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3261B1 - 멀티 구동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멀티 구동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261B1
KR100793261B1 KR1020060053180A KR20060053180A KR100793261B1 KR 100793261 B1 KR100793261 B1 KR 100793261B1 KR 1020060053180 A KR1020060053180 A KR 1020060053180A KR 20060053180 A KR20060053180 A KR 20060053180A KR 100793261 B1 KR100793261 B1 KR 10079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ressing member
contact pin
drive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900A (ko
Inventor
김준성
박준언
함응진
심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콘
Priority to KR102006005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26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2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분리하여 회전 구동 및 직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콘택트 핀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최소화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커넥터에서 플러그를 수직 방향을 따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에 접근하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가압되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콘택트 핀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콘택트 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콘택트 핀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가 상기 가압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구조변경이나 추가 부품의 설치 없이 회전 구동 또는 직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동 시 콘택트 핀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구동형 커넥터{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을 보여주기 위해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의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을 보여주기 위해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 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커넥터의 연결 및 동작에 대해 보여주기 위해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만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커넥터 101 : 하우징
102 : 삽입부 103 : 핀 가이드
105 : 고정 몰드 110 : 콘택트 핀
111 : 접촉부 112 : 가압부
113 : 기판 접속부 120 : 구동부재
121 : 구동돌기 122 : 스토퍼
130 : 가압부재 131 : 수용홈
150 : 플러그 151 : 플러그 핀
본 발명은 무삽입력(zero insertion force, 이하, 'ZIF'라 한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구동과 직진 구동이 가능한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부품의 시험 장치에는 전자부품을 설치하고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커넥터가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는 테스터 헤드와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테스터 헤드 쪽에 설치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가 수용되고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이 내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점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부품의 시험 장치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수와, 단위 커넥터당 커넥터에 내장되는 콘택트 핀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콘택트 핀의 증가는 플러그와 콘택트 핀 사이에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부품의 시험을 위해서 플러그를 커넥터에 반복적으로 삽입/분리하게 되는데, 반복적인 플러그의 삽입/분리 행위 역시 콘택트 핀에 마찰력으로 인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콘택트 핀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영향으로 인해 콘택트 핀뿐만 아니라 주변 부품들까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택트 핀 및 주변 부품의 변형은, 콘택트 핀과 플러그 사이의 접촉 불량이나 콘택트 핀의 파손 및 그로 인한 커넥터 성능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커넥터는 플러그의 삽입/분리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ZIF(zero insertion force) 방식의 커넥터(이하, 'ZIF 커넥터'라 한다)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ZIF 커넥터는 콘택트 핀이 플러그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플러그를 콘택트 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상기 콘택트 핀을 플러그에 대해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분리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고, 접속/분리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추후에 이루어지므로 상기 플러그와 콘택트 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ZIF 커넥터는 플러그와 컨택트 핀을 결합/분리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에 제약이 있어 사용하는 데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다.
즉, 종래의 ZIF 커넥터는 회전 구동 또는 직진 구동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만 구동이 가능하며, 커넥터의 구동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또는 추가부품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ZIF 커넥터는 외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가 콘택트 핀을 직접 가압하게 되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콘택트 핀 사이에서도 마찰력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ZIF 커넥터는 마찰력으로 인한 콘택트 핀의 변형 및 그에 따른 접속불량을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ZIF 커넥터에서 회전 구동과 직진 구동이 모두 가능한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택트 핀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러그를 수직 방향을 따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제 1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콘택트 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지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 운동하는 캠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돌기를 갖고 상기 수직 방향 및 제 1 수평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캠 형상의 단면을 갖는 로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한다.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상기 구동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하나로 동작하게 하는 연결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는 구조 변경이나 부품의 추가 설치 없이 커넥터의 구동 방식을 직진 구동 또는 회전 구동 중에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분리시킴으로써 가압부재와 콘택트 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콘택트 핀의 변형을 방지하고, 커넥터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구조물들이 다른 구조물들의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구조물들이 직접 다른 구조물들 위에 위치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조물들이 상기 구조물들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조물들이 "제 1", "제 2" 및/또는 "제 3"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조물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제 2" 및/또는 "제 3"은 각 구조물들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3, 도 4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ZIF(zero insertion force) 방식의 커넥터(100)로서, 플러그(150)가 수용되는 하우징(101)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110)과, 상기 콘택트 핀(1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130) 및 상기 가압부재(13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재(120)가 배치된다.
