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0406B1 -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406B1
KR101880406B1 KR1020170179069A KR20170179069A KR101880406B1 KR 101880406 B1 KR101880406 B1 KR 101880406B1 KR 1020170179069 A KR1020170179069 A KR 1020170179069A KR 20170179069 A KR20170179069 A KR 20170179069A KR 101880406 B1 KR101880406 B1 KR 10188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cket
hanger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시광
Original Assignee
성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시광 filed Critical 성시광
Priority to KR102017017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4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쌍의 측면레일; 한쌍의 측면레일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횡연결부재; 한쌍의 측면레일의 하부와 결합된 채 횡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는 지지바; 및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메인봉과, 메인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 체결부와 하단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상단 체결부 및 하단 체결부가 각각 소켓홈과 지지바에 체결되는 행거;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결합된 밀착패드; 및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결합되되 상기 밀착패드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패드를 포함하고, 거푸집 위에 소켓 하우징을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 제거 후 이동소켓을 통해 결합된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하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하며, 케이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트레이를 지지하고, 행거 회전을 방지하여 케이블과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시켜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POWER CABLE TRAY HAVAING WIDTH CONTROLLING AND STABLE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공사의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케이블이 안내되는 트레이의 폭에 따라 행거의 위치를 자유롭고 세밀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고 행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공장, 빌딩 등의 건물에는 전력선과 통신선 등을 위한 많은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주로 천장을 따라 배치되고, 전력 케이블을 공중에 배선할 경우 자체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질 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어 손상될 수 있으며 미관을 해치거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을 정리 정돈된 상태로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트레이를 천장슬래브 아래로 설치된 행거에 안착시켜 지지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측면레일과, 한쌍의 측면레일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횡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케이블 트레이(T1)가 건물의 천장슬래브(T2)의 저부에 행거(T3)에 의해 지지되어 전력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로 배선되도록 안내하고, 그 시공방법은 먼저 천장슬래브(T2)의 저면에 케이블 트레이(T1)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드릴 등의 공구로 결합홈(T4)을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고, 결합홈(T4)에 암나사가 형성된 소켓(T5)을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행거(T3)를 소켓(T5)에 삽입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행거(T3)의 타단에 케이블 트레이(T1)를 위치시켜 고정볼트로 조임하여 케이블 트레이(T1)를 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케이블 트레이는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설치 후 온도 변화나 충격량에 따라 길이가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변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가 수축하거나 팽창할 때 케이블 트레이와 연결된 행거의 하단부가 조금씩 회전하여 너트 등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가 흔들릴 때 이와 연결된 행거의 하단부가 조금씩 회전함으로써 너트 등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느슨해져 케이블 트레이가 기울어지거나 지지력이 약화되어 추락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한쌍의 사이드패널과, 사이드패널 사이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진 케이블 트레이를 행거나 랙 등의 지지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대략 직사각형을 갖는 금속판이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케이블 트레이가 안착되는 지지체의 상면과 사이드패널의 절곡단부 상면을 가압하도록 고정체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케이블 트레이의 현장 시공시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 등 설계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큰 폭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행거의 고정 위치가 변경되므로 드릴과 소켓을 더 준비해서 다른 위치에 결합홈들을 더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의 하중에 의해 소켓이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드릴 등의 공구로 결합홈을 형성할 때 콘크리이트 분진 등이 낙하하여 오염되고 작업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960호(2003.01.1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레이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케이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트레이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행거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차단하여 케이블과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측면에 지지봉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연결된 한쌍의 측면레일; 한쌍의 측면레일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횡연결부재; 한쌍의 측면레일의 하부와 결합된 채 횡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복수 개의 스토퍼들이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바; 및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메인봉과, 메인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 체결부와 하단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상단 체결부 및 하단 체결부가 각각 소켓홈과 지지바에 체결되는 행거;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결합된 밀착패드; 및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결합되되 상기 밀착패드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패드를 포함하고, 거푸집 위에 소켓 하우징을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 제거 후 이동소켓을 통해 결합된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케이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트레이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행거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차단하여 케이블과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전력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전력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와 측면레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드와 지지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코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 하우징의 거푸집 고정에 관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가 설치된 전력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행거의 상단부를 이동소켓 내측의 소켓홈에 나사 결합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구를 이용하여 이동소켓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1)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 측면레일(10), 횡연결부재(20), 지지바(30), 행거(40), 밀착패드(50), 지지패드(60), 잠금부재(70), 지지코드(80), 완충장치(90), 소켓 하우징(100), 단부캡(200) 및 이동소켓(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측면레일(10)은 한쌍이 이격되게 구비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각 측면레일(10)의 측면에 지지봉(11)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연결된다.
