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8912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912B1
KR100848912B1 KR1020070014436A KR20070014436A KR100848912B1 KR 100848912 B1 KR100848912 B1 KR 100848912B1 KR 1020070014436 A KR1020070014436 A KR 1020070014436A KR 20070014436 A KR20070014436 A KR 20070014436A KR 100848912 B1 KR100848912 B1 KR 10084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steam generator
cooking chamber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면
이영우
양재경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9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을 구획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실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조리실을 제외한 공간이 축소되므로 전체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조리기기, 스팀, 스팀발생기, 스팀용기, 히터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예 따른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팀발생기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팀발생기가 장착된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기 오븐 10 : 본체
11 : 조리실 12 : 히터
13 : 조작부 15 : 도어
20 : 스팀발생기 21 : 스팀용기
22 : 스팀분출구 23 : 급수구
25 : 마개 27 : 손잡이
30 : 히터부 40 : 전원결합부
50 : 전원공급부 51 : 단자
60 : 탈부착 가이드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에 장착되어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스팀발생기를 갖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기기로, 그 종류로는 조리 방식에 따라 전자레인지, 전기 오븐 레인지, 가스 오븐 레인지 등이 있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이크로파를 조리실 내부로 조사하여 음식물 내부의 수분을 진동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열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한다. 그리고 전기 오븐 레인지와 가스 오븐 레인지는 전기 또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발생된 열로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한다.
상기의 조리기기들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건조되기 쉽고, 스팀을 사용하는 찜 등의 조리에 적합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최근 조리기기에는 스팀발생기를 장착하여 조리실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스팀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래의 가열방식에 스팀을 동시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어 조리시 음식물의 과도한 수분 이탈을 방지하면서 조리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발생기는 물을 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로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원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팀발생기는 그 형태에 따라, 물을 공급 및 수용하는 물통과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함 께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과, 물통과 히터가 별도로 구성된 분리형이 있다.
그런데, 상기 스팀발생기 형태 모두는 상기한 조리기기들(전자레인지, 전기 오븐레인지, 가스 오븐레인지)에 장착될 경우,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계된다. 즉, 스팀발생기는 전장실의 일부 공간에 일체형으로 설계되거나 전장실의 일부공간에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 스팀발생기는 조리기기의 전장실의 일부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전장실의 공간을 크게 설계하거나 상대적으로 조리실의 공간이 작아지도록 설계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조리기기가 스팀 조리를 수행하지 않고 본래 방식에 의해 조리를 수행할 경우에도 스팀발생기가 불필요하게 전장실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스팀 조리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 스팀발생기가 장착된 조리기기보다 넓은 조리실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조리모드를 구현할 수 있고 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을 구획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스팀을 분출하는 스팀분출구와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를 가지며 물이 수용되는 스팀용기; 및 상기 스팀용기에 내장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는, 일면이 상기 조리실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전원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스팀발생기는 스팀발생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의 외관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법랑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결합을 안내하는 탈부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가이드는 상기 조리실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기는 조리시 스팀 공급이 가능한 전자레인지, 가스 오븐(레인지), 전기 오븐(레인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 예에서는 스팀발생기가 전기 오븐에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예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팀발생기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팀발생기가 장착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오븐(1)은, 크게 조리실(11)이 형성된 본체(10)와, 조리실(11)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기(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 내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11)이 마련되어 있다. 조리실(11)에는 조리대상의 음식물이 올려지도록 트레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조리가 수행되는 동안 조리실(11)은 도어(15)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어(15)는 본체(10)의 전면에서 조리실(11)을 개폐한다. 도어(15)는 본체(10)에 힌지 등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필요시 도어(15)를 본체(10)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조리실(11)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실(11)을 이루는 본체(10)의 하부 또는 상부 영역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2)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히터(12)에 의해 조리실(11)에 놓여진 음식물은 건열(乾熱)로 조리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조리실(11)의 조리 상태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13)가 마련된다. 조작부(13)는 버튼 또는 노브형태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팀 및 건열 조리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3)는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미도시)과 연결된다. 전장실은 조리실(11)을 제외한 본체(10)의 나머지 영역을 이루며, 조리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인쇄회로기판(PCB)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전장실에 상기 전장부품 이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스팀발생기가 장착되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기기는 전술한 스팀발생기가 전장실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조리실의 공간이 작게 설계되거나 조리기기의 전체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1)는 스팀발생기(20)가 별도로 제작되어 조리실(11)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종래 스팀발생기가 장착된 조리기기에서 전장실을 차지하던 스팀발생기의 장착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전장실을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조리실(11)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전장 실의 크기를 줄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의 내부 공간을 구획가능하도록 조리실(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팀을 조리실(11) 내부로 공급한다.
스팀발생기(20)는, 물(W)이 수용되는 스팀용기(21)와, 스팀용기(21)에 내장된 히터부(30)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결합부(40)를 구비한다.
