8)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편성시작부(4)에 계속되는 베이스 스티치열(60)을 편성한다. 베이스 스티치열(60)은, 베이스 편성포부(6)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티치열이다.
S14에서는, 급사구(9)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전후 니들베드의 사이에 편사(Y9)를 삽입하고, FD와 BU에 배치된 베이스 스티치열(60)의 스티치 사이에 편사(Y9)를 배치시킨다. 이후로는 S11∼S14와 마찬가지의 편성을 반복하면, 편사(Y9)가 편입된 베이스 편성포부(5, 6)를 편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부(3, 4)를 편성할 때에 자루편성(tubular knitting)을 하지 않기 때문에 편성시작부(3, 4)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베이스 편성포부(5, 6)의 편성시작부(3, 4) 측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편성포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성시작부(3, 4)에 사용한 편사(Y9)를 베이스 편성포부(5, 6)의 인레이 편성에도 이용함으로써, 편성시작부(3, 4)와 베이스 편성포부(5, 6)의 경계에서 편사(Y9)의 실 빼기(yarn out)를 할 필요가 없어, 편성포 전체에서 편사(Y9)의 마무리를 하는 장소를 줄일 수 있다.
1, 2 :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
3, 4 : 편성시작부
10, 20 : 편성시작 스티치열
11, 21 : 고정용 스티치열
5, 6 : 베이스 편성포부
50, 60 : 베이스 스티치열
8, 9 : 급사구
Y8, Y9 : 편사

Claims (4)

  1.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제1니들베드(first needle bed)와 제2니들베드(second 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에 연속하여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부는,
    편성포의 시단부(始端部)가 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set-up stitch row)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교대로 1스티치씩 결합된 상태로 하는 공정(A)과,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복수의 스티치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복수의 스티치 사이에,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싱커 루프(sinker loop)를 지지하는 편사(編絲)를 삽입하는 공정(B)과,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니트 루프를 지지하는 새로운 고정용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공정(C)을
    함으로써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서 사용하는 상기 편사는 탄성사(彈性絲)를 포함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모양으로 연결된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상기 편사를 인레이 편성(inlay knitting)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에 삽입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70113056A 2016-09-07 2017-09-05 편성포의 편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03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4891 2016-09-07
JP2016174891A JP6501741B2 (ja) 2016-09-07 2016-09-07 編地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031A KR20180028031A (ko) 2018-03-15
KR101903584B1 true KR101903584B1 (ko) 2018-10-02

Family

ID=6153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3584B1 (ko) 2016-09-07 2017-09-05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01741B2 (ko)
KR (1) KR101903584B1 (ko)
CN (1) CN107794635B (ko)
DE (1) DE102017215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7732B2 (ja) * 2020-12-04 2023-02-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JP7580332B2 (ja) * 2021-04-28 2024-11-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JP7624896B2 (ja) * 2021-08-04 2025-01-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CN116815397A (zh) * 2023-04-27 2023-09-29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多条夹芯编织效率的飞织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282B1 (ko) 2013-09-24 2015-1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374A (en) * 1974-11-14 1976-10-19 Goscote Engineering Limited Welf knitted fabric simulating woven cloth
JPS60199953A (ja) 1984-03-19 1985-10-09 田中繊維工業株式会社 編物地
JPH0931804A (ja) * 1995-07-17 1997-02-04 Tsudakoma Corp シングル編地の編成方法
US6502430B1 (en) * 1997-08-11 2003-01-07 Sara Lee Corporation Continuously knit hosiery and underwear garments having variably graduated diameters
JP2007277738A (ja) 2006-04-03 2007-10-25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デザイン装置
JP4919522B2 (ja) * 2009-04-02 2012-04-18 ニッティド株式会社 靴下の一部に締め込み部を有する靴下および靴下の一部に締め込み部を有する靴下の製造方法
CN102465383A (zh) * 2010-11-14 2012-05-23 赵寿广 一种针织物连续编织的起底方法
JP2014084538A (ja) * 2012-10-22 2014-05-12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CN105074069B (zh) * 2013-02-25 2017-03-2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鞋帮的编织方法
JP6223194B2 (ja) 2014-01-10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6292914B2 (ja) * 2014-02-12 2018-03-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16079509A (ja) * 2014-10-09 2016-05-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突起部を備えた編地の編成方法
CN104452071B (zh) * 2014-12-02 2017-05-10 江南大学 筒形双轴向纬编三维针织结构的编织方法和设备
JP6153551B2 (ja) * 2015-02-02 2017-06-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282B1 (ko) 2013-09-24 2015-1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40079A (ja) 2018-03-15
CN107794635A (zh) 2018-03-13
DE102017215572A1 (de) 2018-05-24
CN107794635B (zh) 2019-08-09
JP6501741B2 (ja) 2019-04-17
KR20180028031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4080B1 (en) Spacer fabric knitting method and spacer fabric
KR10173535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4252751B2 (ja) 筒状編地のストライプ柄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2017115282A (ja) 編地の編成方法
JPWO2010073491A1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および編地
KR1018447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5955212B2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
JP570257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216878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735355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02191616A (zh) V领尖端部的编织方法及具有v领的编织物
JP2008007907A (ja) 編み終わり側に開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1329124B1 (ko) 되돌림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754145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JP2016211088A (ja) 編地の編成方法
JP6257565B2 (ja) 編糸の固定方法
KR101725421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858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2019189984A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JP2008261074A (ja) 編地の編成方法
JP2015151631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2291022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및 접합된 편성포
WO2016059879A1 (ja) 編地の編成方法
EP2636778A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