상기 횡연결부재(20)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측면레일(10)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상기 지지바(30)는 한쌍의 측면레일(10)의 하부와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의 상부판 위에 복수 개의 스토퍼(31)들이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양단부의 하부판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홀(32)이 형성되며, 개방홀(32)의 양단부에 브릿지(33)가 연결 형성되고, 브릿지(33) 위에 하부고리(34)가 형성된다.
상기 행거(40)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것으로, 지지바(30)의 양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입설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행거(40)는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메인봉(41)과, 메인봉(41)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 체결부(42) 및 하단 체결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 체결부(42)는 소켓홈(330)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하단 체결부(43)는 지지바(30)를 관통하여 너트(N)로 조임되어 결합된다.
상기 밀착패드(50)는, 상기 메인봉(41)의 하부 외주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 또는 볼트 등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SBS(Styrene-Butadiene-Styrene)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있는 논슬립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밀착패드(50)에 후술할 잠금부재(70)가 밀착 결합되어 행거(40)의 회전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밀착패드(5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메인봉(41)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잠금부재(70)가 밀착패드(50)에 밀착 결합된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잠금부재(70)는, 일측에 잠금편(71)이 형성되고, 타측에 지지편(72)이 형성되며, 지지편(72)의 일단부에 작동편(7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잠금편(71)은 내측에 폐쇄공(71a)이 관통 형성되어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밀착패드(50)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72)은 측면 일부가 개방된 개방공(72a)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11)을 감싸 체결되어 행거(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행거(40)의 일측에 1개만 설치될 수 있으나, 행거(40)의 타측에도 설치되어 양쪽에서 행거(40)의 회전 방지를 위한 잠금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행거의 양측의 측면레일(10) 부분에 지지봉(11)이 각각 형성되어야 하고, 이때 2개의 잠금부재를 밀착패드(5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각 지지봉(11)이 형성된 위치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우측의 지지봉(11)이 좌측의 지지봉(1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72)은 반원보다 다소 연장된 링 형상을 하고 있고, 재질은 탄성이 있어 벌어지나 좁혀질 수 있으며, 일부가 개방되어 개방공(7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동편(73)을 조작하여 지지편(72)과 지지봉(11)의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해진다.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패드(60)는 메인봉(41)의 하부 외주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 또는 볼트 등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밀착패드(5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패드(60)는, 메인봉(41)의 외주에 결합되는 지지관(61)과, 지지관(61)의 외측에 복수 개의 날개(62)들이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 형성되어 지지바(30)의 상부판 위에 안착되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날개(62)의 상부엔 리브(62a)가 돌출 형성된 채 지지관(61)과 연결되어 지지패드(6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리브(62a) 양쪽의 날개면에 접속홀(64)이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지지바(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날개(62)와 날개(62) 사이 마다 내측으로 요입된 스토퍼홀(63)이 형성되며, 각 스토퍼홀(63)은 상기 지지바(30)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1)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행거(40)의 회전이 방지되어 너트 등 고정수단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차단하여 케이블과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코드(80)는 금속줄로 이루어지고, 행거(40)의 중공된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단부(81)와 하단부(82)가 각각 소켓홈(330)과 지지바(30)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코드(80)는 상단부(81)와 하단부(82)에 개폐가 가능한 체결고리(81a,82a)가 각각 형성되어 각각 소켓홈(330)의 천장에 연결된 상부고리(331) 및 지지바(30)의 하부면에 연결된 하부고리(34)와 체결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증가시켜 케이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케이블 트레이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1)는 거푸집(F) 위에 소켓 하우징(100)을 고정한 후 거푸집(F)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S)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F)을 제거한 후 이동소켓(300)을 통해 결합된 행거(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전력 케이블이 안내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폭에 따라 행거(40)의 위치를 자유롭고 세밀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소켓 하우징(100)은 거푸집(F) 위에 고정한 후 천장슬래브(S)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이동소켓(300)이 삽입 설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소켓 하우징(100)은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도록 내면 중간에 형성된 양측의 지지판(120)이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 형성되어 레일홈(130)과 연통된다. 지지판(120) 하측에는 이동소켓(300)이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레일홈(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레일홈(130)의 양측에는 요입된 가이드홈(1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0)의 상부에 복수 개의 톱니(121)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홈(110)의 상부 공간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115)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소켓 하우징(100)은 하부 양측에 플랜지(150)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5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각 플랜지홀에 고정부재를 관통시켜 거푸집(F) 위에 고정한다.