스팀용기(21)는 내부에 물(W)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본 실시 예처럼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다른 박스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스팀용기(21)의 일측에는 스팀분출구(21)가 형성되어 조리실(11)로 스팀을 분출하게 된다. 스팀분출구(21)로부터 분출되는 스팀량은 스팀분출구(21) 또는 상기 조작부(13)로 제어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스팀분출구(21)는 스팀용기(21)의 일측 면 상부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 내부에 장착될 경우, 스팀용기(21)를 이루는 각 면들은 조리실(11)의 내벽에 밀착되는 부분과 조리실(11)을 구획하는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분출구(21)는 조리실(11)을 구획하는 스팀용기(2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팀분출구(21)는 조리실(11) 내부로 스팀을 분출하는 구성을 나타내도록 도시하였을 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구체적인 형상이나 크기, 개수 등은 당업자 수준에서 적절하게 선택 변경가능할 것이다.
스팀용기(21)의 일면에는 급수구(23)가 형성되며, 급수구(23)를 통해 외부로 부터 스팀용기(21) 내부로 물(W)이 공급될 수 있다. 급수구(23)에는 물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급수구(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3)를 개폐하는 마개(25) 등을 포함하도록 하여 스팀용기(21) 내부에 물(W)이 공급되면 마개(25)로 급수구(23)를 밀폐시켜 스팀용기(21) 외부로 물(W)이 새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팀용기(21)의 내부에는 히터부(30)가 설치된다. 히터부(30)는 스팀용기(21)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하여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스팀(Steam)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터부(30)는 코일 형태를 갖는 열선이나 유도가열 방식에 의한 유도가열기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30)는 스팀용기(21) 내부의 물(W)을 가열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스팀용기(21) 일측에는 히터부(3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결합부(40)가 마련된다. 전원결합부(40)는 일단이 히터부(30)와 연결되며 타단이 스팀용기(2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 내부에 결합될 경우, 전원결합부(40)의 타단은 후술할 조리실(11)에 노출된 전원공급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는 본체(10)에 마련된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히터부(3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스팀용기(21)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 내부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스팀발생기(20)의 일측에 손잡이(27)가 더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27)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스팀용기(21)의 전면부의 일부구간을 함몰하면서 스팀용기(21)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스팀용기(21) 외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27)를 잡고 스팀발생기(2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조리실(11) 내부에 스팀발생기(20)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발생기(20)의 외관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법랑(Porcelain Enamel)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내식성 및 위생성이 탁월한 금속 소재로 잘 알려져 있으며, 법랑은 금속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킨 것으로 강성, 내식성, 청결성면에서 우수한 소재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질로 구성된 외관을 갖는 스팀발생기(20)는 우수한 내식성 및 위생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분에 의해 스팀발생기(20)가 쉽게 부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시 조리되는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 내부에 장착될 경우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을 구획하게 되므로, 상기한 외관을 갖는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시 음식물에 열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조리실(1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되는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리기기(1)의 본체(10)에는 전원공급부(50)와 탈부착 가이드(60)가 설치된다.
본체(10)에 마련된 전원공급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스팀발생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50)는 일면이 조리실(11)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50)는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1)와, 단자(5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자(51)는 조리실(11) 내부로 노출되어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의 일단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버는 조리실(11)에 노출된 단자(5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팀발생기(20)가 장착되지 않은 일반 조리 상태에서는 커버에 의해 단자(51)가 덮이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1)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질 등에 단자(51)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에 장착될 경우, 단자(51)를 덮고 있는 커버를 개방시키면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가 단자(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전원공급부(50)는 조리실(11)을 이루는 본체(10)의 다양한 장소에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공급부(50)가 1개가 조리실(11)의 우측 하단면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전원공급부(5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조리실(11)의 좌측, 상측, 하측 또는 다른 측면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발생기(2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리실(11)의 어느 영역에 결합되더라도 전원공급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리실(11) 내부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탈부착 가이드(60)는 상기 스팀발생기(20)가 조리실(11)에 착탈될 경우, 조 리실(11)과 스팀발생기(20)의 결합을 안내한다.
도 1 및 도 3에 과장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탈부착 가이드(60)는 바아(Bar) 형태로 마련되어, 조리실(11)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 가이드(60)에 의해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의 내벽에 수직으로 미끄러지듯이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며 결합시 조리실(11)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가이드(60)도 복수개로 마련되어 조리실(11)을 이루는 본체(10) 내부에 여러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스팀발생기(20)를 조리실(11)의 다양한 장소에 장착할 경우, 조리실(11)과 스팀발생기(20)의 결합을 안내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탈부착 가이드(60)는 바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당업자 수준에서 적절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리실(11)의 다양한 장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팀발생기(20)는 조리실(11) 내부 공간을 구획하면서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대상의 음식물이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스팀발생기(20)를 조리실(11)의 일측에 위치한 후 음식물의 바로 인접한 곳에 스팀발생기(20)를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그만큼 음식물이 위치된 조리실(11)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보다 빠른 열전달 또는 스팀을 통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에 대한 작용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실(11)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조리를 수행할 경우, 스팀발생기(20)를 조리실(11) 내부에 장착해야 한다. 이때, 조리대상의 음식물의 크기 및 상태를 고려하여 스팀발생기(20)를 조리실(11)의 적절한 장소에 장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등 조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와 본체(10)의 전원공급부(50)가 접촉하도록 스팀발생기(20)를 조리실(11)의 전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스팀발생기(20)의 손잡이(27)를 잡고 스팀발생기(20)를 미리 마련된 탈부착 가이드(60)를 따라 조리실(11)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스팀발생기(20)가 장착된 조리실(11)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를 수행하면 조리실(11) 내의 음식물은 스팀발생기(2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으면서 조리된다.
