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837B1 - Prevent condens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Prevent condens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837B1 KR101879837B1 KR1020160147503A KR20160147503A KR101879837B1 KR 101879837 B1 KR101879837 B1 KR 101879837B1 KR 1020160147503 A KR1020160147503 A KR 1020160147503A KR 20160147503 A KR20160147503 A KR 20160147503A KR 101879837 B1 KR101879837 B1 KR 101879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case
- dew condensation
- ventilation system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은 창호의 실내측 하부 창짝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창짝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창짝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용이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case provided on a lower side window of an indoor side of a window; a coupling device provided on a side of a side of the case to detach the case from a window; And an air inlet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ilted in a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so that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guid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And a ventilation fa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and out easily.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occurrence of condensation occurring at the edge of a window.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대부분의 주거용 건물 및 사무실용 건물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719호(2006.12.19)"와 같이, 벽면에 구비되는 창틀과 결합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Generally, a window is used for most indoor residential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for indoor ventilation and is used as a window frame provided on a wall surface, such a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4719 (Dec. 19, 2006) To open and clos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호는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서 창의 표면이나 창짝 또는 창틀 등에 수분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such a window, a condensation phenomenon occurs in which water forms on the surface of a window, a window, or a window fram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결로 현상이란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가 냉각하여 노점 이하로 되었을 때 수증기가 액화되어 이슬로 맺히는 현상으로 실내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가 심한 겨울철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Condensation phenomenon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air containing water vapor cools down to below the dew point and the water vapor is liquefied and formed into dew. This is a phenomenon frequently observed in the winter when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outside temperature.
특히, 상기의 결로 현상은 창호의 유리와 프레임의 가장자리 즉, 창짝의 가장자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와 같은 결로 현상으로 인해 창호의 표면이나 창짝 또는 창틀 등의 내구성이 취약해지고, 상기 창짝이나 창틀이 원목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서로 비틀리거나 썩게 되어 개폐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여 사용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Particularly, the above-mentioned condensation phenomenon frequently occurs at the edge of the window and the frame of the window, that is, the edge of the window, and the durability of the window surface, the windowpane, the window frame or the like becomes weak due to such a condensation phenomenon, In the case of a log made of wo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not smooth due to twisting or rotting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a shortening of the service lif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which can prevent condensation occurring at the edge of a wind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은 창호의 실내측 하부 창짝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창짝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창짝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용이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case provided on a lower side window of an indoor side of a window, and a door provided on a side of a window of the case, An inlet 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dapted to receive the room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an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nclin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indoor ai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of the window and a ventilation fan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for allowing indoor air to flow in and out easily.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창짝측 일면 상부에서 창짝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창짝에는 상기 창짝에서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3부재의 일단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first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a window in a top 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member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 third member extending and an upwardly extending fourth member at one end of the third member.
상기 케이스와 창짝에는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d a magnetic member having a magnetic force may be provided on the case and the window.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창짝측 일면에서 창짝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창짝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upling devic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a window from a side of a window of the case, and the window may include an insertion plate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은 창호의 실내측 하부 창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창틀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창틀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case provided on a lower side window frame of an interior side of a window and a cas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side, An inlet 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llowing indoor air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an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nclin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of the window and a ventilation fan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and out easily.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창틀측 일면 상부에서 창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은 상기 창틀에서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3부재의 일단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engaging device has a first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window frame from one upper side of the window frame 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 third member extending and an upwardly extending fourth member at one end of the third member.
상기 결합장치와 창틀에는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device and the window frame may each be provided with a magnetic member having a magnetic force.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창틀측 일면에서 창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upling devic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case to the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frame may include an insertion plate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은 창호의 실내측 하부 창짝에 형성된 안착공간에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case installed in a seating space formed on a lower side of a window in a window,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oom air flows into the inner space; an outlet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ilt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And a ventilation fa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and out easily.
상기 창짝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창짝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ndow may have an auxiliary outlet for discharging indo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은 창호의 실내측 하부 창틀에 설치된 마감프레임과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마감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w condensation prevention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case coupled to a finishing frame installed on a lower side window frame of an interior side of a window, And an air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and through which the room air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s inclin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And a ventilation fa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and out easily.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실내측 일면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에서 상기 마감프레임 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프레임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마감프레임에 결합할 시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an inner 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projection provided on a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j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nishing frame may have a third protrus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when the case engages the finishing frame.
