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6030B1 -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 Google Patents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030B1
KR101876030B1 KR1020160073612A KR20160073612A KR101876030B1 KR 101876030 B1 KR101876030 B1 KR 101876030B1 KR 1020160073612 A KR1020160073612 A KR 1020160073612A KR 20160073612 A KR20160073612 A KR 20160073612A KR 101876030 B1 KR101876030 B1 KR 10187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blower
case
wind
ro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899A (ko
Inventor
손영
Original Assignee
동해기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기연(주) filed Critical 동해기연(주)
Priority to KR102016007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0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0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4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sound 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방향으로 유도 흡입 및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회전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유도 배출시켜줌으로 토출구로의 효율적인 토출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임펠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줌으로 저소음 송풍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Blower with noise reduced and wind induced structure}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토출구로 유도 배출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케이스이 내부에서 임펠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진동에 의한 소음이나 바람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용 송풍기는 실내에 공기를 토출하여 환기시키거나 냉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용 송풍기에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다양한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들은 공기조화기의 공기 유동성을 저해한다.
그래서, 상기 공기조화기용 송풍기는 다른 종류의 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압이 높게 발생되는 원심 송풍기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심 송풍기는 축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게 구성된 것으로, 축방향으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벨마우스가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가 구성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강하게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임펠러를 갖는 모터 구동형 임펠러가 구성된다.
즉, 모터 구동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면 케이스의 벨마우스를 통해 공기를 흡입 및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풍기는 임펠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내부에서 미세한 진동과 임펠러의 바람과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이 케이스의 벽면에 그대로 부딪히게 되는 것인바, 이에 따른 배출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 등 그 토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990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송풍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방향으로 유도 흡입 및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회전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유도 배출시켜줌으로 토출구로의 효율적인 토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임펠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줌으로 저소음 송풍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축방향 전방에는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벨마우스가 형성되고 회전반경 방향에는 상부와 양측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바람을 유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아웃렛 가이드베인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임펠러의 회전 반대방향에서 임펠러의 외경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상부로 돌출되는 곡률형 컷오프부와 컷오프부로부터 회전 반대방향측을 향하게 하방 경사를 이루는 제1 바람유도면과 컷오프부로부터 회전방향측을 향하게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며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점차 낮아지는 하방 곡률면과, 하방 곡률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게 곡률을 이루는 상방 곡률면으로 된 제2 바람유도면으로 된 바람 유도수단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임펠러와, 임펠러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된 공지의 송풍기에 있어서,
케이스의 벨마우스의 내주면에는 임펠러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게 방사상으로 다수의 인렛 가이드베인을 돌출 형성하고,
임펠러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임펠러와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서 아웃렛 가이드베인을 사이에 두고 환형을 이루는 한 쌍의 소음 저감부재를 더 형성하되,
소음 저감부재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흡음재 케이스의 내부에 흡음재가 충전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는, 케이스의 밸마우스에 다수의 인렛 가이드베인이 형성되어 있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도 유입이 가능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임펠러를 중심으로하여 주연부에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아웃렛 가이드베인이 형성되어 있어 임펠러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토출구로 효과적으로 유도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송풍기의 성능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 대항되는 전방 및 후면에 소음 저감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작동상태도.
