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2114B1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114B1
KR101902114B1 KR1020170060997A KR20170060997A KR101902114B1 KR 101902114 B1 KR101902114 B1 KR 101902114B1 KR 1020170060997 A KR1020170060997 A KR 1020170060997A KR 20170060997 A KR20170060997 A KR 20170060997A KR 101902114 B1 KR101902114 B1 KR 10190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housing
draw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용
양재경
이용수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114B1/ko
Priority to US16/614,256 priority patent/US11525582B2/en
Priority to EP18801596.0A priority patent/EP3627055B1/en
Priority to PCT/KR2018/005639 priority patent/WO20182126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1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integrated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드로어; 및 사기 드로어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히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기기는 식품을 익히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전기 오븐, 마이크로 웨이브 등을 포함한다.
특히, 전기 오븐은, 열과 함께 식품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오븐 속에 가두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최근에는, 스팀 오븐과 같이, 조리 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조리 공간 내부로 스팀이 공급됨으로써, 찜 요리를 비롯한 다양한 요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가 개시된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조리 기기는,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급수 펌프,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고정 장착되는 면상 발열 히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스팀 발생 장치와, 스팀 발생 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가 분리되어 있어서, 급수 탱크와 스팀 발생 장치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급수 펌프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 탱크, 급수 펌프, 및 스팀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조리 기기 내부에 필요하게 되어, 조리 기기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 크기의 조리 기기 대비 스팀 발생 장치가 있는 조리 기기 내에 형성되는 조리실 부피가, 스팀 발생 장치가 없는 조리 기기 내에 형성되는 조리실 부피보다 작을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둘째, 아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조리 기기의 경우, 스팀 발생 장치가 조리실의 외부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청소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셋째, 급수 탱크와 스팀 발생 장치의 스팀 발생 공간이 독립된 공간에 존재하므로, 급수 탱크에 물을 채우는 시간과, 급수 펌프를 구동하여 급수 탱크로부터 스팀 발생 공간으로 물을 이동시켜 채워는 시간, 및 스팀 발생 공간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합한 전체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4997호(2007년05월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외면에 장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전원 단자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드로어; 및 사기 드로어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히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고, 일측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물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유닛은,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에 패턴 인쇄되는 발열 저항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장착되는 면상 발열체; 상기 발열 저항체의 양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원 단자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 2 면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열전도판에 의하여 차폐되며,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 2 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는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스측 접촉 단자와,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감싸서 보호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단자 보호부와, 상기 단자 보호부의 전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하우징측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감싸서 보호하는 인너 립과, 상기 인너 립의 외측에 형성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아우터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단자 보호부의 전단부가 상기 방수 부재의 후면을 가압하고, 상기 방수 부재의 후면이 가압되면, 상기 방수 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슬릿이 벌어지고, 상기 슬릿의 벌어진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측 접촉 단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 부재의 후면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방수 부재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슬릿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가 급수 탱크 및 스팀 발생부의 기능을 겸하므로, 별도의 급수 탱크와 급수 펌프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급수 탱크와 급수 펌프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조리실 공간이 넓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하우징에 장착하면 바로 가열 기능이 작동 가능하므로, 물을 채우고 스팀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즉, 급수 탱크로부터 스팀 발생 장치로 물이 이동하여 채워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히팅 유닛이 장착된 드로어가 하우징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 가능하므로, 드로어의 청소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히팅 유닛이 장착된 드로어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히팅 유닛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에 구비되는 히팅 유닛을 상부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상기 히팅 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10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케이스의 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주입구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드로어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기 직전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드로어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상면 좌측 또는 상면 우측에 배치되는 스팀 발생 장치(20)와, 상기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2)와, 상기 도어(12)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데코 패널(decor panel)(15)과, 상기 데코 패널(15)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의 전면에는 도어 핸들(121)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하단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3)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2)와, 상기 조작부(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명령 또는 상기 조리 기기(10)의 운전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의 위치에 대응하는 데코 패널(15)의 가장자리에는 드로어 삽입구(151)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드로어(후술함)의 인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의 후면에는 스팀 공급관(14)이 연결된다. 