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55B1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7755B1 KR101877755B1 KR1020160041854A KR20160041854A KR101877755B1 KR 101877755 B1 KR101877755 B1 KR 101877755B1 KR 1020160041854 A KR1020160041854 A KR 1020160041854A KR 20160041854 A KR20160041854 A KR 20160041854A KR 101877755 B1 KR101877755 B1 KR 101877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pores
- electrolyte membrane
- porous support
- ptf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9—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thermal other than drying, e.g. sinte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02E60/521—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
연신비 | 1:10 | 1:6 | 1:14 | 1:10 | 1:10 | 1:10 | 1:10 | 1:10 | |
2축 연신 |
연신온도(℃) | 280 | 280 | 280 | 220 | 330 | 280 | 280 | 280 |
PTFE 미세분말 비중 | 2.15 | 2.15 | 2.15 | 2.15 | 2.15 | 2.13 | 2.145 | 2.165 | |
백금담지탄소입자 함량(중량부)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
직경100nm미만(%) | 22 | 45 | 22 | 37 | 15 | 39 | 32 | 18 | |
직경100~500nm(%) | 50 | 30 | 32 | 45 | 51 | 32 | 43 | 45 | |
직경500nm초과(%) | 28 | 15 | 47 | 18 | 34 | 29 | 25 | 27 | |
두께변동계수(%) | 8 | 8 | 9 | 8 | 9 | 9 | 9 | 8 | |
무게변동계수(%) | 224 | 171 | 211 | 181 | 211 | 165 | 178 | 206 | |
인장강도(MPa) | 57 | 51 | 28 | 50 | 29 | 31 | 45 | 28 |
구분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
연신비 | 1:10 | 1:10 | 1:10 | 1:10 | 1:3 | 1:18 | 1:10 | 1:10 | |
2축 연신 |
연신온도(℃) | 280 | 280 | 280 | 280 | 280 | 280 | 180 | 340 |
PTFE 미세분말 비중 | 2.18 | 2.15 | 2.15 | 2.15 | 2.15 | 2.15 | 2.15 | 2.15 | |
백금담지탄소입자 함량(중량부) | 0.5 | 0.01 | 4.5 | 6 | 0.5 | 0.5 | 0.5 | 0.5 | |
직경100nm미만(%) | 9 | 20 | 17 | 15 | 54 | 13 | 49 | 9 | |
직경100~500nm(%) | 49 | 48 | 53 | 59 | 27 | 36 | 32 | 25 | |
직경500nm초과(%) | 41 | 32 | 30 | 26 | 19 | 51 | 19 | 66 | |
두께변동계수(%) | 8 | 8 | 12 | 15 | 16 | 9 | 14 | 9 | |
무게변동계수(%) | 207 | 163 | 252 | 304 | 121 | 187 | 138 | 207 | |
인장강도(MPa) | 18 | 58 | 12 | 7 | 51 | 13 | 50 | 17 |
22 : 촉매층 23 : 전극 기재
20 : 전극
Claims (21)
- PTFE 다공성 지지체; 및
PTFE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 및 기공 내에 불소계 이오노머;를 포함하며,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에 형성된 기공은 평균직경 100 nm 미만의 기공 10~50%, 평균직경 100 ~ 500 nm의 기공 20~ 60% 및 평균직경 500 nm를 초과하는 기공 10 ~ 5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은 전체 기공의 부피에 대하여 폐색된 기공의 부피가 90 부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이오노머는 나피온(Nafion), 플레미온(Flemion), 및 아시플렉스(Aciple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 제1항에 있어서, PTFE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 및 기공 내에 제올라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및 몬모릴로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흡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 및 기공 내에 백금 담지 탄소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백금 담지 탄소입자는 평균직경 1 ~ 3 ㎛의 제1탄소입자 및 평균직경 300 nm 이하의 제2탄소입자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 담지 탄소입자는 제1탄소입자 및 제2탄소입자를 1 : 0.1~ 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 소정의 종횡비를 갖는 기공을 포함하는 PTFE 다공성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를 불소계 이오노머 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및
함침한 PTFE 다공성 지지체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에 형성된 기공은 평균직경 100 nm 미만의 기공을 10 ~ 50%, 평균직경 100 ~ 500 nm의 기공을 20 ~ 60% 및 평균직경 500 nm를 초과하는 기공을 10 ~ 50%로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 및 기공 내에 백금 담지 탄소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백금 담지 탄소입자는 평균직경 1 ~ 3 ㎛의 제1탄소입자 및 평균직경 300 nm 이하의 제2탄소입자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 담지 탄소입자는 제1탄소입자 및 제2탄소입자를 1 : 0.1~ 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는 2축연신된 PTFE 시트를 소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2축연신은 1축연신비 및 2축연신비가 1 : 5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은 250℃ ~ 450℃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축연신된 PTFE 시트는,
비중 2.14 ~ 2.17인 PTFE 미세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윤활제 10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를 50 ~ 90 ℃의 온도에서 10 ~ 15 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페이스트를 압축하여 PTFE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PTFE 블록을 400 ~ 800 psi 압력으로 압출하여 PTFE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PTFE 시트를 건조시켜 상기 윤활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윤활제가 제거된 PTFE 시트를 2축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다공성 지지체는 평균기공 크기가 0.10 ~ 0.50 ㎛이고, 기공률이 60 ~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이오노머 용액은 용매 75 ~ 95 중량% 및 불소계 이오노머 5 ~ 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이오노머는 나피온(Nafion), 플레미온(Flemion), 및 아시플렉스(Aciplex)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계 이오노머 용액은 제올라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및 몬모릴로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흡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60 ~ 100 온도에서 1분 ~ 30 분 동안 수행하고,
상기 열처리는 100 ~ 200 ℃ 온도에서 1분 ~ 5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및
상기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양면에 접합되고, 촉매층 및 기체 확산층을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다공성지지체는 상기 기공의 장축이 상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
