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571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711B1
KR101885711B1 KR1020160152839A KR20160152839A KR101885711B1 KR 101885711 B1 KR101885711 B1 KR 101885711B1 KR 1020160152839 A KR1020160152839 A KR 1020160152839A KR 20160152839 A KR20160152839 A KR 20160152839A KR 101885711 B1 KR101885711 B1 KR 10188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m
camshaft
main body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238A (ko
Inventor
박준언
안상일
Original Assignee
(주)케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텍 filed Critical (주)케미텍
Priority to KR102016015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7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7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홈부(2190)가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2개의 본체부(2100)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커넥터홈부(2190)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텍트핀(2410)으로 이루어져 2열로 구비되는 컨택트부(2400)와, 상기 컨택트부(4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부(27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부(2700)는 상기 본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회전하면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캠축(2710)과, 상기 캠축(2710)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캠연결부(2730)와, 상기 캠연결부(2730)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레버(27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축의 길이방향 일부분은 회전 가압시 시차를 두고 컨택트핀을 가압하는 제2캠축가압면을 가져 창작되는 메모리모듈을 보호하고 커넥터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치수안정성이 향상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에 장착되는 접속 부품의 손상 및 데이터 에러를 방지하며 커넥터 간의 연결이 견고하여 치수가 안정적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는 접속 부품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컨택트핀과 접속 부품에 구비되는 전기적 단자가 가압될 필요가 있다. 가압하는 힘이 강하면 전기적인 접촉성은 높아지지만 마찰력도 커지므로 커넥터에 접속 부품을 삽입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커넥터에 다수의 핀이 설치된 경우나 다수의 커넥터에 대하여 접속 부품을 동시에 삽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접속 부품을 삽입하기 위하여 큰 힘을 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속 부품을 삽입할 때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접속 부품을 삽입한 후에 컨택트핀을 접속 부품에 가압하는 이른바 제로 인서션 포스(Zero Insertion Force) 커넥터(ZIF)가 제안되어 있다.
미소한 반도체를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시험 장치에서는 작동 상 높은 신뢰성이 필요하게 된다. 반도체를 고속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시험하기 위해서는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커넥터가 접속 부품에 확실하게 접촉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에 접속 부품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커넥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접속 부품(40)은 기판(30)에 부착되기 위한 리벳(42)과, 리벳(42)이 고정되는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판(46)과, 기판(30)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전기적 단자(48)와, 전기적 단자(48)를 지지하는 전기적 단자지지부(44)로 이루어진다. 접속 부품(40)이 삽입되는 커넥터(50)는 접속 부품(40)의 전기적 단자(48)에 접촉하는 컨택트핀(70)과, 컨택트핀(70)을 지지하는 하우징(68)과, 컨택트핀(70)을 전기적 단자(48)에 가압하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2개의 가압부(78)를 가진다.
상기 가압부(78)는 각각 회전캠(72)과 회전캠(72)을 지지하는 회전캠 지지부(76)를 가진다. 회전캠(72)이 회전함으로써 회전캠(72)과 컨택트핀(70)의 접촉부(74)가 접속 부품(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컨택트핀(70)이 접속 부품(40)의 전기적 단자(48)로 가압되어 접촉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 지지부(76)는 회전캠(72)이 컨택트핀(70)을 가압했을 때의 반력을 받으므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성을 충분히 크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회전캠 지지부(76)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하우징(68)의 외측까지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돌출시켜 두었다.
상기 회전캠(72)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한 원주부(75)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원주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절단부(77)를 포함한다. 컨택트핀(70)은 접속 부품(40)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열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2개의 회전캠(72)이 회전함으로써, 2개의 가압부(78)는 각각 좌, 우측에 배열된 복수의 컨택트핀(70)을 가압한다.
