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673B1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Google Patents
Swash plate type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2673B1 KR101882673B1 KR1020130075535A KR20130075535A KR101882673B1 KR 101882673 B1 KR101882673 B1 KR 101882673B1 KR 1020130075535 A KR1020130075535 A KR 1020130075535A KR 20130075535 A KR20130075535 A KR 20130075535A KR 101882673 B1 KR101882673 B1 KR 101882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suction
- opening
- swash plat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코어(52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떨림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체크밸브(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사판식 압축기는 흡입 체크밸브(500)의 하부에 체적 변화가 가능하고,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되는 압력 조절 밸브실(540)을 구비함으로써,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개폐코어(520)를 지지하는 스프링(S)이 비스듬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 안착면(522aa)에 스프링(S)의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고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개폐코어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check valve (500)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puls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an opening / closing core (520) Is installed. Such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has a pressure control valve chamber 540 in which the volume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an be changed under the suction check valve 500 and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121 is applied to effectively reduce puls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By applying a fixing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end position of the spring S to the spring seating surface 522aa so that the spring S supporting the opening / closing core 520 can be positioned at an angle, The occurrence of nois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라인으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관로의 개도를 흡입 체크밸브를 통해 조절함에 있어서, 압축기 가변 작동시 개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개폐코어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opening degree of a refrigerant pipe introduced into a compressor from a refrigerant line is adjusted through a suction check val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vibration noise when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res.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Generally, compressors that serve to compress refrigerant in automotive cool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Such a compressor includes a reciprocating type in which compression is performed while a refrigerant is compressed and a rotary type in which compression is performed while rotating. In the reciprocating type, there are a crank type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ource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pistons by using a crank, a swash plate type in which the swash plate is transmitted by a swash plate installed shaft, a wobble plate type in which a wobble plate is used, There are vane rotary type, scroll type using revolving scroll and fixed scroll.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압축기 중 상기 사판식 압축기는 에어컨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되는데, 압축기가 구동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하강 되고, 압축기가 정지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 된다.Among the above various types of compressors,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driven according to on / off of the air conditioner switch.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lowered, and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raised.
한편, 사판식 압축기로는 고정 용량형 타입과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이들 압축기는 차량의 엔진의 회전력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데, 상기 고정용량형 타입에는 전자 클러치가 구비되어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클러치가 구비된 고정 용량형 타입의 경우, 압축기의 구동시 또는 정지시 차량의 RPM이 유동하여 안정적인 차량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s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re are fixed capacity type and variable capacity type. These compressors ar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In the fixed capacity type, an electromagnetic clutch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xed capacity type having the electromagnetic clu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PM of the vehicle flows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or stopped, thereby hindering stable vehicle operation.
따라서, 최근에는 클러치가 구비되지 않고, 차량의 엔진의 구동과 함께 항상 구동되며,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는 일반적으로 냉매 토출량의 조절을 위하여 사판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가 사용된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variable displacement type,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clutch, is always driven with the driving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can vary the discharge capacity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is widely used. In such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is generally used for adjusting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 냉매 흡입량이 적어지면 흡입포트에 진동이 발생하여 맥동이나 굉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hen the suction amount of the refrigerant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occurs in the suction port and pulsation or roaring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매 흡입량이 적을 때 흡입포트의 유동면적을 서서히 변화시켜 급격한 흡입을 회피하고자 도 1에 도면부호 150으로 도시된 흡입 체크밸브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이러한 흡입 체크밸브(150)는 케이스(151), 개폐코어(153), 및 반동 스프링(15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51)는 위로 열린 원통체로서, 밸브(150)의 몸체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개방된 흡입구(161) 둘레에 개방덮개(169)가 끼워져 있고, 측벽면 일측에 흡입구(161)와 직각을 이루면서 토출구(163)가 관통되어 있다.The
상기 개폐코어(153)는 케이스(151)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플런저로서, 흡입구(161)에 걸리는 냉매 압력에 따라 케이스(151)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흡입구(161)로부터 토출구(163)로의 냉매의 유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반동 스프링(155)은 흡입구(161)를 통해 케이스(151)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해 개폐코어(15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무부하 시 즉, 흡입구(161)에 냉매 압력이 걸리지 않게 되는 때에 개폐코어(153)를 덮개(169)에 밀착시켜 흡입구(161)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개폐코어(153)의 외주면에는 축방향 홈(171)이 형성됨으로써, 개폐코어(153)가 덮개(169)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축방향 홈(171)을 통해 냉매의 유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되어 흡입구(161)에 걸리는 냉매 압력의 급격한 변화가 있더라도 흡입 체크밸브의 급격한 개도 변화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흡입 체크밸브(150)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포트와 흡입실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에 흡입포트와 흡입실 사이의 차압이 일정 한도를 넘는 경우 압축기의 최대 가변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최대 가변 작동시와 유사하게 개폐코어(153)가 최대로 개방될 수 있었기에 흡입 맥동이나 굉음 발생 방지의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흡입포트로 유입되는 냉매 흡입량을 흡입 체크밸브를 통해 조정함에 있어서, 흡입 체크밸브의 개도가 흡입포트와 흡입실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크랭크실 압력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 맥동이나 굉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흡입 체크밸브(250)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order to adjust the suction amount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suction check valve, the opening degree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adjusted not only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but also by the crank chamber pressure An improved
