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877B1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Google Patents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877B1 KR101875877B1 KR1020170085071A KR20170085071A KR101875877B1 KR 101875877 B1 KR101875877 B1 KR 101875877B1 KR 1020170085071 A KR1020170085071 A KR 1020170085071A KR 20170085071 A KR20170085071 A KR 20170085071A KR 101875877 B1 KR101875877 B1 KR 101875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level
- tank
- main
- level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잔교에 부분 또는 전체적인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 인해 예측 가능한 연결부위 또는 폰툰의 훼손 현상이나 선하적 시 또는 사람이 오르내릴 때의 번거로움을 자체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보완할 수 있는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상에서 부유 가능한 부잔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위조절 탱크(10)와; 복수개의 상기 수위조절 탱크(10) 각각에 대해 충수(充水) 또는 퇴수(退水)시키기 위한 펌핑 수단(20)과; 각각의 상기 수위조절 탱크(10)의 수위, 부잔교의 수평도 및 부잔교 하부의 수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30)과; 상기 감지 수단(30)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핑 수단(2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수위조절 탱크(10)에 대해 충수 또는 퇴수되는 수량(水量)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bridge having a partial or total imbalance in a floating bridge, which causes a predictable connection portion or a pontoon to be dama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quilibrium reinforcement type floating bridge capable of maintaining and maintaining a stat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level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evel control tanks (10) provided in floating floats capable of floating in an aquarium; Pumping means (20) for watering or discharging water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level control tanks (10); Sensing means (30)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a water level of each level control tank (10), a horizontal level of a floating bridge and a level of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ridge; Control means (4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water amount) to be added or discharged to each level control tank (10) through the pumping means (20)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30) ; 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잔교에 부분 또는 전체적인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 인해 예측 가능한 연결부위 또는 폰툰의 훼손 현상이나 선하적 시 또는 사람이 오르내릴 때의 번거로움을 자체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보완할 수 있는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bridge having a partial or total imbalance in a floating bridge, which causes a predictable connection portion or a pontoon to be dama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quilibrium reinforcement type floating bridge capable of maintaining and maintaining a state.
일반적으로 부잔교는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공연장, 수상 해안 산책길, 소형 선박의 접안을 위한 요트 계류장, 수상 가옥, 김·굴·멍게 등의 수상 작업장이나 가두리 양식장, 관리 도로 등과 같은 부교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물에 뜨는 부력체 위에 철근 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바닥판 또는 데크를 형성한 것이며, 이는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 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Floating bridges generally refer to watercraft roads, aqueducts, waterfront seaside promenades, yacht mooring boats for small boats, water houses such as water gardens, caves, cages and ponds, management roads, etc. Which is formed by forming a bottom plate or deck on a buoyant body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eel plate, or wood on the surface of water, which is mainly used in a place where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ides and other places.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4277호에서는 수상에 설치되어 호안(200)과 연결되고 선박 접안용으로 이용되는 부잔교(100)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수상에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까지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갖되 FRP소재로 형성된 하우징(110)과, 부력을 높이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우징 상부에 결합된 상판이 구비된다. 또한 수면과 직접 대하는 부유체의 하우징이 FRP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며 일부 셀의 파손에 의한 누수에 의해서도 부유력의 변동이 적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내부 셀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어 보수의 용이성 및 일부를 수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들이 제공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4277 of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그런데, 최근에 들어 국내 마리나 활성화 계획이 발표되면서 관련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부잔교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부잔교의 평형이 틀어지게 되면 이용자의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연결부의 응력 집중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이유로, 이러한 부잔교의 연결부위나 폰툰과 같은 부속물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the announcement of the marina revitalization plan in Korea, the demand for related facilities is expected to increase sharply. Various floodplain bridges have been developed. Especially, when the equilibrium of the floating bridges is changed, safety of the user is impaired, ,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research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attachment of such floats and the adjuncts such as pontoon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속적인 불균형으로 인한 부잔교의 부분 또는 전체적 훼손이나 선하적 시 작업상의 불편한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 bridg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 partial or total depreciation of a floating bridge due to a continuous imbalance,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상에서 부유 가능한 부잔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위조절 탱크와; 복수개의 상기 수위조절 탱크 각각에 대해 충수(充水) 또는 퇴수(退水)시키기 위한 펌핑 수단과; 각각의 상기 수위조절 탱크의 수위, 부잔교의 수평도 및 부잔교 하부의 수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과;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핑 수단을 통해 각각의 상기 수위조절 탱크에 대해 충수 또는 퇴수되는 수량(水量)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level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evel control tanks provided in floating floats capable of floating in an aquarium; A pumping means for causing the plurality of level control tanks to be filled or withdrawn; Sensing means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a level of each of the level control tanks, a level of a floating bridge and a level of a bottom of the floating bridge;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water to be added or discharged to each of the level control tanks through the pumping means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 탱크는 부잔교 중앙부에 배치되는 메인 수위조절 탱크와, 부잔교 모서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브 수위조절 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is comprised of a main level adjusting tank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a floating bridge and a plurality of sub level adjusting tanks disposed at corners of a floating bridge.