상기 스팀 공급관(14)은 상기 캐비닛(11) 내부의 조리실로 연결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드로어(25)와, 상기 드로어(25)의 바닥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팅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로어(25)는, 내부에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22)와, 상기 케이스(22)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케이스 커버(23)와, 상기 케이스 커버(23)에 형성되는 물주입구(231)를 덮는 주입구 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유닛(30)은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상기 드로어(25)는 상기 하우징(21)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21)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에 구비되는 히팅 유닛을 상부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히팅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히팅 유니(30)은, 면상 발열체(33)와, 상기 면상 발열체(33)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36)과, 상기 케이블(36)의 단부에 연결되는 단자부(34), 및 저면에 상기 면상 발열체(33)가 부착되는 열전도판(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전도판(35)은 열전도 계수가 높은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고, 일예로 알루미늄 플레이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판(35)은 상기 드로어(25)를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22)의 바닥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면상 발열체(33)가 상기 케이스(22)의 바닥에 직접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상기 면상 발열체(33)는, 절연 기판(31)과, 상기 절연 기판(31)에 패턴 인쇄되는 발열 저항체(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 기판(31)에 패턴 인쇄되는 상기 발열 저항체(32)의 양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36)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36)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단자부(34)는, 접촉 단자(341)와, 상기 접촉 단자(341)를 감싸서 보호하는 방수 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접촉 단자(341)는 상기 방수 부재(342)에 감싸지기 때문에, 상기 드로어(25)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 단자(341)에 물이 닿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부재(34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원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부재(342)의 내측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슬릿(34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부재(342)는 상기 케이스(22)의 배면에 장착된다. 상기 방수 부재(342)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드로어(25)와, 상기 드로어(25)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우징(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은 상기 드로어(25)의 인출입을 위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의 상면도 개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은, 바닥부(211)와, 상기 바닥부(21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와, 상기 바닥부(211),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부(2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11)에는 다수의 방열홀(2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방열홀(211a)의 상측에 상기 히팅 유닛(30)이 위치한다. 따라서, 스팀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열홀(211a)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 상기 히팅 유닛(30) 및 상기 드로어(25)를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22)의 표면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내측 면에는 가이드 리브(216)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의 지점에는 가이드 턱(212a,213a)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6)와 가이드 턱(212a) 사이에 형성되는 레일 수용 공간으로 후술하게 될 드로어(25)의 슬라이드 레일(228:도 9 참조)이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21)의 전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이 상기 레일 수용 공간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은 상기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의일부분이 상기 하우징(21)의 중심 방향으로 단차져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은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전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의 폭(또는 단차 깊이)은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즉,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배면부(214)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포트(217)가 상기 하우징(2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 포트(217)는 상기 하우징(21)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의 바닥부(211)로부터 하측으로 지지 레그(215)가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레그(215)의 하단부는 상기 조리 기기(10)의 캐비닛(11) 상면에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레그(215)는 상기 하우징(21)의 바닥부(211)의 네 모서리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상기 바닥부(211)의 후단부 좌측과 우측 모서리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좌측면부(212)의 전면 상단과 상기 우측면부(213)의 전면 상단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연결 리브(219)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219)에 의하여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전단부가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리브(219)는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214)에는 한 쌍의 전원 단자부(218)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단자부(218) 각각은, 접촉 단자(218b)와 상기 접촉 단자(218b)를 보호하는 단자 보호부(218a), 및 상기 접촉 단자(218b)의 후측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18c:도 1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3)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이 상기 접촉 단자들(218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어(25)가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되면, 상기 드로어(25)의 배면에 구비되는 상기 단자부(34)가 상기 전원 단자부(218)에 결합되며,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케이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드로어(25)는 케이스(2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2)는, 전면부(221)와, 상기 전면부(221)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측면부(223) 및 우측면부(224)와, 상기 전면부(221)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닥부(222)와, 상기 바닥부(222), 좌측면부(223) 및 우측면부(224)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부(2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2)의 상면은 개구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전면부(22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21a)와, 상기 파지부(221a)의 배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케이스 커버 안착부(221b)와, 상기 커버 안착부(221b)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21c)와, 상기 수직부(221c)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221d)와, 상기 수평부(221d)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21e)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221e)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파지부(2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221a)와 상기 경사부(221e) 사이에는 파지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2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너 케이스(23)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상기 파지부(221a)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21a)는, 상기 드로어(25)가 상기 하우징(2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조리 기기(10)의 데코 패널(15)에 형성된 상기 드로어 삽입구(151)를 완전히 폐쇄한다. 