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0254B1 -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254B1
KR101890254B1 KR1020170068292A KR20170068292A KR101890254B1 KR 101890254 B1 KR101890254 B1 KR 101890254B1 KR 1020170068292 A KR1020170068292 A KR 1020170068292A KR 20170068292 A KR20170068292 A KR 20170068292A KR 101890254 B1 KR101890254 B1 KR 10189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ozone
chromaticity
treatment tank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화
강수미
변석종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7006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형성시켜서 폐수의 색도 유발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시켜 폐수의 색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수의 색도처리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통형의 색도처리조와, 색도처리조에 설치되어 폐수저장탱크에 저장된 폐수를 상기 색도처리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유입수단과, 색도처리조로 유입된 폐수를 상기 폐수저장탱크로 순환시키기 위한 폐수순환부와, 폐수저장탱크와 상기 폐수유입수단을 연결하는 폐수공급관을 흐르는 폐수 중에 오존 기포를 형성시키는 오존기포형성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폐수의 색도처리장치{apparatus for chromaticity treatment of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형성시켜서 폐수의 색도 유발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시켜 폐수의 색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분뇨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는 색도를 함유한 대표적인 폐수로서 색도 제거가 쉽지 않고 시각적으로 오염된 물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어 수처리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색도를 제거하여 맑은 물의 인식을 주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축산폐수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로서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고농도의 난분해성 물질, 악취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처리방법에 의해서는 처리효율이 낮다.
색도를 제거하면 고분자 유기물이 저분자로 분해되어 이후 처리가 용이하고 자연 분해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폐수에서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폐수의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기존방법으로서는 생물학적 처리방법, 활성탄을 사용하는 방법, 오존 처리 방법, 화학적 처리를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05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존처리에 의한 방법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폐수의 색도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존을 폐수에 주입하는 단순한 접촉방식만으로는 오존에 의한 처리효과를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0588호: 오존을 이용한 축산폐수 방류수의 탈색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형성시켜 폐수와 오존의 접촉효율을 높여 폐수의 색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폐수의 색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수의 색도처리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통형의 색도처리조와; 상기 색도처리조에 설치되어 폐수저장탱크에 저장된 폐수를 상기 색도처리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유입수단과; 상기 색도처리조로 유입된 폐수를 상기 폐수저장탱크로 순환시키기 위한 폐수순환부와; 상기 폐수저장탱크와 상기 폐수유입수단을 연결하는 폐수공급관을 흐르는 폐수 중에 오존 기포를 형성시키는 오존기포형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폐수유입수단은 상기 폐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색도처리조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곡관과, 상기 곡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선형의 가이드깃이 형성된 선회관과, 상기 선회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색도처리조의 바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내주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통과하는 폐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돌출리브들을 구비한다.
상기 색도처리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온도를 낮추어 폐수 중의 오존 기포의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냉각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연장관을 감싸도록 상기 색도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수가 흐르는 코일관과, 상기 코일관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냉각수순환관과, 상기 냉각수순환관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구비한다.
상기 색도처리조의 내부에 체류하는 폐수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처리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오존기포형성수단은 상기 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폐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폐수공급관으로 오존을 주입하기 위한 오존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이 주입된 폐수를 통과시키면서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기를 구비한다.
상기 미세기포발생기는 상기 오존이 주입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는 분출구가 형성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바깥에서 상기 센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폐수가 충돌되는 충돌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충돌면과 상기 센터부 사이에는 상기 충돌면과 충돌한 폐수가 상기 센터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선회공간부가 마련된 충돌커버와, 상기 충돌커버의 바깥에서 상기 충돌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센터부의 타측이 내부에 형성된 배출로에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형성시켜 폐수와 오존의 접촉효율을 높임으로써 폐수의 색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색도처리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색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된 폐수유입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미세기포 발생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폐수의 색도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수의 색도처리장치는 색도처리조(100)와, 폐수를 색도처리조(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유입수단과, 색도처리조(100)로 유입된 폐수를 폐수저장탱크(1)로 순환시키기 위한 폐수순환부와, 폐수 중에 오존 기포를 형성시키는 오존기포형성수단을 구비한다.
색도처리조(100)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색도처리조(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색도처리조(100)의 상부에는 폐수에 미용해된 오존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밸브(107)가 설치된다.