상기 단부캡(200)은 상기 소켓 하우징(100)의 개방된 양단부에 결합하여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여 추후 타설되는 콘크리이트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단부캡(200)의 하부에 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판(210)이 형성되고, 연장판(210)에는 나사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소켓(300)은 상기 소켓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고, 작업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있는 나사봉이 형성되어 나사봉의 하부에 핸들(A1)이 구비된 공구(A)를 이동소켓(300)의 내측에 임시로 체결한 채 핸들(A1)을 잡고 공구를 이동시켜 이동소켓(300)을 소켓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소켓(300)은 외부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일례로 외부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에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체(310)가 형성되어 지지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체(310)는 상부에 하부보다 폭이 넓은 헤드부(315)를 갖고, 상기 헤드부(315)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이동이 원활하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부(315)는 상기 지지판(120) 위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이동소켓(300)은 상기 레일홈(130)에 삽입되어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양측에 가이드돌기(320)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40)에 체결되어 이동소켓(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내측에 원형의 평단면을 갖는 소켓홈(330)이 형성되고 소켓홈(33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행거(40)의 상단 체결부(42)가 체결된다.
상기 헤드부(315)의 하부면에 복수 개의 톱니(311)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톱니(121)들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체결된 채 고정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지지체(310)가 지지판(120)에 지지되고 더불어 상하측에서 톱니들이 맞물려 체결되므로 이동소켓(300)이 임의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지지홈(110)의 상부 공간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115)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홈(110)의 하부 공간에 상기 지지체(310)의 헤드부(315)가 삽입되며, 이로써, 상기 이동소켓(300)이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15)의 신장력 내지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측에서 헤드부(315)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소켓(300)이 임의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더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케이블 트레이의 폭에 따라 이동소켓(300)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동소켓(300)의 내측에 임시 체결한 공구(A)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때 복수 개의 톱니(121,311)들이 서로 맞물리거나 어긋남을 반복하면서 서로 어긋날 때 하측에서 상측으로 힘이 작용하여 상기 탄성부재(115)가 압축되어 상기 이동소켓(30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현장 시공시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설치 위치 등 설계가 변경되거나,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큰 폭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T)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4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이동소켓(300)을 복수 개의 톱니(121,311)들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서 행거(40)가 고정될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40)의 외측에 완충장치(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장치(400)는 상기 지지바(30)의 양단부에 각각 하부 고정재(410)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고정재(410)에 하단 회전부(420)가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나사봉(43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봉(430)의 하부에는 상부 고정재(440)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고정재(440)에 상단 회전부(450)가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단 회전부(420)와 상단 회전부(450)는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봉(4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460)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430)이 상기 단부캡(200)의 연장판(210)에 형성된 나사홈(220)에 나사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전력 케이블 트레이(1)가 행거(40)에 의해 천장슬래브(S)에 고정 지지됨과 동시에 완충장치(400)에 의해 완충 지지됨으로써,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전력 케이블 트레이(1)를 보호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양단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판(120)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지지판(120)의 하측에 상기 이동소켓(300)이 이동하는 공간이 되는 레일홈(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홈(13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0)이 요입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150)가 연장 형성된 소켓 하우징(100)을 준비한다.