또한 상기 펌핑 수단은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 대해 충수 또는 퇴수시키는데 사용되는 메인 펌프와; 상기 메인 펌프를 통해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에 충수되도록 복수개의 자동밸브가 구비되는 제1 수위조절 라인과; 상기 메인 펌프를 통해 외부 또는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로부터 물이 상기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 충수되거나 서브 수위조절 탱크 내 물이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로 퇴수되도록 복수개의 자동밸브가 구비되는 제2 수위조절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mping means may include a main pump used to add or drain water to the main and sub level control tanks; A first level control l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tomatic valves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level tank through the main pump; A second water level adjusting l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tomatic valves for allowing water from the outside or the main level adjusting tank to be introduced into the sub level adjusting tank through the main pump or water in the sub level adjusting tank to be discharged to the main level adjusting tank, ; And
또한 상기 메인 펌프를 통해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 내 물이 외부로 퇴수되도록 자동밸브가 구비되는 퇴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water discharge line provided with an automatic valve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main lev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pump.
한편으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수위조절 탱크 내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질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질정보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상기 펌핑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수위조절 탱크 내 물을 퇴수시킨 후 외부에서 충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means may include a water quality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in 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and the control means may operate the pumping means when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measuring means is below a certain level, And water is drained from the regulating tank and then sucked outside.
추가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수위조절 탱크 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온도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온도정보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상기 펌핑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수위조절 탱크 내 물과 외부 물을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eans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sensing a temperature in the level adjusting tank, wherein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pumping means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i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reby circulating water and external water in the regulating tank.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는 수위조절 탱크, 펌핑 수단, 감지 수단, 제어 수단 등을 통해 자동적으로 부잔교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음에 따라 부분적인 연결부위나 폰툰에 응력집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잔교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The balance reinforcement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balance the float bridge through 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the pumping means, the sensing means, and the control means so that stress concentration occurs on the partial connecting portion or the pontoon So that the life span of the floating bridge can be prolonged.
또한 부잔교 상에서 사람이 이동하거나 선하적할 시에 기존보다 부잔교의 수평성이 보장됨에 따라 대인 또는 대물에 대한 사고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person moves or lands on a floating land, the level of the float is guaranteed more than befor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accidents or accidents from occurring.
도 1 및 도 2는 종래 부잔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중 수위조절 탱크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중 펌핑수단의 배관라인 작동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받침 레그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를 도시한 도면.1 and 2 show a conventional floating bridg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a balance reinforcement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water level adjusting tank in a floatation reinforced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10 illustrate piping line operation of a pumping means of a balancing reinforcing landing pi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a balance reinforcement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 balance reinforcement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oot le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balance reinforcement floating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상에서 부유 가능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부잔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위조절 탱크(10)와, 수위조절 탱크(10) 각각에 대해 충수(充水) 또는 퇴수(退水)시키기 위한 펌핑 수단(20)과, 수위 조절 탱크(10)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감지 수단(30)과, 감지 수단(30)을 통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위조절 탱크(10)의 충수 또는 퇴수를 조절하는 제어 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floating on a watercourse and basically comprises a plurality of level control tanks (10) provided in floating bridges, pumping (10) for water filling or water withdrawing (20), sensing means (30) for acquiring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10), and water level adjusting means Or control means (40) for regulating water withdrawal.