이러한 개선된 흡입 체크밸브(250)는, 흡입포트(미도시)를 흡입실(132)로 연결하는 관로(135)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포트와 흡입실(132) 및 크랭크실(121)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실(121)과 관로(135)를 연결하는 통로(136)가 형성된다.The improved
한편, 위와 같은 개선된 흡입 체크밸브(250)는, 일측에 흡입구(251a)가 관통되고, 이 흡입구(251a)가 개방된 때 상기 흡입구(251a)와 연통되는 토출구(251b)가 다른 일측에 관통되며, 또 다른 일측에 가이드 홀(251d)이 형성된 케이스(251)와, 상기 케이스(251)의 내측에 스프링(S)을 매개로 지지되어, 상기 흡입구(251a)에서 상기 토출구(251b)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코어(252)와,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상기 개폐코어(252)의 내측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개폐코어(25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크랭크실(121)의 압력을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251)의 가이드 홀(251d)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코어(252)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압력 수용 챔버(25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improved
위와 같은 개선된 흡입 체크밸브(250)를 적용할 경우 최대 가변이 아닌 상황에서 흡입포트의 압력이 과도하여 상기 개폐코어(252)에 의해 상기 토출구(251b)가 최대 개도로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개폐코어(252)에 흡입포트의 압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최종 조절된 개도가 줄어들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흡입 맥동이나 굉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improved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개선된 흡입 체크밸브(250)의 경우 가변 작동시 문제되었던 흡입 맥동이나 굉음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었으나, 고주파수 성분의 흡입 맥동은 여전히 감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폐코어(252)의 측면과 케이스(251)의 내측면 사이의 갭(Gap)으로 인해 개폐코어(252)의 작동시 떨림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흡입 체크밸브의 하단부에 압력 조절 밸브실을 형성함으로써,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스프링이 개폐코어 또는 케이스와 접촉되는 스프링 안착면에 스프링의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고정 구조를 적용하여 개폐코어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개폐코어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control valve chamber in which a puls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can be effectively reduc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or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by applying a fixing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end position of the spring to the seating surface,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럭, 상기 실린더 블럭 앞쪽에 배치되고 크랭크실이 형성된 전방헤드, 및 상기 실린더 블럭 뒤쪽에 배치되고 흡입포트와 흡입실과 토출포트와 토출실이 형성된 후방헤드로 이루어져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대한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 사판과, 상기 사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조인트 연결되어 상기 사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흡입포트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실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흡입포트를 흡입실로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실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거나,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실 및 크랭크실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흡입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체크밸브는, 일측에 흡입구가 관통되고, 이 흡입구가 개방된 때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다른 일측에 관통되며, 또 다른 일측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코어와, 상기 개폐코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코어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압력 수용 챔버와, 상기 관로와 연통하여 상기 크랭크실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통로와, 상기 압력 수용 챔버 사이에 체적 변화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완화하는 압력 조절 밸브실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은 상기 압력 수용 챔버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의 내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와, 상기 통로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 하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ash plate compressor including a cylinder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formed therein, a front head disposed in front of the cylinder block and formed with a crank chamber, A rotary shaft mounted on the rotary shaft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a rotary shaft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A swash plat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vary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swash plate can be adjusted; and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ch is jointly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wash plate, Thereby compressing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plurality of pistons to be discharged and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and between the suction chamber and the crank chamber, the piston being provided on a pipe connecting the suction port to the suction chamber, the opening degree being adjust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Wherein the suction check valve has a suction port at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t the time when the suction port is opened is pass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check valve, A case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 opening / closing core supported by a spring on the inside of the case to adjus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lea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pressure receiving chamber which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opening / closing core, and a pressure receiving chamber which communicates with the crank chamber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chamber formed between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and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so as to be capable of varying in volume between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and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A partition plate exte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an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and an outer lower end surface of the case.
