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4705B1 - 공명음 저감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명음 저감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705B1
KR101874705B1 KR1020160151942A KR20160151942A KR101874705B1 KR 101874705 B1 KR101874705 B1 KR 101874705B1 KR 1020160151942 A KR1020160151942 A KR 1020160151942A KR 20160151942 A KR20160151942 A KR 20160151942A KR 101874705 B1 KR101874705 B1 KR 10187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layer
weight
tire
benzotri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871A (ko
Inventor
서병호
김학주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705B1/ko
Priority to EP17200269.3A priority patent/EP3321108B1/en
Priority to JP2017216666A priority patent/JP6556806B2/ja
Priority to CN201711123059.XA priority patent/CN108068561B/zh
Priority to US15/814,261 priority patent/US10995249B2/en
Publication of KR2018005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09J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08Compositions of the inner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6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라이너 내측에 도포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에 부착된 흡음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및 벤조티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공명음 저감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주행 시 발열 및 변형에도 흡음재의 탈리가 없는 안정적인 공명음 저감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명음 저감 타이어{CAVITY NOISE REDUCTION TIRE}
본 발명은 탄성 및 접착 강도가 향상된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주행 시 발열 및 변형에도 흡음재의 탈리가 없는 안정적인 공명음 저감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소음과 관련하여 정부 규제의 강화 및 전기차의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타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저감 요구가 점차 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최근 개발 동향은 타이어 노면에 접촉하는 트레드부가 광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타이어 측면에 해당하는 사이드월 (Side wall)의 편평비가 낮은 UHP (Ultra high performance) 타이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는 구조적인 특성에 기인하여 사이드 월의 강성이 증가하여 노면에서 전달된 충격을 타이어 자체 구조에서 적절한 댐핑 (Damping)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소음 유발에 관련된 음압을 상승 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타이어 내부 (Cavity)에서 공기 진동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까지 소음이 전달되어 운전자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주행 시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이하 공기 진동에 따른 소음은 공명음으로 통칭함.).
공명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개방형 셀을 가지고 있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발포체를 활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발포체를 타이어 내측의 이너라이너에 부착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액상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접착제가 흡음재층으로 흡수되어 흡음력 및 접착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어왔다.
액상 접착제 대신 광 또는 열로 경화시키는 접착제의 경우(JP 2015-166134 A)에도, 초기 접착력은 우수할 수 있으나, 탄성과 같은 변형력이 낮아, 차량의 하중에 의해 타이어에 변형이 가해진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반복적인 변형과 진동을 견디지 못하고 파괴됨으로써 흡음재의 박리 또는 이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부틸계 핫멜트 접착제를 적용하는 경우, 타이어의 변형에도 충분히 신장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나, 핫멜트계 접착제의 특성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낮아져 유동성이 증가하여 주행시 타이어 내 부착된 흡음재의 위치가 변형될 수 있어 타이어 발란스 또는 유니포미티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실리콘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한 특허가 있으나 강도가 낮아 타이어의 고 변형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접착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타이어의 공명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음재를 이너라이너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타이어의 변형과 발열에 견딜 수 있는 특수한 접착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1661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력이 강한 접착제로 흡음재를 부착하여 타이어의 소음 중 타이어 내부의 공기 진동으로 발생되는 공명음을 저감시킨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오존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속력이 강한 접착제 조성물로 흡음재를 부착하여 주행 시 타이어의 온도변화, 자동차 하중과 외부 충격으로 인한 변형에도 흡음재의 박리나 이탈이 없이 타이어 마모수명까지 공명음 저감 성능이 유지되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너라이너 내측에 도포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에 부착된 흡음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공명음 저감 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5-디-t-펜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도데실-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딜메틸)페놀, 및 메틸-3-[3-t-부틸-5-(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50 내지 7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디이소운데실 프탈레이트 (Di-iso-undecyl phthalate),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DEHP, Di-ethylhexyl phthalate), 디헥실 프탈레이트 (DHP, Di-hexylphthalate),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BBP, Butyl benzyl phthalate), 디프로필 프탈레이트 (DprP, Di-propyl phthalate), 디-n-부틸 프탈레이트 (DBP, Di-n-butyl phthalate), 디사이클로헥실 프탈레이트 (DCHP, Dicyclohexyl phthalate), 디-n-페닐 프탈레이트 (DPP, Di-n-penyl phthalate), 디에틸 프탈레이트 (DEP, Diethyl phthalate),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DINP, Di-iso-nonyl phthalate), 디-n-옥틸 프탈레이트 (DNOP, Di-n-octyl phthalate),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DIDP, Di-iso-decyl phthalate), 디메틸 프탈레이트 (DMP, Dimethyl phthalate) 및 모노에틸헥실 프탈레이트 (MEHP, Monoethylhexyl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1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n은 10 내지 1,000 이다.