ZIF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150)의 삽입 동작과 상기 콘택트 핀(110)을 가압하여 상기 플러그(150)에 접속시키는 동작이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택트 핀(110)은 상기 플러그(150)의 핀(15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어서, 힘을 가하지 않고 상기 플러그 핀(151)을 상기 커넥터(100)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1) 외부에 별도로 제공되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콘택트 핀(110)이 가압되어 상기 플러그 핀(151)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핀(151)과 콘택트 핀(110) 사이의 삽입 및 결합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이하, 편의상 도면상에서 소켓에서 플러그와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쪽을 "상부"라 하고, 상기 상부에 대향되어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쪽을 "하부"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와 하부를 따르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수직 방향",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상기 콘택트 핀(110)이 가압되는 방향을 "제 1 수평 방향", 그리고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제 2 수평 방향"이라 칭한다.
상기 커넥터(100) 하우징(101) 상부에는 상기 플러그(150)가 삽입되는 삽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00)의 하부에는 상기 콘택트 핀(110)이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 접속부(113) 및 콘택트 핀(110)을 지지하고, 상기 기판 접속부 및 콘택트 핀(110)을 상기 하우징(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몰드(105)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제공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120)는 상기 가압부재(130)가 상기 콘택트 핀(110)을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콘택트 핀(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는 다수의 콘택트 핀(110)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 핀(110)은 플러그(150)의 플러그 핀(151) 양측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2열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택트 핀(110)은 상기 가압부재(130)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130) 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가압부(1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택트 핀(110)의 상부는 상기 플러그 핀(151)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핀(151) 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접촉부(111)가 형성된 다.
즉, 상기 콘택트 핀(110)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가압부(112)와 접촉부(111)를 갖는 콘택트 핀(110)의 형상은, 상기 콘택트 핀(110)을 플러그 핀(151)에 접촉시키기 위한 힘뿐만 아니라, 상기 콘택트 핀(110)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을 적게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110)의 접속 시 마찰을 적게 발생시키면 상기 콘택트 핀(110)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리하여,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콘택트 핀(110)의 형상은 상기 콘택트 핀(110)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 상기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콘택트 핀(110)의 상부에는, 상기 콘택트 핀(110)을 상기 플러그 핀(151) 쪽으로 안내하는 핀 가이드(103)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콘택트 핀(110)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101)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콘택트 핀(110)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30)가 상기 콘택트 핀(110)의 가압부(112)의 만곡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콘택트 핀(110)을 안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콘택트 핀(110)이 상기 플러그 핀(151)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에 의해 콘택트 핀(110) 및 가압부재(130)의 위치가 복원되고, 상기 콘택트 핀(110)과 플러그 핀(151)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콘택트 핀(110)과의 원활한 접촉 및 가압시의 마찰력 감소를 위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112)와 하우징(101) 내부 공간이 상부로 갈수록 줄어들므로 상기 가압부재(130)는 하부에 비해 상부의 직경이 작은 단면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130)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부재(130)와 인접하여 상기 가압부재(13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20)는 직진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캠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rod)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부재(120)는 상기 가압부재(130)를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다수의 구동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구동돌기(1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131)을 갖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20)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을 갖고, 상기 가압부재(13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직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100)를 구동시에는, 상기 구동부재(1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돌기(121)가 상기 수용홈(1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0)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100)를 구동시에는, 상기 구동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120)의 직경 차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0)가 수 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120)는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101) 외부에 제공된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120) 및 커넥터(100)의 직진 구동 또는 회전 구동 방식이 결정된다.
상기 구동부재(120)는 직진 구동시 상기 구동부재(120)가 하우징(1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122)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122)는 상기 구동부재(120)에서 단부가 상기 구동돌기(121)가 형성된 부분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1)의 단부에는 작은 직경을 갖는 스토퍼(122)만이 통과하도록 하는 개방부(10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120)는 스토퍼(122)에 의해 상기 하우징(101) 내에서 구속되어 왕복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택트 핀(110)에 대한 가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동부재(130) 역시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르는 직진 이동과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자리에서의 회동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1)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이동거리가 짧고 상기 콘택트 핀(110)에 대해서도 변위차가 거의 없어서, 커넥터(100)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재(130)와 콘택트 핀(110) 사이에 마찰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커넥터를 회전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종래의 커넥터에 비해 콘택트 핀(110)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감소 효과가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재(120)의 직진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1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홈(131)에서 구동돌기(121)가 빠져나오면서 상기 구동돌기(121)의 높이만큼 상기 가압부재(13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30)에 의해 상기 콘택트 핀(110)이 상기 플러그 핀(151) 쪽으로 가압되면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12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구동돌기(121)가 상기 수용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1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고, 상기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30) 및 상기 콘택트 핀(11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콘택트 핀(110)과 플러그 핀(151)이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120)는 상기 스토퍼(122)가 상기 하우징(10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구동부재(120)가 하우징(1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재(120)의 회전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120)가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부재(120)의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가압부재(130)와 접촉하게 되 면 상기 가압부재(13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30)가 상기 콘택트 핀(110)을 안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콘택트 핀(110)이 상기 플러그 핀(151)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120)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가압부재(1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0)가 아래쪽으로 밀려나고, 상기 콘택트 핀(110)이 초기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콘택트 핀(110)과 플러그 핀(151)이 분리된다.
