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1318B1 -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 Google Patents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318B1
KR101881318B1 KR1020180032423A KR20180032423A KR101881318B1 KR 101881318 B1 KR101881318 B1 KR 101881318B1 KR 1020180032423 A KR1020180032423 A KR 1020180032423A KR 20180032423 A KR20180032423 A KR 20180032423A KR 101881318 B1 KR101881318 B1 KR 10188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weight
parts
layer
p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장렬
Original Assignee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고장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고장렬 filed Critical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3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69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with unsaturated acids, e.g. [meth]acrylic acid; with unsaturated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옥상 녹화시스템에 시공되는 방수 또는 방근용 PVC 시트가 흙에 포함된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과; 이 수지조성물이 적어도 일측면에 코팅되어 흙에 포함된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 방수, 방근 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 ~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 ~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 ~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 ~ 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 ~ 5중량부가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되어 흙에 포함된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 방수, 방근 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시공방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PET-based resin composition with a excelent anti-bacteria property, root isolattion and waterproof sheet coated the same, construction mehod using the same root isolattion and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옥상 녹화시스템 시공시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PVC 시트를 구비하여 흙에 포함된 박테리아 등의 성분에 의한 PVC 시트의 부식을 방지하여 건축물의 옥상 녹화시설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수 방근/공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도심권에는 많은 건축물들이 세워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자연녹지는 사라지고 자연환경도 파괴되어 점차 사람에게 유익한 산소 등의 공급이 부족해짐은 물론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있다.
녹화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말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표면 또는 지표면 상부에 시설된 인공 구조물상의 조경시설물 구조물로서 자연지반에서 분리된 부분에 인공적인 지형지질로서의 지반을 새로이 조성하여 조경공간으로 이용하는 터전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옥상 또는 지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내의 부족한 녹지공간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식재물을 설치하고 휴식공간을 조성하여 곤충이나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사람들에게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서는 이러한 구조체 정원의 증가로 도시는 인공적인 도시보다는 자연환경적인 도시로 변해갈 것이고 이렇게 된다면 자연적으로 대기오염도 줄어들 것이다.
또한, 건축물 또는 옥상을 녹화하는 주된 이유는 최상층에서의 차열이나 단열에 대해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고, 녹화를 통해 경관의 개선, 기온의 조정, 공기의 정화 등을 실현할 수 있으며, 작은 새나 곤충, 물고기 등과의 공생을 꾀하여 자연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3가지 이유 이외에도 녹화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방재, 빗물에 대한 대책, 프라이버시의 확보, 취미 생활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옥상녹화는 식물뿌리 성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발생 및 균열 거동으로 인한 누수발생, 토양층의 상시 습윤 조건으로 인한 방수층의 열화가속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뿌리에 의한 콘크리트 슬라브층 및 슬라브층 위에 도포된 방수층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기와 같은 옥상에 식재된 뿌리의 성장을 방지하고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근,방수 공법과 같은 기술적 수단이 미비하여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옥상녹화 사업의 진전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특허등록 제 10-0872127호에서는 PET필름과, 상기 PET필름 하부에 부착시킨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하부에 고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함침 시켜서 구성되는 방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 10-2009-0102024호에는 뿌리가 침투되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근재와 상기 방근재 저면에 부착되어 물을 흡수하도록 된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성 또는 점착성 방수재와 상기 방수재와 흡수재에 탈부착 가능토록 부착되는 이형지로 구성된 방수/방근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방근시트와 방근시트의 이음부를 통해 식생물의 뿌리가 침투하게 되더라도 뿌리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함은 물론, 식생물의 뿌리가 가지고 있는 물을 흡수재가 흡수하여 식생물의 뿌리가 성장 및 생장할 수 없게 함으로써 식생물의 뿌리가 방근시트의 이음부로 침투하여 방수층을 파괴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방수층의 방수성능이 오랫동안 보장되게 하는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한국 특허 등록 10-1039065호에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를 하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시트 상면에 코팅하는 방근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PET 필름 등을 포함하는 방수 방근 시트 기술들은 옥상에 녹화시설을 시공시 방수 방근용 시트가 내항균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흙이 가지고 있는 박테리아 성분으로 인해 방수 방근용 PVC시트가 쉽게 부식됨으로써 누수가 발생하고 방수 방근시트가 파손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2127(2008.11.28.)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02024(2009.09.30.)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9065(2011.05.30.)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68711(2014.02.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상 녹화시스템에 시공되는 방수 또는 방근용 PVC 시트가 흙에 포함된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과; 이 수지조성물이 적어도 일측면에 코팅되어 흙에 포함된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 방수, 방근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 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 ~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 ~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 ~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 ~ 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 ~ 5중량부가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PET베이스 수지 용액은 자일렌 100중량부에 PET수지 60 ~ 80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PVC시트와;