상기 수위조절 탱크(10)는 물의 유입/유출이 발생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데, 단순히 종래와 같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부잔교에 고정된 형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나, 특히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4277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인 하우징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밀폐된 셀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부잔교 하우징 구조(도 1 및 도 2 참조)를 활용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부잔교 구조에 의하면, 복수개의 밀폐된 셀 각각이 밸러스트 탱크나 본 발명의 수위조절 탱크(10)로 기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도 종래 부잔교 하우징이나 상판 등에 설치되는데 무리가 없으며, 상판은 수위조절 탱크(10) 부분만을 덮는 분할된 형태로도 구조변경 가능한 것 또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float bridge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nt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closed cells can function as a ballast tank or the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 탱크(10)의 일례로는 도 4에서와 같이 가로 및 세로 격벽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셀 중 가운데 부분(1개 이상의 셀로 형성 가능), 즉 부잔교 중앙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하고, 부잔교 모서리에 배치되는 부분(1개 이상의 셀로 형성 가능)을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4, a middle portion (which can be formed by one or more cells) of a plurality of cells seal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artition walls, that is, a portion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ating bridge is referred to as a main water
위와 같은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에 따르면, 우선 메인 수위조절 탱크(11)에 채워지는 물의 중량을 통해 부잔교의 기본적인 균형이 잡힐 수 있게 되고, 부잔교의 4군데 모서리에 위치되는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에 채워지는 수량(水量)에 의해 앞뒤, 좌우 방향의 세부적인 균형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in and sub water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를 참고로 하면,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를 위한 부잔교 하우징이 플라스틱 소재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질 수 있음에 따라 부잔교 전체가 수중에 부유하거나 물을 채워 넣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음을 밝혀둔다.With reference to the registered patent of the present applicant, since the floating bridging housing for the main and sub
상기 펌핑 수단(20)은 복수개의 수위조절 탱크(10), 다시 말해서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 각각에 대해 충수(充水: 물을 보충함) 또는 퇴수(退水: 물을 빼냄)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는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에 대해 충수 또는 퇴수시키는데 사용되는 메인 펌프(21)와, 메인 펌프(21)를 통해 메인 수위조절 탱크(11)에 충수되도록 복수개의 자동밸브(v1, v2)가 구비되는 제1 수위조절 라인(22)과, 메인 펌프(21)를 통해 외부 또는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부터 물이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에 충수되거나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 내 물이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퇴수되도록 복수개의 자동밸브(v1,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3)가 구비되는 제2 수위조절 라인(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mping means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내 물은 상호 순환 가능한 구조에 따르기 때문에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퇴수되어야 하는 상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그 탱크 내에서 증발이나 기타 이유로 물이 부족하거나 오염으로 인해 교체가 요구되는 등의 이유로, 펌핑 수단(20)은 메인 펌프(21)를 통해 메인 수위조절 탱크(11) 내 물이 외부로 퇴수되도록 자동밸브(v3, v14)가 구비되는 퇴수라인(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water in the main and sub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펌핑 수단(20)의 동작 원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umping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외부에서 메인 수위조절 탱크에 충수 시 조건: 도 5 참조><Condition for external main water level adjustment tank: see FIG. 5>
-자동밸브(v1, v2) 개방- Automatic valve (v1, v2) open
-자동밸브(v3, v4, v13, v14) 폐쇄- Automatic valves (v3, v4, v13, v14) closed
-기타 자동밸브 개폐 무관- Other automatic valve opening and closing
위와 같은 자동밸브 개폐 조건에 따라 메인 펌프(21) 동작 시 외부(강, 바다 등) 물이 자동밸브(v1, v2)를 거쳐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충수가 가능해짐.According to the automatic valve opening / closing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external (river, sea, etc.)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level control tank (11) through the automatic valves (v1, v2) during operation of the main pump (21).
