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1188B1 -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188B1
KR101901188B1 KR1020120001907A KR20120001907A KR101901188B1 KR 101901188 B1 KR101901188 B1 KR 101901188B1 KR 1020120001907 A KR1020120001907 A KR 1020120001907A KR 20120001907 A KR20120001907 A KR 20120001907A KR 101901188 B1 KR101901188 B1 KR 10190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lay node
hub
candidate relay
activity interv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988A (ko
Inventor
박창순
김영수
황효선
김성연
권정안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188B1/ko
Priority to US13/357,666 priority patent/US8750791B2/en
Publication of KR2013008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988A/ko
Priority to US14/288,624 priority patent/US2014027381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1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노드 및 그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함으로써 주위에 자신과 활동 시간이 같은 노드가 없더라도 허브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중계 노드의 에너지 소비 과다 및 네트워크의 수명 감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노드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A HUB, A RELAY NODE, AND A NODE FOR RECONFIGURATING AN ACTIVE STATE POSITION IN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ES THEREOF}
아래의 실시예들은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6은 신체 영역 네트워크(Body Area Network; BAN)의 프로토콜 표준이다. IEEE 802.15.6 표준에 의하면 허브(hub)와 노드(node)는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또는 확장된 스타 토폴로지(extended star topology)를 형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 스타 토폴로지에서 노드는 다른 노드의 중계(relay) 없이 허브와 직접 통신하고, 확장된 스타 토폴로지에서 노드는 다른 노드의 중계를 통해 허브와 통신할 수 있다.
확장된 스타 토폴로지에서 중계 노드의 선택은 허브 또는 노드가 할 수 있다.
노드가 직접 중계 노드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 노드는 중계 노드가 될 수 있는 다른 노드의 애크(ACK) 신호나 티-폴(T-poll) 신호를 듣고 중계 노드로써의 자격을 판단한다. 따라서, 중계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노드와 중계 노드는 동시간에 깨어 있어야 한다.
신체 영역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은 활동 시간(active time)과 비활동 시간(inactive time)이 주기를 이루고 있으므로 비활동 시간에는 다른 노드의 신호를 들을 수 없고, 따라서 자신과 활동 시간이 다른 노드는 중계 노드가 될 수 없다.
허브와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노드는 다른 노드의 중계를 통해 허브와 통신해야 하는데, 주위에 자신과 활동 시간이 같은 노드가 없다면 노드는 허브와 통신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통신 방법은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노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허브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와 상기 노드 사이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연결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동작 상태를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에서 활동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할당 신호에 따라,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과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통신 방법은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허브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계 노드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을 할당하는 연결 할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는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노드에 있어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허브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와 상기 노드 사이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연결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재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동작 상태를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에서 활동 상태로 변경하는 상태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설정부는 상기 연결 할당 신호에 따라,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과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는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허브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계 노드에게 전송하고,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을 할당하는 연결 할당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함으로써 주위에 자신과 활동 시간이 같은 노드가 없더라도 허브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함으로써 특정 중계 노드의 에너지 소비 과다 및 네트워크의 수명 감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들 및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IEEE 802.15.6 표준에 따른 도 1의 노드들 각각의 각성 주기(wake up perio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노드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중계 노드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노드 각각의 동작 및 각성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이 재설정됨에 따라 변화된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이 재설정된 후에 변화된 노드의 각성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들 및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시스템은 허브(Hub) 및 노드(nod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노드들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등을 측정 혹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허브는 노드들로부터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허브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허브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를 위한 프로토콜 IEEE 802.15.6 표준에서 노드는 다른 노드의 중계(relay)를 통해 허브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드 B와 노드 C는 노드 A의 중계를 통해 허브와 통신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중계 노드는 노드가 직접 선택하거나 허브가 지정할 수 있다. 노드가 직접 중계 노드를 선택할 경우, 노드는 다른 노드가 허브로 보내는 애크(ACK) 신호나 티-폴(T-Poll) 신호를 듣고 중계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노드 C가 노드 A를 중계 노드로 선택할 때, 노드 C는 노드 A가 허브에게 전송하는 애크(ACK) 신호나 노드 A가 노드 B에게 전송하는 보내는 티-폴(T-Poll)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A를 중계 노드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IEEE 802.15.6 표준에 따른 도 1의 노드들 각각의 각성 주기(wake up period)를 나타낸 도면이다.
IEEE 802.15.6 표준은 모든 노드의 슈퍼 프레임(super frame)이 허브의 비컨(Beacon) 신호(B)에 맞춰 동작하는 비컨 모드(beacon mode)를 지원한다. 모든 노드는 주기적으로 활동 상태(active state)와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를 반복하고, 반복되는 주기를 각성 주기(wake up period)라 정의한다. 이러한 각성 주기는 각 노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는 모든 노드가 4의 각성 주기를 가지는 슈퍼 프레임의 예이다.