이 PVC시트에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되되,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은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 ~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 ~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 ~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 ~ 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 ~ 5중량부가 조성되고,
상기 PET베이스 수지 용액은 자일렌 100중량부에 PET수지 60 ~ 80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은 PVC시트의 상하 양면에 코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은 PVC시트의 상부쪽 한면에만 코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PVC 시트는 상부층과 하부층에 각각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시트가 형성되고,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코팅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PVC 시트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복수개로 배열된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입체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방수/방근 시트는 하부면에 폴리에스터(부직포)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와;
이후 바탕면에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하부 위치에 점착재를 이용하여 줄접착 방식으로 접합부를 따라 하부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맞댐이음 방식으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바탕면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를 보강하기 위해 점착재를 도포하여 제 1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1차 보강된 제 1 점착재층 상부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PET 신축이음재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다시 점착재를 도포하여 제 2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와;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맞댐이음 방식으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PET 신축이음재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점착재를 도포하여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접착재를 이용하여 겹침이음 방식으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겹침부위 상면에 반경질 점착재를 도포하여 보강하는 보강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의 겹침 이음 시공시 겹쳐진 부위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와 같은 재질의 접착재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강층 형성단계 전에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면에 걸쳐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자일렌과 PET수지가 혼합된 PET베이스 수지용액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테트라싸이클린, 클로람페니콜이 포함되어 조성된 PET계 수지조성물과 이러한 PET계 수지 조성물이 일측면 이상에 코팅된 방수 방근 시트를 구비하여 옥상 녹화시설을 시공함으로써 흙 또는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묻은 흙 등에 포함된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시트가 부식되거나 방수 방근층이 파손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녹지가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층을 더 포함한 방수/방근 시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VC시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맞댐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맞댐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겹침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겹침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은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 ~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 ~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 ~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 ~ 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 ~ 5중량부를 첨가하여 조성된다.
상기 PET베이스 수지 용액은 자일렌 100중량부에 PET수지 60 ~ 80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이와 같이 자일렌을 사용함으로써 PET수지를 잘 녹여 액상화 할 수 있는데 특히 자일렌 100중량부에 PET수지 60 ~ 80중량부가 혼합될 때 사장 좋은 액상화가 일어난다.
또한 혼합조성시 자일렌 100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교반 하면서 PET수지 70중량부를 3시간 동안 첨가하여 용해시켜 베이스 PET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한 교반속도 3000rpm, 3시간으로 한정했지만 이와 같은 수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 같은 수치 정도이면 잘 용액화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테트라싸이클린, 클로람페니콜은 항균제로 사용된다.
상기 나열한 항균제들은 개별적으로 사용할때보다 모두 함께 조성하고 상기 수치 구간으로 사용해야만 항균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한 수치구간으로 항균제 조성원소들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하한치 미만으로 조성될 경우 내항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한치보다 많이 조성될 경우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뿌리가 썩는 것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는 분산제로 사용하는데 상기한 수치구간으로 한정한 이유는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상기한 항균제 조성원소들이 베이스 PET 수지용액에 잘 분산되지 않아 균일한 항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5 중량부 보다 많으면 점도가 높아져 상기한 항균제 조성원소들이 PVC 수지에 잘 코팅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층을 더 포함한 방수/방근 시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VC시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1) 구조는 PVC시트(110)와; 이 PVC시트의 양면 또는 상부쪽 한면에 형성된 상기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120)이 코팅되어 조성된 PET계 수지조성물층이 구성된다.
