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8075B1 -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075B1
KR101878075B1 KR1020160152628A KR20160152628A KR101878075B1 KR 101878075 B1 KR101878075 B1 KR 101878075B1 KR 1020160152628 A KR1020160152628 A KR 1020160152628A KR 20160152628 A KR20160152628 A KR 20160152628A KR 101878075 B1 KR101878075 B1 KR 10187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fenc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exter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5160A (en
Inventor
김동철
지일식
심경식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16015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075B1/en
Priority to PCT/KR2016/013982 priority patent/WO2018092967A1/en
Publication of KR2018005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07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면 및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고, 상기 제1면에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2면에 테스트보드의 전극단자와 대응되는 피치로 형성된 외부접속패드를 구비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접속패드와 대응되는 피치로 재배치된 복수의 회로패턴;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회로패턴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접속단자와 대응되는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패턴; 상기 전극패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패턴을 감싸는 탄성층;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패턴을 매개로 상기 외부접속패드 및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던스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first surfac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outside the first region, A base layer having an external connection pad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test board; A plurality of circuit patterns formed in the base layer and rearrang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s a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electrode patterns being arrang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 elastic layer surrounding the electrode pattern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is exposed; And a capacitance pad formed in the first reg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nd the electrode pattern via the circuit pattern.

Description

팬아웃형 반도체소자 테스트소켓{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socket for a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검사하는 반도체소자 테스트소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for checking electrical reliability of a semiconductor device.

반도체소자는 제조된 이후에 제품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종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예컨대, 반도체소자의 모든 입출력 단자를 검사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하여 정상적인 동작 및 단선 여부를 검사하는 전기적 특성 테스트와, 반도체소자의 전원 입력 단자 등 몇몇 입출력 단자들을 검사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하여 정상 동작 조건보다 높은 온도, 전압 및 전류 등으로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반도체소자의 수명 및 결함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번인 테스트(Burn-In Test)가 있다.After the semiconductor device is manufactured, various tests are perform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For example,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test in which all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a semiconductor device are connected to an inspec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to check whether normal operation and disconnection are performed, and some input / output terminals such as a power input terminal of a semiconductor device are connected to an inspec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There is a burn-in test in which a stress is applied by a higher temperature, a voltage and a current to check the lifetime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통상 신뢰성 검사는 테스트소켓에 반도체소자를 탑재시킨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된다. 테스트소켓은 기본적으로 반도체소자의 형태에 따라서 그 모양이 결정되며,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테스트소켓의 전극 간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접촉에 의해 반도체소자를 검사장비와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Usually, the reliability test is carried out while the semiconductor device is mounted on the test socket. The shape of the test socket is bas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with the inspection equipment by physical or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electrode of the test socket.

이러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기존에는 포고핀(Pogo Pin) 타입의 테스트소켓을 이용하여 반도체소자를 테스트하였는데, 포고핀은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도체소자와 검사장비 간의 신호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In order to carry out this test process, a pogo pin type test socket was used to test a semiconductor device. However, the pogo pin may damag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t is possible to cause a phenomenon in which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spection equipment is not smooth.

또한, 최근 전자산업의 추세에 맞추어 반도체소자 또한 경량화, 소형화, 고속화, 고성능화 및 높은 신뢰성을 갖는 제품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미세 피치에 대응 가능한 테스트소켓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포고핀 타입의 테스트소켓은 이러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recent trend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there is a demand for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light weight, miniaturization, high speed, high performance, and high reliability. Accordingly, a test socket capable of meeting a fine pitch is required. However, Test sockets are limited in this respect.