도 6는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컷오프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정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1)는, 먼저, 케이스(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케이스(10)는 축방향 전방에는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벨마우스(11)가 형성되고, 회전반경 방향에는 상부와 양측으로 3방향을 이루는 토출구(12)(12')가 형성된 사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임펠러(20)가 형성된 것으로, 이때, 임펠러(20)는 휠(21)의 전면 주변에 다수의 블레이드(22)(22')가 형성되고, 후면 중앙에는 허브(23)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축방향 외측 후방에는 상기 임펠러(20)의 허브(23)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0)가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1)는, 상기 케이스(10)의 벨마우스(11)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인렛 가이드베인(100)(100')이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인렛 가이드베인(100)(100')은, 임펠러(20)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임펠러(20)가 회전하여 바람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한 쌍의 소음 저감부재(200)(200')가 구성된 것으로, 소음 저감부재(200)(200')는, 임펠러(20)와 간섭받지 않도록 그 임펠러(20)의 전방 및 후방 둘레에 형성되는 중앙 관통형 환형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소음 저감부재(200)(200')는, 다수의 통공(211)(211')이 형성된 망체 형태의 흡음재 케이스(210)를 이루며, 그 흡음재 케이스(210)의 내부에 흡음재(220)가 충전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임펠러(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바람을 유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이 구성된 것으로,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은, 상기 한 쌍의 소음 저감부재(200)(200')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은, 임펠러(20)를 정면에서 바라볼시 임펠러(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회전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어 배출되는 바람이 회전 방향으로 유도 배출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1)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저면으로 배출되는 바람에 대하여 유도 배출시켜 저면의 충돌로 인한 진동의 방지 및 배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바람 유도수단(40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바람 유도수단(400)은, 먼저, 임펠러(20)를 중심으로 회전 반대방향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임펠러(20)의 외경과는 소정 이격되게 근접 형성되는 컷오프부(410)가 구성된 것으로, 컷오프부(410)는 단면상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상부 돌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컷오프부(410)로부터는 제1 바람유도면(420)이 연장 형성된 것으로, 제1 바람유도면(420)은, 컷오프부(410)의 회전 반대방향측으로 연장되되, 하방 경사를 이루며 케이스(10)의 일측 토출구(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컷오프부(410)로부터는 제2 바람유도면(430)이 연장 형성된 것으로, 제2 바람유도면(430)은, 컷오프부(410)의 회전방향측으로 연장되되, 케이스(10)의 하부에서 임펠러(20)의 하부에 위치되며,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점차 낮아지는 하방 곡률면(431)과 그 하방 곡률면(431)으로부터 상부를 향하게 곡률을 이루며 타측의 토출구(12')와 연결되는 상방 곡률면(432)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통상의 송풍기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방에 형성된 벨마우스(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그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임펠러(20)의 회전력에 의해 사방으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 송풍기(1)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설치시 그 저면이 지면에 밀착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케이스(10)의 상부 및 양측에 형성된 토출구(12)(12')를 통해 배출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송풍기(1)는, 상기와 같이 공기가 벨마우스(11)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인렛 가이드베인(100)(100')을 통해 유도 유입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송풍기(1)는 임펠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람의 압력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미세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 송풍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임펠러(20)의 전방 및 후방에 소음 저감부재(200)(200')가 형성된 것인바, 임펠러(20)의 회전 반경 이외로 분산되는 바람이 흡음재 케이스(210)의 통공(211)(211')으로 유입되는 한편 흡음재(220)에 흡수되어 소멸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송풍기(1)는, 임펠러(20)의 둘레에서 소음 저감부재(200)(200')의 사이에 임펠러(20)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방사상으로 다수의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이 형성된 것인바, 그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모서리 등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원활하게 토출구(12)(12')로의 토출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이러한 토출은 바람은 토출구(12)(12')로의 원활한 유동에 의해 정압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며, 임펠러(20)의 회전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송풍기(1)는, 도 4를 참조하여 송풍기(1)가 설치된 저면에 대하여 내부에 바람 유도수단(400)을 형성시에는, 바람 유도수단(40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임펠러(20)의 회전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이 컷오프부(410) 구간에 도달시 분리되는 것으로, 먼저 일부의 바람은 제1 바람유도면(420)의 하방 경사도에 따라 토출구(12)를 통해 유도 배출되게 된다.
또한, 분리된 나머지 바람은 임펠러(20)와 컷오프부(410)의 사이를 통해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이동하는 바람은 컷오프부(410)로부터 하방 곡률면(431)을 따라 반대측으로 이동 및 연속하여 상방 곡률면(432)을 따라 토출구(12')로 유도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바람 유도수단(400)에서는, 케이스(10)의 내측 하부로 진입되어 바닥면에 전해지는 풍압을 컷오프부(410)를 통해 분산하여 배출이 가능하게 됨으로, 케이스(10) 하부에서의 난류를 방지하게 되며, 이에 바람의 충돌로 인한 송풍기(1)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도, 바람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게 됨으로 배출 효율의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는, 인렛 가이드베인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도가 가능하게 되는 한편, 아웃렛 가이드베인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유도 토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토출되는 바람의 정압 상승을 가져오게 되며, 특히, 소음 저감부재를 통해 미세한 진동이나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압력으로 인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 송풍기의 토출 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10 : 케이스 11 : 벨마우스
12,12' : 토출구 20 : 임펠러
21 : 휠 22,22' : 블레이드