색도처리조(100)는 상부케이싱(101)과 하부케이싱(105)의 2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싱(101)과 하부케이싱(105)은 플랜지(103)로 결합된다.
색도처리조(100)는 베이스테이블(90) 위에 설치된다. 베이스테이블(90)의 하부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95)가 설치된다.
색도처리조(100) 내부로 폐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폐수가 유입된다.
폐수저장탱크(1)에는 일정량의 폐수가 저장된다. 폐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폐수는 색도처리조(100)로 유입되고, 색도처리조(100)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다시 폐수저장탱크(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폐수는 폐수저장탱크(1)와 색도처리조(10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오존에 의해 색도 유발물질이 제거된다. 최종적으로 처리된 폐수는 드레인관(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관(4)을 통해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면 폐수보충관(2)을 통해 폐수저장탱크(1)로 일정량의 폐수가 유입되어 보충된다.
폐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폐수는 폐수공급관(3)을 통해 배출되어 색도처리조로 유입된다.
폐수공급관(3)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5)가 설치된다.
오존기포형성수단은 폐수공급관을 흐르는 폐수 중에 오존 기포를 형성시킨다.
오존기포형성수단은 폐수공급관(3)에 설치되어 폐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7)와, 폐수공급관(3)으로 오존을 주입하기 위한 오존공급부와, 폐수공급관(3)에 설치되어 오존이 주입된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기(15)를 구비한다.
오존공급부는 폐수공급관(3)과 연결되는 오존주입관(9)과, 오존주입관(9)과 연결되어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8)를 구비한다.
오존발생기(8)는 오존주입관(9)을 통해 폐수공급관(3)의 내부로 오존을 주입시킨다.
오존이 혼입된 폐수는 이송펌프(7)의 임펠러를 통과하면서 기체가 잘게 부서진 상태로 혼합되어 미세기포 발생기(15)로 유입된다.
미세기포발생기(15)는 폐수공급관(3)에 설치되어 오존이 혼입된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세기포발생기(10)에서 발생된 오존 기포는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를 갖는다.
도시된 미세기포발생기(15)는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21)가 내부에 형성되고 측면에는 유입로(21)와 연결되는 분출구(27)가 형성된 센터부(20)와, 센터부(20)의 바깥에서 센터부(20)의 일측에 결합되며 분출구(27)를 통해 분출되는 폐수가 충돌되는 충돌커버(50)와, 충돌커버(50)를 통과한 폐수 중에 형성된 기포를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형성시키는 하우징(70)을 구비한다.
이러한 미세기포발생기(15)는 기포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발생된 기포를 액상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센터부(20)는 충돌커버(50)와 결합되는 바디(30)와, 바디(30)의 단부에 형성되어 배출로(71)를 통과하는 혼합액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헤드(40)와, 간섭헤드(40)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그루브(45)를 구비한다.
바디(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31)와, 나사부(31)의 상부에서 연장되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 1테이퍼부(33)와, 제 1테이터부(33)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충돌커버(5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중간부(35)와, 중간부(35)의 상부에서 연장되되 직경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 2테이퍼부(37)를 구비한다.
간섭헤드(40)는 제 2테이퍼부(37)의 상부에 형성된다. 간섭헤드(40)는 제 2테이퍼부(37)의 상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경사그루브(45)는 간섭헤드(40)의 외측에 다수가 형성된다. 경사그루브(45)는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그루브(45)에 의해 간섭헤드(40)의 주위를 통과하는 폐수의 선회 흐름을 가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경사그루브(45)의 폭과 깊이에 따라 형성되는 기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경사그루브(45)의 폭이 좁고 깊이가 낮으면 좀 더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고, 경사그루브(45)의 폭이 넓고 깊이가 깊으면 좀 더 큰 기포가 형성된다.
센터부(20)의 내부에는 오존이 혼입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21)가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유입로(21)는 나사부(31)의 하부에서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센터부(20)의 하부가 유입로(21)의 입구가 된다. 유입로(21)의 입구에 제 1순환관(160)이 연결된다. 유입로(21)는 중간부(35)의 중간높이까지 연장된다.