그리고 BGA 패키지의 솔더볼은 소켓핀에 포고핀 접촉 방식으로 접촉하게 되는데, 포고핀의 솔더볼에 대한 접촉 정도에 따라서 접촉 저항의 변화 의 폭이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컨대, 접촉 저항은 수십mΩ 내지 수백mΩ으로 변화의 폭이 크다. 상기한 문제는 포고핀 내부에서 소프트 컨택(Soft Contact)을 하는 포고핀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근원적인 문제이다. 이와 같은 접촉 저항은 테스트 공정시 노이즈로 작용하고, 고주파 신호전달 특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The solder balls of the BGA packag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pins in a pogo pin contact manner. However, the contact resistanc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ontact degree of the pogo pin with respect to the solder ball. For example, the contact resistance is varied from tens of mΩ to several hundreds of mΩ. The above problem is a fundamental problem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go pin itself which performs soft contact inside the pogo pin. Such contact resistance acts as a noise in the test process and acts as a factor to lower the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한국등록실용 20-0327630Korea Registration Office 20-0327630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와 물리적, 전기적 접촉에 의해 테스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원활히 수행하여 테스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도체소자 테스트소켓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capable of improving the test reliability by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tester by physical and electrical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의 미세 피치에 대응 가능하도록 팬아웃 형태로 형성된 반도체소자 테스트소켓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formed in a fan-out shape so as to be able to correspond to a fine pitch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2면에 테스트보드의 전극단자와 대응되는 피치로 형성된 외부접속패드를 구비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제1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베이스층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접속패드와 대응되는 피치로 재배치된 복수의 회로패턴;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회로패턴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접속단자와 대응되는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패턴; 상기 제1영역의 외측 및 제2영역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 상기 내측펜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패턴을 매개로 상기 외부접속패드 및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던스패드; 상기 커패시던스패드,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를 감싸며, 상기 전극패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패턴을 감싸는 탄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A test socket for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urfac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outside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surface opposing the first surface, A base layer having an external connection pad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t a pitch corresponding to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test board; A plurality of circuit patterns formed inside the base layer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rearrang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s a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electrode patterns being arrang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 inner fence and an outer fenc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region; A capacitance pad provided inside the inner fen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nd the electrode pattern via the circuit pattern; And an elastic layer surrounding the capacitor pad,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and surrounding the electrode pattern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is exp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재질은 폴리이미드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base layer may be polyim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외부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재배치되는 제1회로패턴, 상기 제1회로패턴 및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부가 상기 베이스층의 제1면으로 노출되는 제2회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pattern may include a first circuit pattern to be reloca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 first circuit pattern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pattern and the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circuit pattern exposed on on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패턴,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빔 형태의 제2전극패턴, 상기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극패턴, 상기 제3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층의 상면에 빔 형태로 노출되는 제4전극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 second electrode pattern in the form of a bea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 secon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 thir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and a fourth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and exposed in the form of a bea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의 재질은 PDMS(Polydimethylsiloxane), 폴리우레탄(PU),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elastic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polyurethane (PU), polyurethane acrylate (PUA), silicone rubber, and PMMA (polymethylmethacrylate)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패드들 간의 피치는 상기 전극패턴들 간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may be larger than the pitch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펜스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서브펜스 및 상기 내측펜스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서브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b-fenc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fence and a second sub-fenc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펜스 및 제2서브펜스는 각각 내측펜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fence and the second sub-fence may each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펜스, 제1서브펜스, 제2서브펜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지지펜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지지펜스는 제1서브펜스의 내측 및 제2서브펜스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pport fenc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fences connecting the inner fence, the first sub-fence, and the second sub-fenc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펜스의 하부에는 외측펜스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펜스가 복수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fenc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ence so as to extend to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f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의 높이는 각각 전극패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patter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던스패드는 내측펜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capacitance springs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f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제2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에는 접착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frame portion formed outside the second region, and a bonding portion may be protruded from the fram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모서리에는 테스트소켓의 리프트오프를 위한 리프트오프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of the fram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ift-off pattern for lift-off of the test sock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오프패턴에는 테스트소켓의 리프트오프 후 제거 가능한 더미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off pattern may be provided with a dummy pattern that can be removed after the lift-off of the test sock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기판 준비단계; 상기 기판의 저면에 복수의 외부접속패드를 형성하는 외부접속패드 형성단계; 상기 기판 상에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층에 외부접속패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회로패턴을 재배치하는 회로패턴 형성단계; 상기 회로패턴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층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회로패턴 및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커패시던스패드를 형성하는 커패시던스패드 형성단계; 상기 전극패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를 형성하는 펜스 형성단계; 상기 전극패턴의 일부가 상기 탄성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펜스와 외측펜스 사이에 상기 전극패턴을 감싸는 탄성층을 형성하는 탄성층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comprising: preparing a substrate; An external connection pad form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pad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base layer on the substrate and rearranging the circuit pattern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pad to the base layer; An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on the base lay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 capacitor pad forming step of forming a capacitance pa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nd the electrode pattern; A fence forming step of forming an inner fence and an outer fence inside and outside the electrode pattern, respectively; And forming an elastic layer covering the electrode pattern between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astic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 형성단계는, 제1베이스층에 외부접속패드들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제1회로패턴을 형성하는 제1회로패턴 형성단계; 제2베이스층에 상기 제1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회로패턴을 형성하는 제2회로패턴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may include: a first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circuit pattern on the first base layer so as to correspond to an interval between external connection pads; And a second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circuit pattern on the second base lay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patter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액상의 폴리이미드 소재를 도포 후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may be prepared by applying a liquid polyimide material and then curing 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 형성단계는,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1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2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3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제3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층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제4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4전극패턴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 second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 third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thir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 fourth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fourth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and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탄성층은 커패시던스패드를 밀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astic layer forming step, the elastic layer may be formed to seal the capacitance p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 등이 미세 피치로 구현된 반도체소자를 안정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고속 동작이 요구되는 고주파 소자의 테스트시 신호 지연이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test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wiring or the like is implemented at a fine pitch, and to prevent signal delay or distortion in testing a high-frequency device requiring high-speed oper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중 베이스층 및 회로패턴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q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중 전극패턴 및 탄성층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test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in FIG.
3A to 3G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steps of manufacturing a base layer and a circuit patter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Q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electrode pattern and an elastic layer manufacturing proces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test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test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도체소자 테스트소켓(100)은 반도체 검사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테스트보드에 탑재되는 베이스층(110), 베이스층(110) 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120), 베이스층(1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턴(130), 전극패턴(1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층(140), 탄성층(140)을 지지하는 내측펜스(150) 및 외측펜스(160)를 포함한다.1 and 2, a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110 mounted on a tes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semiconductor testing equipment, a base layer 110,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130 formed on the base layer 110, an elastic layer 14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ectrode patterns 130, and an elastic layer 140 for supporting the elastic layer 140 And includes an inner fence 150 and an outer fence 160.

베이스층(110)은 제1면(110a) 및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110b)을 구비하며,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면(110a)에는 전극패턴(130) 및 탄성층(140)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면(110b)은 테스트보드(도시 생략)에 안착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10 has a first surface 110a and a second surface 11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may be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plan view. The electrode pattern 130 and the elastic layer 140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0a and the second surface 110b may be seated on a test board (not shown).

베이스층(110)은 예컨대, 세라믹 재질 또는 폴리이미드(PI)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라믹 재질을 이용하여 베이스층(110)을 제조할 경우, 베이스층(110)의 제조 시간이 증가하고 고가의 세라믹 재질로 인해 가격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재질과 거의 유사한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폴리이미드(PI) 재질로 베이스층(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PI)는 주쇄에 이미드 결합(-CO-NR-CO-)을 가지는 내열성 수지의 총칭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폴리이미드(PI) 재질의 특징은 높은 내열성에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특성이 노화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세라믹 재질은 반도체 웨이퍼와 열팽창 계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층(110)을 반도체 웨이퍼에 대응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폴리이미드(PI) 재질은 높은 내열성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The base layer 1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eramic material or a polyimide (PI) material. When the base layer 110 is manufactured using the ceramic material,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base layer 110 is increased and the cost burden may be increased due to the expensive ceramic material.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base layer 110 using a polyimide (PI) material that can achieve performance similar to that of a ceramic material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time and cost. Polyimide (PI) is a generic name of a heat-resistant resin having an imide bond (-CO-NR-CO-) in its main chain. Such a polyimide (PI)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high heat resistance, The characteristics are not aged. In addition, the ceramic material may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tch the base layer 110 to a semiconductor wafer. However, the polyimide (PI) material overcomes the above- .

