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453B1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Google Patents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0453B1 KR101550453B1 KR1020140127328A KR20140127328A KR101550453B1 KR 101550453 B1 KR101550453 B1 KR 101550453B1 KR 1020140127328 A KR1020140127328 A KR 1020140127328A KR 20140127328 A KR20140127328 A KR 20140127328A KR 101550453 B1 KR101550453 B1 KR 101550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al
- bottom body
- bridge
- support
- ro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 부상하는 부잔교(200)와; 상기 부잔교(200)의 상부로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하는 도교(100)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바닥 몸체(21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을 공급하여 잠수시키거나 또는 내부의 바닷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부상시키기 위한 펌핑부재(22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하여 바닥 몸체(210)가 잠수할 경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바닥 몸체(210)가 부상할 경우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통기관(230)으로 이루어지는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태풍 등과 같은 기상악화시 부잔교를 잠수시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부잔교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 과부하가 최소화하면서 적은 힘으로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200) floating on the sea; In the pedestrian bridge (100), which acts as a bridge for moving people or goods to the upper part of the floating bridge (200), the floating bridge (200) includes a bottom body (210) A pumping member 220 for supplying sea water to the inside of the bottom body 210 for submerging or discharging the sea water to the outside, And a vent pipe 2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ttom body 210 to discharge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when the bottom body 210 is submerged and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when the bottom body 210 is flo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rian bridge having a submerged floating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a safety accident by submerging a floating bridge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such as a typhoon.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urability and service life of a floating bridge by preventing damag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verhead can be easily operated with a small force while minimizing the overload in the course of raising the footbri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풍 등과 같은 기상악화시 부잔교를 잠수시켜 파손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bridge having a submerged floating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bridge having a submersible floating bridge that can prevent a breakage and a safety accident by submerging a floating bridge when a weather condition such as a typhoon deteriorates .
일반적으로 도교는 부두 등에 설치하여 부잔교 등과 같은 해상구조물에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수행한다.In general, Taoism is installed on a pier and acts as a bridge to move people and goods to marine structures such as floats.
아울러 부잔교는 바다에 부상한 상태로 수위에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선박을 정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해상구조물이다.In addition, floatation is a maritime structure that allows vessels to berth while moving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while floating on the sea.
그러나 종래의 부잔교는 태풍 등과 같은 기상악화시 심한 파도에 의해서 부두와 충돌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oatation has a problem that safety accident occurs due to collision with the wharf due to heavy waves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such as a typhoon.
특히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심하게 흔들리면서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Especially, in case of a natural disaster such as a typhoon, it is shaken violently and easily damaged, resulting in a problem of shortening durability and service life.
아울러 종래에는 도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작동효율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n overload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ifting a footbridge to limit the operation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태풍과 같은 기상악화시 부잔교를 바닷속으로 잠수시켜 파손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way bridge having a submerged floating bridge capable of preventing a breakage and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submerging a floating bridge into the sea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like a typhoon.