<메인 수위조절 탱크에서 서브 수위조절 탱크로 충수 시 조건예 1: 도 6 참조>≪ Main water level control tank to sub water level control tank < tb > Condition 1 < tb >
-자동밸브(v3, v4) 개방- Automatic valve (v3, v4) open
-충수 희망하는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 대응하는 자동밸브(v5, v6, v7, v8) 중 선택 개방(예: v5, v6 개방)- Selective opening (eg v5, v6 opening) among the automatic valves (v5, v6, v7, v8) corresponding to the sub-
-자동밸브(예: v1, v2, v7, v8, v9, v10, v13, v14) 폐쇄- Automatic valves (eg v1, v2, v7, v8, v9, v10, v13, v14) Closed
-기타 자동밸브 개폐 무관- Other automatic valve opening and closing
위와 같은 자동밸브 개폐 조건에 따라 메인 펌프(21) 동작 시 메인 수위조절 탱크(11) 물이 자동밸브(v3, v4)를 거쳐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로 충수가 가능해짐.According to the automatic valve opening / closing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water
<메인 수위조절 탱크에서 서브 수위조절 탱크로 충수 시 조건예 2: 도 7 참조>≪ Condition when the main water level control tank is attached to the sub water level control tank Condition 2: See Fig. 7>
-자동밸브(v3, v4) 개방- Automatic valve (v3, v4) open
-충수 희망하는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 대응하는 자동밸브(v5, v6, v7, v8) 중 선택 개방(예: v7, v8 개방)- Selective opening (eg v7, v8 opening) among the automatic valves (v5, v6, v7, v8)
-자동밸브(예: v1, v2, v5, v6, v11, v12, v13, v14) 폐쇄- Automatic valves (eg v1, v2, v5, v6, v11, v12, v13, v14) Closed
-기타 자동밸브 개폐 무관- Other automatic valve opening and closing
위와 같은 자동밸브 개폐 조건에 따라 메인 펌프(21) 동작 시 메인 수위조절 탱크(11) 물이 자동밸브(v3, v4)를 거쳐 서브 수위조절 탱크(14, 15)로 충수가 가능해짐.According to the automatic valve opening / closing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water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서 메인 수위조절 탱크로 퇴수 시 조건예 1: 도 8 참조>≪ Exhausted from sub-level control tank to main level control tank Condition Example 1: See Fig. 8 >
-퇴수 희망하는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 대응하는 자동밸브(v9, v10, v11, v12) 중 선택 개방(예: v9, v10 개방)- Selective opening (eg v9, v10 opening) of automatic valves (v9, v10, v11, v12)
-자동 밸브(v2, v13) 개방 - Automatic valve (v2, v13) open
-자동밸브(예: v1, v3, v4, v5, v6, v11, v12, v14) 폐쇄- Automatic valves (eg v1, v3, v4, v5, v6, v11, v12, v14) Closed
-기타 자동밸브 개폐 무관- Other automatic valve opening and closing
위와 같은 자동밸브 개폐 조건에 따라 메인 펌프(21) 동작 시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물이 자동밸브(v13, v2)를 거쳐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퇴수가 가능해짐.According to the automatic valve opening / closing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 the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서 메인 수위조절 탱크로 퇴수 시 조건예 2: 도 9 참조>≪ Exhausting from sub-level control tank to main level control tank Condition Example 2: See Fig. 9 >
-퇴수 희망하는 서브 수위조절 탱크에 대응하는 자동밸브(v9, v10, v11, v12) 중 선택 개방(예: v11, v12 개방)- Selective opening (eg v11, v12 opening) of automatic valves (v9, v10, v11, v12)
-자동 밸브(v2, v13) 개방 - Automatic valve (v2, v13) open
-자동밸브(예: v1, v3, v4, v7, v8, v9, v10, v14) 폐쇄- Automatic valve closed (eg v1, v3, v4, v7, v8, v9, v10, v14)
-기타 자동밸브 개폐 무관- Other automatic valve opening and closing
위와 같은 자동밸브 개폐 조건에 따라 메인 펌프(21) 동작 시 서브 수위조절 탱크(14, 15) 물이 자동밸브(v13, v2)를 거쳐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퇴수가 가능해짐.According to the automatic valve opening / closing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b water
<메인 수위조절 탱크에서 외부로 퇴수 시 조건: 도 10 참조><Conditions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main level control tank to the outside: see FIG. 10>
-자동밸브(v3, v14) 개방- Open the automatic valve (v3, v14)
-자동밸브(v1, v2, v4, v13) 폐쇄- Automatic valve closing (v1, v2, v4, v13)
-기타 자동밸브 개폐 무관- Other automatic valve opening and closing
위와 같은 자동밸브 개폐 조건에 따라 메인 펌프(21) 동작 시 메인 수위조절 탱크(11) 내 물이 자동밸브(v3, v14)를 거쳐 외부(강, 바다 등)로 퇴수가 가능해짐.The water in the main
참고로 상기 펌핑 수단(20)은 단일한 메인 펌프(21)를 통해 전체적인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의 충수 또는 퇴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고가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이러한 라인을 구축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히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에서 강, 바다와 같은 외부로 직접적인 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만 퇴수되도록 하여 제2 수위조절 라인(23)을 최대한 간소화할 수 있게 한다.The pumping means 20 is capable of supplying or discharging the entire main and sub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감지 수단 및 제어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balance reinforcement floating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ensing means and the control mea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감지 수단(30)은 각각의 수위조절 탱크(10), 즉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의 수위와, 부잔교의 수평도와, 부잔교 하부의 수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부잔교의 수평도를 제어 수단(40)이 조정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 각각의 내부에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거나, 부잔교 상판에 수평계 센서가 설치되거나, 물에 잠기는 부잔교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sensing means 30 senses the level of each of the