상기 통로는 상기 클랭크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실 및 크랭크실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assag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rank chamber,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adjust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and the crank chamber.
상기 통로는 상기 크랭크실과 연통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실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assage is form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crank chamber,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adjust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에 상기 크랭크실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과 상기 통로를 연통하는 연통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tion plate may have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chamber and the passage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may act on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chamber.
삭제delete
상기 케이스는 축방향 일단 면과 횡방향 일측 면에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관통되고 축방향 타단 면에 상기 가이드 홀이 관통된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코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하측이 개구된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압력 수용 챔버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ase is formed of a hollow cylindrical body having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o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re respectively passed and the other end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guide hole, And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is formed as a hollow cylinder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hole.
상기 케이스와 개폐코어에는 각각 스프링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코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에는 스프링 상단 일측이 상기 스프링 안착면의 중심부 쪽으로 치우치게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상단 위치 고정용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re are each provided with a spring seating surface and the spring seating surface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core is provided with a spring top position fixing hook for guiding one side of the spring upper end to be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spring seating surface desirable.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상기 스프링 안착면의 중앙부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pring lower end position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formed in the case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spring to be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seating surface.
상기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에 원활히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to be smoothly seat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formed on the case is formed on the spring lower end position fixing proj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사판식 압축기에 따르면, 흡입 체크밸브의 하단부에 압력 조절 밸브실을 형성함으로써,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되고, 스프링이 개폐코어 또는 케이스와 접촉되는 스프링 안착면에 스프링의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고정 구조를 적용하여 개폐코어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개폐코어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mber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ction check valve, the pulsation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the spring The opening / closing cor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o operate, so that the occurrence of the noise of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 채용되는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 채용되는 개선된 흡입 체크밸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사판이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사판이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최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적절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최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적절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check valve employed in a conventional swash plate type compressor.
2 shows an improved suction check valve employed in a conventional swash plate compressor.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wash plat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wash plate erected in a radial direction of a rotating shaft;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close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opened to the maximum.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properly opened; FIG.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closed;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opened to the maximum.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properly opened.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hicknes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used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사판이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사판이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최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적절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wash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close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check valv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properly opened. Fig.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크게 하우징(100)과, 회전축(200)과, 사판(300)과, 복수의 피스톤(400)과, 흡입 체크밸브(500)를 포함한다.3 to 7,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은 사판식 압축기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럭(110)과 전방헤드(120) 및 후방헤드(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 블럭(110)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관체로서,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회전축(200)은 물론, 복수의 피스톤(400)을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3 and 4, the