또한, 본 발명은 도교를 원활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tbridge having a submersible floating bridge capable of smoothly lifting or lowering the bridge to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tbridge having a submersible floating bridge,
바다에 부상하는 부잔교(200)와; 상기 부잔교(200)의 상부로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하는 도교(100)에 있어서, A float (200) floating on the sea; In a pedestrian bridge (100) serving as a bridge for moving people or goods to the upper part of the floating bridge (200)
상기 부잔교(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바닥 몸체(21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을 공급하여 잠수시키거나 또는 내부의 바닷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부상시키기 위한 펌핑부재(22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하여 바닥 몸체(210)가 잠수할 경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바닥 몸체(210)가 부상할 경우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통기관(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at (200) includes a bottom body (210) having an interior space; A
여기서 상기 펌핑부재(220)는 펌프(221)와; 상기 펌프(221)의 일측에 연결하여 해저에 투입하는 제1순환관(222)과; 상기 펌프(221)의 타측에 연결하여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제2순환관(2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특히 상기 펌프(221)와 제1순환관(222)의 사이에 제1밸브(222a)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221)와 제2순환관(223)의 사이에 제2밸브(223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상기 통기관(230)의 일측에 밸브(2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아울러 상기 도교(100)는 지면에 설치하는 회전체(111)와; 상기 회전체(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힌지부(120)와; 상기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도교(130)와; 상기 받침도교(1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회전체(111)의 일측에 회전기어(11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기어(112)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114)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기어(1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iving
이때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116)을 구비하는 고정부(115)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16)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구(1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특히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 하부에 지지롤러(131)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에 제1받침대(132)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에 제2받침대(1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한편, 상기 구동부재(140)는 상기 받침도교(130)의 상부 양측에 연결하는 제1로프(141)와; 상기 제1로프(141)가 일측에 순환하도록 설치하는 활차(142)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단에 형성하는 드럼(143)과;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활차(142)의 타측을 순환한 후 상기 드럼(143)에 감기도록 형성하는 제2로프(144)와; 상기 제2로프(144)를 당기거나 풀기 위한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로프(142)와 지지대(110)의 하부 사이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체인블럭(145) 또는 상기 드럼(143)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ve means includes a
본 발명은 태풍 등과 같은 기상악화시 부잔교를 잠수시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safety accidents by submerging a floating bridge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such as a typhoon.
특히 본 발명은 부잔교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urability and service life of a floating bridge by preventing damage.
아울러 본 발명은 도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 과부하가 최소화하면서 적은 힘으로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verhead can be easily operated with a small force while minimizing the overload in the course of raising the footbridge.
도 1은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도교의 수평 회전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ide elevation view of an embodiment of a footbridge having a submersible float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ootbridge having a submersible float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footbridge having a submersible float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horizontal rotation state of a footbridge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도교의 수평 회전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side view for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bmerged float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ubmerged floating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horizontal rotation state of a footbridg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바다에 부상하는 부잔교(200)와; 상기 부잔교(200)의 상부로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하는 도교(100)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200) floating on the sea; In a pedestrian bridge (100) serving as a bridge for moving people or goods to the upper part of the floating bridge (200)
상기 부잔교(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바닥 몸체(21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을 공급하여 잠수시키거나 또는 내부의 바닷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부상시키기 위한 펌핑부재(22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하여 바닥 몸체(210)가 잠수할 경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바닥 몸체(210)가 부상할 경우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통기관(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at (200) includes a bottom body (210) having an interior space; A
