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0970B1 -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970B1
KR101890970B1 KR1020137033610A KR20137033610A KR101890970B1 KR 101890970 B1 KR101890970 B1 KR 101890970B1 KR 1020137033610 A KR1020137033610 A KR 1020137033610A KR 20137033610 A KR20137033610 A KR 20137033610A KR 101890970 B1 KR101890970 B1 KR 10189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device
wiper
type
bell
pi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420A (ko
Inventor
올리비에 블랑제
Original Assignee
페더랄-모굴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랄-모굴 에스.아. filed Critical 페더랄-모굴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04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9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7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embedded in the squeeg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캐리어 부재와 마찬가지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로 이루어진 플랫 블레드 타입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드(2)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의 홈(3)을 포함하고, 상기 홈(3)에 상기 캐리어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의 스트립(4)이 배치되고,
상기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요동 아암을 위한 연결 장치(5)를 포함하되 상기 요동 아암은 그의 한쪽 선단 부근에 회전축에 대해 상기 연결 장치(5)에 추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의 핀(1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의 핀(15)에 의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14)은, 미리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핀(14,15)이 상기 연결 장치(5)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단일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설치된 위치에 있는 상기 핀(14,15)이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Windscreen wiper devic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플랫 블레드 타입(flat blade type)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청(拭淸) 대상의 윈드스크린과 연접해서 설치할 수 있는 탄성의 가늘고 긴 캐리어 부재, 신축성 재질의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퍼 블레드는 종 방향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캐리어 부재의 종 방향의 스트립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요동 와이퍼 아암을 위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요동 아암은 그의 선단 부근에서 피벗 축에 대해 추축적(pivotally)으로 상기 연결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요동 아암은 조인트 부품을 매개로 추축적으로 상기 연결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특히, 상기 와이퍼 블레드는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서 멀리 떨어져서 마주하고 있는 그의 측면에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종 방향의 홈은 바람직하게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을 수용하는 종 방향의 홈이 중앙에 있다.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은 또한 소위 "플랙서(flexor)"라고 부른다. 반면에 상기 연결 장치는 "컨넥터(connector)"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상기 컨넥터는 바람직하게 일체의 부품, 소위 "원 피스 컨넥터(one piece connector)"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소위 "플랫 블레드(flat blade)" 또는 "요크레스 블레드(yokeless blade)"로 설계되어 있다. 서로 추축적으로 연결된 여러 가지의 요크를 더 이상 만들어서 사용하지 않지만, 와이퍼 블레드가 캐리어 부재에 의해서 기울어져 있으므로 인해 특정한 굴곡을 보이고 있다. 이 스포일러를 소위 "에어 디플렉터(air deflector)"로 부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입부에 언급한 타입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의 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의 핀에 의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하되
- 상기 제1 타입의 핀은,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에 대해 그의 종 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어떤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의 외연을 따라 제공된 리세스와 상호 작동하게 되어 있으며,
- 상기 제2 타입의 핀은,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종 방향의 스트립의 측면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핀의 적어도 하나는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상기 핀이 상기 연결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단일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설치된 위치에 있는 상기 핀이 상기 연결 장치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타입의 적어도 2개의 핀은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의 반대편 측면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 제1 타입의 핀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타입의 핀은 상기 와이퍼 블레드와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이 상기 연결 장치 하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특히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따라 모드 다른 지역에서는 와이퍼 블레드가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의 어떤 곡률에 따르도록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제1 타입의 핀과 와이퍼 블레드 간에는 상호 작용이 있게 되는데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탄성 중합체 재질(예, 보통 고무) 및 종 방향의 스트립의 재질(예, 보통 스틸)은 상기 연결 장치 하에 있는 모든 위치에서, 상기 연결 장치가 상기 와이퍼 블레드에 최종적으로 설치될 때 잠금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제1 타입의 핀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를 통해서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상기 리세스 내부에 설치된다. 