컨택트핀(70)은 접속 부품(40)의 전기적 단자(48)에 접촉하는 컨택트부(74)를 포함한다. 이 컨택트부(74)는 가압부(78)가 컨택트핀(70)을 눌렀을 때 전기적 단자(48)에 접촉하면서 전기적 단자(48)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서, 전기적 단자(48)의 표면이 스크러빙되어 산화막이나 오물이 제거되므로 컨택트핀(70)을 확실하게 전기적 단자(48)에 접촉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0)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50)의 외주 측에는 회전캠(72)을 회전시키는 핸들(52)이 회전캠(72) 마다 설치되어 있다. 핸들(52)은 회전캠(72)에 접속되고 회전캠(7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부(56)와, 레버부(56)의 선단에 부착되고 회전캠(7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8)를 가지며, 연장부(58)의 선단에는 외면이 구면인 핸들 작용부(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62와 64는 커넥터(5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부(62, 64)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미리 볼트공을 형성한 고정부에 설치부(62, 64)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컨택트핀(70)이 접속 부품(40)의 전기적 단자를 한 번에 접촉하게 되면 전기적 단자의 전원 및 제어신호 부분이 불완전하게 되어 데이터 에러가 발생되거나 접속 부품(4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50)를 복수로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때, 커넥터(50) 사이에 미소 틈새가 생겨 커넥터(50) 간의 치수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3261 (2008.01.1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촉되는 접속 부품의 전기적 단자의 일부를 시간차를 두고 가압하여 데이터 에러를 방지하고 접속 부품을 보호하며, 복수의 커넥터가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체결되어 커넥터 사이에 미소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홈부가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2개의 본체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커넥터홈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컨택트핀으로 이루어져 2열로 구비되는 컨택트부와, 상기 컨택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회전하면 컨택트핀을 가압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캠연결부와, 상기 캠연결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축의 길이방향 일부분은 회전 가압시 시차를 두고 컨택트핀을 가압하는 제2캠축가압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캠축의 컨택트핀을 가압하는 면은 제1캠가압면과 제2캠축가압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캠축가압면은 제1캠축가압면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캠축가압면은 중심으로부터 상단 또는 하단으로 갈수록 컨택트핀과 더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본체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본체연결부는 본체부 상부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와셔홈부와, 상기 와셔홈부로부터 상향하는 턱부가 형성된 와셔턱면과, 상기 와셔턱면으로부터 본체부 하단으로 연장된 본체연결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셔턱면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의 창작되는 접속 부품을 보호하고 데이터에러가 방지되며 커넥터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치수안정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접속 부품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커넥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장착되는 메모리모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의 중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중간그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와 중간그립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메모리모듈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축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캠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모듈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모듈 장착방법의 열림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모듈 장착방법의 장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접속 부품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커넥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장착되는 메모리모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의 중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중간그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와 중간그립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부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메모리모듈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1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본체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축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캠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캠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모듈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모듈 장착방법의 열림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모듈 장착방법의 장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23의 가로방향을 "폭방향"으로 하여 기재하고, 세로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기재하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또한, 마주하는 본체부(2100)를 향하는 방향을 "내향" 또는 "내측"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2000)는 접속 부품인 메모리모듈(10)이 장착되는 장치이다. 상기 메모리모듈(10)은 하단에 전기적 단자(A, B, C)가 형성된다. 상기 메모리모듈(10)의 전기적 단자(A, B, C)와 컨택트부(2400)의 컨택트핀(2410)과 연결되어 전기전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메모리모듈(10)의 전기적 단자(A, B, C)는 주로 양측에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데이터신호단자부(A, C)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전원 및 제어신호가 포함된 전원제어신호단자부(B)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2000)는 2개의 본체부(2100)로 이루어진 본체와, 컨택트부(2400)와, 캠부(2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2개의 본체부(2100)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에 메모리모듈가이드(2300)와, 중간그립(250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2100) 하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결합공(2250)이 형성된다. 본체부(2100)의 하부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폭방향 내향 오목한 결합홈부(2230)가 형성되고, 타측 내측면에는 폭방향 내향 돌출된 결합돌출부(2210)가 구비된다.
일측 본체부(2100)의 결합홈부(2230)에 타측 본체부(2100)의 결합돌출부(2210)가 삽입되고, 일측 본체부(2100)의 결합돌출부(2210)는 타측 본체부(2100)의 결합홈부(2230)에 삽입되어 2개의 본체부(21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2550)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2개의 본체부(21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6, 도 7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메모리모듈(10)이 구비되는 메모리모듈안착부와, 메모리모듈안착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메모리모듈가이드(2300)가 구비되는 메모리모듈가이드안착부와, 메모리모듈가이드안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버안착부(2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모듈안착부는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모듈연결부와, 상기 모듈연결부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핀삽입부와, 상기 모듈연결부와 핀삽입부 사이에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캠안내부(2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연결부의 폭방향 내측 하단에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모듈연결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연결부에 폭방향으로 오목한 커넥터홈부(219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홈부(2190)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홈부(2190)는 폭방향 내향 및 상기 캠안내부(2170)로 하향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커넥터홀(2150)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홀(2150)은 상기 캠안내부(2170)로 개구된다. 상기 커넥터홀(2150)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커넥터홈부(2150)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커넥터홀(2150)의 하단 일부에 폭방향 내측으로 개구된 커넥터돌출홈부(2151)가 형성된다. 상기 메모리모듈안착부에 컨택트부(2400)가 구비된다.