상기 에테르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옥시프로필렌(oxypropylene) 반복단위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2
상기 알콕시실란은 모노 알콕시실란, 디 알콕시실란, 트리 알콕시실란일 수 있고, 상기 알콕시실란은 메톡시실란, 에톡시실란 및 프로폭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3
상기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우레탄 반복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4
상기 흡음재층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지속력이 강한 접착제로 흡음재를 부착하여 타이어의 소음 중 타이어 내부의 공기 진동으로 발생되는 공명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오존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기압 타이어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음 저감 타이어는 이너라이너 내측에 도포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에 부착된 흡음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타이어의 측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타이어(1)는, 이너라이너 내측 면에 도포된 접착제층(2)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2)에 부착된 흡음재층(3)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층(2)은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접착제가 자외선을 흡수하면 자유 라디칼이 생성된다. 이 라디칼들은 재료 내에서 광 산화, 증식 등의 과정을 거쳐 유리기들의 재결합에 의해 연쇄 종료가 된다. 이로 인해 접착제는 크랙, 부풀어 오름(Blistering), 분리(Delamization)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는 제품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 능력이 강해 폴리머 라디컬 발생을 억제 시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분자 내에 제1급 아미노기, 제2급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페닐기, 카르복시기 및 머캅토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분자 내에 제1급 아미노기, 제2급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페닐기, 카르복시기 및 머캅토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하이드록시기 및 페닐기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및 페닐기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2)은 오존 노화 조건에서도 접착제의 물성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타이어는 자동차의 주행 시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노화 (갈라진 틈이나 금이 발생)되는 현상인 오존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오존은 자동차의 배기가스와 태양(자외선)이 반응하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접착제층(2)에 포함되는 자외선 흡수제에서 자외선을 흡수하게 되면, 오존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오존에 의한 노화가 예방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상기 하이드록시기 및 페닐기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 파장 범위가 넓고 흡수 정도가 커서 성능 면에서 우수하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및 페닐기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구체적으로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5-디-t-펜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도데실-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메틸-3-[3-t-부틸-5-(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외선 흡수에 따른 유리기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여 크랙, 부풀어 오름(Blistering), 분리(Delamization)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접착제층(2)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성분들 외에, 상기 접착제층(2)은 선택적으로 가소제, 탈수제, 접착촉진제 및 경화촉진제 등 통상 접착제의 물성적 특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층(2)에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게 되면, 타이어 제조시 접착제층을 상온에서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공기중 수분과(H2O) 반응하여 축합 반응 또는 가수분해가 일어나, 경화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접착제층의 경화가 지연되면 타이어 공정단계가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2)은 가소제의 함량을 증가시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2)은 상기 가소제의 함량을 증가시켜도 물성을 유지시킬 수 있어, 경화 속도 및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혼합 시 충진제의 혼합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여 