양면에 코팅되면 가장 바람직하지만 최소와 흙과 접하는 상면에는 코팅되도록 구성한다. 하부면은 콘크리트 바탕면이라 상무면에 비해 흙속에 포함된 박테리아 등에 의한 부식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 3과 같이 PVC시트 양면 또는 상부쪽 한면에 PET계 수지조성물층이 형성된 시트는 하부면에 형성된 폴리에스터(부직포)층(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부직포)는 열융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터층이 포함되면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겹침부(조인트부)를 시공시 도포된 점착재간의 접착력이 증가되어 겹침부를 통한 누수나 파괴가 덜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시트(110)를 상부층과 하부층에 각각 제 1 PVC 시트(110a)와 제 2 PVC시트(110b)가 형성되고,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코팅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110c)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PVC재질의 방수시트 두께를 증가시켜 방수성능과 내구성을 증가시키되 플렉시블한 성질이 종래 사용하던 PVC 방수시트 한 장을 사용할 때와 비슷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는 방수시트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난제를 2장의 PVC 시트를 상하로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을 형성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필요에 따라 제 1 PVC 시트(110a)의 상부면과 제 2 PVC시트(110b)의 하부면에는 복수개로 배열된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입체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입체블록은 서로 동일하지 않은 크기를 가진 입체블록이 배열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의 두께가 도 1 내지 3과 대비하여 작은 두께를 가지게 보이지만 이는 예시를 위한 구성으로 실제로는 해당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코팅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110c)은 열융착을 통해 제 1 방수시트와 제 2 방수시트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코팅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110c)은 상부에 위치한 제 1 PVC 시트와 하부에 위치한 제 2 PVC 시트를 폴리에스터 단섬유층과 일체화시키기 위해 유동성을 가진 PVC 졸을 사용하여 접착시킨 후 건조과정을 거쳐 일체화시켰다. 이처럼 PVC 졸을 사용하여 풀칠 또는 분사시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과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PVC시트간을 결합시키면 기후변화(온도변화)에 따라 신축거동시 접착제로 사용된 PVC 졸이 경화 후에 PVC 방수시트와 연동되어 신축거동하기 때문에 탈리가 일어나지 않아 3개 층이 하나로 거동하는 일체화된 방수/빙근 시트가 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이 유지 또는 강화되게 된다.
이처럼 PVC시트(110)를 상부층과 하부층에 각각 제 1 PVC 시트(110a)와 제 2 PVC시트(110b)가 형성되고,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코팅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110c)를 구비하여 구성하면 전체 방수/방근 시트의 두께를 보강키면서도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이 형성되면 플렉시블한 성질을 유지하면서 기후변화에 따라 방수/방근 시트 또는 콘크리트가 신축거동시에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함께 신축거동하여 향상된 내인열성을 가질 수 있고, 파단시에는 누수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PVC 시트(110a)와 제 2 PVC시트(110b)는 폐 PVC 자재 100중량부에 폐 PVC 자재 점도 저하용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점도저하제 50 ~ 70중량부, 디아이소노닐프탈레이트 30 ~ 50중량부, 디옥틸프탈레이트 20 ~ 40중량부, 탄산칼슘 10 ~ 30중량부, 삼산화안티몬 5~ 15중량부 및 카본블랙 5 ~ 15중량부가 혼합 조성되고,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점도 저하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100 중량부에 메틸올레이트 60 ~ 80중량부, 하이드로카본 50 ~ 70중량부 및 2-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가 혼합 조성되어 난연성을 가진 재활용 PVC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110c)은 발수코팅된 것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PVC 시트의 파단시 누수된 물이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의 재질 특성상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 물을 흡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누수의 전파는 수밀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수 코팅 처리함으로써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에 물이 흡수되어 확산되지 않고 머무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누수 확산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발수 코팅시 사용되는 발수제는 물을 발수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상용의 발수제 어느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은 폴리에스터가 120 ~ 150 g/m2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로 한정된 것을 사용시 상기한 두께의 제 2 PVC 시트 또는 제 1 PVC 시트와 일체화시 가장 좋은 완충력 및 내인열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을 코팅한 방수/방근 시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일렌 100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교반 하면서 PET수지 70중량부를 3시간 동안 첨가하여 용해시켜 베이스 PET수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조된 상기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조된 상기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을 PVC 시트의 양면 또는 상부쪽 한면에 코팅하여 방수/방근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PVC 시트는 필요에 따라 하부면에 폴리에스터(부직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터는 겹침이음 방식으로 시트간의 겹침부를 시공시 점착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증가하여 접합부가 쉽게 파단되거나 누수되지 않도록 접착력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리에스터는 최소한 겹침이음 방식으로 시공시 상부로 겹치는 방수/방근 시트의 면적만큼만 형성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방수/방근 시트는 코팅된 PET계 수지조성물이 흙속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 