유입로(21)는 나사부(31)의 하부에 형성된 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축소경부(23)와, 축소경부(21)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경부(25)로 구분될 수 있다.
유입로(21)로 유입된 폐수가 센터부(20)의 바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분출구(27)가 중간부(35)의 측면에 2개가 형성된다. 분출구(27)는 중간부(35)의 측면을 관통하여 유입로(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분출되는 폐수가 후술할 선회공간부(55)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분출구(27)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6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분출구(27)는 중간부(35)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유입로(21)의 중심(A)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관통된다.
도시된 예에서 분출구(27)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분출구(27)는 하나 또는 셋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터부(20)의 유입로(21)로 유입된 폐수는 축소경부(23)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빨라진다. 그리고 연장경부(25)의 단부와 1차로 충돌하고 돌아나오면서 분출구(27)를 통해 강한 속도로 분출된다. 이때 분출구(27)를 통해 분출되는 폐수는 충돌커버(50)의 충돌면과 충돌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폐수 중의 기포는 미세하게 쪼개진다. 충돌커버(50)의 충돌면은 충돌커버(50)의 내측면을 의미한다.
충돌커버(50)는 센터부(20)의 바깥에서 센터부(20)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충돌면과 충돌한 폐수가 센터부(20)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선회공간부(55)가 마련된다.
충돌커버(50)는 내주면에 나사부(31)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우징(70)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60)와, 몸체(6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몸체(60)의 외경보다 작게 외경이 형성되는 축관부를 구비한다.
몸체(60)의 내측으로 센터부(20)의 나사부(31)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축관부(65)의 내측에는 선회공간부(55)가 형성된다. 축관부(65)의 내경은 바디(3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축관부(65)의 외주면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부재(67)가 장착된다.
센터부(20)의 상부는 충돌커버(50)의 상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커버(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터부(20)의 간섭헤드(40)는 충돌커버(5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하우징(70)은 충돌커버(50)의 바깥에서 충돌커버(50)와 결합된다. 하우징(70)의 내측에는 배출로(71)가 형성된다. 센터부(20)의 간섭헤드는 배출로(71)에 삽입된다.
하우징(7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부(60)와 나사결합되는 스커트부(80)와, 스커트부(80)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경이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추부(83)와, 원추부(83)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인트부(85)로 이루어진다. 조인트부(85)에는 제 2순환관(163)이 연결된다. 미세한 오존 기포가 형성된 폐수는 조인트부(85)를 통해 제 2순환관(163)으로 배출된다.
하우징(70)의 내측에 형성된 배출로(71)는 선회공간부(55)와 연결되는 연결통로(73)와, 연결통로(73)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간섭헤드(40)를 둘러싸며 단부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중간통로(75)와, 중간통로(75)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토출통로(77)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간통로(75)와 접하는 하우징(70)의 내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는 중간통로(75)를 통과하는 폐수에 미세한 와류를 형성하여 미세기포 생성효과를 높일 수 있다.
충돌커버(50)에 나사결합된 하우징(70)은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가령, 도 5와 같이 간섭헤드(40)가 중간통로(75)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간섭헤드(40)와 하우징(70)의 내주면은 일정 거리로 이격된다. 그리고 하우징(7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7과 같이 하우징(70)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간섭헤드(40)가 중간통로(7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간섭헤드(40)와 하우징(70)의 내주면 사이가 좁아진다. 이와 같이 하우징(70)을 상하로 이동시켜 간섭헤드(40)와 하우징(70)의 내주면 사이를 넓히거나 좁혀 기포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수준(10~100㎛)에서 나노미터 수준(1~1000nm)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간섭헤드(40)와 하우징(70)의 내주면 사이를 넓히면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기포가 형성되고, 간섭헤드(40)와 하우징(70)의 내주면 사이를 좁히면 나노미터 수준의 기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미세기포발생기(15)는 오존 기포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미세기포발생기(15)를 통과하면서 오존 기포가 생성된 폐수는 폐수유입수단을 통해 색도처리조(100) 내부로 유입된다.
폐수유입수단은 폐수공급관(3)과 연결되어 색도처리조(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곡관(110)과, 곡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선형의 가이드깃(113)이 형성된 선회관(111)과, 선회관(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색도처리조(100)의 바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관(115)과, 연장관(115)의 내주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장관(115)을 통과하는 폐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돌출리브들(117)을 구비한다.