상기 마감프레임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마감프레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nishing frame may have an auxiliary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oom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of the finishing frame.
본 발명의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에 의하면, 실내공기가 창호의 가장자리에 배출되도록 하여 창호 중앙부와의 온도차를 줄임으로써 창호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m air is discharged to the edge of the window,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nter of the window,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occurring at the edge of the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window system shown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케이스(100), 결합장치(200), 유입구(300), 배출구(400) 및 환기팬(500)을 구비할 수 있다.1,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의 케이스(100)는 창호(10)의 실내측 하부 창짝(11)에 구비되며, 내부에 내부공간(100a)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의 결합장치(200)는 케이스(100)의 창짝(11)측 일면에 구비되며 케이스(100)가 창짝(11)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결합장치(200)는 케이스(100)의 창짝(11)측 일면 상부에서 창짝(1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210)와 제1부재(210)의 일단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의 제1부재(210)와 제2부재(220)는 'ㄱ'자 형상의 갈고리 형상이 창짝(11)측으로 돌출된 모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창짝(11)에는 창짝(11)에서 케이스(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부재(11a)와 제3부재(11a)의 일단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재(1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의 제3부재(11a)와 제4부재(11b)는 'ㄴ'자 형상의 갈고리 형상이 케이스(100)측으로 돌출된 모습으로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따라서, 결합장치(200)의 제2부재(220)가 창짝(11)에 구비된 제3부재(11a) 및 제4부재(11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끼워짐과 동시에 제4부재(11b)가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끼워짐으로써 케이스(100)가 창짝(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고정장치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미사용시에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을 창짝(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의 유입구(300)는 케이스(100)의 일면 즉, 결합장치(200)와 대응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그리고, 상기의 배출구(400)는 케이스(10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400)는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이로 인해,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에 전달되어 유리(12)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창호(10)의 유리(12)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indoor air can be transmitted to the
한편, 상기의 환기팬(500)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구비되어 유입구(300)를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용이하게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실내공기는 배출구(40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는 환기팬(5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외부에는 환기팬(500)을 컨트롤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otor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다음은 상기의 결합장치(2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창호(10)의 실내측 하부 창짝(11)에 구비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창짝(11)측 일면에 구비되어 케이스(100)가 창짝(11)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200), 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00),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400) 및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용이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500)을 구비할 수 있다.1 to 3,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의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케이스(100)의 일면과 창짝(11)의 일면에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재(60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마그네틱부재(600)로는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마그네틱부재(600)를 통해 사용자 쉽게 케이스(100)를 창짝(11)에 붙이거나 떼어낼 수 있다.2,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ystem S may include a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을 창짝(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한편, 상기의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장치(200)가 케이스(100)의 창짝(11)측 일면에서 창짝(1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230)를 구비하고, 창짝(11)이 돌기(23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3a)이 형성된 삽입판(13)을 구비할 수 있다.3,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includes a
상기의 삽입판(13)은 별도의 고정부재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창짝(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삽입홈(13a)은 돌기(230)와 동일하거나 돌기(23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돌기(230)가 삽입홈(13a)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돌기(230)와 삽입홈(13a)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돌기(230)와 삽입홈(13a)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창호(10)의 실내측 하부 창짝(11)에 형성된 안착공간(11c)에 내장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00),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400) 및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500)을 구비할 수 있다.1 and 4,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see FIG. 1) installed in a seating space 11c formed in an indoor side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창짝(11)의 안착공간(11c)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이 내장되는 안착공간(11c)이 형성될 수 있는 만큼의 충분한 두께를 갖는 창짝(11)에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11c of the
이와 같이,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이 창짝(11)의 안착공간(11c)에 내장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w condensation ventilation window system S is embedded in the seating space 11c of the
그리고, 안착공간(11c)의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유입구(300)가 구비되는 케이스(100)의 일면이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여 유입구(300)를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ating space 11c is opened and one side of the