분산이 나빠져 전반적인 접착제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저 분자량 재료가 다량 함유되어 강도가 저하되어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에폭시계, 폴리에스터계, 벤조에이트계, 또는 사이트릭산계 가소제일 수 있으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디이소운데실 프탈레이트 (Di-iso-undecyl phthalate),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DEHP, Di-ethylhexyl phthalate), 디헥실 프탈레이트 (DHP, Di-hexylphthalate),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BBP, Butyl benzyl phthalate), 디프로필 프탈레이트 (DprP, Di-propyl phthalate), 디-n-부틸 프탈레이트 (DBP, Di-n-butyl phthalate), 디사이클로헥실 프탈레이트 (DCHP, Dicyclohexyl phthalate), 디-n-페닐 프탈레이트 (DPP, Di-n-penyl phthalate), 디에틸 프탈레이트 (DEP, Diethyl phthalate),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DINP, Di-iso-nonyl phthalate), 디-n-옥틸 프탈레이트 (DNOP, Di-n-octyl phthalate),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DIDP, Di-iso-decyl phthalate), 디메틸 프탈레이트 (DMP, Dimethyl phthalate) 및 모노에틸헥실 프탈레이트 (MEHP, Monoethylhexyl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촉진제는 아미노실란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아미노실란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리프로필)아민,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아미노기능성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다이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메틸다이메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 시아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 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란, 4-아미노-3,3,-다이메틸부틸트리메톡시실란, 및 n-에틸-3-트리메톡시실릴-2-메틸프로판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촉진제는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피착물(흡음재층(3))과의 접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초기 접착 강도는 향상될 수 있으나 열 노화 등에서의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로 주석 함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주석 함유 화합물은 다이부틸틴다이라우레이트, 다이부틸틴다이아세테이트, 다이부틸틴다이메톡사이드, 틴옥토에이트, 이소부틸틴트리세로에이트, 다이부틸틴옥사이드, 가용성 다이부틸 틴 옥사이드, 다이부틸틴 비스-다이이소옥틸프탈레이트, 비스-트리프로폭시실릴 다이옥틸틴, 다이부틸틴 비스-아세틸아세톤, 실릴화 다이부틸틴 다이옥사이드, 카르보메톡시페닐 틴 트리스-우버레이트이소부틸틴 트리세로에이트, 다이메틸틴 다이부티레이트, 다이메틸틴 다이-네오데카노에이트, 트리에틸틴 타르타레이트, 다이부틸틴 다이벤조에이트,틴 올리에이트, 틴 나프텐에이트, 부틸틴트리-2-에틸헥실헥소에이트, 틴부티레이트, 및 다이오르가노틴 비스-다이케톤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다른 금속계에 비해 인체에 대한 안전도가 뛰어나며 촉매능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하다. 주로 실리콘계 접착제의 상온 경화를 위해 사용되는 촉매로서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 속도가 느려 공정 중에 피착물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겔화가 촉진되어 기본적인 물성 및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탈수제는 테트라프로필 오쏘실리케이트(tetrapropyl orthosilcate), 메틸트리메톡시 실란(methyltrimethoxy silane), 및 비닐트리메톡시 실란(vinyltrimethoxy 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탈수제는 가수 분해성 및 치환성능을 보이는 결합을 분자구조 내에 가지고 있어 가교 시 가교율을 향상 시키고, 가수분해에 의하여 치환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탈수제는 실란 커플링 반응으로 접착제층(2)의 결합력에 영향을 준다.
상기 탈수제는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탈수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탈수 반응이 낮아 실란 커플링 결합이 부족해져 실리카와 결합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결합되지 못한 저분자량 물질이 내부에 머물러 물성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2)에 포함되는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5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n은 10 내지 1,000 이다.
상기 에테르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옥시프로필렌(oxypropylene)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6
상기 화학식 1의 중합체는 양 말단에 기능성기로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여 중합체간의 가교구조를 이룰 수 있게 하여 접착 강도를 강화시켰다.