전방헤드(120)와 후방헤드(130)는 위 실린더 블럭(110) 앞뒤의 개방단을 마감하는 통체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헤드(120)는 실린더 블럭(110)을 향해 후단이 개방되어 사판(300)의 회전 공간인 크랭크실(121)을 확보하면서 경사조정기구(3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후방헤드(130)는 상기 실린더 블럭(110)을 향해 전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흡입행정시 실린더 블럭(110)의 실린더 보어(111)로 냉매를 공급하는 흡입실(132)과 압축행정시 실린더 보어(111) 내의 냉매가 배출되는 토출실(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헤드(130)의 외벽면에는 상기 흡입실(132) 및 토출실(134)로 각각 연결되는 흡입포트(131)와 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포트(131)를 상기 흡입실(132)로 연결하는 관로(135) 상에는 흡입 체크밸브(500)가 장착된다.The
상기 회전축(200)은 외부 구동원의 회전 구동력을 압축기의 내부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일측 즉, 전방헤드(120)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전방헤드(12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200)의 일단에는 회전풀리(140)가 결합되며, 이 회전풀리(140)를 통해서 외부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200)으로 전달되어 회전축(200)이 회전하게 된다.3 and 4, the
상기 사판(300)은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 구동력을 피스톤(400)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0) 상에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사판(3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슈(310)가 원주방향으로 장착되어 이 슈(310)를 통해 복수의 피스톤(400)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지지된다.3, the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사판식 압축기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로서, 사판(300)의 경사각도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200)에 대한 사판(300)의 경사가 90°인 경우, 피스톤(400)의 왕복 운동이 사라지므로 회전축(200)은 공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도 3과 같이 사판(300)이 회전축(200)에 대해 경사지게 되면 피스톤(400)이 실린더 보어(111)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shown in FIGS. 3 and 4 is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install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한편, 외부에서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포트(130)와 흡입실(132) 사이의 관로(135) 상에 설치되는 흡입 체크밸브(500)는 사판(300)의 경사가 90°에 가까워질 때는 냉매의 유입량이 적어지므로 개도가 작아지고, 반대로 경사가 90°보다 작아질 때는 냉매의 유입량이 증대되므로 그에 따라 개도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복수의 피스톤(400)은 사판(300)에 의해 실린더 보어(111)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3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슈(310)를 통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판(300)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 블럭(110)의 실린더 보어(111) 내주면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후방헤드(130)의 흡입포트(131)를 통해 상기 실린더 보어(111) 안으로 흡입한 냉매를 후방헤드(130)의 토출포트(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냉매라인으로 토출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서 흡입포트(13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의 양에 따라 개도가 조정되는 흡입 체크밸브(500)는 흡입포트(131)를 흡입실(132)로 연결하는 관로(135) 상에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10)와, 개폐코어(520)와, 압력 수용 챔버(530)와, 압력 조절 밸브실(5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흡입 체크밸브(500)는 주로 후방헤드(130)의 흡입포트(131)와 흡입실(132) 사이의 차압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며, 가변 작동시 전방헤드(120)의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132)의 압력에 더해져, 흡입포트(131)와 흡입실(132) 및 크랭크실(121) 사이의 차압에 의해 좀더 정밀한 개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밀한 개도 조절을 위해 상기 크랭크실(121)과 관로(135)는 통로(136)로 연결된다.I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케이스(510)는 흡입 체크밸브(500)의 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은 흡입포트(131)를 흡입실(132)로 연결하는 관로(135) 상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크랭크실(121)과 관로(135)를 연결하는 통로(136) 상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510)와 통로(136)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R)이 설치된다.5 to 7, one end of the
이러한 상기 케이스(510)는 원통체 등의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며, 도면상 하단 측은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가 관통될 수 있는 가이드 홀(514)을 제외하면 막혀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흡입포트(131)를 향해 개방된 도면상 상단 측에는 덮개(513)가 씌워져 있으며, 이 덮개(513)의 중앙에는 흡입포트(131)와 연속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구(511)가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구(511)가 개방된 때 흡입포트(131)로 유입된 외부 냉매가 흡입구(511)를 통해 케이스(510) 내부로 들어온다.The
한편, 상기 개폐코어(520)는 케이스(510)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동을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510)의 흡입구(511)에서 토출구(512)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케이스(510)의 흡입구(51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흡입포트(131)의 압력이기도 함]과 흡입실(132)의 압력[또는 흡입실(132)과 크랭크실(121)의 압력의 합] 간의 차압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케이스(510)의 흡입구(511) 및 토출구(512)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opening and
한편, 상기 개폐코어(520)는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하고 하측이 개구된 원통체 등의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는데, 도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510)의 하단에 삽입되는 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며, 케이스(510)의 덮개(513)에 걸려 구속되는 상사점과 스프링(S)의 압축이 더 이상 불가하게 되는 하사점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코어(520)는 케이스(510)의 내부를 상하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소음 및 진동의 억제를 위해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내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폐코어(520)가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너무 밀착될 경우 원활한 왕복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상기 개폐코어(520)는 케이스(510)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5 to 7, the opening /