이 때, 상기 구동부재(12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 함이 바람직하며, 또는 구동부재(120)를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특히, 상기 구동부재(120)는 외부에 제공되는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커넥터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플러그(150, 도 3 참조)가 수직 방향을 따라 수용되는 하우징(201)과,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 트 핀(210), 상기 콘택트 핀(2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30), 및 상기 가압부재(2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1)의 하부에는 상기 콘택트 핀(210)이 상기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13)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213) 및 콘택트 핀(210)을 상기 하우징(201)에 고정시키는 고정 몰드(205)가 제공된다.
상기 콘택트 핀(210)은 플러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211)와 상기 가압부재(230)에 접촉되는 가압부(21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콘택트 핀(210)은, 상기 접촉부(211)는 안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212)는 상기 가압부재(230)가 설치된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S'자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210)은 작은 힘으로도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고, 커넥터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230)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컨택트 핀(210)을 가압하도록 상기 컨택트 핀(210)의 측면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가압부재(230)와 상기 컨택트 핀(210)이 접촉될 때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가압부재(230)는 상기 컨택트 핀(2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가압부재(230)가 콘택트 핀(2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콘택트 핀(210)을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가압/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가압부재(230)와 콘택트 핀(210)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가압부재(2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콘택트 핀(210)의 복원력에 의해 콘택트 핀(210) 및 가압부재(230)의 위치가 복원되고, 상기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 핀(251)에서 분리된다.
상기 구동부재(220)는 직진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캠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rod)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부재(220)는 상기 가압부재(230)를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다수의 구동돌기(221)가 갖고,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230)에는 상기 구동돌기(2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2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220)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을 갖고, 상기 가압부재(230)와 인접하여 사기 가압부재(230)의 측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직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200)를 구동시에는, 상기 구동부재(220)가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을 하면 상기 구동돌기(221)가 상기 수용홈(2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30)는 상기 구동돌기(221)의 높이만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회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200)를 구동시에는, 상기 구동부재(220)의 회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220)의 직경 차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30)가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220)는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201) 외부에 제공된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220) 및 커넥터(200)의 직진 구동 또는 회전 구동 방식이 결정된다.
상기 구동부재(220)는 직진 구동시 상기 구동부재(220)가 하우징(2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222)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222)는 상기 구동부재(220)에서 단부가 상기 구동돌기(221)가 형성된 부분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직진 구동시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2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면, 상기 구동돌기(221)가 수용홈(231)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230)가 상기 구동돌기(221)의 높이만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콘택트 핀(210)을 밀어주게 되고, 상기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150, 도 2 참조)에 대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2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구동돌기(221)가 수용홈(231)에 삽입되면서 상기 콘택트 핀(210)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가압부재(230) 및 콘택트 핀(2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210)이 상기 플러그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재(220)의 회전 구동에 대해 설명한 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220)가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단면에서 각 부분 마다 직경이 다른 캠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220)의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가압부재(2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230)가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콘택트 핀(210)을 밀어준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에 가압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220)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가압부재(2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콘택트 핀(2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30) 및 콘택트 핀(2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에서 분리된다.
이 때, 상기 구동부재(22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또는 구동부재(220)를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220)에 연결된 하우징(201)의 외부에 제공되는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과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보여주며, 도 12는 회전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300)는 플러그가 수직 방향을 따라 수용되는 하우징(301)과, 상기 하우징(301) 내부에 배치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310)과, 상기 하우징(30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3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30) 및 상기 가압부재(3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에서는 상기 가압부재(330)와 구동부재(320)는 상기 콘택트 핀(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3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330)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콘택트 핀(3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 1, 제 2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동부재는 직진 이동과 회전 이동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가지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동부재는 직진 이동만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한편, 본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하우징(301) 및 콘택트 핀(310) 등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 1, 제 2 실시예와 그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의 구동부재(320) 및 가압부재(330)와, 커넥터(3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재(320)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로서, 상기 가압 부재(330)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321)를 갖는다. 상기 가압부재(320)는 상기 구동돌기(321)와 대응되어 상기 구동돌기(3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331)을 갖는다.