등에 의해 방수/방근 시트를 구성하는 PVC 시트를 보호하여 부식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수/방근 시트를 건물의 옥상 또는 지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녹화시스템에서 콘크리트 바탕면(슬라브층)에 시공하면 흙속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 등에 의해 방수/방근 시트가 부식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맞댐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시공단면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2, 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바탕면에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1)간의 접합부 하부 위치에 점착재를 이용하여 줄접착 방식으로 접합부를 따라 하부 점착재층(3)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하부 점착재층은 폭 1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맞댐이음 방식으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1)를 바탕면 위에 설치한다. 이때 접합부가 상기 줄점착층에 잘 위치하여 접착되도록 시공한다.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1)의 접합부 상부를 보강하기 위해 점착재를 도포하여 제 1 점착재층(4)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제 1 점착재층은 폭 1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1차 보강된 제 1 점착재층 상부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5)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PET 신축이음재층이 형성되면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신축거동시 접합부로 전해지는 균열 전파를 차단하거나 늦춰 접착부가 잘 파단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PET 신축이음재는 폭 8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PET 신축이음재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다시 점착재를 도포하여 제 2 점착재층(6)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제 2 점착재층은 폭 1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PET 신축이음재는 온도변화에 따라 방수/방근 시트가 신축시 함께 신축하면서 최대한 접착력을 유지하면 충분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맞댐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시공단면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2, 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7)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고침투 프라이머는 바탕면에 잘침투되는 것이라면 공지 또는 상용 또는 범용 프라이머를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8)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우레탄 방수층은 범용의 연질 우레탄 방수도막재를 사용하면 충분하고, 프라이머층이 건조된 후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면 된다.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9)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2차 연질우레탄 방수층은 범용의 연질 우레탄 방수도막재를 사용하면 충분하고, 1차 연질우레탄방수층이 건조된 후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면 된다.
이후 맞댐이음 방식으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1)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한다.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5)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사용하는 PET 신축이음재는 전술한 신축이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ET 신축이음재층이 형성되면 시공 초기에는 분리거동되지 않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밀림등으로 우레탄 도막재의 손상을 방지하다가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PET필름층과 점착재층간의 우레탄 결합이 찢어져 분리되면서 분리거동성이 발현되어 향후 콘크리트로부터 무절점 인장응력이 발생되었을 때 분리거동하게 된다. 또한 이 PET 신축이음재는 폭 8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PET 신축이음재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점착재를 도포하여 점착재층(10)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점착재층은 폭 1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겹침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시공단면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2, 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7)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8)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9)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접착재(11)를 이용하여 겹침이음 방식으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1)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한다. 이때 접착재는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겹침부위 상면에 반경질 점착재를 도포하여 보강하는 보강층(12) 형성단계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겹침이음 방식 접합부 구조를 보인 시공단면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시공단면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2, 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7)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8)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9)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접착재(11)를 이용하여 겹침이음 방식으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1)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한다. 이때 접착재는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후 겹침이음 방식으로 시공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면에 걸쳐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5)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사용하는 PET 신축이음재는 전술한 신축이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겹침부위 상면과 그 상면에 부착된 PET 신축이음재를 포함하여 반경질 점착재를 도포하여 보강하는 보강층(12) 형성단계를 가진다.