여기서, 안착공간(11c)의 상측 즉, 배출구(400)가 위치하는 안착공간(11c)의 일측 창짝(11)에는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창짝(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배출구(11d)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된 실내공기는 배출구(400)와 보조배출구(11d)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창짝(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보조배출구(11d) 또한 배출구(400)와 마찬가지로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room air discharged through the
따라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에 전달되어 유리(12)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창호(10)의 유리(12)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door air can be transmitted to the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창호(10)의 실내측 하부 창틀(14)에 구비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창틀(14)측 일면에 구비되어 케이스(100)가 창틀(14)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200), 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00),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400) 및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500)을 구비할 수 있다.1 to 3 and 5,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의 케이스(100)는 창호(10)의 실내측 하부 창틀(14)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창틀(14)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별도의 고정장치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미사용시에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을 창틀(14)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window system 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또한, 상기의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이 창틀(14)에 구비되더라도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에 전달되어 유리(12)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창호(10)의 유리(12)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Even i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window system S is provided on the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창호(10)의 실내측 하부 창틀(14)에 설치된 마감프레임(700)과 결합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케이스(100)가 마감프레임(700)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200), 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00),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10)의 유리(12)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400) 및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a)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500)을 구비할 수 있다.6,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system 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not shown) coupled with a finishing
상기의 마감프레임(700)은 창틀(14)을 보호하거나 창틀(14)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틀(14)의 실내측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이러한 마감프레임(700)과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finishing
이를 위해, 상기의 결합장치(200)는 케이스(100)의 실내측 일면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돌출부(240)와 제1돌출부(240)에서 마감프레임(700) 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케이스(100)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돌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그리고, 마감프레임(700)은 케이스(100)가 마감프레임(700)에 결합할 시 제1돌출부(240)와 제2돌출부(250) 사이에 위치하는 제3돌출부(7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nishing
여기서, 상기의 제1돌출부(240)는 제2돌출부(250)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2돌출부(250)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이 마감프레임(700)에 결합할 시 제3돌출부(710)가 용이하게 제2돌출부(250)를 타고 넘어 제1돌출부(240)와 제2돌출부(25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1돌출부(240)에 의해 제3돌출부(710)가 케이스(100)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제1돌출부(240)와 제2돌출부(250) 사이에 안전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S)은 별도의 고정장치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마감프레임(7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용이하게 마감프레임(7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w condensation ventilation window system S can be installed in the
한편, 마감프레임(700)은 배출구(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배출구(720)를 구비하여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마감프레임(70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nish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dily suggest another embodimen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S: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10: 창호
100: 케이스 200: 결합장치
300: 유입구 400: 배출구
500: 환기팬S: Anti-condensation ventilation window system 10: Window
100: Case 200: Coupling device
300: inlet 400: outlet
500: Ventilation fan
Claims (13)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되,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창호의 유리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실내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팬을 구비하고,
상기 창짝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창짝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A case which is formed in a windowpan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located in a lower part of an indoor side of a window,
An inlet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llowing indoor air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nclin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so that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discharged in the glass direction of the window,
And a ventilation fa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and out easily,
Wherein the window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indo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7503A KR101879837B1 (en) | 2016-11-07 | 2016-11-07 | Prevent condens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7503A KR101879837B1 (en) | 2016-11-07 | 2016-11-07 | Prevent condens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0905A KR20180050905A (en) | 2018-05-16 |
KR101879837B1 true KR101879837B1 (en) | 2018-07-18 |
Family