상기 컨택트부(2400)는 2열의 컨택트핀(24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택트핀(2410)은 통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택트핀(24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가압막대부(2411)와, 상기 가압막대부(2411)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 내향으로 경사진 제1접촉경사부(2413)와, 상기 제1접촉경사부(2413)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제2접촉경사부(2415)와, 상기 가압막대부(2411)의 하단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제1지지경사부(2417)와, 상기 제1지지경사부(2417)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제2지지경사부(24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경사부(2419)의 단부는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컨택트핀(2410)은 상기 제1접촉경사부(2413)와 제2접촉경사부(2415)가 상기 커넥터홈부(2190)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접촉경사부(2413)와 제2접촉경사부(2415) 사이의 절곡된 부분이 커넥터홈부(2190)보다 폭방향 내향 돌출된다. 상기 컨택트핀(2410)은 상기 가압막대부(2411)가 상기 커넥터홀(2150)의 폭방향 외측 단부와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캠안내부(2170)를 지나 커넥터홀(2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경사부(2419)가 커넥터홀(2150)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홀(215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경사부(2419)의 단부는 본체부(2100)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모듈안착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중간그립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안착부는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중간그립안착돌출부와, 상기 중간그립안착돌출부의 하단으로부터 상향하는 턱면인 모듈연결돌출턱면이 형성되어 하향 연장된 중간그립안착연장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그립안착부 길이방향 양측의 상기 캠안내부(2170)를 향하는 면에 길이방향 외향으로 오목한 캠지지홈(2180)이 형성된다. 상기 캠지지홈(2180)은 길이방향 외향 및 폭방향 내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캠지지홈(2180)의 폭방향 외측 단부는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캠지지홈(2180)이 서로 연통되도록 캠지지홈(2180)에 캠지지공(218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안착부의 상부에 중간그립삽입부(2130)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삽입부(2130)는 중간그립안착부 상단에 상향 및 폭방향 내향으로 개구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 홈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향 돌출된 중간돌기(2133)가 구비된다. 상기 중간돌기(2133)는 상기 모듈연결돌출턱면까지 폭방향 내향 연장 형성된다. 상기 중간돌기(2133)의 상단은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돌기(2133) 양측에 삽입부(21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131)는 상향 오목하며 폭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131)의 바닥면에 상향 오목한 중간고정홈(2135)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고정홈(2135)은 삽입부(2131)의 폭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삽입부(2130)에 중간그립(2500)이 삽입된다.