연장관(115)의 하단부는 색도처리조(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곡관(110)으로 유입된 폐수는 선회관(111)을 통과하면서 가이드깃(113)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되어 오존 기포를 폐수 중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회관(111)을 통과한 폐수는 연장관(115)으로 유입된다. 연장관(115)으로 유입된 폐수는 연장관(115)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장관(115)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리브들(11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폐수는 무수한 와류를 일으키면서 흐름이 지연된다. 이에 따라 오존 기포와 폐수는 접촉횟수가 증가하여 오존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폐수순환부는 유입수단을 통과하여 색도처리조(100)로 유입된 폐수를 폐수저장탱크(1)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폐수순환부는 색도처리조(100)와 폐수저장탱크(1)를 연결하는 폐수순환관(10)과, 폐수순환관(10)에 설치된 펌프(11)로 이루어진다. 폐수순환관(10)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13)가 설치된다.
이러한 폐수순환부를 통해 폐수는 폐수저장탱크(1)와 색도처리조(10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다. 폐수는 순환하면서 강력한 오존의 산화력에 의하여 폐수 중의 색도 유발물질이 효과적으로 분해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색도처리조(100)로 유입되는 폐수의 온도를 낮추어 폐수 중의 오존 기포의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냉각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냉각부(120)는 연장관(115)을 감싸도록 색도처리조(100)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수가 흐르는 코일관(121)과, 코일관(121)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냉각수순환관(123)과, 냉각수순환관(123)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기(122)를 구비한다. 냉각수순환관(123)에는 순환펌프(125)와 밸브(127)가 설치된다.
냉각기로 통상적인 냉동사이클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자외선처리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색도처리조(100)의 내부에 체류하는 폐수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처리수단(130)을 더 구비한다.
도시된 자외선처리수단(130)은 베이스테이블(90)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광챔버(131)와, 광챔버(131)의 하부와 색도처리조(100)를 연결하는 제 1연결관(135)과, 광챔버(131)의 상부와 색도처리조(100)를 연결하는 제 2연결관(137)과, 광챔버(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챔버(131)를 통과하는 폐수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미도시)를 구비한다.
색도처리조의 내부에 체류하는 폐수는 광챔버(131)를 순환하고, 광챔버(131)를 순환하는 중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폐수 중의 각종 유기물질을 분해처리한다. 이러한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방식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처리는 오존과 함께 색도처리에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폐수저장탱크 3: 폐수공급관
7: 이송펌프 8: 오존발생기
15: 미세기포발생기 100: 색도처리조
111: 선회관 115: 연장관
122: 냉각기

Claims (6)

  1. 캐스터가 설치된 베이스테이블과;
    상기 베이스테이블 위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통형의 색도처리조와;
    상기 색도처리조에 설치되어 폐수저장탱크에 저장된 폐수를 상기 색도처리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유입수단과;
    상기 색도처리조로 유입된 폐수를 상기 폐수저장탱크로 순환시키기 위한 폐수순환부와;
    상기 폐수저장탱크와 상기 폐수유입수단을 연결하는 폐수공급관을 흐르는 폐수 중에 오존 기포를 형성시키는 오존기포형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폐수유입수단은 상기 폐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색도처리조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곡관과, 상기 곡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선형의 가이드깃이 형성된 선회관과, 상기 선회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색도처리조의 바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내주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통과하는 폐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돌출리브들을 구비하며,
    상기 색도처리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온도를 낮추어 폐수 중의 오존 기포의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냉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연장관을 감싸도록 상기 색도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수가 흐르는 코일관과, 상기 코일관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냉각수순환관과, 상기 냉각수순환관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구비하며,