상기 가압부재(3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3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콘택트 핀(310)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가압부재(330)는 가압시 상기 콘택트 핀(310)과 접촉되는 면에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콘택트 핀(310)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해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20)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재(330)를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330)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콘택트 핀(310)을 접속시킬 때는 상기 구동부재(320)가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여 상기 구동돌기(321)가 상기 수용홈(331)에서 빠져나온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330)가 상기 구동돌기(321)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콘택트 핀(310)을 가압하여 플러그에 접속시킨다.
다음으로, 콘택트 핀(310)을 분리할 때는 상기 구동부재(3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구동돌기(321)가 상기 수용홈(33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330)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서 상기 콘택트 핀(310)의 복원 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압부재(330) 및 콘택트 핀(310)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실시예 4
이하,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과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보여주며, 도 14는 회전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는 플러그가 수용되는 하우징(401) 내부에 배치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410)과, 상기 하우징(40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4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30) 및 상기 가압부재(4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4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에서는 상기 가압부재(430)와 구동부재(420)가 상기 콘택트 핀(4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420)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430)가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401) 및 콘택트 핀(410) 등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의 구동부재(420) 및 가압부재(430)와, 상기 커넥터(4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압부재(430)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410)을 선 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콘택트 핀(410)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가압부재(430)는 가압시 상기 콘택트 핀(410)과 접촉되는 면에서 마찰이 최소로 발생하도록 상기 콘택트 핀(410)과 접촉된 상태로 가압/해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재(420)는 상기 가압부재(430)를 선택적으로 밀어주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421)를 갖고,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하는 로드이고, 상기 가압부재(430)는 상기 구동돌기(421)가 삽입되는 수용홈(43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420)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재(430)를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430)의 측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401)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430) 및 구동부재(42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커넥터(400)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재(430) 및 구동부재(42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401)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430)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속되며, 상기 가압부재(430)가 수용된 내측으로 상기 구동부재(42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420)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제 2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420)의 단부에는 상기 구동부재(420)가 하우징(401)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4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22)는 상기 구동부재(420)의 직경이 단부에서 작아져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 일 수 있다.
이하,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4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하면, 상기 구동돌기(421)가 수용홈(431)에서 이탈되어 상기 구동돌기(421)의 높이만큼 상기 가압부재(430)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410)이 플러그(150, 도 2 참조)에 대해 가압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4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구동돌기(421)가 수용홈(431)에 삽입되면서 상기 콘택트 핀(41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압부재(430) 및 콘택트 핀(4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410)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서 플러그에서 분리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다수의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에 대한 실시예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커넥터의 구동부재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동시에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5a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제 5 실시예는 구동부재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고, 하우징이나 콘택트 핀 등의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와 도 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510,520)의 단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512,52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12,522)는 상기 구동부재(510,520)의 단부가 일부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제 1 구동부재(510)와 제 1 가압부재(550), 제 2 구동부재(520)와 제 2 가압부재(560)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및 "제 2"는 단지 구분을 위한 명칭으로서, "제 1", "제 2"는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재(510)와 제 1 가압부재(550)는 하나의 커넥터를 이루고, 상기 제 2 구동부재(520)와 제 2 가압부재(560)는 다른 커넥터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먼저, 상기 제 1 구동부재(510)는 제 1 가압부재(550)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511)를 갖고, 단부에는 제 2 구동부재(520)와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12)를 갖는다.
상기 제 2 구동부재(520)는 제 2 가압부재(550)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521)를 갖고, 단부에는 상기 제 1 구동부재(510)와 연결되는 연결부(522)를 갖는다.
상기 제 1 연결부(512)와 제 2 연결부(522)는 서로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5a와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512)가 상부로 돌출된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522)는 상기 제 1 연결부(512)와 대응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기를 가진다.
이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구동부재(510)의 일단이 외부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직진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구동부재(510)는 각 커넥터 내부에서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제 1 연결부(512)에 상기 제 2 연결부(522)를 맞물리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510,520)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재(51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1 구동부재(510)가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부재(520)가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돌기(511) 및 제 2 구동돌기(521)가 각 가압부재(550,560)의 수용홈(551,561)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각 가압부재(550,560)는 상기 구동돌기(511,521)의 높이만큼 위로 밀려 올라간다. 그리고, 상기 각 가압부재(550,560)가 콘택트 핀을 가압하여 플러그에 접속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각 구동부재(510,52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각 구동돌기(511,512)는 대응되는 수용홈(551,56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각 가압부재(550,560) 및 콘택트 핀이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콘택트 핀과 플러그가 분리된다.