베이스층(110)의 제1면(110a)은 제1영역(Ⅰ), 제1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2영역(Ⅱ) 및 제2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3영역(Ⅲ)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Ⅰ)은 대략 베이스층(110)의 중앙의 사각형 부분으로서, 제1영역의 둘레 즉, 후술하는 내측펜스의 내측 둘레에는 복수의 커패시던스패드(170)가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던스패드(170)는 예컨대, 파워패드 또는 그라운드패드일 수 있다. 커패시던스패드(170)는 회로패턴(120)을 매개로 외부접속패드(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더불어 내측펜스(150)을 통과하여 전극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Ⅱ)은 테스트하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전극패턴(130) 및 탄성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패턴(130)은 일정 간격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영역(Ⅲ)은 테스트소켓의 테두리 부분으로서, 테스트보드에 장착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10a of the base layer 110 includes a first region I, a second region II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III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region 110a Can be distinguished. The first region I is a rectangular portion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base layer 110. A plurality of capacitance pads 170 may be form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region, that is,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fence described later. Capacitance pad 170 may be, for example, a power pad or a ground pad. The capacitor pad 1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via the circuit pattern 12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 130 through the internal fence 150. The second region II is a portion wher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for testing is contacted, and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patterns 130 and the elastic layer 140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13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r at irregular intervals. The third region III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unted on the test board as a rim portion of the test socket.

베이스층(110)의 제2면(110b)에는 복수의 외부접속패드(114)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외부접속패드(114)는 회로패턴(120) 및 테스트보드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접속패드(114)들은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pads 114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base layer 110. [ Each of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11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120 and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test board.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114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r irregular intervals.

한편, 베이스층의 제3영역(Ⅲ) 즉, 후술하는 외측펜스의 외측에는 테스트보드와의 결합 시 접착 고정되는 프레임부(113)가 형성된다. 프레임부(113)는 그 면적이 클 경우 테스트소켓의 제조 완료 후 리프트오프(Lift Off) 시 휨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그 면적을 좁게 설계하여 휨 발생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때, 프레임부(113)에는 테스트보드와의 충분한 접착 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접착부(113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13)의 모서리에는 리프트오프를 위한 리프트오프 패턴(114)이 형성되고, 각 리프트오프 패턴(114)에는 테스트보드와의 정렬을 위한 얼라인키(11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프트오프 패턴(114)을 이용하여 테스트소켓을 리프트오프할 경우 리프트오프 패턴(114)에 휨 발생의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테스트보드와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오프 패턴 중 어느 하나에는 더미패턴(Dummy Pattern, 115)이 형성되며, 더미패턴(115)은 리프트오프 후 휨이 발생할 경우 제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rame portion 11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hird region III of the base layer, that is, the outside fence described later, to be adhered and fixed when it is coupled with the test board. If the area of the frame part 113 is large, there is a fear that warping may occur at the time of lift off after completion of the manufacture of the test socket. Therefore, the area of the frame part 113 should be designed as narrow a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warpage. At this time, a bonding portion 113a for securing a sufficient bonding area with the test board may be formed on the frame portion 113 to protrude outward. A lift-off pattern 114 for lift-off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rame section 113 and an alignment mark 114a for alignment with the test board may be formed in each lift-off pattern 114. [ At this time, when the lift-off pattern 114 is used to lift-off the test socket, the lift-off pattern 114 may be warped, which may cause alignment problems with the test board. Accordingly, a dummy pattern 115 is formed in any one of the lift-off patterns, and the dummy pattern 115 can be formed to be removable when warping occurs after lift-off.

베이스층(110)의 내부에는 도전성 재질의 회로패턴(120)이 MEMS 방식으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회로패턴(120)은 전극패턴(130)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회로패턴(120)은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ductive circuit patterns 120 may be formed in the base layer 110 by the MEMS method. The circuit pattern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 13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plurality of circuit patterns 12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r irregular intervals.

각각의 회로패턴(120)은 예컨대, 베이스층(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접속패드(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회로패턴(121), 일단은 제1회로패턴(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층(110) 상에 노출되어 전극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패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패턴(121)은 반도체소자에서 미세 피치의 외부접속단자가 범용 테스트보드 상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도록 재배치된 것이다. 제1회로패턴(121)의 배치 형태, 위치 등은 테스트하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의 위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1회로패턴(121)은 도전성 금속 예컨대, Cu 또는 Au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회로패턴(122)은 전극패턴(130)과의 접속 및 지지를 위해 Ni 또는 Ni-Co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circuit patterns 120 includes a first circuit pattern 121 formed inside the base layer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And the second end may be exposed on the base layer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 130. [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is relocated so that the fine pitch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on the universal test board. The arrangement and position of the first circuit patterns 121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structure, etc.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Cu or Au and the second circuit pattern 122 may be formed of Ni or Ni-Co for connection and support with the electrode pattern 130 have.

전극패턴(130)은 베이스층(110)의 제1면(110a)에 복수 형성되고, 회로패턴(120)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MEMS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패턴(130)은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patterns 130 a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0a of the base layer 110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s 12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13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r irregular intervals.

각각의 전극패턴(130)은 예컨대, 회로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패턴(131), 제1전극패턴(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빔(Beam) 형태로 형성되는 제2전극패턴(132), 제2전극패턴(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극패턴(133), 제3전극패턴(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탄성층(140)의 상면에 노출되는 제4전극패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전극패턴(134)의 표면에는 테스트하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가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전극패턴(130)에 사용되는 도전성 소재로는 산화 등의 외부 요인에 대해 안정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니켈(Ni), 니켈코발트 합금(Ni-C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패턴(130)은 제1전극패턴 내지 제4전극패턴을 포함하여 대략 “ㄹ”자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형태는 “ㄷ”자의 단면을 갖도록 변경 설계할 수 있다.Each of the electrode patterns 13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ttern 13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120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13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and formed in a beam shape,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and the fourth electrode pattern 13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and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layer 140, And an electrode pattern 134.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be tested can be physically or electrically contacted to the surface of the fourth electrode pattern 134. [ Nickel (Ni), nickel-cobalt alloy (Ni-Co),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for the electrode pattern 130 to provide a stable function against external factors such as oxidation.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de pattern 130 is configured to have a substantially "d" -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 patterns, but if necessary, the shape of the electrode pattern 130 may be changed to a " can do.