이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일렌 100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교반 하면서 PET수지 70중량부를 3시간동안 첨가하여 용해시켜 베이스 PET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중량부를 첨가하여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수지 코팅제를 제조하여 PVC 시트의 양면에 코팅하여 흙속에 포함되어있는 박테리아등에 의하여 부식이 되지 않는 본 발명의 방수 방근 시트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자일렌 100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교반 하면서 PET수지 70중량부를 3시간동안 첨가하여 용해시켜 베이스 PET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8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6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4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6중량부, 클로람페니콜 4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4중량부를 첨가하여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수지 코팅제를 제조하여 PVC 시트의 양면에 코팅하여 흙속에 포함되어있는 박테리아등에 의하여 부식이 되지 않는 본 발명의 방수 방근 시트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3)
자일렌 100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교반 하면서 PET수지 70중량부를 3시간동안 첨가하여 용해시켜 베이스 PET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7중량부, 클로람페니콜 5중량,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5중량부를 첨가하여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수지 코팅제를 제조하여 PVC 시트의 양면에 코팅하여 흙속에 포함되어있는 박테리아등에 의하여 부식이 되지 않는 본 발명의 방수 방근 시트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4)
자일렌 100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교반 하면서 PET수지 70중량부를 3시간동안 첨가하여 용해시켜 베이스 PET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중량부를 첨가하여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수지 코팅제를 제조하여 PVC 시트의 상부쪽 한면에 코팅하여 흙속에 포함되어있는 박테리아등에 의하여 부식이 되지 않는 본 발명의 방수 방근 시트를 제조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한 방근 시트의 내항균성 시험은 KICM-FIR-1002 방법에 의하여 대장균에 의한 항균 시험을 실시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항균 시험 결과
Figure 112018028065790-pat0000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내항균성이 우수한 방수/방근 시트는 세균 감소율이 99% 이상으로 시제품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여 흙속에 포함되어있는 박테리아 등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방수/방근 시트 (2) : 콘크리트 바탕면
(3) : 하부 점착재층 (4) : 제 1 점착재층
(5) : PET 신축이음재층 (6) : 제 2 점착재층
(7) : 프라이머층 (8) :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9) :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10) : 점착재층
(11) : 접착재 (12) : 보강층
(110) : PVC시트 (110a) : 제 1 PVC 시트
(110b) : 제 2 PVC시트 (110c) : 폴리에스터 단섬유층
(120) : PET계 수지조성물 (130) : 폴리에스터층

Claims (13)

  1.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 ~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 ~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 ~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 ~ 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 ~ 5중량부가 조성되고,
    상기 PET베이스 수지 용액은 자일렌 100중량부에 PET수지 60 ~ 80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2. 삭제
  3. PVC시트와;
    이 PVC시트에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되되,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은 PET베이스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70 ~ 90중량부,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50 ~ 7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치아졸린-3-온 30 ~ 50중량부, 테트라싸이클린 5 ~ 10중량부, 클로람페니콜 3~5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시 리놀레이트 3 ~ 5중량부가 조성되고,
    상기 PET베이스 수지 용액은 자일렌 100중량부에 PET수지 60 ~ 80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은 PVC시트의 상하 양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은 PVC시트의 상부쪽 한면에만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VC 시트는 상부층과 하부층에 각각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시트가 형성되고, 제 1 PVC 시트와 제 2 PVC 시트 사이에 발수코팅 처리된 폴리에스터 단섬유층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7.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PVC 시트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복수개로 배열된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입체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VC 시트는 하부면에 폴리에스터(부직포)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9.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와;
    이후 바탕면에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하부 위치에 점착재를 이용하여 줄접착 방식으로 접합부를 따라 하부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맞댐이음 방식으로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항에 따른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바탕면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를 보강하기 위해 점착재를 도포하여 제 1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1차 보강된 제 1 점착재층 상부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PET 신축이음재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다시 점착재를 도포하여 제 2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10.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슬라브층)을 정리하는 단계와;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맞댐이음 방식으로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항에 따른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PET 신축이음재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점착재를 도포하여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11. 건축물의 상부 콘크리트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이후 정리된 바탕면에 고침투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1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상부에 연질우레탄 도막재를 재차 도포하여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접착재를 이용하여 겹침이음 방식으로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항에 따른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층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간의 겹침부위 상면에 반경질 점착재를 도포하여 보강하는 보강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의 겹침 이음 시공시 겹쳐진 부위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2차 연질우레탄 도막재와 같은 재질의 접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 형성단계 전에 방수/방근 시트간의 접합부 상부면에 걸쳐서 PET 신축이음재를 부착하여 PET 신축이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KR1020180032423A 2018-03-21 2018-03-21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Active KR10188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23A KR101881318B1 (ko) 2018-03-21 2018-03-21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23A KR101881318B1 (ko) 2018-03-21 2018-03-21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318B1 true KR101881318B1 (ko) 2018-07-26