즉, 상기 파지부(221a)와 상기 드로어 삽입구(151)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안착부(221b)는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상단을 지나는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어, 상기 케이스 커버(24)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22)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외면에는 슬라이드 레일(228)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은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외면에서 소정 폭으로 수평하게 돌출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은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상단보다 하단에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어(25)가 상기 하우징(21)에 인입되거나 하우징(21)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은 상기 하우징(21)의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배면부(225)의 상단에는 토출 포트 안착홈(225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부(225)의 전면에는 구획벽(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벽(226)은, 상기 배면부(225)의 전면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바닥부(222)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면부(225)와 상기 구획벽(226) 사이에는 단자부 수용 공간(2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 수용 공간(227)의 후면을 정의하는 상기 배면부(225)의 어느 지점에는, 한 쌍의 방수 부재 장착홀(225c)이 상기 배면부(225)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 부재 장착홀(225c)에 상기 방수 부재(34)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히팅 유닛(30)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블(36)은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부(222)와 상기 구획벽(226)의 수직부를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부 후측에는 케이블 통과홀(225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36)이 상기 케이블 통과홀(225a)를 통과하여 상기 단자부 수용 공간(227)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단자부 수용 공간(227)에는 상기 접촉 단자(341)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부(222)에는 상기 열전도판(35)이 장착되기 위한 개구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22a)는 상기 열전도판(35)에 의하여 완전히 차폐되고, 상기 케이스(22)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열전도판(35)과 직접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2)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열전도판(35)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서 가열되어 수증기로 변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22)는 열전도율이 낮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도판(35)만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스(22)의 표면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부(222a)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2a)가 상기 열전도판(35)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물이 열전도판(35)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으므로, 열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케이스(22) 전체가 금속 소재로 이루이고, 상기 케이스(22)의 바닥에 상기 면상 발열체(33)가 직접 부착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상기 면상 발열체(33)가 열전도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부(222)를 직접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방법에 의하든, 상기 면상 발열체(33)는 상기 케이스(22)에 채워지는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면상 발열체(33) 표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히터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종래의 스팀 발생 장치에 비하여 상기 케이스(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이 훨씬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주입구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25)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23)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23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32)와, 상기 연장부(232)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토출 포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23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전후 단부 및 좌우 측단부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사각형 띠 형태로 둘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토출 포트(234)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후단부 쪽에 형성된 연장부(232) 부분의 배면에서 후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토출 포트(234)는, 상기 드로어(25)가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21)의 연결 포트(217)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23)가 상기 케이스(22)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연장부(232)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2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저면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22)의 상단부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일측에는 물 주입구(231a)가 형성되고, 상기 물 주입구(231a)는 상기 주입구 커버(24)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물주입구(231a)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는 체결홀(2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주입구 커버(24)는, 상기 주입구(231a)를 차폐하는 커버 바디(241)와, 상기 커버 바디(24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단(242), 및 상기 연장단(242)의 단부 저면에서 돌출되는 삽입 돌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243)는 상기 케이스 커버(23)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231b)에 삽입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231a)의 가장자리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바디(241)의 저면도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도 14는 드로어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기 직전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드로어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의 배면부(214)에 장착되는 상기 전원 단자부(218)는, 단자 보호부(218a)와, 상기 단자 보호부(218a)의 중심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218b) 및 상기 접촉 단자(218b)의 후단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18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자 보호부(218a)의 전면부는 소정 깊이 함몰되고, 상기 함몰되는 부분의 중앙에 상기 접촉 단자(218b)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218b)는 상기 단자 보호보(218a)에 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보호부(218a)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탄성 부재(218c)가 수용되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218b)의 전면에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 부재(218c)가 수축되면서, 상기 접촉 단자(218b)의 후단부 일부분이 상기 탄성 부재(218c)가 수용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 부재(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2)의 배면부(225)에 형성된 상기 방수 부재 장착홀(225c)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방수 부재(34)는 인너 립(inner lip)(342b)과, 아우터 립(outer lip)(34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립(34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단자(341)을 감싸서 보호하고, 상기 접촉 단자(341)가 상기 방수 부재(3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립(342c)은, 상기 인너 립(342b)의 맞은편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립(342c)은 