전극패턴(130)은 그 일부를 제외하고 탄성층(140)에 의해 밀봉 형성된다. 즉, 제1 내지 제3전극패턴은 탄성층(140)에 의해 밀봉되고, 제4전극패턴(134)은 탄성층(14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층(140)은 후술하는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층(140)의 높이는 제4전극패턴(134)의 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pattern 130 is formed by sealing with the elastic layer 140 except for a part thereof. That is, the first to third electrode patterns may be sealed by the elastic layer 140, and the fourth electrode pattern 13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astic layer 14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 The elastic layer 140 may have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described later and the height of the elastic layer 140 may correspond to the bottom of the fourth electrode pattern 134.

탄성층(140)은 전극패턴(130)과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극패턴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 예컨대, PDMS(Polydimethylsiloxane), 폴리우레탄(PU),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각종 합성고무(Rubber)류 및 수지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를 위해 전극패턴과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의 접촉시 외부접속단자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테스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외부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반도체소자의 외부전속단자가 전극패턴과 접촉되는 경우, 외부접속단자가 제4전극패턴(134)에 면 접촉되고 탄성층(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외부접속단자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elastic layer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electrode pattern such as PDMS (polydimethylsiloxane), polyurethane (PU), poly Various synthetic rubbers and resins such as urethane acrylate (PUA), silicone rubber, and PMMA (polymethylmethacrylate) can be used. Therefore, when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damage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an be minimized and the tes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That is, when the external full-speed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oved by the external pressur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patter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fourth electrode pattern 134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layer 14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hat may occur to the terminal.

일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은, 외부접속패드(114)와 인접한 외부접속패드(114) 간의 피치가 전극패턴과 인접한 전극패턴 간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극패턴들은 소형화 및 미세화를 구현하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들과 대응되는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테스트보드에 바로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접속패드(114)들을 테스트보드의 전극단자에 대응되면서 전극패턴들 간의 피치보다 큰 피치를 갖도록 재배치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 pitch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114 and the adjacent external connection pads 114 may be larger than the pitch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and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s. That is, since the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at pitche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for realizing miniaturization and miniaturiza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electrode patterns to the test board, thereby limiting the test.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tested by rearranging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114 so as to have a pitch larger than the pitch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test board.

내측펜스(150) 및 외측펜스(160)는 탄성층(140)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층(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내측펜스(150) 및 외측펜스(160)는 예컨대, Ni, Ni-Co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inner fence 150 and the outer fence 160 are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elastic layer 140 to stably support the elastic layer 140. The inner fence 150 and the outer fence 160 may be made of, for example, Ni, a Ni-Co alloy, or the like.

내측펜스(150)는 베이스층(110)의 제1영역(Ⅰ)과 제2영역(Ⅱ)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내측펜스(150)는 전극패턴(13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내측펜스(150)의 상단은 제2전극패턴(134)의 높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ence 15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I and the second region II of the base layer 110. [ The inner fence 150 may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pattern 130.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inner fence 15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4.

한편, 후술하는 탄성층과의 접촉 면적을 높여 탄성층의 고착 강화를 위해 내측펜스(150)는 그 내측과 외측에 각각 이격 배치된 제1서브펜스(151) 및 제2서브펜스(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서브펜스(151)와 제2서브펜스(152)는 내측펜스(150)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서브펜스(151)와 제2서브펜스(152)는 내측펜스(15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펜스(150)와 제1서브펜스(151), 내측펜스(150)와 제2서브펜스(152)는 각각 복수의 연결펜스(153)로 상호 연결되고, 제1서브펜스(151)의 내측 및 제2서브펜스(152)의 외측에는 각각 복수의 내측 지지펜스(154)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탄성층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내측 지지펜스(154)들 간의 간격은 연결펜스(153)들 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 지지펜스(154)들 간의 간격은 연결펜스(153)들 간의 간격의 1/2일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elastic layer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strengthen the elastic layer, the inner fence 150 includes a first sub-fence 151 and a second sub-fence 152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 For example, the first sub fence 151 and the second sub fence 152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nner fence 150. The first sub-fence 151 and the second sub-fence 152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150. The inner fence 150 and the first sub fence 15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fences 153 and the inner fence 150 and the second sub fence 1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fences 154 are formed on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fences 152, 152, respectively. The spacing between the inner support fences 154 may be less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connection fences 153. For example, the spacing between the inner support fences 154 may be one-half the spacing between the connection fences 153.

외측펜스(160)는 베이스층(110)의 제2영역(Ⅱ)과 제3영역(Ⅲ)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펜스(160)는 전극패턴(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전극패턴과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며, 외측펜스(160)는 내측펜스(1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외측펜스(160)의 하부에는 외측펜스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외측 지지펜스(161)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지지펜스(161)는 외측펜스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펜스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외측 지지펜스(161)들 간의 간격은 내측 지지펜스(154)들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외측펜스의 내측과 외측에도 서브펜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outer fence 16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gion II of the base layer 110 and the third region III. The outer fence 16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ode patter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pattern 130 and the outer fence 160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150.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fences 161 for reinforcing a support force for the outer fence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ence 160. [ The outer support fence 161 may extend to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fence to further enhance the supporting force for the outer side fence. The spacing between the outer support fences 161 may be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inner support fences 154. Further, if necessary,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may be provided with a sub fence.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중 베이스층(110) 및 회로패턴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도 1의 “A-A'”선을 절취한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공정은 MEMS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3A to 3G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base layer 110 and a circuit patter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G are shown based on a cut-off line "A-A '" in FIG. The follow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MEMS method.