IEEE 802.15.6 표준에 따르면 각 노드의 활동 구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노드 A(203)는 노드 B(205)와 노드 C(207)의 신호를 허브(201)로 중계(relay) 하기 때문에, 노드 A(203)의 활동 구간은 노드 B(205) 및 노드 C(207)의 활동 구간과 같은 시간에 존재해야 한다. 여기서, 활동 구간은 활동 상태(active state) 구간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노드 D(209)는 허브(201)와 직접 통신하므로 활동 구간이 다른 노드들의 활동 구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2에서 노드 D(209)가 활동 상태일 때 다른 노드들(여기서는 노드 A(203), 노드 B(205) 및 노드 C(207))는 비활동 상태이다. 그러므로, 다른 노드들은 노드 D(209)와 허브(201)가 통신하는 내용을 감지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노드가 중계 노드를 선택할 때, 노드는 다른 노드의 애크(ACK) 신호나 티-폴(T-Poll) 신호를 듣고 다른 노드를 중계 노드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노드는 자신의 활동 구간과 같은 시간에 활동 구간을 갖는 다른 노드를 중계 노드로 선택 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노드 C(207)는 노드 A(203)나 노드 B(205)는 중계 노드로 선택할 수 있지만, 노드 D(209)는 중계 노드로 선택할 수 없다.
IEEE 802.15.6 표준에 명시된 중계 노드의 선택 방법에 의하면, 활동 구간이 같은 노드들 중에 일부 노드는 여러 노드를 중계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선택된 중계 노드는 다른 노드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클 수 있다. 도 1의 경우 노드 A는 다른 노드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A의 수명(lifetime)은 감소하게 되고, 네트워크 수명 또한 감소하게 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는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중계 노드를 통해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들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노드 A는 중계 노드(303)이고, 노드 B 및 노드 C는 중계 노드(303)인 노드 A를 통해 허브(301)와 통신하는 노드들(305,307)이다.
허브(301)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예를 들어, 도 1의 노드 D)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중계 노드(303)를 경유하여 노드들(305,307)에게 전송한다(310,315).
노드들(305,307)은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320). 여기서, 후보 중계 노드는 노드들(305,307)의 활동 구간과 같은 시간에 활동 구간을 갖는 다른 노드로서, 현재 허브(30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노드들(305,307)에게 중계하는 중계 노드(303) 이외에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후보 노드를 의미한다.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Active time ind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예를 들어, 후보 중계 노드가 허브에게 전송하는 애크(ACK) 신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게 전송하는 T-POLL 신호일 수 있다.
노드 C(307)는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후보 중계 노드와 노드 C(307) 사이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신호를 전송한다(325,330). 이때, 연결 요청 신호는 중계 노드(303)를 경유하여 허브(301)에게 전달된다.
허브(301)는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노드 C(307)가 후보 중계 노드로의 연결을 할당하고, 노드 C(307)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도록 하는 연결 할당(Connection assignment) 신호를 전송한다(335,34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노드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중계 노드를 통해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노드는 허브로부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410).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예를 들어, 후보 중계 노드가 허브에게 전송하는 애크(ACK) 신호 또는 후보 중계 노드가 노드에게 전송하는 T-POLL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허브는 중계 노드, 노드 및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Wake-up perio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성 주기는 노드의 동작 상태 즉, 활동 상태와 비활동 상태가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각성 주기는 각 노드마다 다를 수 있다.
노드는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노드의 동작 상태를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에서 활동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420). 노드는 자신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로 변경되어야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노드는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430).
노드는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중계 노드를 후보 중계 노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440).
노드는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허브로, 후보 중계 노드와 노드 사이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450). 이때, 노드는 440의 결정에 따라 허브에게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노드는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허브로부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수신된 연결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한다(460).
460에서 노드는 연결 할당 신호에 따라, 노드의 활동 구간과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중계 노드를 통해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허브의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허브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510).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는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중계 노드에게 전송한다(520).
허브는 노드로부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530).
허브는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을 할당하는 연결 할당 신호를 전송한다(540).
여기서, 허브는 중계 노드, 노드 및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중계 노드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중계 노드를 통해 허브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중계 노드의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계 노드는 허브로부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610)한 후, 노드에게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620).
이 후, 중계 노드는 노드로부터,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630). 이때, 노드는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에 의해 중계 노드를 후보 중계 노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 노드이다.
중계 노드는 허브에게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640).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허브는 이에 응답하여 중계 노드에게 연결 할당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연결 할당 신호는 노드에게 후보 중계 노드로의 연결을 할당함을 알리고,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중계 노드는 연결 할당 신호를 노드에게 전송한다(650).