23 : 허브 30 : 모터
100,100 : 인렛 가이드베인 200,200' : 소음 저감부재
210 : 흡음재 케이스 211,211' : 통공
220 : 흡음재
300,300' : 아웃렛 가이드베인 400 : 바람 유도수단
410 : 바람 유도면 410 : 컷오프
420 : 제1 바람유도면 430 : 제2 바람유도면
431 : 하방 곡률면 432 : 상방 곡률면

Claims (3)

  1. 축방향 전방에는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벨마우스(11)가 형성되고 회전반경 방향에는 상부와 양측에 다수의 토출구(12)(1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바람을 유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임펠러(20)의 회전 반대방향에서 임펠러(20)의 외경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상부로 돌출되는 곡률형 컷오프부(410)와 컷오프부(410)로부터 회전 반대방향측을 향하게 하방 경사를 이루는 제1 바람유도면(420)과 컷오프부(410)로부터 회전방향측을 향하게 케이스(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점차 낮아지는 하방 곡률면(431)과, 하방 곡률면(431)으로부터 상부를 향하게 곡률을 이루는 상방 곡률면(432)으로 된 제2 바람유도면(430)으로 된 바람 유도수단(400)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임펠러(20)와, 임펠러(20)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0)로 된 공지의 송풍기에 있어서,
    케이스(10)의 벨마우스(11)의 내주면에는 임펠러(20)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게 방사상으로 다수의 인렛 가이드베인(100)(100')을 돌출 형성하고,
    임펠러(2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임펠러(20)와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서 아웃렛 가이드베인(300)(300')을 사이에 두고 환형을 이루는 한 쌍의 소음 저감부재(200)(200')를 더 형성하되,
    소음 저감부재(200)(200')는,
    다수의 통공(211)(211')이 형성된 흡음재 케이스(210)의 내부에 흡음재(220)가 충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73612A 2016-06-14 2016-06-14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Active KR10187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612A KR101876030B1 (ko) 2016-06-14 2016-06-14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612A KR101876030B1 (ko) 2016-06-14 2016-06-14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899A KR20170140899A (ko) 2017-12-22
KR101876030B1 true KR101876030B1 (ko) 2018-07-09

Family

ID=6093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612A Active KR101876030B1 (ko) 2016-06-14 2016-06-14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61A (ko) 2019-05-28 2020-12-08 김순구 실내외 환기 시스템 용 저소음 블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0743B2 (ja) * 2018-06-21 2022-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動送風機および電動掃除機
CN110857789B (zh) * 2018-08-23 2024-08-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
KR102559756B1 (ko) 2018-09-14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9353485B (zh) * 2018-10-16 2024-08-30 上海交通大学 船舶密封舱用空气净化器及其减振降噪优化方法
CN110685963B (zh) * 2019-09-23 2024-07-19 浙江工业大学 一种集成灶用降噪减振型风道系统
CN110552906A (zh) * 2019-10-15 2019-12-10 浙江上建风机有限公司 一种地铁诱导风机
CN114076123B (zh) * 2020-08-10 2025-03-0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导风圈、离心风机和抽油烟机
CN114673684B (zh) * 2021-12-07 2025-01-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离心风机及空调器
CN114352559A (zh) * 2022-02-16 2022-04-15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进风圈组件、离心风机及油烟机
CN115596710A (zh) * 2022-10-19 2023-01-13 广东惠利普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Cn) 一种风机蜗壳结构
KR102804616B1 (ko) * 2023-12-28 2025-05-09 주식회사 금성풍력 와류저감구조를 갖는 원심형 송풍기 하우징
CN118008852B (zh) * 2024-02-04 2024-09-10 广东肇庆德通有限公司 一种蜗壳离心通风机装置
CN118757416B (zh) * 2024-08-02 2025-01-28 江苏精彩风机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结构的高压离心风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522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 에어컨모듈의 송풍기 소음 저감구조
KR200204216Y1 (ko) * 2000-05-16 2000-11-15 주식회사엘.지.에이 송풍기의 에어가이드 구조
JP2001153096A (ja) * 1999-11-30 2001-06-05 Maruyama Mfg Co Ltd 遠心送風機及び携帯式送風装置
KR20090061379A (ko) * 2007-12-11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522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 에어컨모듈의 송풍기 소음 저감구조
JP2001153096A (ja) * 1999-11-30 2001-06-05 Maruyama Mfg Co Ltd 遠心送風機及び携帯式送風装置
KR200204216Y1 (ko) * 2000-05-16 2000-11-15 주식회사엘.지.에이 송풍기의 에어가이드 구조
KR20090061379A (ko) * 2007-12-11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61A (ko) 2019-05-28 2020-12-08 김순구 실내외 환기 시스템 용 저소음 블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899A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030B1 (ko)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JP6143596B2 (ja) 遠心送風機及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TWI394895B (zh) Centrifugal fans and air fluid machinery using the centrifugal fan
WO2016068280A1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US11420544B2 (en) Cooling fan and seat cool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31707B1 (ko) 공기조화기
JP5728209B2 (ja) 遠心式ファン
KR20170051374A (ko)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8612671B (zh) 扇轮结构
CN105051374B (zh) 鼓风装置
CN101187383A (zh) 涡轮风扇及具有该涡轮风扇的空调
WO2018003017A1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EP3406910A1 (en) Centrifugal fan impeller
CN204783822U (zh) 离心鼓风机
JP2017125405A5 (ko)
JP6695419B2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CN109519416B (zh) 一种离心风机
JP6102698B2 (ja) 送風装置
JP2011247096A (ja) 送風装置
JP2018105294A (ja) 遠心ファン
JP7022638B2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2642459B1 (ko) 고효율 원심형 송풍기
JP2020020338A (ja) 送風機
KR1019503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JP4915791B2 (ja) 遠心式多翼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