또한, 상기 스프링(S)은 위와 같이 개폐코어(520)를 지지하는 탄성 반발 수단으로서, 케이스(510)의 내부 공간의 바닥과 개폐코어(520)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코어(520)를 지지하며, 흡입구(51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해 개폐코어(520)를 반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예컨대 흡입구(511)를 통해 작용하는 냉매의 압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코어(520)를 최대한 위쪽으로 밀어올려 덮개(513)에 밀착되도록 하는 반면, 흡입구(511)를 통해 작용하는 냉매의 압력이 최대일 때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510)의 바닥을 향해 최대한 압축되어 토출구(512)를 최대한 개방한다.The spring S is resilient repulsion means for supporting the opening and
한편,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는 상기 개폐코어(520)에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추가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변 작동시 상기 개폐코어(520)에 가해지는 흡입포트(131)의 압력에 대응할 수 있게 흡입실(132)의 압력에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입포트(131)의 압력이 과도해 지더라도 상기 개폐코어(520)에 의해 조절되는 토출구(512)의 개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해준다.The
이를 위해,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는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상기 개폐코어(520)의 내측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530a)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코어(52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510)의 가이드 홀(514)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코어(520)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원통체 등의 중공의 통체로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 공간의 바닥 즉, 도면상 내부 공간의 하단 측 중 상기 가이드 홀(514)을 제외한 부분은 스프링(S)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프링 안착면(516)을 이룬다. 또한, 상기 개폐코어(520)의 개구되지 않은 상측에는 상기 흡입포트(121)와 흡입실(132)과 크랭크실(121)의 압력을 받는 압력 작용 플레이트(522)가 형성되고, 이 압력 작용 플레이트(522)의 내측면(522a) 중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스프링(S)의 상단부가 접촉되는 스프링 안착면(522aa)을 이룬다.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한편, 상기 개폐코어(520)가 케이스(510)의 일측에 밀착되어 작동하도록 유도하여 개폐코어(520)의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코어(52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22aa)에는 스프링(S)의 상단 일측이 상기 스프링 안착면(522aa)의 중심부 쪽으로 치우치게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상단 위치 고정용 걸림턱(522aaa)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51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16)에는 상기 스프링(S)의 하단이 상기 스프링 안착면(516)의 중앙부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516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516a)에는 상기 스프링(S)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51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16)에 원활히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516a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the open /
이처럼 상기 개폐코어(52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22aa)에 스프링 상단 위치 고정용 걸림턱(522aaa)을 형성하고, 케이스(51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16)에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516a)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S)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개폐코어(520) 및 케이스(510)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된 상태로 개폐코어(52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를 기준으로 도면상 좌,우측의 스프링(S)의 압축 정도가 달라지면서 개폐코어(52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S)의 반발력에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개폐코어(520)는 상기 스프링(S)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개폐코어(520)의 측면 중 일정 부분은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밀착하게 된다.The spring upper end position fixing hook 522aaa is formed on the spring seating face 522aa formed on the opening and
이처럼 상기 개폐코어(520)의 측면 중 일정 부분이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개폐코어(520)가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할 경우 개폐코어(520)의 측면과 케이스(510)의 내주면 사이에 갭(Gap)이 존재하더라도 개폐코어(520)의 왕복 이동시 떨림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ning and
한편,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은 상기 크랭크실(121)과 관로(135)를 연결하는 통로(136)와,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 사이에 체적 변화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 수용 챔버(530)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136)의 내면(136a)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541)와, 상기 통로(136)의 내면(136a)과, 상기 케이스(510)의 외측 하단면(515)에 의해 형성된다.The pressure
여기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541)는 상기 통로(136)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통로(136)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상기 구획 플레이트(541)는 대략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541)는 상기 통로(136)의 내면(136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에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상기 통로(136)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날 수 있도록 상기 통로(136)의 접촉부부분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상기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플레이트(541)에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과 통로(136)를 연통하는 연통 홀(541a)이 형성된다.A
위와 같이, 압력 조절 밸브실(540)을 형성하고, 이러한 압력 조절 밸브실(540)과 통로(136)를 연통하는 연통 홀(54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코어(520)와, 압력 수용 챔버(530) 및 구획 플레이트(541)가 일체로 상하 이동할 때 상기 연통 홀(541a)을 통해 상기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작용할 수 있게 되고, 이처럼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개폐코어(520)의 상 방향 이동 또는 하 방향 이동에 대해 각각 반대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폐코어(52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By forming the pressure regulat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흡입포트(131)를 통해 외부 냉매라인에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에 따라 흡입 체크밸브(500)의 개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300)의 경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 흡입 체크밸브(500)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진다.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vary the opening degree of th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300)의 경사가 최대일 때, 각 피스톤(400)의 행정은 최대가 되고, 따라서 흡입포트(131)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매의 양도 최대로 된다. 이에 따라, 흡입 체크밸브(500)의 흡입구(511)를 막고 있던 개폐코어(520)는 스프링(S)을 최대로 압축하면서 하사점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코어(520)가 하사점에 이르면, 흡입 체크밸브(500)의 흡입구(511)는 물론 토출구(512)도 최대 개도로 조절됨으로써, 최대 유량의 냉매가 흡입실(132)로 전달된다.3, when the inclination of the