상기 중간그립(2500)은 판상이며, 중간그립(2500)의 단면은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2500) 길이방향 양측의 하향 연장된 부분에 하향 오목한 중간그립홈부(2510)가 2개씩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홈부(251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홈부(2510)는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중간그립홈부(2510) 사이에 간격형성부(2530)가 형성되고, 간격형성부(25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삽입고정부(255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부(2550)는 간격형성부(2530)와 같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간격형성부(2530)의 양측으로 삽입고정부(2550)와의 사이에 중간그립홈부(251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부(2550) 폭방향 내측 하단부에 상기 간격형성부(2530)를 향하는 걸림턱부(255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부(2550) 폭방향 외측 하단부와 걸림턱부(2551)에 하향할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폭방향 양단에 경사진 삽입고정경사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부(2550) 상측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중간고정홈(2135)의 폭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그립홈부(2510)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삽입부(2131)의 폭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그립(2500)은 상기 삽입고정부(2550)가 중간고정홈(2135)에 삽입되고, 상기 중간그립홈부(2510)에 삽입부(2l31)가 삽입되어 상기 중간그립(2500)이 상기 중간그립삽입부(213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고정부(2550)의 걸림턱부(2551)는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중간고정홈(2135)에 가압되며 삽입된다. 상기 걸림턱부(2551)는 상기 중간고정홈(2135)에 가압 삽입되어 상기 삽입고정부(2550)는 중간고정홈(2135) 고정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그립(2500)의 간격형성부(2530)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본체부(2100)의 상단 사이의 간격과 같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모듈가이드안착부에 상부에 가이드삽입부(21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삽입부(2110)는 상향 오목하며 길이방향 내향 및 폭방향 내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홈부(2111)와, 상기 가이드홈부(2111)의 폭방향 내향하는 면에 폭방향 내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고정홈부(2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고정홈부(2113)는 상향 개구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메모리모듈가이드안착부에 상부의 측면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결합공(21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결합공(2120)의 중심이 가이드삽입부(21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삽입부(2110)의 길이방향 내측면에 오목하며 단면이 반원인 가이드결합홈(21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삽입부(2110)에 메모리모듈가이드(2300)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모듈가이드(230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본체(2310)와, 상기 가이드본체(2310)의 폭방향 측면에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본체(231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내측으로 개구된 삽입안내홈(23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홈(2311) 폭방향 양측의 상부 일부에는 가이드경사부(23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부(2313)는 상향할수록 삽입안내홈(2311)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홈(2311)에 메모리모듈(10)이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경사부(2313)로 인하여 메모리모듈(10)이 삽입안내홈(2311)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본체(2310) 길이방향 외측면에 볼트결합홈(231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결합홈(2312)은 길이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결합홈(2515)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볼트결합홈(2312)의 중심은 가이드결합홈(212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본체(2310)는 가이드홈부(2111)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330)는 가이드고정홈부(2113)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330)로 인하여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볼트결합홈(2312)은 상기 가이드결함홈(2121)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결합공(2020)과 나사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안착부에 폭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캠회전홈(2140)이 형성된다. 상기 캠회전홈(2140)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모리모듈안착부의 캠안내부(2170)와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캠회전홈(2140) 폭방향 외측 단부는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레버안착부(2160)는 상기 메모리모듈가이드안착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향할수록 폭이 커지도록 폭방향 내면이 경사진 레버안착경사부(2163)와, 상기 레버안착경사부(2163)로부터 폭방향 내향으로 연장된 레버안착연장부(216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에 캠부(2700)가 구비된다. 상기 캠부(2700)는 2열로 구비되는 캠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부재는 상기 본체부(2100)에 양측에 구비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의 캠부재가 본체부(2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캠부재는 상기 본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커낵터부(2400) 사이에 위치하는 캠축(2710)과, 상기 캠축(2710)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캠돌출부(2750)와, 상기 캠축(2710)의 타단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캠연결부(2730)와, 상기 캠연결부(2730)와 결합되어 캠연결부(273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레버(2770)와, 상기 회전레버(2770)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레버가압부(2790)로 이루어진다.
도 6,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축(2710)은 상기 캠안내부(2170)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캠축(2710)의 단면은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캠축(2710)의 평평한 부분이 상기 컨택트핀(2410)의 가압막대부(2411)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일측 본체부(2100)의 캠안내부(2170)에 구비되는 캠축(2710)과 타측 본체부(2100)의 캠안내부(2170)에 구비되는 캠축(2710)은 만곡진부분이 서로 마주하거나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캠돌출부(2750)는 상기 캠지지홈(218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캠연결부(2730)는 상기 캠회전홈(214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캠연결부(2730)와 캠돌출부(2750)는 상기 캠축(2710)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캠축(2710)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캠연결부(2730)와 캠돌출부(2750)의 회전중심은 상기 캠축(2710)의 중심과 편심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캠축(2710)이 회전되면 상기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캠연결부(2730) 길이방향 단부에 레버결합돌기(2731)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결합돌기(2731)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회전레버(277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레버결합홀(2771)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결합홀(2771)에 레버결합돌기(2731)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2770)와 캠축(2710)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레버(2770)는 상기 레버안착부(2160)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레버(2770)에 레버가압부(2790)가 상기 레버결합홈(2771)으로부터 상기 캠연결부(2730)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레버가압부(2790)는 상기 회전레버(2770)에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레버가압부(2790)는 상기 회전레버(2770) 폭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압부(279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가압부(2790)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지게 형성된다.