도 3a를 참고하면, 베이스 기판(200)을 준비한다. 베이스 기판(200)으로는 세라믹, 유리 등의 절연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기판(200)의 표면을 세정 및 건조하여 베이스 기판(20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a base substrate 200 is prepared. As the base substrate 200, an insulator substrate such as ceramic or glass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00 may be cleaned and dri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base substrate 200.

도 3b를 참고하면, 베이스 기판(200)의 상면에 제1 시드층(210)을 형성한다. 제1 시드층(210)은 스퍼터링(Sputtering), 전기도금, 증착(CVD) 등을 이용하여 1㎛ 내지 2㎛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시드층(210)의 재질로는 구리(Cu), 티타늄(Ti), 크롬(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시드층(210)은 하부층(211)과 상부층(212)의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층(211)은 티타늄(Ti)이나 크롬(Cr)으로 형성되고 상부층(212)은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first seed layer 2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00. The first seed layer 210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 to 2 탆 by sputtering, electroplating, CVD, or the like.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seed layer 210, at least one of copper (Cu), titanium (Ti), and chromium (Cr) may be used. The first seed layer 210 may b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a lower layer 211 and an upper layer 212. The lower layer 211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or chromium (Cr) And may be formed of copper (Cu).

도 3c 및 도 3d를 참고하면, 제1시드층(210)의 표면에 외부접속패드(114)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시드층(210)의 표면에 PR(Photo Resist)를 도포하고, 마스크 패턴을 따라 외부접속패드가 형성될 부분의 제1시드층(210)이 노출되도록 패드홀을 형성한 후, 패드홀에 니켈(Ni) 또는 니켈-코발트(Ni-Co) 도금을 이용하여 외부접속패드(114)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접속패드(114)가 형성된 후 PR는 식각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C and 3D, an external connection pad 1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ed layer 210. For example, a PR (Photo Resi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seed layer 210, a pad hole is formed along the mask pattern so that the first seed layer 210 of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connection pad is to be formed is exposed,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can be formed by using nickel (Ni) or nickel-cobalt (Ni-Co) plating in the pad hole. After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is formed, the PR can be removed by etching or the like.

도 3e를 참고하면, 제1시드층(210)의 표면에 희생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희생층(300)은 외부접속패드(114) 주변의 PR를 제거하고, 제1시드층(210) 및 외부접속패드(114)의 표면에 전기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폴리싱 및 평탄화 공정을 통해 외부접속패드(114)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희생층(300)으로는 예컨대, 구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외부접속패드(114)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그 상면에 증착된 희생층(300)을 제거하는 랩핑(Lapping)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E, a sacrificial layer 30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ed layer 210. For example, the sacrificial layer 300 may be formed by electro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ed layer 21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removing the PR around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There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is exposed through the polishing and planarizing process. As the sacrifice layer 300, for example, copper may be used. Thereafter, a lap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sacrifice layer 300 depos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is exposed.

도 3f를 참고하면, 희생층(300) 및 외부접속패드(114)의 상면에 제1베이스층(111) 및 제1회로패턴(121)을 형성한다. 제1베이스층(111)으로는 폴리이미드(PI)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베이스층(111)은 액상의 폴리이미드(PI) 소재를 도포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고상의 폴리이미드(PI) 소재를 희생층(300)의 표면에 압착함으로써 제1베이스층(11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F, a first base layer 111 and a first circuit pattern 121 are formed on the sacrificial layer 30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As the first base layer 111, a polyimide (PI) material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first base layer 111 may be formed by applying a liquid polyimide (PI) material and curing it. Alternatively, the first base layer 111 may be formed by pressing a solid polyimide (PI)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sacrificial layer 300.

제1회로패턴(121)은 상부가 제1베이스층(111) 상에 노출되고 하부는 외부접속패드(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베이스층(111) 내에 형성된다. 예컨대, 마스크 패턴에 따라 외부접속패드(114)와 대응되는 부분의 제1베이스층(111)을 식각함으로써 제1회로패턴(121)이 형성될 부분에 패턴홀을 형성하고, 패턴홀에 전기 도금 등의 방식으로 구리(Cu) 또는 금(Au) 소재를 증착하여 제1회로패턴(1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회로패턴(121)은 예컨대, “T”자, “ㄱ”자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회로패턴(121)의 높이 및 길이는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이후 외부접속패드(114)와 전극패턴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재배선패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is formed in the first base layer 111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111 and the lower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For example, the first base layer 111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is etched according to the mask pattern to form a pattern hole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is to be formed,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may be formed by depositing copper (Cu) or gold (Au) material in a similar manner.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may have a cross section such as a " T "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may function as a rewiring pattern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pad 114 and the electrode pattern thereafte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s required.

도 3g를 참고하면, 제1베이스층(111) 상에 폴리이미드(PI) 소재를 도포함으로써 제2베이스층(112)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3G, a second base layer 112 is formed by applying a polyimide (PI) material on the first base layer 111.

그리고 제2베이스층(112) 상에 상부가 노출되고 하부는 제1회로패턴(121)의 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니켈(Ni) 또는 니켈-코발트(Ni-Co) 재질의 제2회로패턴(122)을 형성한다. 제2회로패턴(122)은 예컨대, “T”자, “ㄱ”자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상부는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second circuit pattern of nickel (Ni) or nickel-cobalt (Ni-Co)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112 and the lower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pattern 121 122 are formed. The second circuit pattern 122 may have a cross section such as a " T " or " a " character,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

또한, 베이스층(110)의 제1영역(Ⅰ) 상에 커패시던스패드(170)를 형성한다. 커패시던스패드(170)는 제1회로패턴(121)을 매개로 전극패턴(130)과 연결되는 제2회로패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capacitance pad 170 is formed on the first region I of the base layer 110. The capacitor pad 1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circuit patterns 122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s 130 through the first circuit patterns 121. [

도 4a 내지 도 4q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중 전극패턴(130) 및 탄성층(140)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q는 도 1의 “A-A'”선을 절취한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공정은 MEMS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4A to 4Q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pattern 130 and the elastic layer 14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Q are shown based on a cut-off line "A-A '" in FIG. The follow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MEMS method.