반대로, 사판(300)의 경사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90°로 된 경우에는, 각각의 피스톤(400)은 왕복 운동이 사라지고 실린더 보어(111) 내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흡입포트(13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의 양은 최소로 되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의 반력에 의해 개폐코어(520)가 흡입구(511)를 폐쇄한다.Conversely, when the inclination of the
한편, 사판식 압축기의 가변 작동시 상기 사판(300)의 경사가 가변됨에 따라 흡입구(511)를 통해 개폐코어(520)에 작용하는 냉매압은 변화하지만 상기 흡입구(511)와 흡입실(132) 사이의 차압이 일정 한도 이상이 되면 최대 가변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 개폐코어(520)가 최대로 하강하고, 스프링(S)도 최대로 압축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크랭크실(121)로부터의 냉매의 압력이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를 통해 개폐코어(520)의 압력 작용 플레이트(522)의 내측면(522a)에 작용하여 상기 개폐코어(520)를 상승시킴으로써, 토출구(512)의 개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In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 slope of the
즉, 최대 가변이 아닌 상황에서 흡입포트(131)의 압력이 과도하여 상기 개폐코어(520)에 의해 상기 토출구(512)가 최대 개도로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개폐코어(520)에 흡입포트(131)의 압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최종 조절된 개도가 줄어들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흡입 맥동이나 굉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또한, 위와 같이 흡입 체크밸브(5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흡입 체크밸브(500)의 개폐코어(520)와, 압력 수용 챔버(530) 및 구획 플레이트(541)가 일체로 상하 이동할 때 구획 플레이트(541)에 형성된 연통 홀(541a)을 통해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개폐코어(520)의 상 방향 이동 또는 하 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의 압력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의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흡입 맥동 중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ning and
또한, 위와 같이 흡입 체크밸브(5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개폐코어(520)를 지지하는 스프링(S)이 항상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개폐코어(520)의 측면 중 일정 부분은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코어(520)의 측면과 케이스(510)의 내주면 사이에 갭(Gap)이 존재하더라도 개폐코어(520)의 왕복 이동시 떨림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spring S supporting the opening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최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흡입 체크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흡입 체크밸브의 흡입구가 적절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closed, FIG. 9 is a cross-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ction check valve applied to a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eck valve is properly opened.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되,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를 더불어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와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즉, 크게 하우징(100)과, 회전축(200)과, 사판(300)과, 복수의 피스톤(400)과, 흡입 체크밸브(500)를 포함하고, 흡입 체크밸브(500)에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 조절 밸브실(540)이 형성되며, 개폐코어(520)의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 안착면에 스프링의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고정 구조를 적용한 점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8 to 10,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in overall construction as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다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가 통로(136)가 클랭크실(12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흡입 체크밸브(500)가 흡입포트(131)와 흡입실(132) 및 크래크실(121)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경우였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통로(136)가 크랭크실(121)과 연통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흡입 체크밸브(500)가 흡입포트(131)와 흡입실(132)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경우이며, 이 점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차이가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통로(136) 상에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미치지 아니하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도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136)는 압력 수용 챔버(530)와 케이스(5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흡입실(132)과 어느 정도 연통되기에, 흡입실(132) 보다는 작지만 어느 정도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of the
또한, 통로(136)의 압력은 구획 플레이트(541)에 형성된 연통 홀(541a)을 통해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의 압력에도 영향을 미친다.The pressur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개폐코어(520)의 작동시 개폐코어(520)와, 압력 수용 챔버(530) 및 구획 플레이트(541)가 일체로 상하 이동할 때 상기 연통 홀(541a)을 통해 통로(136)의 압력이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작용하게 되고, 이처럼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통로(136)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개폐코어(520)의 상 방향 이동 또는 하 방향 이동에 대해 각각 반대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폐코어(52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 /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따르면, 흡입 체크밸브의 하단부에 압력 조절 밸브실을 형성함으로써,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되고, 스프링이 개폐코어 또는 케이스와 접촉되는 스프링 안착면에 스프링의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고정 구조를 적용하여 개폐코어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개폐코어 작동시 떨림소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mber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check valve, the pulsation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the spring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ning / The opening / closing cor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by applying a fixing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end position of the spring to the spring seating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haking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cor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100 : 하우징 110 : 실린더 블럭