도 19,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가압부(2790)가 가압되면 상기 회전레버(2770)는 상기 레버가압부(2790)가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레버(2770)가 회전되면서 상기 캠축(2710)이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컨택트핀(2410)을 가압한다. 상기 컨택트핀(2410)이 가압되어 컨택트핀(2410)의 상기 제1접촉경사부(2413)와 제2접촉경사부(2415) 사이에 절곡된 부분 간에 간격이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레버(2770)가 회전되면 상기 레버안착경사부(2163)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레버(2770)는 상기 레버안착경사부(2163)로 인하여 일정 각도로만 회전된다.
도 3,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축(2710)의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가압면은 제1캠축가압면(2711)과 제2캠축가압면(27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캠축가압면(2711)과 제2캠축가압면(2713)은 길이방향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2캠축가압면(2713)은 회전 가압시 제1캠축가압면(2711)이 먼저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캠축가압면(2713)은 중심으로부터 상단 또는 하단으로 갈수록 컨택트핀(2410)과 더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캠축가압면(2713)은 제1캠축가압면(2711)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이격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캠축가압면(2711)은 길이방향으로 메모리모듈(10)의 데이터신호단자부(A, C)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캠축가압면(2713)은 길이방향으로 전원제어신호단자(B)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신호단자(A, C)가 전원제어신호단자(B)보다 컨택트핀(2410)이 먼저 떨어지고 나중에 접하게 된다. 전원 및 제어신호가 포함된 단자가 안정된 후에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단자가 접하게 되어 데이터 에러가 방지되고 메모리모듈(10)의 손상이 방지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0)에 다른 커넥터(2000)와 연결되도록 본체연결부(229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부(2290)는 본체부(2100)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부(2290)는 본체부(2100) 폭방향 외측 상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와셔홈부(2291)와, 상기 와셔홈부(2291)로부터 상향하는 턱부를 형성하여 하단까지 연장된 본체연결홈(229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셔홈부(2291)와 본체연결홈(2295) 사이에 상향하는 턱면인 와셔턱면(2293)이 형성된다. 상기 와셔턱면(2293)은 중심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와셔홈부(2291)와 본체연결홈(2295)은 단면이 반원형인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와셔홈부(2291)는 단면이 반환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2000)에 연결볼트(2900)가 더 구비되어 커넥터(2000)를 복수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연결볼트(2900)에 와셔(2910)가 구비된다. 상기 와셔(2910)의 하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와셔경사면(29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볼트(2900)가 상기 본체연결부(229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2000)의 와셔홈부(2291)와 이웃하는 커넥터(2000)의 와셔홈부(2291)가 접하게 되면, 중심부가 상향 오목하며 단면이 원형이 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000)의 본체연결홈(2295)과 이웃하는 커넥터(2000)의 본체연결홈(2295)이 접하게 되면, 단면이 원형인 연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외셔홈부(2291)로 인하여 형성된 홈부에 와셔(2910)가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본체연결홈(2295)으로 인하여 형성된 연결공에 연결볼트(2900)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경사진 와셔(2910)와 와셔턱면(2293)으로 인해 상기 커넥터(2000)는 이웃하는 커넥터(2000)와 상기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채결되어 치수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0) 하단에 하향 돌출된 본체돌출부(227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돌출부(2270)는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2000)가 복수로 장치에 구비될 때, 상기 본체돌출부(2270)가 장치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제, 첨부된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2000)를 이용한 메모리모듈(10) 장착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2000)를 이용하여 메모리모듈(1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오픈키(100)가 필요하다.
오픈키(100)를 이용하여 상기 캠부(2700)의 래버가압부(2790) 사이에 구비하도록 가압한다. 상기 오픈키(100)로 인하여 가압된 레버가압부(2790)는 사이가 벌어지면서 회전된다. 상기 레버가압부(2790)의 회전으로 인하여 캠축(2710)이 회전되어 컨택트핀(2410)을 가압한다. 상기 컨택트핀(2410)은 폭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서로 벌어지게 된다.