- 제19항의 막-전극 접합체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기 발생부;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1854A KR101877755B1 (ko) | 2016-04-05 | 2016-04-05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PCT/KR2016/003556 WO2017175892A1 (ko) | 2016-04-05 | 2016-04-06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1854A KR101877755B1 (ko) | 2016-04-05 | 2016-04-05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4612A KR20170114612A (ko) | 2017-10-16 |
KR101877755B1 true KR101877755B1 (ko) | 2018-07-13 |
Family
ID=6000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1854A Active KR101877755B1 (ko) | 2016-04-05 | 2016-04-05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7755B1 (ko) |
WO (1) | WO201717589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8824A (ko) | 2019-09-05 | 2021-03-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KR20230070598A (ko) | 2021-11-15 | 2023-05-23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8400B1 (ko) * | 2018-02-14 | 2019-08-08 | 코오롱머티리얼 주식회사 | 고분자 전해질 막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8749A (ko) * | 2010-09-15 | 2012-06-27 | 도요타 지도샤(주) | 막전극 접합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연료전지 |
JP2015128060A (ja) * | 2013-11-29 | 2015-07-09 |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高分子電解質膜 |
KR20150135116A (ko) * | 2014-05-22 | 2015-12-02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복합 전해질 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52705B2 (en) * | 2005-09-26 | 2014-02-18 | W.L. Gore & Associates, Inc. | Solid polymer electrolyt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JP2009231049A (ja) * | 2008-03-24 | 2009-10-08 | Fujifilm Corp | 白金担持カーボン、燃料電池用触媒、電極膜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
CN104115318A (zh) * | 2012-02-23 | 2014-10-22 | 凸版印刷株式会社 | 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用膜电极接合体及其制造方法、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 |
JP6364821B2 (ja) * | 2014-03-04 | 2018-08-01 | 凸版印刷株式会社 | 触媒インク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及び白金担持炭素粒子 |
-
2016
- 2016-04-05 KR KR1020160041854A patent/KR101877755B1/ko active Active
- 2016-04-06 WO PCT/KR2016/003556 patent/WO201717589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8749A (ko) * | 2010-09-15 | 2012-06-27 | 도요타 지도샤(주) | 막전극 접합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연료전지 |
JP2015128060A (ja) * | 2013-11-29 | 2015-07-09 |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高分子電解質膜 |
KR20150135116A (ko) * | 2014-05-22 | 2015-12-02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복합 전해질 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8824A (ko) | 2019-09-05 | 2021-03-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US11557783B2 (en) | 2019-09-05 | 2023-01-17 | Hyundai Motor Company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30070598A (ko) | 2021-11-15 | 2023-05-23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75892A1 (ko) | 2017-10-12 |
KR20170114612A (ko) | 2017-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7753B1 (ko)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860873B1 (ko) | 연료전지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79622B1 (ko) | 비대칭 밀도 구배를 가지는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2321252B1 (ko) |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
KR20220057565A (ko) | 막 전극 조립체 | |
KR20190131690A (ko) |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1877755B1 (ko)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20190131687A (ko) |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1877750B1 (ko)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JP2005108770A (ja) | 電解質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 |
KR102469537B1 (ko) | Pemfc 전해질막용 고내구성 향상제,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469429B1 (ko) | Pemfc 전해질막용 내구성 향상제,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전해질막 및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20190131688A (ko) |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212936B1 (ko) |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212937B1 (ko) |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212933B1 (ko) |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212935B1 (ko) |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321256B1 (ko) |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321255B1 (ko) |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
KR101860856B1 (ko) | 연료전지 전해질막용 고연신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69538B1 (ko) | Pemfc 전해질막용 내구성 향상제,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085208B1 (ko) |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469428B1 (ko) | Pemfc 전해질막용 내구성 향상제,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2518521B1 (ko) |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 |
KR102300433B1 (ko) |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pemfc용 막-전극 접합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