제2 타입의 핀은 소위 "어미 현상"을 언제나 피할 수 있게 보장을 한다. 상기 연결 장치의 외측에 있는 와이퍼 블레드는 보통 이러한 "어미 현상"을 겪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장치의 반대편 측면에 있는 상기 와이퍼 블레드는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평행하게 통제할 수 없는 방식으로 진동을 한다. 자명하게, 상기 "어미 현상"은 특히 고속에서, 모든 부정적인 결과를 포함해서 식청 특성을 감퇴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와이퍼 블레드의 모든 관련 부품을 조립하는 동안 상기 와이퍼 블레드에 상기 연결 장치를 설치할 때 상기 제2타입의 핀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형은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하부 영역(예, 와이퍼 블레드의 와이핑 립 포함)에 어떤 영향을 줌이 없이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영역에 특히 영향을 준다. 궁극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식청 특성은 부정적인 영향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은 탄력이 있는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중앙의 종 방향의 홈에 특히 위치하는 캐리어 부재를 형성하는 종 방향의 스트립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상기 캐리어 부재는 2개의 종 방향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반대편 종 방향의 홈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핀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압박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핀과 상기 연결 장치는 일체의 부품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핀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채널은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대해 최소한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핀은 미리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자유 선단 부근의 상기 연결 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U-자형 단면의 레그의 자유 선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드의 종 방향의 측면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자유 선단은 상기 핀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연결 장치의 중앙의 종 방향의 평면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하나의 핀과 상기 연결 장치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2 타입의 두 쌍의 반대편 핀에 의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연결 장치의 종 방향의 중앙 평면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한 쌍의 반대편 핀과, 상기 연결 장치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2 타입의 두 쌍의 반대편 핀에 의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한 쌍의 반대편 핀과 제2 타입의 한 쌍의 반대편 핀에 의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두 쌍의 반대편 핀에 의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장치는 조인트 부품을 매개로 상기 요동 아암에 추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부품은 상기 연결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조인트 부품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에 회전축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 장치의 돌출부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스냅식 또는 클립식 동작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부품은 상기 연결 장치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최소한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부품은 상기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제공된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연결 장치의 어느 한 측면에 외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는 실린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구형 또는 원뿔대형이다. 베어링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돌출부는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으므로 거기에 미치는 힘은 비교적 낮을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로서, 상기 조인트 부품은 U-자형 단면의 레그에 동축의 관통홀이 제공되어 있으며, 여기서 피봇 핀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동축의 관통홀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드는 소위 "사이드록 시스템(sidelock system)"을 기반으로 상기 요동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요동 아암에는 상기 동축의 관통홀에 삽입하고자 하는 조인트 핀 또는 피봇 핀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피봇 핀은 상기 와이퍼 블레드 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 아암의 요동 운동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회전축을 갖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인트 부품은 최소한 하나의 탄력성의 설상 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요동 아암의 U-자형 단면의 베이스에 제공되어 있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의 홀에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력성의 설상 부품은 상기 요동 아암에 있는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보유하게 되는 외향의 위치와 상기 요동 아암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해제하게 되는 내향의 위치 사이의 힌지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드는 바이오넷 연결(bayonet connection)을 기반으로 하는 소위 "탑록 시스템(toplock system)"을 기반으로 상기 요동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요동 아암에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탄력성의 설상 부품을 처음에 스프링 힘에 대해 누르고- 마치 누름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상기 요동 아암에 제공되어 있는 홀로 다시 도약하도록 한 후 짤깍 잠기게 하여 탄력성의 설상 부품이 상기 홀에 클립이 되게 한다. 