본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의하며, 다수의 커넥터를 직렬 로 연결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커넥터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재의 일 단부는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다른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재의 양쪽 단부에 모두 연결부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재의 일 단부에는 다른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고, 타 단부에는 연결부나 다른 부재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를 직렬로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부재의 양쪽 단부에 모두 연결부를 갖는 구동부재를 사용하여 3개 이상의 구동부재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콘택트 핀의 측부에 배치하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콘택트 핀의 하부에 배치하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의 폭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는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분리함으로써 회전 구동과 직진 구동 모두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동 방식 변경에 따라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추가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회전 구동 또는 직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는 콘택트 핀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므로 마찰에 의한 콘택트 핀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넥터의 수명 및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내부에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크기를 조절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플러그를 수직 방향을 따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에 대해 접근하는 제 1 수평방향을 따라 가압되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콘택트 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돌기를 갖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 운동을 하는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돌기를 갖고 상기 제 1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이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구동형 커넥터는 다수개가 인접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인접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어 하나로 동작하게 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
KR1020060053180A 2006-06-13 2006-06-13 멀티 구동형 커넥터 Active KR10079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80A KR100793261B1 (ko) 2006-06-13 2006-06-13 멀티 구동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80A KR100793261B1 (ko) 2006-06-13 2006-06-13 멀티 구동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900A KR20070118900A (ko) 2007-12-18
KR100793261B1 true KR100793261B1 (ko) 2008-01-10

Family

ID=3913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180A Active KR100793261B1 (ko) 2006-06-13 2006-06-13 멀티 구동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703B1 (ko) 2010-04-13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KR100987702B1 (ko) 2010-04-12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KR20180055238A (ko) 2016-11-16 2018-05-25 (주)케미텍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59A (ko) * 1998-07-31 2000-02-25 나가토시 다쯔미 케이블을확실하게연결하기위한케이블커넥터
KR20010088394A (ko) * 2000-03-10 2001-09-26 요코다 마코도 전기부품용 소켓
KR100424843B1 (ko) 2000-06-30 2004-03-27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pc/ffc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59A (ko) * 1998-07-31 2000-02-25 나가토시 다쯔미 케이블을확실하게연결하기위한케이블커넥터
KR20010088394A (ko) * 2000-03-10 2001-09-26 요코다 마코도 전기부품용 소켓
KR100424843B1 (ko) 2000-06-30 2004-03-27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pc/ffc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702B1 (ko) 2010-04-12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KR100987703B1 (ko) 2010-04-13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KR20180055238A (ko) 2016-11-16 2018-05-25 (주)케미텍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900A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3069C (zh) 存储卡用连接器
CN102037612B (zh) 推压型连接器
US8113851B2 (en) Connector assemblies and systems including flexible circuits
US7527513B1 (en) Contact member deformation slot connector
US6213804B1 (en) Socket and connector
US20080299805A1 (en) Connector of a double-sided connection type with a flexible internal mechanism
JP4074812B2 (ja) 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端面研磨機用研磨治具
KR100318510B1 (ko) 박판형상의 접속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장치
CN117178192A (zh) 探针接点
CN216214454U (zh) 连接器、适配器及连接器组合
KR100793261B1 (ko) 멀티 구동형 커넥터
CN110600967A (zh) 一种防刮伤i/o接口插拔装置及治具
KR101450736B1 (ko) 커넥터
US8342866B2 (en) Connector assemblies having mating sides moved by fluidic coupling mechanisms
US8282290B2 (en)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a plurality of moveable mating arrays
US563926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CN101316014B (zh) 电连接装置及其组装方法
US11835772B2 (en) Optical receptacle and module and optical connector module using the same
US11906787B2 (en) Optical-electrical connector and optical-electrical module thereof
CN108693458B (zh) 用于芯片的测试插座
US6679716B2 (en) Connector
KR20110075685A (ko) 멀티 구동형 커넥터
KR101076846B1 (ko) 하이 픽스보드용 테스터 커넥터
KR100440948B1 (ko) 휴대용 pc와 도킹 스테이션의 광 접속장치
US11209601B2 (en) Optical connector and modu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