ID=6245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7503A Active KR101879837B1 (en) | 2016-11-07 | 2016-11-07 | Prevent condens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983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52904A (en) * | 2018-06-11 | 2020-04-03 | 鲁陈 | Automatic water mist removing glass window and water mist removing method |
KR20230000199A (en) | 2021-06-24 | 2023-01-02 | (주)엘엑스하우시스 |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double window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K180977B1 (en) | 2019-12-30 | 2022-08-29 | Vkr Holding As | A roof window system with a ventilation unit mounted adjacent to the roof window, a roof structure including a roof window system, a method of providing a roof window system and a method of retrofitting a roof window system |
EP4172449A1 (en) * | 2020-06-29 | 2023-05-03 | KSR Consultancy (NW) Limited | Window sill system |
KR102782610B1 (en) * | 2023-09-08 | 2025-03-18 | (주)엘엑스하우시스 | Windows having condensation reduction functio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8598A (en) * | 2000-03-02 | 2001-09-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 blowing device |
KR200302255Y1 (en) * | 2002-10-30 | 2003-02-0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ant - condensation |
KR200355662Y1 (en) * | 2004-03-25 | 2004-07-07 | 영흥기업(주) | Double windows and doors associativity |
JP2004300756A (en) * | 2003-03-31 | 2004-10-28 | Ykk Ap株式会社 | Window with ventilator |
KR200377212Y1 (en) * | 2004-08-02 | 2005-03-11 | 주식회사 라이다텍 | Window having various ventilation roles |
KR200411765Y1 (en) * | 2006-01-06 | 2006-03-16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Wind-resistant reinforcement auxiliary unit of window |
KR20100117839A (en) * | 2009-04-27 | 2010-11-04 | 국제창호(주) | Composition window and doors associativity of finishing material |
KR20130066890A (en) * | 2011-12-13 | 2013-06-21 | 김승현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ndow or door frame |
JP2013189946A (en) * | 2012-03-15 | 2013-09-26 | Casle Co Ltd | Portable blower and smoke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
KR20160008279A (en) * | 2014-07-14 | 2016-01-22 | 주식회사 다이나젠 | Crime preven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equipped with an air vents recycling type ventilation apparatus |
-
2016
- 2016-11-07 KR KR1020160147503A patent/KR1018798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8598A (en) * | 2000-03-02 | 2001-09-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 blowing device |
KR200302255Y1 (en) * | 2002-10-30 | 2003-02-0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ant - condensation |
JP2004300756A (en) * | 2003-03-31 | 2004-10-28 | Ykk Ap株式会社 | Window with ventilator |
KR200355662Y1 (en) * | 2004-03-25 | 2004-07-07 | 영흥기업(주) | Double windows and doors associativity |
KR200377212Y1 (en) * | 2004-08-02 | 2005-03-11 | 주식회사 라이다텍 | Window having various ventilation roles |
KR200411765Y1 (en) * | 2006-01-06 | 2006-03-16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Wind-resistant reinforcement auxiliary unit of window |
KR20100117839A (en) * | 2009-04-27 | 2010-11-04 | 국제창호(주) | Composition window and doors associativity of finishing material |
KR20130066890A (en) * | 2011-12-13 | 2013-06-21 | 김승현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ndow or door frame |
JP2013189946A (en) * | 2012-03-15 | 2013-09-26 | Casle Co Ltd | Portable blower and smoke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
KR20160008279A (en) * | 2014-07-14 | 2016-01-22 | 주식회사 다이나젠 | Crime preven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equipped with an air vents recycling type ventilation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52904A (en) * | 2018-06-11 | 2020-04-03 | 鲁陈 | Automatic water mist removing glass window and water mist removing method |
CN110952904B (en) * | 2018-06-11 | 2021-04-16 | 惠州市双赢创新电子有限公司 | Automatic water mist removing glass window and water mist removing method |
KR20230000199A (en) | 2021-06-24 | 2023-01-02 | (주)엘엑스하우시스 |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double wind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0905A (en) | 2018-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9837B1 (en) | Prevent condens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 |
KR101094066B1 (en) | Window devices for automatic doors and semi-automatic doors | |
KR101305144B1 (en) | Project window system | |
KR101746928B1 (en) | Door frame for fire door have prevention dew condensation | |
KR101580182B1 (en) | Automatic sliding door assembly structure having improved airtight and insulation | |
KR101470536B1 (en) |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excellent adiabatic effect | |
KR20090007577U (en) | Multi-tight window frames | |
KR20150125216A (en) | Automatic sliding door assembly structure having improved airtight and insulation | |
KR100681847B1 (en) | Ventilation window frame installed on the balcony extension wall of apartment house | |
KR101473048B1 (en) | System window having unit for exhausting condensed water and unit for exhausting condensed water | |
KR101625954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a back flow of ventilation | |
KR101436609B1 (en) | Window system | |
KR100937691B1 (en) |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 | |
KR101808235B1 (en) | A draft of the door and shuts off of sound | |
KR101171468B1 (en) | Doorframe for Dewdrops Prevention | |
KR200492022Y1 (en) | Vertical panel structure for sliding doors | |
KR200387062Y1 (en) | ventilation construction of window sash | |
KR102528020B1 (en) | window gap cut off type windproof tool | |
KR101127636B1 (en) | Finishing device for frame joint of window | |
KR200463669Y1 (en) | Gasket for discharging dew condensation | |
KR200399565Y1 (en) | Air-tight Structure Between Window and Door | |
KR200413513Y1 (en) | Chassis Windscreen | |
KR20190100822A (en) | 3 sliding door | |
KR102291692B1 (en) | Windows with joint windbreak structure | |
KR200464025Y1 (en) | Door fe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