다음으로, 스팀 조리가 아닌 일반 조리시에는 스팀발생기(20)를 조리실(11) 내부에 장착하지 않는 상태로 조리실(11) 내부에 음식을 올려 놓는다. 이때, 음식은 스팀이 아닌 일반 가열상태의 조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 경우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가 수행되며,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은 전기 오븐(1)에서는 히터부(30)를 통한 가열로 음식이 조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스팀발생기(20)가 장착되었을 경우보다 좀 더 넓은 조리실(11)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스팀 조리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스팀발생기가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종래보다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 큰 조리실(11)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실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으로써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한다.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1a)에서 스팀발생기(20a)는 조리실(11)을 2개의 소형조리실(11a, 11b)로 구획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스팀발생기(20a)의 일면에만 스팀분출구(22a)를 형성하도록 하여, 좌측 소형조리실(11a)은 스팀요리를 하고 우측 소형조리실(11b)은 일반조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1a)는 스팀조리와 일반조리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기(20a)의 전원결합부(미도시)는 배터리(미도시) 등이 더 포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히터부로 물(W)을 가열할 전력을 충분하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 예에서 스팀발생기(20)의 전원결합부(40)는 본체(10)에 장착된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스팀을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 예의 스팀발생기(20a)는 전원결합부에 포함된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본체(10)에 별도의 전원공급부(50)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기(20a)는 조리실(11) 내부에 장착시 스팀발생기(20a) 자체적으로 히터부(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팀용기(21) 내부의 물(W)을 가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한다.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1b)에서 스팀발생기(20b)는 스팀용기(21b)에 형성된 스팀분출구(22b)가 망(mesh)형태로 구성되어 조리실(11) 내부로 스팀을 분출하며, 스팀용기(21b)의 전면에 한 쌍의 손잡이(27b)를 마련하여 양 손으로도 손잡이(27b)를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급수구(23)가 스팀용기(21)의 상부에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급수구(23b)가 스팀용기(21)의 측면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스팀발생기(20b)는 조리실(11)의 후면부에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조리실(11)의 전면을 향해 스팀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스팀발생기(20,20a,20b)가 조리실(11)의 우측면, 중앙영역 및 후면부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스팀발생기는 조리실(11)의 좌측, 또는 상,하 측 등 다양한 장소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팀발생기가 조리실에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조리실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전장실의 공간이 축소되므로 전체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스팀발생기로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어 조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및
    스팀을 발생하여 조리를 하도록 하고,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을 구획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스팀을 분출하는 스팀분출구와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를 가지며 물이 수용되는 스팀용기; 및
    상기 스팀용기에 내장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면이 상기 조리실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전원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스팀발생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외관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법랑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결합을 안내하는 탈부착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가이드는 상기 조리실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70014436A 2007-02-12 2007-02-12 조리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4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36A KR100848912B1 (ko) 2007-02-12 2007-02-1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36A KR100848912B1 (ko) 2007-02-12 2007-02-1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912B1 true KR100848912B1 (ko) 2008-07-29

Family

ID=3982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4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8912B1 (ko) 2007-02-12 2007-02-1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60B1 (ko) 2007-12-16 2010-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KR101528937B1 (ko) * 2009-05-11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50077975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71A (ko) * 2002-11-15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및 그 청소제어방법
KR2004005616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71A (ko) * 2002-11-15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및 그 청소제어방법
KR2004005616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60B1 (ko) 2007-12-16 2010-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KR101528937B1 (ko) * 2009-05-11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9127849B2 (en) 2009-05-11 2015-09-08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KR20150077975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5972B1 (ko) 2013-12-30 202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9787B2 (ja) 過熱蒸気調理器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7208902B (zh) 加热烹调器
KR20120122171A (ko) 스팀조리기기
WO2010126037A1 (ja) 加熱調理器
JP4785657B2 (ja) 水タンク及び加熱調理器
KR20040056161A (ko) 전자렌지
KR100712773B1 (ko) 가열 조리기
KR100848912B1 (ko) 조리기기
CN107692810B (zh) 抽屉式烹饪器具
JP5031884B2 (ja) 加熱調理器
JP4555805B2 (ja) 加熱調理器
KR20090099814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5511899B2 (ja) 加熱調理器
JP4416610B2 (ja) 過熱蒸気調理器
KR1006762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오븐
KR10069122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CN105917171A (zh) 微波加热烹调器
KR20100081247A (ko) 스팀발생장치
KR10146138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652589B1 (ko) 전기 오븐의 열공급장치
KR20060128101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0778705B1 (ko) 증기발생장치가 구비되는 유도가열 레인지
KR101340607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0634794B1 (ko) 가열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7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72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