120 : 전방헤드 121 : 크랭크실
130 : 후방헤드 131 : 흡입포트
132 : 흡입실 135 : 관로
136 : 통로 200 : 회전축
300 : 사판 400 : 피스톤
500 : 흡입 체크밸브 510 : 케이스
511 : 흡입구 512 : 토출구
516 : 스프링 안착면 516a :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
516aa : 경사면 520 : 개폐코어
522aa : 스프링 안착면 522aaa : 스프링 상단 위치 고정용 걸림턱
530 : 압력 수용 챔버 540 : 압력 조절 밸브실100: housing 110: cylinder block
120: front head 121: crank chamber
130: rear head 131: suction port
132: suction chamber 135: channel
136: passage 200: rotating shaft
300: swash plate 400: piston
500: Suction check valve 510: Case
511: Inlet port 512: Outlet port
516:
516aa: inclined surface 520: opening / closing core
522aa: a spring seat surface 522aaa: a spring stopper for fixing the spring upper position
530: Pressure receiving chamber 540: Pressure regulating valve chamber
Claims (9)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 상에 설치되어 회전축(200)과 일체로 회전하고,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00)에 대한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 사판(300);
상기 사판(3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조인트 연결되어 상기 사판(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어(111)의 내주면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흡입포트(131)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실(134)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피스톤(400); 및
상기 흡입포트(131)를 흡입실(132)로 연결하는 관로(135)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포트(131)와 상기 흡입실(132)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거나, 상기 흡입포트(131)와 상기 흡입실(132) 및 크랭크실(121)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흡입 체크밸브(50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체크밸브(500)는, 일측에 흡입구(511)가 관통되고, 이 흡입구(511)가 개방된 때 상기 흡입구(511)와 연통되는 토출구(512)가 다른 일측에 관통되며, 또 다른 일측에 가이드 홀(514)이 형성된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510)의 내측에 스프링(S)을 매개로 지지되어, 상기 흡입구(511)에서 상기 토출구(512)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코어(520);
상기 개폐코어(52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510)의 가이드 홀(514)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코어(520)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압력 수용 챔버(530);
상기 관로(135)와 연통하여 상기 크랭크실(12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통로(136)와,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 사이에 체적 변화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고주파수 성분의 맥동을 완화하는 압력 조절 밸브실(540);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은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136)의 내면(136a)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541)와, 상기 통로(136)의 내면(136a)과, 상기 케이스(510)의 외측 하단면(51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A cylinder block 110 having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111 formed therein and a front head 120 disposed in front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formed with a crank chamber 121, And a rear head (130) having a port (131), a suction chamber (132), a discharge port and a discharge chamber (134) formed therein to form an outer body;
A rotating shaft 200 rotatably mounted through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 swash plate 300 mounted on the rotary shaft 200 and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200 so as to be able to vary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shaft 200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can be adjusted;
And is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ore 111 by the rotation of the swash plate 300 so as to be reciprocated relative to the edge of the swash plate 300, A plurality of pistons (400)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discharg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the discharge chamber (134);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uction port 131 is adjust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131 and the suction chamber 132, or the suction port 132 is provided on the pipe 135 connecting the suction port 131 to the suction chamber 132, 131), and a suction check valve (500) whose opening degree is adjust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chamber (132) and the crank chamber (121)
The suction check valve 500 has a suction port 511 at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512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511 when the suction port 511 is opened is passed through the other side, A case 510 having a guide hole 514 formed therein;
An opening and closing core 520 which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case 510 via a spring S and regulates the flow of refrigerant from the inlet 511 to the outlet 512;
A pressure receiving chamber 530 located inside the opening / closing core 520 and moving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opening / closing core 520 through the guide hole 514 of the case 510;
A passage 136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rank chamber 121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uit 135 and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136 capable of varying the volume between the pressure accommodating chambers 530 to relieve pulsation of high- And a valve chamber (540)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chamber 540 includes a partition plate 541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530 to an inner surface 136a of the passage 136 and an inner surface 136a of the passage 136, And an outer lower end surface (515) of the case (510).