다시 상기 탄력성의 설상 부품을 스프링 힘에 대해 연속해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상기 요동 아암으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마운팅 헤드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샤프트는 회전으로 마운팅 헤드를 운반할 수 있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시 상기 마운팅 헤드는 회전으로 상기 연결 장치를 끌어당기게 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드를 이동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마운팅 해드는 캐리지로 평행 이동을 위해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마운팅 해드를 평행 이동으로 운반하는 하나의 선형 방향 및 다른 반대의 선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평행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마운팅 헤드의 원형 또는 선형 이동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접합 부품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에 사용하는 제1 구현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여러 가지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2의 연결 장치의 하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연결 장치의 장소에서 와이퍼 블레드와 종 방향의 스트립의 상호 고정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연결 장치의 장소에서 와이퍼 블레드와 종 방향의 스트립을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사용하는 숨겨진 와이퍼 블레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에 사용하는 제2 구현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하부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0과 11은 도 9의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핀들은 각각 외향 또는 내향의 위치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의 바람직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중앙의 종 방향 홈(3)을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의 와이퍼 블레드(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종 방향의 홈(3)에는 스프링 밴드 스틸로 만들어진 종 방향의 스트립(4)이 끼워져 있다(도 5, 6 및 7 참조). 스트립(4)은 고무 와이퍼 블레드(2)에 대해 탄력성의 캐리어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테면, 굴곡진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작동 위치에서의 곡률이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의 곡률임).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거기에 조인트 부품(6)을 매개로 하여 요동 와이퍼 아암(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과 연결하기 위해서 금속으로 된 연결 장치(5)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요동 와이퍼 아암은 한쪽 선단 부근에 있는 회전축에 대해 추축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 장치(5)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스포일러 또는 "에어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러버 와이퍼 블레드(2)와 일체로 만들어지며,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확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요동 아암은 소형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샤프트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서 고정되어 있는 마운팅 헤드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 중에 샤프트가 회전으로 마운팅 헤드를 운송하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을 하며, 다시 회전으로 요동 아암이 끌어당겨지고, 연결 장치(5)의 수단에 의해서 와이퍼 블레드(2)가 움직이게 된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5)의 여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연결 장치(5)는 다소 U-자형의 단면인 레그(8)를 갖고 있다. U-자형의 단면의 레그(8)의 자유 선단은 와이퍼 블레드(2)의 종 방향의 측면(11)을 수용하기 위한 홈 또는 슬릿(10)을 형성하도록 내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 장치(5)의 자유 선단(9)과 평행한 벽면(12)에는 하나의 제1 타입의 핀(14)과 두 쌍의 제2 타입의 반대편 핀(15)을 수용하기 위해서 홀(13)이 제공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 장치(5)는 추가로 해당 연결 장치(5)의 종 방향으로 확장하는 워터 채널로서 작용하는 내부 공간(16)을 포함하고 있다. 워터 채널(16)을 사용하는 중에 이를 통해서 빗물이 반송(搬送)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 중에서, 빗물은 상기 요동 아암의 자유 선단으로부터 멀리 마주하는 상기 연결 장치(5)의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요동 아암의 자유 선단을 향해서 마주하는 상기 연결 장치(5)의 제2 측면으로 운반된다. 상기 요동 아암의 요동 운동의 결과로서, 실제로 상기 연결 장치(5)의 제1 측면의 위치에서 주변 환경과 비교해서 과압이 존재하는 반면에 상기 연결 장치(5)의 제2 측면의 위치에서는 주변 환경에 비해서 감압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과압 및 감압으로 인해 빗물이 "자동적으로" 상기 워터 채널을 통해서 압박을 받게 된다.