여기서 상기 바닥 몸체(2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상부에는 사람 또는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한편, 상기 펌핑부재(220)는 태풍 등과 같은 기상악화시 심한 파도에 의해서 부잔교(200)가 흔들리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을 공급하여 잠수시키거나 또는 내부의 바닷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부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umping
이러한 상기 펌핑부재(220)는 펌프(221)와; 상기 펌프(221)의 일측에 연결하여 해저에 투입하는 제1순환관(222)과; 상기 펌프(221)의 타측에 연결하여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제2순환관(223)으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221)의 작동(정회전)으로 상기 제1순환관(222)을 통해서 바닷물을 흡입하여 상기 제2순환관(223)을 통해서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을 공급하여 중량을 증대시켜 잠수시킬 수 있다.3, the seawater is sucked through the
반대로 상기 바닥 몸체(210)를 부상시킬 경우 상기 펌프(221)의 작동(역회전)으로 상기 제2순환관(223)을 통해서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 바닷물을 상기 제1순환관(222)을 통해서 바다로 배출시켜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가 비어있도록 유도한다.Conversely,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1순환관(222) 및 제2순환관(223)의 입구에는 바닷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미 도시함)를 설치할 수 있다.A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이때 상기 펌프(221)와 제1순환관(222)의 사이에 제1밸브(222a)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221)와 제2순환관(223)의 사이에 제2밸브(223a)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개폐기능을 수행할 있음은 물론 바닷물의 흡입 및 배출량을 조절하여 상기 바닥 몸체(210)의 부상 또는 잠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
특히 상기 제1밸브(222a) 및 제2밸브(223a)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기능을 갖는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그리고 상기 펌프(221)는 설치조건에 따라서 부두의 지면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펌프(221)는 양수기 등과 같이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태를 갖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아울러 상기 통기관(230)은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바닥 몸체(210)의 잠수 또는 부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바닥 몸체(210)가 잠수할 경우 내부공기가 상기 통기관(23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면서 바닷물이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반대로 상기 바닥 몸체(210)가 부상할 경우 상기 통기관(230)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통기관(230)의 일측에 밸브(231)를 형성하여 공기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a
특히 상기 밸브(231)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기능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In particular,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도교(100)는 지면에 설치하는 회전체(111)와; 상기 회전체(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힌지부(120)와; 상기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도교(130)와; 상기 받침도교(1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40)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회전체(111)는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10)가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The rotating
이때 상기 회전체(111)는 베어링 또는 턴테이블을 사용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받침도교(130)의 일측에 로프 등을 연결하여 당기거나 또는 밀어서 수평방향으로 수동 회전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rope or the like to one side of the
아울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11)의 일측에 회전기어(11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기어(112)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114)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기어(1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13)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구동모터(113)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기어(112)와 구동기어(114)를 회전시켜 상기 받침도교(130)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2, a rotating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116)을 구비하는 고정부(115)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16)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구(117)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110)를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구(117)를 상기 결합공(116)에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110)를 지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4, a
특히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받침도교(13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Particularly, the
또한,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 하부에 지지롤러(131)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 몸체(210)의 상부에 안착하는 과정 및 조수간만으로 흔들리는 바닥 몸체(210)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에 제1받침대(132)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에 제2받침대(133)를 형성하여 사람 및 운반물이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역할을 수행한다.Particularly, a
그리고 상기 받침도교(130)의 일측에 고정구(134)를 형성하여 받침도교(130)가 부두의 지면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고록 고정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고정구(134)는 지면에 형성한 통공(미 도시함)에 끼워져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 형태로 제작하였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재(140)는 상기 받침도교(130)의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하부방향으로 내려서 상기 바닥 몸체(210)의 상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140)는 상기 받침도교(130)의 상부 양측에 연결하는 제1로프(141)와; 상기 제1로프(141)가 일측에 순환하도록 설치하는 활차(142)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단에 형성하는 드럼(143)과;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활차(142)의 타측을 순환한 후 상기 드럼(143)에 감기도록 형성하는 제2로프(144)와; 상기 제2로프(144)를 당기거나 풀기 위한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driving