이때, 연결 할당 신호는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허브로부터 수신한 신호이며, 여기서, 노드는 중계 노드를 후보 중계 노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 노드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노드 각각의 동작 및 각성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허브(701)는 모든 노드의 각성 주기와 활동 구간을 알고 있다. 실시예에서, 허브(701)는 노드 D(709)가 애크(ACK) 신호 혹은 T-Poll 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Active time indication)를 중계 노드인 노드 A(703)에게 전송한다. 노드 A(703)는 자신이 중계하는 노드들인 노드 B(705)와 노드 C(707)에게 허브(70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송한다.
노드 B(705)와 노드 C(707)는 노드 A(703)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해당 구간에 비활동 상태에서 활동 상태로 잠시 깨어나 노드 D(709)의 신호를 듣고, 다시 비활동 상태로 돌아온다. 활동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노드 B(705)와 노드 C(707)는 노드 D(709)의 ACK 신호나 T-Poll 신호를 듣고, 노드 D(709)를 중계 노드로 사용할지 결정한다.
이때, 노드 C(707)가 노드 D(709)를 중계 노드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하자.
노드 D(709)를 중계 노드로 선택한 노드 C(707)는 허브(701)에게 중계 노드 변경을 요구(request)하기 위해, 중계 노드로 동작하는 노드 A(703)에게 연결 요구(connection request) 신호를 전송한다.
노드 A(703)는 노드 C(707)로부터 받은 연결 요구 신호를 허브(701)에게 전송한다. 허브(701)는 노드 C(707)의 연결 요구 신호에 대해 연결 할당(connection assignment) 신호를 노드 A(703)를 통해 노드 C(707)에게 전송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이 재설정됨에 따라 변화된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노드 C가 노드 D를 중계 노드로 사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노드 C가 활동 구간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 노드 D가 노드 C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게 된 때의 변화된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노드 A에 연결되어 있던 노드 C는 도 8에서 활동 구간을 노드 D에 일치하도록 재설정함에 따라 노드 D로 연결 상태가 변경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이 재설정된 후에 변화된 노드의 각성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는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중계 노드를 통해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들 및 후보 중계 노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드 A(903)는 노드 B(905)의 중계 노드이고, 노드 D(909)는 노드 C(907)의 중계 노드이다. 노드 B(905) 및 노드 C(907)는 각각의 중계 노드를 통해 허브(901)와 통신하는 노드들이다.
도 9에서, 노드 A(903)는 노드 B(905)를 중계하므로 노드 A(903)와 노드 B(905)의 활동 구간이 같고, 노드 C(907)는 노드 D(909)를 중계하므로 노드 C(907)와 노드 D(909)의 활동 구간이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노드 C(907)는 활동 구간이 도 9와 같이 변경됨에 따라 더 이상 노드 A(903)의 신호를 들을 수 없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드(1000)는 수신부(1010), 결정부(1030), 전송부(1050), 재설정부(1070) 및 상태 변경부(1090)를 포함한다.
수신부(1010)는 허브로부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1030)는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현재의 중계 노드를 후보 중계 노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부(1050)는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허브로, 후보 중계 노드와 노드 사이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재설정부(1070)는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연결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한다.
재설정부(1070)는 연결 할당 신호에 따라, 노드의 활동 구간과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태 변경부(1090)는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노드의 동작 상태를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에서 활동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의 블록도이다.
허브(1100)는 수신부(1110) 및 전송부(1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노드로부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전송부(1130)는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중계 노드에게 전송하고,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을 허용하는 연결 허용 신호를 전송한다.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는 중계 노드, 노드 및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노드
1010: 수신부
1030: 결정부
1050: 전송부
1070: 재설정부
1090: 상태 변경부

Claims (17)

  1.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노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허브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와 상기 노드 사이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연결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드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의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동작 상태를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에서 활동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노드의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할당 신호에 따라,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과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드의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의 통신 방법.
  6.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허브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계 노드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을 할당하는 연결 할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과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허브의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노드에 있어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허브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와 상기 노드 사이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연결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재설정부
    를 포함하는 노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동작 상태를 비활동 상태(inactive state)에서 활동 상태로 변경하는 상태 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노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부는
    상기 연결 할당 신호에 따라,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과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노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15. 허브(Hub), 중계 노드(Relay Node) 및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허브와 통신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에서 상기 허브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속한 후보 중계 노드로부터,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상기 후보 중계 노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계 노드에게 전송하고,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을 할당하는 연결 할당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과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는 허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활동 구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후보 중계 노드의 동작 상태가 활동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각각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허브.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중계 노드, 상기 노드 및 상기 후보 중계 노드 각각의 활동 구간 및 각성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허브.