상기 통로(136)는 상기 크랭크실(12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 체크밸브(500)는 상기 흡입포트(131)와 상기 흡입실(132) 및 크랭크실(121)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ssage 136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rank chamber 121 and the suction check valve 500 is connected to the crank chamber 121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port 131 and the suction chamber 132 and the crank chamber 121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compressor is adjusted.
상기 통로(136)는 상기 크랭크실(121)과 연통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 체크밸브(500)는 상기 흡입포트(131)와 상기 흡입실(132)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ssage 136 is form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crank chamber 121 and the suction check valve 500 is controll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ort 131 and the suction chamber 132 Characterized by a swash plate compressor.
상기 구획 플레이트(541)에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에 상기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조절 밸브실(540)과 상기 통로(136)를 연통하는 연통 홀(54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plate 541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541a communicating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mber 540 and the passage 136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121 may act on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mber 54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상기 케이스(510)는 축방향 일단 면과 횡방향 일측 면에 상기 흡입구(511)와 토출구(512)가 각각 관통되고 축방향 타단 면에 상기 가이드 홀(514)이 관통된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코어(520)는 상기 케이스(510)의 내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하측이 개구된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압력 수용 챔버(530)는 상기 가이드 홀(514)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of claim 5,
The case 510 is formed as a hollow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uction port 511 and the discharge port 512 penetrating through one end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and one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guide hole 514 passing through the other axial end surface of the case 510 , The opening and closing core 520 is formed as a hollow cylinder which moves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510 and opens downward. The pressure receiving chamber 530 is formed along the guide hole 514 And a hollow cylindrical body that moves up and down.
상기 케이스(510)와 개폐코어(520)에는 각각 스프링 안착면(516,522aa)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코어(52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22aa)에는 스프링(S)의 상단 일측이 상기 스프링 안착면(522aa)의 중심부 쪽으로 치우치게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상단 위치 고정용 걸림턱(522aa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of claim 6,
Spring seating surfaces 516 and 522aa are formed on the case 5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re 520. One end of the spring S is seat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522aa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core 520, (522aaa)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spring to be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surface (522aa)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상기 케이스(51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16)에는 상기 스프링(S)의 하단이 상기 스프링 안착면(516)의 중앙부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51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of claim 7,
A spring lower end position fixing protrusion 516a for guid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S to be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seating surface 516 is form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516 formed in the case 510 Lt; / RTI >
상기 스프링 하단 위치 고정용 돌기(516a)에는 상기 스프링(S)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51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516)에 원활히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516a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pring lower end position fixing protrusion 516a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516aa for guid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S to be smoothly seated on the spring seating surface 516 formed in the case 510. [ Expression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81976 | 2012-07-26 | ||
KR1020120081976 | 2012-07-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5184A KR20140015184A (en) | 2014-02-06 |
KR101882673B1 true KR101882673B1 (en) | 2018-07-27 |
Family
ID=5026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5535A Active KR101882673B1 (en) | 2012-07-26 | 2013-06-28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267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79504B2 (en) * | 2004-04-28 | 2010-06-09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JP4640351B2 (en) * | 2007-02-16 | 2011-03-02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Suction throttle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2013
- 2013-06-28 KR KR1020130075535A patent/KR10188267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79504B2 (en) * | 2004-04-28 | 2010-06-09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JP4640351B2 (en) * | 2007-02-16 | 2011-03-02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Suction throttle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5184A (en) | 2014-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5886B1 (en) | Suction damping device of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06094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1596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39217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451472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36099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91151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86727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04002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82673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8369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66735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52447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5244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52446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63979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6650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36100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43756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7725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66731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50008587A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82674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15969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112215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