이러한 상기 감지 수단(30)에 따르면,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 중 특정 탱크 내 물이 부족할 경우 부잔교 균형이 맞지 않음이 간접적으로 감지되거나, 수평계를 통해 부잔교 앞뒤, 좌우 중 균형이 맞지 않는 부분이 직접적으로 감지되거나, 물에 잠긴 부잔교의 부분적인 수위 고저차가 감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ecting
상기 제어 수단(40)은 감지 수단(30)에 의해 측정된 정보(수위조절 탱크(10) 내 수량(水量), 부잔교 수평상태 정보, 부잔교의 부분적 수위 고저차)에 기초하여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 중 특정 탱크에 대해 물을 충수 또는 퇴수시켜 부잔교의 전체적인 균형이 맞도록 펌핑 수단(20)을 제어하여 수위조절 탱크(10)에 대해 충수 또는 퇴수되는 수량(水量)을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The control means 40 controls the main and sub
한편으로 상기 수위조절 탱크(10) 내 물이 장기적으로 그 탱크 내에서만 순환되거나 오랫동안 정체되어 있을 경우 수질 오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위조절 탱크(10) 내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시에 부잔교 주변의 하천, 바다 등 또한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책으로 감지 수단(30)이 수위조절 탱크(10) 내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측정기, COD(Chemical Oxygen Demand) 측정기, pH 측정기 등과 같은 수질측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제어 수단(40)이 그 수질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질정보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펌핑 수단(20)을 작동시켜 수위조절 탱크(10) 내 물을 퇴수시킨 후 외부에서 충수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water in the
또한 상기 수위조절 탱크(10) 내 물이 동절기에 정체된 상태로 있을 경우 동결됨으로 인해 펌핑 수단(20)에 오작동을 유발시키거나 부피 확장으로 인해 탱크가 훼손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음에 따라, 이에 대한 방안책으로는 감지 수단(30)이 수위조절 탱크(10) 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온도측정기와 같은 온도감지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여, 그 온도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온도정보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제어 수단(40)이 펌핑 수단(20)을 작동시켜 수위조절 탱크(10) 내 물과 외부 물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수위조절 탱크(10) 내 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water in the
참고로 상기 부잔교는 도 12에서와 같이 그 바닥면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박스형상의 받침 레그(50)를 더 구비하여 지상에서 부잔교를 제작한 다음 수중으로 운반하거나 반대로 수중에서 지상으로 부잔교를 운반할 시에 지면과 부잔교 바닥면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잔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12, the floating bridges may further include a box-shaped
여기서 상기 받침 레그(50)는 부잔교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제1 받침부(51)와, 하면이 개방되고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 및 격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 받침부(5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2 받침부(52)로 이루어져, 제1 받침부(51)에서는 부력을 제공하여 받침 레그(50)로 인해 부잔교가 부유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한편, 제2 받침부(52)에서는 하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관통공으로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잔교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수류(水流)에 의해 받침 레그(50)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부잔교가 안정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
Claims (7)
상기 펌핑 수단(20)은,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에 대해 충수 또는 퇴수시키는데 사용되는 메인 펌프(21)와;
상기 메인 펌프(21)를 통해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11)에 충수되도록 복수개의 자동밸브(v1, v2)가 구비되는 제1 수위조절 라인(22)과;
상기 메인 펌프(21)를 통해 외부 또는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부터 물이 상기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에 충수되거나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 내 물이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 퇴수되도록 복수개의 자동밸브(v1,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3)가 구비되는 제2 수위조절 라인(23);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펌프(21)를 통해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 내 물이 외부로 퇴수되도록 자동밸브(v3, v14)가 구비되는 퇴수라인(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핑 수단(20)은, 단일한 상기 메인 펌프(21)를 통해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위조절 탱크(11, 12, 13, 14, 15)의 충수 또는 퇴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수위조절 탱크(12, 13, 14, 15)에서 외부로 직접적인 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메인 수위조절 탱크(11)로만 퇴수되도록 하여 상기 제2 수위조절 라인(23)을 간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A plurality of leveling tanks (10) provided in floating floats in the water phase; Pumping means (20) for watering or discharging water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level control tanks (10); Sensing means (30)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a water level of each level control tank (10), a horizontal level of a floating bridge and a level of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ridge; Control means (4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water amount) to be added or discharged to each level control tank (10) through the pumping means (20)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30) Wherein the sensing means (30) comprises a water quality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in the level adjustment tank (10) and a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the control means (40) When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mean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pumping means 20 is operated to withdraw the water in 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10 and to fill the water in the water level control tank 10, 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10 circulates water and external water in the level adjusting tank 10 by operating the pumping means 20 when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tank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nd a plurality of sub level regulating tanks (12, 13, 14, 15) arranged at corner edges of the floating bridges, further comprising a box-shaped supporting leg (50) for preven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ing bridge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The support leg 5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51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floor of the floating bridge and having a closed space formed therein, a space opened by a lower surface and divid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52)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51) and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51), the balance reinforcement float
The pumping means (20)
A main pump (21) used for filling or discharging the main and sub level control tanks (11, 12, 13, 14, 15);
A first level control line 2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tomatic valves v1 and v2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level control tank 11 through the main pump 21;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ub-level adjustment tanks 12, 13, 14 and 15 from outside or from the main level tank 11 through the main pump 21 or sub water level adjustment tanks 12, 13, 14 and 15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3 are provided so that water in the main water level control tank An adjustment line (23)
Further comprising a water discharge line (24) provided with automatic valves (v3, v14) so that water in the main water level adjustment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pump (21)
The pumping means 20 is adapted to allow the main and sub level control tanks 11, 12, 13, 14, 15 to be filled or drained through a single main pump 21,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econd level control line 23 by preventing the direct lowering of water from the sub level regulating tanks 12, 13, 14 and 15 and by only draining to the main level regulating tank 11 Wherein the equilibrium-reinforcement-type floata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071A KR101875877B1 (en) | 2017-07-04 | 2017-07-04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071A KR101875877B1 (en) | 2017-07-04 | 2017-07-04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5877B1 true KR101875877B1 (en) | 2018-07-06 |
Family
ID=6292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5071A Active KR101875877B1 (en) | 2017-07-04 | 2017-07-04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87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7487B1 (en) * | 2018-07-27 | 2019-03-12 | 김임만 | pontoon |
KR102007875B1 (en) * | 2019-03-12 | 2019-08-06 | 주식회사 태성공영 | Floating body for floating bridge |
RU2754170C1 (en) * | 2020-11-12 | 2021-08-3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 Floating pier |
KR20230097407A (en) * | 2021-12-24 | 2023-07-03 | 현대건설(주) | Caisson launching apparatus and method without a floating dock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8416A (en) * | 1992-10-01 | 1994-04-19 | Tokyo Seiko Co Ltd | Floating pier with wave breaker |
KR20030083939A (en) * | 2002-04-23 | 2003-11-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loating dock for shipbuilding |
KR100424277B1 (en) * | 2002-11-21 | 2004-03-22 | 김임만 | Floating pier |
JP2005313665A (en) * | 2004-04-27 | 2005-11-10 | Hitachi Zosen Corp | Attitude control device for floating structure |