도 1 내지 4와 관련해서, 상기 조인트 부품(6)이 상기 연결 장치(5)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조인트 부품(6)에 제공되어 있는 동축 리세스(18)에 회전축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 장치(5)의 돌출부(17)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7)는 연결 장치(5)의 양 측면에서 외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조인트 부품(6)은 외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탄력성의 설상(舌狀) 부품(19)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시에 요동 아암은 조인트 부품(6)과 연결되는 위치에 U-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그래서, 설상 부품(19)이 U-자형의 단면의 베이스에 제공된 동일한 형상의 홀에 체결된다. 와이퍼 블레드(2)와 함께 연결 장치(5)는 다음과 같이 요동 아암에 설치된다. 즉, 연결 장치(5)에 이미 클립된 조인트 부품(6)을 연결 장치(5)에 대해 축회전되게 하여 조인트 부품(6)이 요동 아암의 자유 선단에서 쉽게 슬라이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시 탄력성의 설상 부품(19)이 스프링의 힘에 대해 초기에 눌려지고, 요동 아암에 있는 홀로 다시 도약을 하게 되어 찰깍 끼워지게 된다. 설상 부품(19)이 요동 아암의 홀에 클립이 되게 된다. 이것은 소위 바이오넷-연결(bayonet-connection)이다. 조인트 부품(6)과 함께 요동 아암은 이때 사용 준비를 위해서 와이퍼 블레드(2)와 평행한 위치로 다시 축회전을 하게 될 것이다. 다시 상기 설상 부품(19)을 스프링 힘에 대해 연속적으로 눌러서(마치 누름 버튼과 같이), 연결 장치(5)와 조인트 부품(6)을 와이퍼 블레드(2)와 함께 요동 아암으로부터 해체되게 할 수 있다. 요동 아암으로부터 와이퍼 블레드(2)와 함께 연결 장치(5)의 분해는 요동 아암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와이퍼 블레드(2)와 함께 연결 장치(5)와 조인트 부품(6)을 슬라이딩시켜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타입의 핀(14)과 상호 작동하는 리세스가 있는 외연(20)을 따라서 제공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21)는 리세스(21)의 형상을 정확하게 통제하기 위해서 스탬핑 조작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설치 상태에서, 연결 장치(6)와 와이퍼 블레드(2)의 상호 연결 장소를 벗어나서 종 방향의 스트립(4)에 대해서 종 방향으로 와이퍼 블레드(2)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제1 타입의 핀(14)은 연결 장치(5)의 안쪽에서 와이퍼 블레드(2)의 어떤 종 방향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와이퍼 블레드(2)의 보유는 추가적으로 레그(8) 또는 연결 장치(5) 간의 마찰의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도 5와 6과 관련해서, 조립 상태에서, 제2 타입의 4개의 핀(15)은 와이퍼 블레드(2)의 고무 재료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상호 연결 장소에서 종 방향의 스트립(4)과 와이퍼 블레드(2) 간의 어떤 측면으로의 이동 및 이들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연결 장치(5)와 와이퍼 블레이트(2) 간의 측면으로의 이동을 차단된다. 사용시, 요동 아암의 각 요동 운동 중에 연결 장치(5)의 외측의 위치에 있는 와이퍼 블레드(2)는 보통 소위 "어미(魚尾) 현상"을 겪게 된다. 즉, 연결 장치(5)의 반대편에 있는 와이퍼 블레드(2)는 통제할 수 없는 방식으로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과 나란하게 진동을 한다. 자명하게, 이러한 "어미 현상"은 특히 고속의 경우에 모든 부정적인 결과를 포함해서 식청 특성을 감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종 방향의 스트립(4)은 연결 장치(5)와 와이퍼 블레드(2)의 상호 연결 부위에서 곡률을 보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험적인 결과는 "어미 현상"이 최소한 광범위에 걸쳐 본 발명에 따라 피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2 타입의 핀(15)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모서리를 따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또는 여기에 추가해서, 제2 타입의 핀(15)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 보다 더 연질일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여기에 추가해서, 제2 타입의 핀(15)은 신축성의 재질인 와이퍼 블레드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 보다 더 연질의 튜브(2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와이퍼 블레드(2)의 종 방향의 측면(11)의 측면 사시도로서,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의 핀(14,15)은 없지만, 제1 타입의 하나의 핀을 위해서 종 방향의 스트립(4)과 그의 리세스(21)에 표시되어 있는 홀(13)을 구비하고 있다.