벌어진 컨택트핀(2410) 사이에 메모리모듈(10)이 삽입된다. 메모리모듈(10)이 삽입되면 오픈키(100)를 제거하여 상기 컨택트핀(2410)의 메모리모듈(10)의 연결단자를 가압되어 상기 커넥터(2000)에 메모리모듈(1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픈키(100)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터(2000)로부터 메모리모듈(10)의 장착과 분리를 일괄적으로 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0 : 커넥터
2100 : 본체부 2300 : 메모리모듈가이드
2400 : 컨택트부 2500 : 중간그립
2700 : 캠부 2900 : 연결볼트

Claims (4)

  1. 커넥터홈부(2190)가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2개의 본체부(2100)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커넥터홈부(2190)에 구비되는 복수의 컨택트핀(2410)으로 이루어져 2열로 구비되는 컨택트부(2400)와, 상기 컨택트부(24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부(27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부(2700)는 상기 본체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회전하면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캠축(2710)과, 상기 캠축(2710)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캠연결부(2730)와, 상기 캠연결부(2730)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레버(27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축(2710)의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가압면은 제1캠축가압면(2711)과 제2캠축가압면(2713)을 포함하고, 캠축(2710) 회전시 제1캠축가압면(2711)이 먼저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고 시차를 두고 제2캠축가압면(2713)이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축가압면(2713)은 제1캠축가압면(2711)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캠축(2710) 회전시 제1캠축가압면(2711)이 먼저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며 시차를 두고 제2캠축가압면(2713)이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축가압면(2713)은 중심으로부터 상단 또는 하단으로 갈수록 컨택트핀(2410)과 더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캠축(2710) 회전시 제1캠축가압면(2711)이 먼저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며 시차를 두고 제2캠축가압면(2713)이 컨택트핀(241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0)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본체연결부(2290)가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본체연결부(2290)는 본체부(2100) 상부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와셔홈부(2291)와, 상기 와셔홈부(2291)로부터 상향하는 턱부가 형성된 와셔턱면(2293)과, 상기 와셔턱면(2293)으로부터 본체부(2100) 하단으로 연장된 본체연결홈(229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셔턱면(2293)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152839A 2016-11-16 2016-11-16 커넥터 Active KR10188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39A KR101885711B1 (ko) 2016-11-16 2016-11-1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39A KR101885711B1 (ko) 2016-11-16 2016-11-16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38A KR20180055238A (ko) 2018-05-25
KR101885711B1 true KR101885711B1 (ko) 2018-08-06

Family

ID=6229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39A Active KR101885711B1 (ko) 2016-11-16 2016-11-1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7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803A (ja) 1998-07-07 2000-01-28 Amp Japan Ltd 零挿入力コネクタ
JP2007035478A (ja) 2005-07-28 2007-02-08 Noritsu Koki Co Ltd コネクタ端子構造
KR100987702B1 (ko) * 2010-04-12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JP2013214436A (ja) 2012-04-03 2013-10-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装置
JP2014102927A (ja) 2012-11-19 2014-06-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705B2 (ja) * 2000-11-30 2005-10-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低挿入力型コネクタ
KR100793261B1 (ko) 2006-06-13 2008-01-10 주식회사 엑시콘 멀티 구동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803A (ja) 1998-07-07 2000-01-28 Amp Japan Ltd 零挿入力コネクタ
JP2007035478A (ja) 2005-07-28 2007-02-08 Noritsu Koki Co Ltd コネクタ端子構造
KR100987702B1 (ko) * 2010-04-12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JP2013214436A (ja) 2012-04-03 2013-10-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装置
JP2014102927A (ja) 2012-11-19 2014-06-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38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566B1 (ko)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N101183751B (zh) 具有交错触头的电连接器
EP2485335B1 (en)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20080248678A1 (en) Connector fastening arrangement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8727815B1 (en) Compliant pin connector mounting system and method
US20060211286A1 (e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US20090029589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6322388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393383A1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US9190748B2 (en) Connector structure
KR10245422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82620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8022062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lignment pin
US669564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exible flat cable
KR101885711B1 (ko) 커넥터
KR101961102B1 (ko)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KR20180011034A (ko) 커넥터
KR100987703B1 (ko) 커넥터
JP2005150115A (ja) リード線を印刷回路基板に接触させる端子ユニット
CN213782302U (zh) 自锁式连接器
KR102363330B1 (ko)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7702B1 (ko) 커넥터
US5447449A (en) Pressure connection type connector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KR101984493B1 (ko) 테스트 장치용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