상기 슬릿(342a)에 의하여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22)가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슬릿(342a) 부분이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접촉 단자(3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단자(341)가 증기 또는 수분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기적인 사고로부터 안전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22)가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단자 보호부(218a)의 전단부가 상기 방수 부재(34)의 후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단자 보호부(218a)의 전단부가 상기 방수 부재(34)의 후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방수 부재(34)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슬릿(342a)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342a)이 벌어지면서 상기 접촉 단자(34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 단자(341)의 단부는 벌어진 상기 슬릿(342a)을 관통하여 상기 전원 단자부(218)의 접촉 단자(218b)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 단자부(218)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면상 발열체(33)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방수 부재(34)는 탄력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드로어(25)의 인출과 인입 동작이 다수 회 반복되더라도, 플라스틱에 비하여 파손의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외면에 장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전원 단자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드로어; 및
    사기 드로어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히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고, 일측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물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유닛은,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에 패턴 인쇄되는 발열 저항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장착되는 면상 발열체;
    상기 발열 저항체의 양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원 단자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 2 면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열전도판에 의하여 차폐되며,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 2 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는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스측 접촉 단자와,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감싸서 보호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는 단자 보호부와,
    상기 단자 보호부의 전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하우징측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감싸서 보호하는 인너 립과,
    상기 인너 립의 외측에 형성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아우터 립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단자 보호부의 전단부가 상기 방수 부재의 후면을 가압하고,
    상기 방수 부재의 후면이 가압되면, 상기 방수 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슬릿이 벌어지고,
    상기 슬릿의 벌어진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측 접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측 접촉 단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의 후면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방수 부재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슬릿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170060997A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Active KR10190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97A KR101902114B1 (ko)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US16/614,256 US11525582B2 (en) 2017-05-17 2018-05-16 Cooking appliance
EP18801596.0A EP3627055B1 (en) 2017-05-17 2018-05-16 Cooking appliance
PCT/KR2018/005639 WO2018212601A1 (ko) 2017-05-17 2018-05-16 조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97A KR101902114B1 (ko)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114B1 true KR101902114B1 (ko) 2018-09-27

Family

ID=6371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997A Active KR101902114B1 (ko)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25582B2 (ko)
EP (1) EP3627055B1 (ko)
KR (1) KR101902114B1 (ko)
WO (1) WO2018212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1317356A (zh) * 2020-03-31 2020-06-2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DE102021201947A1 (de) * 2021-03-01 2022-09-01 BSH Hausgeräte GmbH Verdampfer für Haushalts-Dampfgargerät und Haushalts-Dampfgargerät mit Dampfbehandlungsschubla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97B1 (ko) * 2006-09-28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JP2017016984A (ja) * 2015-07-06 2017-01-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雄コネクタの防水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846A (ja) * 2002-05-15 2003-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KR100691225B1 (ko) 2005-06-0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0677880B1 (ko) 2005-06-17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KR100805227B1 (ko) 2005-11-2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면상발열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US20070114221A1 (en) 2005-11-24 2007-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te-shaped heater and steam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24006B1 (ko) 2006-12-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KR20100012726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97B1 (ko) * 2006-09-28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JP2017016984A (ja) * 2015-07-06 2017-01-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雄コネクタの防水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7055B1 (en) 2025-07-02
WO2018212601A1 (ko) 2018-11-22
US11525582B2 (en) 2022-12-13
US20200088415A1 (en) 2020-03-19
EP3627055A4 (en) 2021-02-24
EP3627055A1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114B1 (ko) 조리 기기
KR101975196B1 (ko) 조리 기기
US11739949B2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US11045045B2 (en) Cooker with gasket
EP1628079B1 (en) Overheat steam cooker
EP1954100B1 (en) Door for microwave oven
KR102471069B1 (ko) 저온진공조리장치
JP6229171B2 (ja) 加熱調理器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20110079007A (ko) 조리기기
KR20040063218A (ko) 전기오븐
US20160265791A1 (en) Cooking device
KR100848912B1 (ko) 조리기기
KR102030472B1 (ko) 전기 밥솥의 전선 고정 장치
CN215735249U (zh) 容纳组件和家电设备
KR102403973B1 (ko) 공기토출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밥솥
WO2006134556A2 (en) A cooking device with terminal box
KR102331673B1 (ko) 전기 가열 조리기기
EP4411250A1 (en) Cooking appliance
KR100697417B1 (ko) 오븐캐비티 온도센서 장착구조
RU2003132688A (ru) Дверь для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CN216693650U (zh) 烹调器和烹饪器具
KR20100081247A (ko) 스팀발생장치
KR100614312B1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KR20180028664A (ko)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