도 9, 10 및 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15)은, 즉 미리 설치된 위치에 있는 핀(15)이 연결 장치(5)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위치(도 9와 10)로부터, 단일 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설치된 위치에서 핀(15)이 연결 장치(5)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와 상호 연결되는 제2 위치(도 11)로 이동될 수 있다. 핀(15)은 제1 위치(도 9와 10)로부터 제2 위치(도 11)로 수동으로 압박될 수 있다. 도 9와 10에 나타낸 제1 위치에서 핀(15)과 연결 장치(5)는 일체의 부품으로 만들 수 있다. 도 10과 11과 관련해서, 연결 장치(5)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핀(15) 각각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묘사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채널(23)은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미리 설치된 위치에서, 핀(15)은 가이드 채널(23)의 자유 선단 부근에서 연결 장치(5)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핀(15)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1도에서는 핀(15)이 제2 위치에 있다는 측면에서 도 10과 11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한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까지 확장될 수 있다.
1: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2: 와이퍼 블레드
3: 종 방향 홈 4: 종 방향 스트립
5: 연결 장치 6: 조인트 부품
8: 레그 9: 자유 선단
10: 슬릿 11: 측면
12: 벽면 13: 홀
14,15: 핀 16: 내부 공간
17: 돌출부 18,21: 리세스
19: 설상 부품 20: 외연
22: 튜브 23: 가이드 채널

Claims (11)

  1.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 부근에 위치할 수 있는 탄력이 있는 가늘고 긴 캐리어 부재와 마찬가지로 신축성 재질의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드(2)로 이루어진 플랫 블레드 타입의 자동차를 위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드(2)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의 홈(3)을 포함하며, 상기 홈(3)에 상기 캐리어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의 스트립(4)이 배치되고, 상기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요동 아암을 위한 연결 장치(5)를 포함하되 상기 요동 아암은 그의 한쪽 선단 부근에 회전축에 대해 상기 연결 장치(5)에 추축적(pivotally)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의 핀(14)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의 핀(15)에 의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타입의 핀(14)은,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4)에 대해 그의 종 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드(2)의 어떤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종 방향의 스트립(4)의 외연(20)을 따라 제공된 리세스(21)와 상호 작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타입의 핀(14)의 적어도 하나는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타입의 핀(14)이 상기 연결 장치(5)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단일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설치된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타입의 핀(14)이 상기 연결 장치(5)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타입의 핀(15)은,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종 방향의 스트립(4)의 측면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의 상호 연결 위치에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타입의 핀(15)의 적어도 하나는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타입의 핀(15)이 상기 연결 장치(5)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단일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설치된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타입의 핀(15)이 상기 연결 장치(5)와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타입의 핀(14,15)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압박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2 타입의 핀(14,15)과 상기 연결 장치(5)는 일체의 부품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상기 제1, 2 타입의 핀(14,15)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은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타입의 핀(14,15)은 미리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자유 선단 부근의 상기 연결 장치(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5)는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U-자형 단면을 갖는 연결장치(5)의 레그(8)의 자유 선단(9)은, 상기 와이퍼 블레드(2)의 종 방향의 측면(11)을 수용하기 위한 홈(10)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자유 선단(9)은 상기 제1, 2 타입의 핀(14,15)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채널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연결 장치(5)의 중앙의 종 방향의 평면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하나의 핀(14)과 상기 연결 장치(5)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2 타입의 두 쌍의 반대편 핀(15)에 의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연결 장치(6)의 종 방향의 중앙 평면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한 쌍의 반대편 핀(14)과, 상기 연결 장치(5)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2 타입의 두 쌍의 반대편 핀(15)에 의해서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상기 연결 장치(5)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한 쌍의 반대편 핀(14)과 제2 타입의 한 쌍의 반대편 핀(15)에 의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5)는 상기 연결 장치(5)의 외부 선단 부근에서 상기 연결 장치(5)와 상기 와이퍼 블레드(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타입의 두 쌍의 반대편 핀(14)에 의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의 와이퍼 블레드(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KR1020137033610A 2011-06-28 2011-06-28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90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60779 WO2013000502A1 (en) 2011-06-28 2011-06-28 Windscreen wip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420A KR20140045420A (ko) 2014-04-16