특히 상기 제1로프(141)와 제2로프(144)의 사이에는 상기 활차(142)가 위치한 구조상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제2로프(144)를 당기게 되면 동시에 상기 활차(142)가 당기면서 상기 제1로프(141)를 들어올려 상기 받침도교(13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즉, 하나의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도교(130)를 들어올릴 경우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과부하가 증대되어 원활한 작동이 어려우므로, 길이가 짧은 상기 제1로프(141) 및 제2로프(144)의 이동에 따라서 도르래원리를 이용한 상기 활차(142)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받침도교(130)를 원활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That is, when lifting the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로프(142)와 지지대(110)의 하부 사이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체인블럭(145) 또는 상기 드럼(143)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46)를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받침도교(1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0: 도교
110: 지지대 111: 회전체
112: 회전기어 113: 구동모터
114: 구동기어 115: 고정부
116: 결합공 117: 고정구
120: 힌지부
130: 받침도교 131: 지지롤러
132: 제1받침대 133: 제2받침대
134: 고정구
140: 구동부재 141: 제1로프
142: 활차 143: 드럼
144: 제2로프 145: 체인블럭
146: 모터
200: 부잔교
210: 바닥 몸체 220: 펌핑부재
221: 펌프 222: 제1순환관
222a: 제1밸브 223: 제2순환관
223a: 제2밸브 230: 통기관
231: 밸브100: Taoism
110: support base 111: rotating body
112: rotary gear 113: drive motor
114: driving gear 115:
116: engaging ball 117: fastener
120: Hinge section
130: support footbridge 131: support roller
132: first pedestal 133: second pedestal
134: Fixture
140: driving member 141: first rope
142: pulley 143: drum
144: second rope 145: chain block
146: Motor
200: Floating bridge
210: bottom body 220: pumping member
221: pump 222: first circulation pipe
222a: first valve 223: second circulation pipe
223a: second valve 230: vent pipe
231: Valve
Claims (10)
상기 부잔교(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바닥 몸체(21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로 바닷물을 공급하여 잠수시키거나 또는 내부의 바닷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부상시키기 위한 펌핑부재(220)와; 상기 바닥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하여 바닥 몸체(210)가 잠수할 경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바닥 몸체(210)가 부상할 경우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통기관(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핑부재(220)는 펌프(221)와; 상기 펌프(221)의 일측에 연결하여 해저에 투입하는 제1순환관(222)과; 상기 펌프(221)의 타측에 연결하여 상기 바닥 몸체(2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제2순환관(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221)와 제1순환관(222)의 사이에 제1밸브(222a)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221)와 제2순환관(223)의 사이에 제2밸브(223a)를 형성하며, 상기 통기관(230)의 일측에 밸브(231)를 형성하되,
상기 도교(100)는 지면에 설치하는 회전체(111)와; 상기 회전체(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힌지부(120)와; 상기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도교(130)와; 상기 받침도교(1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111)의 일측에 회전기어(11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기어(112)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114)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기어(1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1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116)을 구비하는 고정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116)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구(117)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도교(130)의 일측에는 지면에 형성한 통공에 끼워져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 형태로 제작하는 고정구(134)를 형성하여 받침도교(130)가 부두의 지면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 하부에 지지롤러(131)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에 제1받침대(132)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도교(130)의 전방에 제2받침대(133)를 형성하되, 상기 구동부재(140)는 상기 받침도교(130)의 상부 양측에 연결하는 제1로프(141)와; 상기 제1로프(141)가 일측에 순환하도록 설치하는 활차(142)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단에 형성하는 드럼(143)과;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활차(142)의 타측을 순환한 후 상기 드럼(143)에 감기도록 형성하는 제2로프(144)와; 상기 제2로프(144)를 당기거나 풀기 위한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로프(144)와 지지대(110)의 하부 사이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체인블럭(145) 또는 상기 드럼(143)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A float (200) floating on the sea; In a pedestrian bridge (100) serving as a bridge for moving people or goods to the upper part of the floating bridge (200)
The float (200) includes a bottom body (210) having an interior space; A pumping member 220 for supplying sea water to the inside of the bottom body 210 for submerging or discharging the sea water to the outside, And a vent pipe 2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ttom body 210 to discharge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when the bottom body 210 is submerged and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when the bottom body 210 floats under,
The pumping member 220 includes a pump 221; A first circulation pipe 22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mp 221 to be introduced into the seabed; And a second circulation pipe 223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ump 221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body 210. The first circulation pipe 222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2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valve 223a is formed between the pump 221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223 and a valve 2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nt pipe 230,