Family

ID=6304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23A Active KR101881318B1 (ko) 2018-03-21 2018-03-21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3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444B1 (ko) * 2018-11-22 2019-04-01 권영재 내구성이 우수한 pvc 방수시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25909B1 (ko) 2019-12-19 2020-06-24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을 위한 수팽창성 폴리우레탄 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2289659B1 (ko) 2021-03-24 2021-08-1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수팽창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KR20220017704A (ko) 2020-08-05 2022-02-14 고성민 우레탄계 옥상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근 방법
KR102464153B1 (ko) 2022-08-18 2022-11-10 씨제이대한통운(주)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 이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와 함침형 폴리시트재를 이용한 적층형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574578B1 (ko) 2023-04-13 2023-09-07 씨제이대한통운(주) 난연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난연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721573B1 (ko) 2023-12-20 2024-10-24 장병하 교면 복합방수용 도막 및 시트를 위한 개량된 아스팔트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27B1 (ko) 2008-04-24 2008-12-05 주식회사 부일건화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20090102024A (ko) 2008-03-25 2009-09-30 장혁수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방법
JP2009263288A (ja) * 2008-04-25 2009-11-12 Apia Co Ltd 防かび性樹脂組成物
KR20100100801A (ko) * 2007-10-16 2010-09-15 에이치케이피비 사이언티픽 리미티드 표면 코팅 공정 및 이의 용도
KR101039065B1 (ko) 2010-12-30 2011-06-0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KR101368711B1 (ko) 2012-09-27 2014-03-04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20140129145A (ko) * 2012-02-06 2014-11-06 메리얼 리미티드 전신 작용 활성제를 포함하는 구충 경구 수의학적 조성물, 이의 방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801A (ko) * 2007-10-16 2010-09-15 에이치케이피비 사이언티픽 리미티드 표면 코팅 공정 및 이의 용도
KR20090102024A (ko) 2008-03-25 2009-09-30 장혁수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방법
KR100872127B1 (ko) 2008-04-24 2008-12-05 주식회사 부일건화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JP2009263288A (ja) * 2008-04-25 2009-11-12 Apia Co Ltd 防かび性樹脂組成物
KR101039065B1 (ko) 2010-12-30 2011-06-0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KR20140129145A (ko) * 2012-02-06 2014-11-06 메리얼 리미티드 전신 작용 활성제를 포함하는 구충 경구 수의학적 조성물, 이의 방법 및 용도
KR101368711B1 (ko) 2012-09-27 2014-03-04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444B1 (ko) * 2018-11-22 2019-04-01 권영재 내구성이 우수한 pvc 방수시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25909B1 (ko) 2019-12-19 2020-06-24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을 위한 수팽창성 폴리우레탄 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공법
KR20220017704A (ko) 2020-08-05 2022-02-14 고성민 우레탄계 옥상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근 방법
KR102289659B1 (ko) 2021-03-24 2021-08-1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수팽창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464153B1 (ko) 2022-08-18 2022-11-10 씨제이대한통운(주)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 이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와 함침형 폴리시트재를 이용한 적층형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574578B1 (ko) 2023-04-13 2023-09-07 씨제이대한통운(주) 난연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난연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721573B1 (ko) 2023-12-20 2024-10-24 장병하 교면 복합방수용 도막 및 시트를 위한 개량된 아스팔트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318B1 (ko)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US8061098B2 (en) Roof/wall structure
KR101214810B1 (ko)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20080109584A (ko) 식물재배구조, 방근구조 및 이것들에 사용하는 방근시트
JP2021046780A (ja) 水硬化性土木シー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12175B1 (ko)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79090B1 (ko) 방수방근시트와 구리섬유로 직조한 방근 접합부 보강재를 활용한 방수방근 공법
JPS58501187A (ja) 水を方向づけ、又は確保する方法
KR101933848B1 (ko)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향상시킨 인공지반 녹화에 사용되는 구조물 적층체
KR101202763B1 (ko) 인공지반 녹화용 방근시트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KR101928412B1 (ko) 부직포에 겔 형태의 도막재가 함침된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2794269B2 (ja) 植栽用防根防水施工法
KR102092819B1 (ko)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JP2025507019A (ja) 事前塗布された防水結合コーティングならびにそれを含む系および方法
KR20110085212A (ko) 방근 시트 및 옥상 녹화 시스템
KR102032707B1 (ko) 방수방근공법
JP2021090415A (ja) 防草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CA2598886C (en)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NZ590838A (en) Laser welded multi layer waterproofing geotextile membrane sheet
JP2009118765A (ja) 植物栽培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2082048B1 (ko) 복합 방수 방근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