KR101890970B1 true KR101890970B1 (ko) 2018-08-22

Family

ID=4462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6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0970B1 (ko) 2011-06-28 2011-06-28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45075B2 (ko)
EP (1) EP2726331B1 (ko)
JP (1) JP5967554B2 (ko)
KR (1) KR101890970B1 (ko)
CN (1) CN103619662B (ko)
BR (1) BR112013033440A2 (ko)
CA (1) CA2838899A1 (ko)
MX (1) MX356710B (ko)
PL (1) PL2726331T3 (ko)
RU (1) RU2556830C1 (ko)
WO (1) WO2013000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32609A1 (en) * 2011-04-13 2012-10-18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PL3362328T3 (pl) * 2015-10-14 2020-01-31 Federal-Mogul S.A. Urządzenie wycieraczkowe przedniej szyby pojazdu
CN105253109A (zh) * 2015-11-25 2016-01-20 都昌县业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雨刮器的连接头基座
PL3386810T3 (pl) * 2015-12-09 2020-06-01 Federal-Mogul S.A. Urządzenie wycieraczkowe szyby przedniej pojazdu
US10604117B2 (en) 2016-10-14 2020-03-3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US11420596B2 (en) * 2018-02-05 2022-08-23 Trico Belgium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19382698T1 (de) * 2019-08-07 2021-05-27 Doga S.A. Scheibenwischerblatt einer Scheibenwischervorrichtung und zugehörige Scheibenwischer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3426A1 (de) * 2000-09-04 2002-03-14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WO2010016000A1 (en) * 2008-08-05 2010-02-11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A windscreen wip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8160U (ko) * 1976-06-12 1977-12-20
JPS6218732Y2 (ko) * 1979-10-26 1987-05-14
JPS6161312U (ko) * 1984-09-27 1986-04-25
JP2002053012A (ja) * 2000-08-11 2002-02-19 Pia Kk ワイパー
DE10058208B4 (de) * 2000-11-23 2009-06-04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DE20220355U1 (de) * 2002-11-15 2004-04-0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S7373688B2 (en) * 2002-12-13 2008-05-20 Asmo Co., Ltd. Wiper blade provided with detachable blade rubber and wiper system having the same
JP3898186B2 (ja) * 2003-02-14 2007-03-28 ケーシーダブリュ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ワイパーブレード組立体
FR2868376B1 (fr) 2004-04-06 2006-06-0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JP4482394B2 (ja) * 2004-07-29 2010-06-16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US7350259B2 (en) * 2005-07-28 2008-04-0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lative axial translation prevention system for wiper blade assemblies
FR2894544B1 (fr) * 2005-12-14 2009-07-0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DE602007009511D1 (de) * 2007-06-22 2010-11-11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vorrichtung
CA2832609A1 (en) * 2011-04-13 2012-10-18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3426A1 (de) * 2000-09-04 2002-03-14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WO2010016000A1 (en) * 2008-08-05 2010-02-11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A windscreen w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6331B1 (en) 2019-05-08
CN103619662A (zh) 2014-03-05
US20140289990A1 (en) 2014-10-02
RU2556830C1 (ru) 2015-07-20
CA2838899A1 (en) 2013-01-03
PL2726331T3 (pl) 2019-10-31
BR112013033440A2 (pt) 2017-01-31
MX356710B (es) 2018-06-11
WO2013000502A1 (en) 2013-01-03
CN103619662B (zh) 2017-09-22
EP2726331A1 (en) 2014-05-07
KR20140045420A (ko) 2014-04-16
MX2014000276A (es) 2014-04-30
JP2014518174A (ja) 2014-07-28
JP5967554B2 (ja) 2016-08-10
US9845075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970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KR101790385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5870466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装置
US995069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969618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5677567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1072332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