도 4a를 참고하면, 베이스층 특히, 제2베이스층(112) 상에 제1전극패턴(131)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2베이스층(112)의 표면에 제1PR을 도포하고, 마스크 패턴에 따라 제1전극패턴(131), 내측펜스(150) 및 외측펜스(160)를 형성할 부분의 제1PR을 식각하여 패턴홀 및 펜스홀을 형성한다. 패턴홀은 제2회로패턴(122)과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패턴홀에는 니켈(Ni) 또는 니켈-코발트(Ni-Co) 합금 등을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제1전극패턴(131)을 형성한다. 이와 더불어, 펜스홀에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를 위한 소재를 전기도금 등에 의해 내측펜스(150)와 외측펜스(160)를 동일 높이로 형성한다. 이때, 후술하는 탄성층과의 접착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내측펜스(150)의 내측 및 외측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서브펜스(151) 및 제2서브펜스(1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서브펜스(151) 및 제2서브펜스(152)는 내측펜스(15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 first electrode pattern 131 is formed on a base layer, particularly, a second base layer 112. For example, the first P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112, and the first PR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the inner fence 150, and the outer fence 160 are to be formed is etched according to the mask pattern Thereby forming pattern holes and fence holes. A patter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it pattern 122 and nickel or nickel-cobalt (Ni-Co) alloy is electroplated to the pattern hole to form a first electrode pattern 131 . In addition, the inner fence 150 and the outer fence 16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by electroplating or the like for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in the fence hole. At this time, at least one first sub fence 151 and a second sub fence 15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ence 150, respectively, in order to maximize an adhesion area with the elastic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ub-fence 151 and the second sub-fence 152 may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150. [

도 4b 내지 도 4d를 참고하면, 제1PR의 상면에 제2시드층(220)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1전극패턴(131)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제1PR을 소정 높이 제거한다. 그 후, 제1PR 상에 제2시드층(220)의 하부층(22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시드층(220)의 하부층(221) 표면에 제2PR을 도포하고, 제1전극패턴(131)의 상단 및 그 주변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PR을 제거한 후, 제1전극패턴(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PR이 제거되어 노출된 하부층(221) 상에 상부층(222)을 형성한다.4B to 4D, a second seed layer 2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 For example, the first PR is remov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is exposed. Thereafter, a lower layer 221 of the second seed layer 220 is formed on the first PR. Next, the second P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lower layer 221 of the second seed layer 220, the second PR is removed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and a part of the periphery thereof, And the upper layer 222 is formed on the exposed lower layer 221 by removing the second PR.

도 4e를 참고하면, 제1전극패턴(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전극패턴(131)의 노출된 상면 및 상부층(222)의 상면에 제2전극패턴(1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전극패턴(131) 및 제2전극패턴(132)을 포함하여 제2시드층(220) 상에 제3PR을 도포한다.Referring to FIG. 4E, a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is formed on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22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A third PR is applied on the second seed layer 22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도 4f를 참고하면, 제2전극패턴(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3전극패턴(133)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3PR 및 제2전극패턴(132)의 상면에 제4PR을 도포하고, 제2전극패턴(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3전극패턴(133)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3PR의 표면에 제4PR을 도포하고,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3전극패턴을 형성할 부분의 제2전극패턴(132) 표면을 식각한 후, 니켈(Ni) 등을 전기도금하여 제3전극패턴(133)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F, a third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For example, a fourth PR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PR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and a third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Specifically, the fourth P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ird PR,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2 in the portion where the third electrode pattern is to be formed is etched using a mask, and then nickel (Ni) The three-electrode pattern 133 can be formed.

도 4g 내지 도 4i를 참고하면, 제4PR의 상면에 제3시드층(230)을 형성한다. 제3전극패턴(134)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제4PR을 제거한 후, 제3시드층(230)의 하부층(23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3전극패턴(133)의 상단 및 그 주변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4PR을 제거한다. 그 후, 제3전극패턴(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4PR이 제거되어 노출된 제3시드층(230)의 하부층(231) 상에 구리(Cu)로 상부층(232)을 형성한다.4G to 4I, a third seed layer 2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PR. After the fourth PR is removed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4, a lower layer 231 of the third seed layer 230 is formed. Next, the fourth PR is removed so that the top of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and a part of the periphery thereof are exposed. Thereafter, the fourth PR is remov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and an upper layer 232 is formed of copper (Cu) on the lower layer 231 of the exposed third seed layer 230.

도 4j를 참고하면, 제4PR 상에 제3전극패턴(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4전극패턴(134)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3시드층(230) 및 제3전극패턴(133) 상에 제5PR을 도포한 후, 제3전극패턴(134) 및 제3전극패턴의 주변이 노출되도록 제5PR을 제거하고, 노출된 제3전극패턴(133)의 상면 및 제3시드층(230)의 상부층(232)의 상면에 제4전극패턴(134)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4J, a fourth electrode pattern 134 is formed on the fourth P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For example, after the fifth PR is applied on the third seed layer 230 and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the fifth PR is removed to expose the periphery of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4 and the third electrode pattern, A fourth electrode pattern 1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232 of the third seed layer 230.

도 4k 내지 도 4o를 참고하면, 전극패턴(130)을 제외한 PR들 및 시드층들을 적층된 역순으로 제거한다. 예컨대, 제5PR을 제거하고, 제3시드층을 제거하며, 제4PR 및 제3PR을 제거하고, 제2시드층을 제거한 후, 제2PR 및 제1PR을 제거하여 베이스층(110) 상에 전극패턴(130)만이 남아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4K to 4O, PRs and seed layers except for the electrode pattern 130 are removed in the stacked order. For example, after the fifth PR is removed, the third seed layer is removed, the fourth PR and the third PR are removed, the second seed layer is removed, and then the second PR and the first PR are removed, (130).