The pedestal 100 includes a rotating body 111 installed on the ground; A support base 1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11; A hinge unit 12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upport base 110; A supporting pedestal 130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hinge unit 120; And a drive member 140 for rotating the support pedestal 1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rotary gear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ry body 111, And a driving motor 113 for rotating the driving gear 114. The fixing part 115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6 radially below the supporting table 110, And a fixture 117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oupling hole 116 and fixed to the ground. One side of the support pedestal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xing pin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ground surface The support pedestal 130 may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edestal 130 is rotated at the ground surface of the wharf. A support roller 131 may be form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edestal 130, A first pedestal 132 is formed in front of the footbridge 130, A second pedestal 133 is formed in front of the base pedestal 130 and the driving member 140 includes a first rope 141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edestal 130; A pulley 142 installed to circulate the first rope 141 to one side; A drum 143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110; A second rope 14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er 110 and circulating the other side of the pulley 142 to be wound on the drum 143; And a driving block for pulling and unlocking the second rope 144. The driving block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rope 144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110 to provide a chain block 145 for the operator to operate, Or a motor (146)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um (14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328A KR101550453B1 (en) | 2014-09-24 | 2014-09-24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328A KR101550453B1 (en) | 2014-09-24 | 2014-09-24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0453B1 true KR101550453B1 (en) | 2015-09-08 |
Family
ID=5424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7328A Active KR101550453B1 (en) | 2014-09-24 | 2014-09-24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045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5877B1 (en) * | 2017-07-04 | 2018-07-06 | 주식회사 해양산업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CZ308325B6 (en) * | 2018-10-05 | 2020-05-13 | České vysoké učenà technické v Praze | Assembling modular concrete immersion elements |
KR102264706B1 (en) | 2019-12-30 | 2021-06-11 | 임기택 | The bridge crai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419Y1 (en) * | 2002-06-10 | 2002-09-16 | 송근성 | Awning Shades |
-
2014
- 2014-09-24 KR KR1020140127328A patent/KR1015504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419Y1 (en) * | 2002-06-10 | 2002-09-16 | 송근성 | Awning Shad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5877B1 (en) * | 2017-07-04 | 2018-07-06 | 주식회사 해양산업 | Floating pier for reinforcing balance |
CZ308325B6 (en) * | 2018-10-05 | 2020-05-13 | České vysoké učenà technické v Praze | Assembling modular concrete immersion elements |
KR102264706B1 (en) | 2019-12-30 | 2021-06-11 | 임기택 | The bridge cra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0214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offshore structures against forces from moving ice sheets | |
US20100164230A1 (en) | Installation for harvesting ocean currents (IHOC) and methods and means for its delivery, installation and servicing | |
CN108639256B (en) | Ocean platform boarding device and ocean platform | |
KR101550453B1 (en) | Submerging type floating pier having bridge | |
CN105638532A (en) | Submerged net cage | |
CN107245991B (en) | Over-water lifting type blue algae fishing device | |
CA2999043C (en) | Method and device for supply of water to a cage, and an overflow device. | |
CN213112346U (en) | Ship wastewater receiving device for river wharf | |
KR101883663B1 (en) | Ball wheel type moving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ed vehicle and remotely operated vehicle with the same | |
CN107685837B (en) | Self-elevating platform, submersible pump system thereof and submersible pump elevating method | |
US10414474B2 (en) | Boat handling apparatus | |
KR20110048325A (en) | Underwater Forced Circulation System with Lifter | |
CN215178504U (en) | Liftable bottom of pond and pond | |
CN113998074A (en) | Building method of water building | |
CN101850833B (en) | Swing arm type crane barge for mounting wind power equipment | |
CN208377011U (en) | A kind of ocean platform steps on boat and box handling gear and ocean platform | |
CN208377026U (en) | A kind of integrally-lifting maintenance dock | |
KR20200112466A (en) | Impeller and electric water circu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789767B1 (en) | A stop log of flip type | |
KR101792481B1 (en) | Hull exterior wall maintenance equipment | |
KR100996746B1 (en) | Hinge type launching method of land-dried ship and its device | |
KR101549198B1 (en) | Dry dock with floating barge | |
KR102770286B1 (en) | rope lifting device | |
KR102544957B1 (en) | Ship unit for refloat of sunken vessel | |
CN108466680A (en) | A kind of submersible building structure and its snorkel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