설치할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폭에 맞도록 소켓 하우징(100)의 내측에 이동소켓(300)을 삽입 설치하되, 도 6a와 같이 이동소켓(300)을 소켓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이동소켓(300)의 상부에 구비된 T자 형상의 지지체(310)를 헤드부(315)가 지지판(120)에 지지되도록 지지홈(110)에 삽입하고, 이동소켓(300)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20)를 가이드홈(140)에 체결함으로써 이동소켓(30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이동소켓(300)이 삽입 설치된 소켓 하우징(100)의 플랜지(150)를 고정부재로 거푸집(F) 위에 고정시킨 후, 소켓 하우징(100)의 양단부에 상기 단부캡(200)을 끼움 결합하여 양단부의 개방된 상태를 폐쇄한다.
다음에, 도 7a 및 도 7b와 같이 거푸집(F)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S)를 양생한 후 거푸집(F)을 제거한다.
이후, 행거(40)의 상단 체결부(42)를 상기 이동소켓(300)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홈(330)에 나사 결합시키고, 행거(40)의 하단 체결부(43)가 지지바(30)를 관통하도록 하여 너트(N)로 고정 설치한다.
이때, 행거(40)의 메인봉(41)의 하부 외주에 지지패드(60)를 결합할 수 있고, 행거(40)가 지지바(30)를 관통하도록 연결하면서 지지패드(60)의 스토퍼홀(63)들이 지지바(30)의 상부판 위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1)들과 맞물리도록 체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행거(40)의 메인봉(41)의 하부 외주에 밀착패드(50)가 결합될 수 있고, 미리 잠금부재(70)의 폐쇄공(71a)이 밀착패드(50)를 감싸도록 잠금부재(70)의 잠금편(71)을 행거(4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행거(40)가 지지바(30)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지지패드(60)로 지지되게 한 다음에, 작동편(73)을 조작하여 지지편(72)을 이동시켜 개방공(72a)이 측면레일(10)의 지지봉(11)에 체결되도록 한다.
더불어, 지지코드(80)를 구비하는 경우 지지코드(80)가 행거(40)의 중공된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지지코드(80)의 상단부(81)의 체결고리(81a)를 상부고리(331)에 체결하고, 지지코드(80)의 하단부(82)의 체결고리(82a)를 하부고리(34)에 체결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지지홈(110)의 상부 공간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11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지지홈(110)의 하부 공간에 상기 지지체(310)의 헤드부(315)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추후,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설치 위치 등 설계가 변경되거나,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큰 폭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이동소켓(300)에 체결된 행거(40)를 분리시킨 후, 외주면에 나사산이 있는 나사봉이 형성되고 나사봉의 하부에 핸들(A1)이 구비된 공구(A)를 이동소켓(300)의 내측에 임시로 체결한 채 핸들(A1)을 잡고 공구(A)를 이동시키면 이동소켓(300)이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한 다음 이동소켓(300)에 행거(40)를 재결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전력 케이블 트레이(1)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4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이동소켓(300)을 복수 개의 톱니(121,311)들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서 행거(40)가 고정될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력 케이블 트레이(1)에 횡설된 지지바(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410)와, 하부 고정재(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420)와,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봉(430)과, 나사봉(430)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440)와, 상부 고정재(4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450)와, 하단 회전부(420)와 상단 회전부(450)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봉(460)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400)를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봉(430)을 단부캡(200)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판(210)의 나사홈(220)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천장슬래브에 홈을 뚫을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하고 분진 등 낙하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전력 케이블 트레이 10. 측면레일
11. 지지봉 20. 횡연결부재
30. 지지바 31. 스토퍼
32. 개방홀 33. 브릿지
34. 하부고리 40. 행거
41. 메인봉 42. 상단 체결부
43. 하단 체결부 50. 밀착패드
60. 지지패드 61. 지지관
62. 날개 62a. 리브
63. 스토퍼홀 70. 잠금부재
71. 잠금편 71a. 폐쇄공
72. 지지편 72a. 개방공
73. 작동편 80. 지지코드
81. 상단부 81a. 체결고리
82. 하단부 82a. 체결고리
100. 소켓 하우징 110. 지지홈
115. 탄성부재 120. 지지판
121. 톱니 130. 레일홈
140. 가이드홈 150. 플랜지
151. 플랜지홀 200. 단부캡
210. 연장판 220. 나사홈
300. 이동소켓 310. 지지체
311. 톱니 315. 헤드부
320. 가이드돌기 330. 소켓홈
331. 상부고리 400. 완충장치
410. 하부 고정재 420. 하단 회전부
430. 나사봉 440. 상부 고정재
450. 상단 회전부 460. 연결봉
A. 공구 A1. 핸들
F. 거푸집 N. 너트
S. 천장슬래브

Claims (5)