    상기 색도처리조의 내부에 체류하는 폐수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처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처리수단은 상기 베이스테이블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광챔버와, 상기 광챔버의 하부와 상기 색도처리조를 연결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광챔버의 상부와 상기 색도처리조를 연결하는 제 2연결관과, 상기 광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챔버를 통과하는 폐수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기포형성수단은 상기 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폐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폐수공급관으로 오존을 주입하기 위한 오존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이 주입된 폐수를 통과시키면서 폐수 중에 미세한 오존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발생기는 상기 오존이 주입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는 분출구가 형성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바깥에서 상기 센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폐수가 충돌되는 충돌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충돌면과 상기 센터부 사이에는 상기 충돌면과 충돌한 폐수가 상기 센터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선회공간부가 마련된 충돌커버와, 상기 충돌커버의 바깥에서 상기 충돌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센터부의 타측이 내부에 형성된 배출로에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KR1020170068292A 2017-06-01 2017-06-01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9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92A KR101890254B1 (ko) 2017-06-01 2017-06-01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92A KR101890254B1 (ko) 2017-06-01 2017-06-01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254B1 true KR101890254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0254B1 (ko) 2017-06-01 2017-06-01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540A (ko) * 2019-10-10 2021-04-20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KR102350311B1 (ko) * 2021-07-30 2022-01-11 정석훈 수직형 이젝터와 오존을 이용한 상하수도 오폐수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9495B2 (ja) * 1993-03-15 1998-05-13 長廣 仁蔵 高濃度オゾン水製造方法及び高濃度オゾン水製造装置
KR100450588B1 (ko) 2002-03-27 2004-09-30 주식회사 다인엔지니어링 오존을 이용한 축산폐수 방류수의 탈색 시스템
JP2013166544A (ja) * 2013-02-25 2013-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101632020B1 (ko) * 2014-10-16 2016-06-24 주식회사 동부환경 기포 용해 장치
KR101697526B1 (ko) * 2015-02-23 2017-01-18 주식회사 비다인 고효율 마이크로오존버블반응기를 포함하는 오존수처리 시스템
KR20170030072A (ko) * 2015-09-08 2017-03-16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미세기포 발생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9495B2 (ja) * 1993-03-15 1998-05-13 長廣 仁蔵 高濃度オゾン水製造方法及び高濃度オゾン水製造装置
KR100450588B1 (ko) 2002-03-27 2004-09-30 주식회사 다인엔지니어링 오존을 이용한 축산폐수 방류수의 탈색 시스템
JP2013166544A (ja) * 2013-02-25 2013-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101632020B1 (ko) * 2014-10-16 2016-06-24 주식회사 동부환경 기포 용해 장치
KR101697526B1 (ko) * 2015-02-23 2017-01-18 주식회사 비다인 고효율 마이크로오존버블반응기를 포함하는 오존수처리 시스템
KR20170030072A (ko) * 2015-09-08 2017-03-16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미세기포 발생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540A (ko) * 2019-10-10 2021-04-20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KR102428355B1 (ko) * 2019-10-10 2022-08-01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KR102350311B1 (ko) * 2021-07-30 2022-01-11 정석훈 수직형 이젝터와 오존을 이용한 상하수도 오폐수 처리장치
WO2023008676A1 (ko) * 2021-07-30 2023-02-02 정석훈 수직형 이젝터와 오존을 이용한 상하수도 오폐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57752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líquido conteniendo finas burbujas de aire
JP5748162B2 (ja) 旋回ユニット基盤の微細気泡発生装置
KR102061846B1 (ko) 폭기처리용 미세기포혼합장치
KR870003940A (ko) 에어레이터(aerator) 및 폐수의 호기성 생물학적 처리공정
KR101178782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890254B1 (ko) 폐수의 색도처리장치
KR100703943B1 (ko) 산소 용해 장치
JP6727163B2 (ja) 気体溶解装置
KR101863769B1 (ko) 미세기포 발생기
JP200823799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装置、シャワリング装置、生簀
US7097160B2 (en) Apparatus for treating a liquid with a gas
EP3166889B1 (en) Hydrodynamically-enhanced uv photo-oxidation of contaminated liquids
KR101708552B1 (ko) 가스 용해 장치
KR101178781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
KR101524403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2428355B1 (ko)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JP4858327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421179B1 (ko) 슬러지처리용 호기성 산화조
KR20170093304A (ko) 입자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KR20210111184A (ko) 수처리시스템용 고효율 와류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시스템
US109410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fluid loaded with ingredients
KR102040275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KR20150111631A (ko) 용존 산소 응축 장치
RU2576056C2 (ru) 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JP2000300975A (ja) 気液混合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