도 4p를 참고하면, 전극패턴(130)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전극패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탄성층(140)을 형성한다. 예컨대, 내측펜스(150)와 외측펜스(160)의 내부에 액상의 탄성층(140) 소재를 주입한 후 소성 및 경화시킴으로써 탄성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층(140)의 재질로는 PDMS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탄성층은 요철 구조로 형성된 내측펜스(150), 제1서브펜스(151), 제2서브펜스(152)에 의해 접착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P, the elastic layer 140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de pattern 1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ctrode pattern. For example, the elastic layer 140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material of a liquid-like elastic layer 140 into the inner fins 150 and the outer fences 160, followed by firing and curing. As the material of the elastic layer 140, PDMS can be applied. At this time, the elastic layer may be provided with a stronger supporting force by increasing the area of adhesion by the inner fence 150, the first sub fence 151, and the second sub fence 152 formed by the concavo-convex structure.

도 4q를 참고하면, 베이스 기판(200) 상에 희생층(300)을 매개로 형성된 베이스층(110)을 베이스 기판(200)으로부터 분리하여 테스트소켓의 제조를 완료한다.Referring to FIG. 4Q, the base layer 110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200 through the sacrificial layer 300 is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200 to complete the manufacture of the test socket.

이와 같이 제조된 테스트소켓은, 전극패턴(130)이 탄성층(140)에 의해 탄력 지지되므로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의 접촉시 외부접속단자에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접속단자가 미세 피치로 형성되더라도 베이스층(110)에 재배치된 회로패턴(120)에 의해 범용 테스트보드를 통해 안정적으로 대응 접속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electrode pattern 1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layer 140,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semiconductor devi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Even if the terminals are formed at fine pitches, the test pattern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base layer 110 through the general-purpose test board by means of the circuit pattern 120 rearranged, so that the tes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테스트소켓의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of a test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도체소자 테스트소켓(100)은 반도체 검사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테스트보드에 탑재되는 베이스층(110), 베이스층(110) 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120), 베이스층(1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턴(130), 전극패턴(1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층(140), 탄성층(140)을 지지하는 내측펜스(150) 및 외측펜스(16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a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110 mounted on a tes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semiconductor inspection equipment, A circuit pattern 120,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130 formed on the base layer 110, an elastic layer 140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ectrode pattern 130, an inner fence 140 supporting the elastic layer 140 150 and an outer fence 160. Since this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다만, 제1실시예에서 탄성층은 제1서브펜스와 외측펜스 사이에 형성되므로 테스트소켓에 반도체소자가 접속될 경우 그 하중이 제1서브펜스(151)와 외측펜스(160) 사이에 집중되므로 전극패턴(130)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elast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b fence and the outer fence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emiconductor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st socket, the load is concentrated between the first sub fence 151 and the outer fence 160 The electrode pattern 130 may be deformed.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 탄성층(140)은 제2서브펜스(15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커패시던스패드(170)를 밀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을 참고할 때, 탄성층(140)은 프레임부(111)를 제외한 베이스층(11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패턴(130)에 반도체소자의 접속 시 탄성층(140)은 반도체소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되며, 베이스층(11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된 탄성층(140)에 의해 그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극패턴(130)의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elastic layer 140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sub fence 152 to seal the capacitance pad 170. That is, referring to FIG. 1, the elastic layer 14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0 except for the frame portion 111. The elastic layer 140 stably sustains the loa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when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tern 130 and the elastic layer 140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0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130 can be minimiz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즉,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테스트소켓
110; 베이스층 111; 제1베이스층
112; 제2베이스층 114; 외부접속패드
120; 회로패턴 121; 제1회로패턴
122; 제2회로패턴
130; 전극패턴 131; 제1전극패턴
132; 제2전극패턴 133; 제3전극패턴
134; 제4전극패턴
140; 탄성층 150; 내측펜스
151; 제1서브펜스 152; 제2서브펜스
153; 연결펜스 154; 내측 지지펜스
160; 외측펜스 161; 외측 지지펜스
170; 커패시던스패드
200; 베이스 기판 210; 제1시드층
220; 제2시드층 230; 제3시드층
300; 희생층
100; Test socket
110; Base layer 111; The first base layer
112; A second base layer 114; External connection pad
120; Circuit pattern 121; The first circuit pattern
122; The second circuit pattern
130; Electrode pattern 131;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2; A second electrode pattern 133; The third electrode pattern
134; The fourth electrode pattern
140; Elastic layer 150; Inner fence
151; A first sub-fence 152; The second sub-fence
153; Connection fence 154; Inner support fence
160; An outer fence 161; Outer support fence
170; Capacitance Pad
200; A base substrate 210; The first seed layer
220; A second seed layer 230; The third seed layer
300; Sacrificial layer

Claims (20)