  1.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측면에 지지봉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연결된 한쌍의 측면레일;
    한쌍의 측면레일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횡연결부재; 한쌍의 측면레일의 하부와 결합된 채 횡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복수 개의 스토퍼들이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양단부의 하부판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홀이 형성되며, 개방홀의 양단부에 브릿지가 연결 형성되며, 브릿지 위에 하부고리가 형성된 지지바; 및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메인봉과, 메인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 체결부와 하단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상단 체결부 및 하단 체결부가 각각 소켓홈과 지지바에 체결되는 행거;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결합되고 SBS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패드; 및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결합되되 상기 밀착패드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패드를 포함하고, 거푸집 위에 소켓 하우징을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 제거 후 이동소켓을 통해 결합된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소켓 하우징은, 하부 양측에 구비된 플랜지를 거푸집 위에 고정한 후 천장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개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판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지지판의 하측에 이동소켓이 이동하는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홈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 단부캡이 결합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고 타설 콘크리이트의 내부 진입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소켓은,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지지판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갖는 T자 형상의 지지체가 형성되어 지지홈에 삽입되고,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홈에 체결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의 상단부가 체결되는 소켓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는, 메인봉의 하부 외주에 지지관이 밀착패드의 하측에 결합되고, 지지관의 외측에 복수 개의 날개들이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바의 상부판 위에 안착되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날개의 상부엔 리브가 돌출 형성된 채 지지관과 연결되고, 리브 양쪽의 날개면에 접속홀이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재를 통해 지지바에 고정 결합되며, 날개와 날개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된 스토퍼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홀은 상기 스토퍼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행거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행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 지지봉은 형성된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밀착패드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메인봉의 하부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행거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잠금부재가 상기 밀착패드에 밀착 결합되어 양쪽에서 행거의 회전을 방지하되, 상기 잠금부재는,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폐쇄공이 관통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착패드의 외주에 밀착 결합되는 잠금편과, 타측에 형성되고 측면 일부가 개방된 개방공이 관통 형성되며 지지봉을 감싸도록 체결되고 탄성이 있어 벌어지나 좁혀질 수 있으며, 행거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과, 지지편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편과 지지봉의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편을 포함하고,
    행거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하단부가 각각 소켓홈과 지지바에 체결되는 지지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코드는 상·하단부에 개폐가 가능한 체결고리가 형성되어 각각 소켓홈의 천장에 연결된 상부고리 및 지지바의 하부고리와 체결되어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각각 복수 개의 톱니들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캡의 하부에 단부측으로 연장된 연장판이 형성되고 연장판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에 횡설된 지지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와, 하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와,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봉과, 나사봉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와, 상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와, 하단 회전부와 상단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의 나사봉이 상기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KR1020170179069A 2017-12-26 2017-12-26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Active KR10188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069A KR101880406B1 (ko) 2017-12-26 2017-12-26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069A KR101880406B1 (ko) 2017-12-26 2017-12-26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406B1 true KR101880406B1 (ko) 2018-07-19