KR1020120001907A 2012-01-06 2012-01-06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Active KR10190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07A KR101901188B1 (ko) 2012-01-06 2012-01-06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US13/357,666 US8750791B2 (en) 2012-01-06 2012-01-25 Hub, relay node, and node for reconfiguring active state position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4/288,624 US20140273813A1 (en) 2012-01-06 2014-05-28 Hub, relay node, and node for reconfiguring active state position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07A KR101901188B1 (ko) 2012-01-06 2012-01-06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88A KR20130080988A (ko) 2013-07-16
KR101901188B1 true KR101901188B1 (ko) 2018-09-27

Family

ID=4874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07A Active KR101901188B1 (ko) 2012-01-06 2012-01-06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750791B2 (ko)
KR (1) KR101901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18B1 (ko) * 2013-09-26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학습에 기반한 중계 노드 선택 방법 및 중계 장치
JP2015188207A (ja) 2014-03-14 2015-10-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データ中継方法
WO2016048345A1 (en) * 2014-09-26 2016-03-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omputing nodes
CN105744625A (zh) * 2014-12-12 2016-07-06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装置和方法
GB2525463B (en) 2014-12-31 2017-11-15 Gen Electric A wireless medical body area network and a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devices for the same
WO2016116289A1 (en) * 2015-01-21 2016-07-28 Sony Corporation Methods, base station, mobile node and relay node
WO2016124223A1 (en) * 2015-02-03 2016-08-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roker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in for assisting roaming in multiple mesh networks.
JP6631242B2 (ja) * 2015-12-24 2020-0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43183B (zh) * 2021-06-10 2023-12-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电子科学研究院 一种共存无线体域网间协作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3259893B (zh) * 2021-06-28 2021-11-09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配电体域网网络节点认证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8666B2 (en) 2005-10-31 2011-07-12 Robert Bosch Gmbh Node contr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8059009B2 (en) * 2006-09-15 2011-11-15 Itron, Inc. Uplink routing without routing table
KR100871866B1 (ko) * 2006-12-28 2008-12-03 전자부품연구원 실시간 긴급 상황 탐지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전송 시스템
KR100953056B1 (ko) * 2007-07-13 2010-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쉬 네트워크에서 동작 슬롯을 선택하는 장치
US9078270B2 (en) * 2008-07-03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relay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10231566A (ja) 2009-03-27 2010-10-14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無線センサ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8432887B1 (en) * 2009-05-08 2013-04-30 Olympus Corporation Medium access control for tree-topology networks
KR20100127058A (ko) * 2009-05-25 2010-12-03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노드의 슈퍼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10056006A (ko) 2009-11-20 2011-05-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클러스터링 방법
KR101192841B1 (ko) 2009-12-07 2012-10-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 연장을 위한 라우팅 방법
KR20110072344A (ko) 2009-12-22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노드 배치 조정 시뮬레이션 방법
KR101138070B1 (ko) 2010-01-19 2012-04-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드 및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20060630A (ko) * 2010-12-02 2012-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8150A1 (en) 2013-07-11
US8750791B2 (en) 2014-06-10
KR20130080988A (ko) 2013-07-16
US20140273813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188B1 (ko)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US9549405B2 (en)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JP58345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子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
KR101904745B1 (ko) 적어도 하나의 보조 허브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통신하는 주 허브, 보조 허브, 센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EP2878101B1 (en) Relaying information for an unreliably heard utility node
JP2020519036A (ja) 無線通信に用いられる電子装置及び方法
JP5858814B2 (ja) Wan側インタフェースを個別に起動可能な無線ルータ、wan通信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82422B1 (ko) IEEE802.15.4-2006 비콘(Beacon)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운영시간 확장 방법 및 장치
JP2015534413A (ja) ワイヤレス通信における省電力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589195B2 (en) Asset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KR20090132619A (ko) 현재 pnc 제어기가 돌연히 이용불가능한 경우 새로운 피코넷 제어기(pnc) 형성의 모호성의 제거
KR100903112B1 (ko) 애드 혹(ad-hoc) 네트워크에서 비컨 스케줄링 노드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2018524910A (ja) ネイバーアウェアネットワークデータリンク存在指示
KR20130121158A (ko) 와이파이에 대한 디바이스 밀도 및 넌 피어 발견 전송들에 기초한 적응적 피어 발견
EP3035742B1 (en) Discover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6502359A (ja) 共有データチャネルを使用してマシンツーマシンデバイスの電力を節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31397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3343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low power sensor communication service
CN102067712B (zh) 通信信号传送方法
KR101391629B1 (ko)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615210B (zh) 用于经由第三方实体的用户设备电力管理的系统和方法
JP5283596B2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KR101956276B1 (ko) 의료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초기화 방법
KR20090037227A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US10251035B2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sensing in wireless sensor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