반도체소자와 테스트보드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스트소켓에 있어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2면에 테스트보드의 전극단자와 대응되는 피치로 형성된 외부접속패드를 구비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제1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베이스층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접속패드와 대응되는 피치로 재배치된 복수의 회로패턴;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회로패턴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접속단자와 대응되는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패턴;
상기 제1영역의 외측 및 제2영역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
상기 내측펜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패턴을 매개로 상기 외부접속패드 및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던스패드;
상기 커패시던스패드,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를 감싸며, 상기 전극패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패턴을 감싸는 탄성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A test socket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test board,
A first surfac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outside of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surface opposing the first surface, wherein a pitch corresponding to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test board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 base layer having external connection pad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circuit patterns formed inside the base layer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rearrang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s a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electrode patterns being arrang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 inner fence and an outer fenc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region;
A capacitance pad provided inside the inner fen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nd the electrode pattern via the circuit pattern;
And an elastic layer surrounding the capacitor pad,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and surrounding the electrode pattern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is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재질은 폴리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terial of the base layer is polyim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외부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재배치되는 제1회로패턴, 상기 제1회로패턴 및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부가 상기 베이스층의 제1면으로 노출되는 제2회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pattern includes a first circuit pattern that is reloca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d, a second circuit that is partially expos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lay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pattern and the 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 semiconduct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패턴,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빔 형태의 제2전극패턴, 상기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극패턴, 상기 제3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층의 상면에 빔 형태로 노출되는 제4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 second electrode pattern in the form of a bea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 thir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 fourth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and exposed in a beam form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의 재질은 PDMS(Polydimethylsiloxane), 폴리우레탄(PU),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terial of the elastic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polyurethane (PU), polyurethane acrylate (PUA), silicone rubber,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est s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패드들 간의 피치는 상기 전극패턴들 간의 피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tch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pads is larger than a pitch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펜스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서브펜스 및 상기 내측펜스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서브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ub-fence spaced apart from an inner side of the inner fence, and a second sub-fen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e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펜스 및 제2서브펜스는 각각 내측펜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ub-fence and the second sub-fence each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fe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펜스, 제1서브펜스, 제2서브펜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지지펜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지지펜스는 제1서브펜스의 내측 및 제2서브펜스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fences connecting the inner fence, the first sub-fence, and the second sub-fence, wherein the inner support fence extends outside the first sub-fence and the second sub-fen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펜스의 하부에는 외측펜스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펜스가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fences extending inwardly and outwardly of the outer fence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f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의 높이는 각각 전극패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of the inner fence and a height of the outer fence are respectively se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던스패드는 내측펜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capacitor spurs ar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f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제2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에는 접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further includes a frame portion formed outside the second region, and a bond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frame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모서리에는 테스트소켓의 리프트오프를 위한 리프트오프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lift-off pattern for lift-off of the test socket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frame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오프패턴에는 테스트소켓의 리프트오프 후 제거 가능한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소켓.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lift-off pattern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dummy pattern after lift-off of the test socket.
반도체소자와 테스트보드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을 준비하는 기판 준비단계;
상기 기판의 저면에 복수의 외부접속패드를 형성하는 외부접속패드 형성단계;
상기 기판 상에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층에 외부접속패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회로패턴을 재배치하는 회로패턴 형성단계;
상기 회로패턴 및 반도체소자의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층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회로패턴 및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커패시던스패드를 형성하는 커패시던스패드 형성단계;
상기 전극패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내측펜스 및 외측펜스를 형성하는 펜스 형성단계;
상기 전극패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펜스와 외측펜스 사이에 상기 전극패턴을 감싸는 탄성층을 형성하는 탄성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test board,
A substrat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An external connection pad form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pad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base layer on the substrate and rearranging the circuit pattern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pad to the base layer;
An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on the base lay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 capacitor pad forming step of forming a capacitance pa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nd the electrode pattern;
A fence forming step of forming an inner fence and an outer fence inside and outside the electrode pattern, respectively;
Forming an elastic layer covering the electrode pattern between the inner fence and the outer fence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is expos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 형성단계는, 제1베이스층에 외부접속패드들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제1회로패턴을 형성하는 제1회로패턴 형성단계; 제2베이스층에 상기 제1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회로패턴을 형성하는 제2회로패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may include a first circuit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circuit pattern in the first base layer so as to correspond to an interval between external connection pads; And forming a second circuit pattern on the second base lay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patter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액상의 폴리이미드 소재를 도포 후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as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liquid polyimide material and then curing the base material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 형성단계는,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1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2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제2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3전극패턴 형성단계; 상기 제3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층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제4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4전극패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 second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 third electrode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third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forming a fourth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pattern and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탄성층은 커패시던스패드를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소켓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 the forming of the elastic layer, the elastic layer is formed to seal the capacitance pad.
KR1020160152628A 2016-11-16 2016-11-16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8780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28A KR101878075B1 (en) 2016-11-16 2016-11-16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PCT/KR2016/013982 WO2018092967A1 (en) 2016-11-16 2016-11-30 Test-socket for fan-out type semico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28A KR101878075B1 (en) 2016-11-16 2016-11-16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60A KR20180055160A (en) 2018-05-25
KR101878075B1 true KR101878075B1 (en) 2018-07-12

Family

ID=6214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8075B1 (en) 2016-11-16 2016-11-16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8075B1 (en)
WO (1) WO2018092967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934A (en) * 1994-10-04 1996-04-23 Nippon Avionics Co Ltd IC burn-in equipment
KR100817083B1 (en) * 2007-01-30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be card
KR101410866B1 (en) * 2013-04-16 2014-06-24 신종천 Semiconductor chip test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7608B1 (en) * 2013-09-30 2015-03-03 주식회사 세미코어 Semiconductor test s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pitch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0259B2 (en) * 2008-02-01 2012-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carrier space transformer and temporary chip attach burn-in vehicle for high density connec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934A (en) * 1994-10-04 1996-04-23 Nippon Avionics Co Ltd IC burn-in equipment
KR100817083B1 (en) * 2007-01-30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be card
KR101410866B1 (en) * 2013-04-16 2014-06-24 신종천 Semiconductor chip test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7608B1 (en) * 2013-09-30 2015-03-03 주식회사 세미코어 Semiconductor test s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pitch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60A (en) 2018-05-25
WO2018092967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291B1 (en)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US8146245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wafer level test probe card
US5414298A (en) Semiconductor chip assemblies and components with pressure contact
KR101045671B1 (en) Probe Card with Spatial Transducer
KR10149608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 contact array structure for interposer and semiconductor device test
JP2010514218A (en) Compliance microelectronic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0980369B1 (en) Probe needle structure of the probe c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10001505A1 (en) Test sockets fabricated by mems technology for testing of semiconductor devices
KR101345308B1 (en) Probe Card
JP434325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CN109585317B (en) Test equipment and test method
KR101546363B1 (en) Micro contact array structure for interposer and semiconductor device te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35179B1 (en) Contactor of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78075B1 (en) Test Socket of Fan-Out Type Semiconductor Device
KR101785428B1 (en) Test Socket of Semiconductor Device
JP4944982B2 (en) Semiconductor wafer inspec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1514636B1 (en) Contactor of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76077B1 (en) Micro probe structure
KR100961454B1 (en) Prob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substrate
JP2011038930A (en) Probe card and test method of device to be inspected
KR101024098B1 (en) Probe Bonding Method
KR100679167B1 (en) Probe card for semiconductor wafer test using coaxial cable
KR10101067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terposer unit and interposer unit
JP4492976B2 (en) Semiconductor device
JP4877465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method, semiconductor wa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