Family

ID=6305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069A Active KR101880406B1 (ko) 2017-12-26 2017-12-26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4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7958A (zh) * 2022-05-31 2022-08-23 冯方迪 一种防脱式户外电缆安装桥架及其电缆
CN115498565A (zh) * 2022-09-14 2022-12-20 姜虎威 一种用于网络工程布线的可调式桥架装置
KR102585870B1 (ko) * 2023-03-06 2023-10-05 조은별 내진 기능과 안정성이 향상된 케이블트레이 조립체
CN118040576A (zh) * 2024-04-12 2024-05-14 瑞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机构的电缆桥架
CN118074035A (zh) * 2024-04-22 2024-05-24 江苏永丰电器仪表有限公司 一种稳固型电缆桥架
CN118554358A (zh) * 2024-07-30 2024-08-27 内蒙古律亭特种设备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工程用电缆桥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0Y1 (ko) 2002-10-09 2003-01-15 금아금속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KR100655143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20080005068U (ko) * 2007-04-27 2008-10-30 이종녕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20150000455U (ko) * 2013-07-19 2015-01-28 김학응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
KR101775329B1 (ko) * 2017-05-12 2017-09-06 성시광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0Y1 (ko) 2002-10-09 2003-01-15 금아금속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KR100655143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20080005068U (ko) * 2007-04-27 2008-10-30 이종녕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20150000455U (ko) * 2013-07-19 2015-01-28 김학응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
KR101775329B1 (ko) * 2017-05-12 2017-09-06 성시광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7958A (zh) * 2022-05-31 2022-08-23 冯方迪 一种防脱式户外电缆安装桥架及其电缆
CN115498565A (zh) * 2022-09-14 2022-12-20 姜虎威 一种用于网络工程布线的可调式桥架装置
KR102585870B1 (ko) * 2023-03-06 2023-10-05 조은별 내진 기능과 안정성이 향상된 케이블트레이 조립체
CN118040576A (zh) * 2024-04-12 2024-05-14 瑞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机构的电缆桥架
CN118040576B (zh) * 2024-04-12 2024-06-07 瑞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机构的电缆桥架
CN118074035A (zh) * 2024-04-22 2024-05-24 江苏永丰电器仪表有限公司 一种稳固型电缆桥架
CN118554358A (zh) * 2024-07-30 2024-08-27 内蒙古律亭特种设备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工程用电缆桥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06B1 (ko)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KR101775329B1 (ko)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JP6634146B2 (ja) ブラケット組立体及び方法
KR100794340B1 (ko)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KR10145677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CN104696333A (zh) 外挂式可拆卸扩孔锚栓
KR101752881B1 (ko) 벽체 마감장치
KR101636850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10003731U (ko) 폴리머 애자 작업용 사다리
KR101544599B1 (ko) 레일 구조를 이용한 끼움 설치식 볼트
KR100655143B1 (ko)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1097180B1 (ko) 볼트 체결용 인서트
KR20110004543U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101174255B1 (ko) 조임레버를 구비한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
BE1021701B1 (nl) Bevestigingsklem en werkwijze voor het bevestigen van een afwerkingskader tegen een kader van een raam of dergelijke en raam uitgerust met dergelijke bevestigingsklem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90089355A (ko) 거푸집 패널 조립용 연결패널 및 그 연결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패널 조립구조
CN110173537B (zh) 悬吊式隔振器
KR200358782Y1 (ko)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KR101415328B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앵글 어셈블리
KR200486570Y1 (ko) 거푸집 지지구
KR20200012014A (ko) 벽체용 관통슬리브
KR20160003777U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