KR100740505B1 (en) * | 2005-12-16 | 2007-07-19 | 한국수자원공사 | Anchorage with water level interlock |
KR101342635B1 (en) * | 2013-06-10 | 2013-12-17 | 주식회사 에이스모건 | Floating pier of concrete having high strength |
KR101368674B1 (en) * | 2011-07-01 | 2014-03-0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ree Surface Control Apparatus for Ballast Tank of Ship |
KR101550453B1 (en) * | 2014-09-24 | 2015-09-08 |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KR20150105945A (en) * | 2012-11-14 | 2015-09-18 | 볼라스트 워터 모니터링 에이/에스 |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quality of ballast water of a vessel |
KR20170015762A (en) * | 2015-07-31 | 2017-02-09 | 주식회사 해천 | Barge balance boom for lifting submerged ship and lifting system with the same |
-
2017
- 2017-07-04 KR KR1020170085071A patent/KR1018758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8416A (en) * | 1992-10-01 | 1994-04-19 | Tokyo Seiko Co Ltd | Floating pier with wave breaker |
KR20030083939A (en) * | 2002-04-23 | 2003-11-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loating dock for shipbuilding |
KR100424277B1 (en) * | 2002-11-21 | 2004-03-22 | 김임만 | Floating pier |
JP2005313665A (en) * | 2004-04-27 | 2005-11-10 | Hitachi Zosen Corp | Attitude control device for floating structure |
KR100740505B1 (en) * | 2005-12-16 | 2007-07-19 | 한국수자원공사 | Anchorage with water level interlock |
KR101368674B1 (en) * | 2011-07-01 | 2014-03-0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ree Surface Control Apparatus for Ballast Tank of Ship |
KR20150105945A (en) * | 2012-11-14 | 2015-09-18 | 볼라스트 워터 모니터링 에이/에스 |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quality of ballast water of a vessel |
KR101342635B1 (en) * | 2013-06-10 | 2013-12-17 | 주식회사 에이스모건 | Floating pier of concrete having high strength |
KR101550453B1 (en) * | 2014-09-24 | 2015-09-08 |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KR20170015762A (en) * | 2015-07-31 | 2017-02-09 | 주식회사 해천 | Barge balance boom for lifting submerged ship and lifting system with the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7487B1 (en) * | 2018-07-27 | 2019-03-12 | 김임만 | pontoon |
KR102007875B1 (en) * | 2019-03-12 | 2019-08-06 | 주식회사 태성공영 | Floating body for floating bridge |
RU2754170C1 (en) * | 2020-11-12 | 2021-08-3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 Floating pier |
KR20230097407A (en) * | 2021-12-24 | 2023-07-03 | 현대건설(주) | Caisson launching apparatus and method without a floating dock |
KR102573064B1 (en) | 2021-12-24 | 2023-09-01 | 현대건설주식회사 | Caisson launching apparatus and method without a floating dock using deep learn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5877B1 (en)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
FI66959C (en) | RECORDING OF RECEIVABLES AVAILABLE WITHOUT RECOVERY | |
US3429128A (en) | Offshore storage structure | |
KR102173166B1 (en) | Multipurpose pontoon and floating dock using the same | |
KR20140029880A (en) | Airbag pontoon | |
US4735524A (en) | Method and plant for storing fresh water | |
KR101605092B1 (en) | Floating body with vacuum preventing movement device | |
CN110510271B (en) | Underwater large-scale oil-water replacement oil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suitable for offshore oil develop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NO135209B (en) | ||
US3774563A (en) | Barge-like oil storage vessel | |
KR101716339B1 (en) | Floatage appratus quick strength of horizontality stability | |
KR101000965B1 (en) | Pontoon structure | |
ES2383663T3 (en) | Floating station for aquatic exercises | |
KR101058393B1 (en) | Dock working ship | |
KR20090020471A (en) | Pipeline irrigation system siphon tank structure aquarium de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1000964B1 (en) | Pontoon structure | |
KR200453349Y1 (en) | Ship's eyepiece | |
NO780642L (en) | PLATFORM WITH UNDERWEAR CARRIER CONSTRUCTION | |
KR102185915B1 (en) | Construction structure of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 |
ES2913839A9 (en) | Floating platform for the construction of large concrete structures | |
PT682553E (en) | APPARATUS FOR DRAINING OIL AND WATER FROM A SURFACE ESPECIALLY FROM THE CONVES OF A TANK SHIP | |
US11999448B2 (en) | Water-buoyant structure | |
JPH0710080A (en) | Submersible tank barge and its carrying method | |
SU652880A3 (en) | Off shore platform for engineering structures | |
CN107531316A (en) | Floatation unit and the method for stablizing the floatation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7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5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