상기 알콕시실란은 모노 알콕시실란, 디 알콕시실란, 트리 알콕시실란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실란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톡시실란, 에톡시실란, 및 프로폭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메틸디메톡시실란, 메틸디에톡시실란, 메틸디프로폭시실란, 메틸디부톡시실란, 에틸디메톡시실란, 에틸디에톡시실란, 에틸디프로폭시실란, 에틸디부톡시실란, 프로필디메톡시실란, 프로필디에톡시실란, 프로필디프로폭시실란, 프로필디부톡시실란, 부틸디메톡시실란, 부틸디에톡시실란, 부틸디프로폭시실란, 부틸디부톡시실란, 디메틸메톡시실란, 디메틸에톡시실란, 디메틸프로폭시실란, 디메틸부톡시실란, 디에틸메톡시실란, 디에틸에톡시실란, 디에틸프로폭시실란, 디에틸부톡시실란, 디프로필메톡시실란, 디프로필에톡시실란, 디프로필프로폭시실란, 디프로필부톡시실란, 디부틸메톡시실란, 디부틸에톡시실란, 디부틸프로폭시실란, 디부틸부톡시실란, 메틸에틸메톡시실란, 메틸프로필메톡시실란, 메틸부틸메톡시실란, 메틸에틸에톡시실란, 메틸프로필에톡시실란, 메틸부틸에톡시실란, 메틸에틸프로폭시실란, 메틸프로필프로폭시실란, 메틸부틸프로폭시실란, 메틸에틸부톡시실란, 메틸프로필부톡시실란, 메틸부틸부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및 트리프로폭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분자량이 1,000 g/mol 미만일 경우 분자량이 적어 신장율이 떨어져 인장 물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00 g/mol을 초과할 경우 양 말단 결합기가 적이 가교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인장 물성 및 결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은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7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n은 10 내지 1,000 이다.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자동차 하중과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한 변성이나 주행중 발열에도 흡음재의 탈착, 박리 또는 이탈 없이 타이어 마모수명까지 공명음 저감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양 말단에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우레탄 반복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8
상기 우레탄 반복단위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반복단위가 상기 화학식 1의 에테르 반복단위에 불규칙적으로 결합되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random copolymer).
우레탄 반복단위를 더 포함함으로써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하면서도 외력에 견딜 수 있을만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음재층(3)은 흡음재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기본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polyisocyanate compound)과 폴리올(polyhydroxycompound)을 우레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개방셀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흡음재를 말하며 밀도가 25 내지 35 kg/㎥인 것일 수 있다.
개방셀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은 점성이 낮은 접착제가 폴리우레탄 폼에 너무 많이 흡수되어 이너라이너와의 접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리콘 접착제는 점성과 탄성이 높아 개방셀 표면으로만 흡수되어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고변형에 대해서도 접착제층의 내구성이 확보되어 폴리우레탄 폼을 접착시키기에 적절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이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2
기본중합체 변성실리콘중합체 100 100 100 100 100 100
가소제 디이소운데실 프탈레이트 50 50 55 65 65 50
충전제 칼슘카보네이트 120 120 120 120 120 120
염료 티타늄옥사이드 20 20 20 20 20 20
틱소트로프
(요변성)
건식실리카(fumed silica) 5 5 5 5 5 5
탈수제 비닐메톡시실란 2 2 2 2 2 2
접착촉진제 아미노실란 3 5 5 5 7 3
경화촉진제 디부틸 틴 1.5 1.5 1.5 1.5 1.5 1.5
자외선흡수제1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 1 1 1 1 -
자외선흡수제2 - - - - - 1
(단위: 중량부)
1) 변성실리콘중합체: 폴리옥시프로필렌 메톡시실란
2) 자외선 흡수제 1: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화학식 4]
Figure 112016111427311-pat00009
3) 자외선 흡수제 2: 2-Ethylhexyl 2-cyano-3,3-diphenylacrylate
[화학식 5]
Figure 112016111427311-pat00010

[ 시험예 1: 접착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접착제를 타이어 이너라이너에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흡음재를 부착하여 공명음 저감 타이어를 제조하였다. 접착제층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목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2
기계적물성 경도(Shore A) 28 29 28 27 30 29
인장강도(N/㎟) 1.1 1.3 1.1 0.9 1.5 1.3
신장율(%) 440 420 470 500 410 410
오존노화물성 경도(Shore A) 32 30 30 28 28 30
인장강도(N/㎟) 0.9 1.3 1.1 0.8 0.9 1.2
신장율(%) 240 350 410 420 290 330
일반 접착력(N/25mm) 159 161 188 163 163 163
오존노화 접착력(N/25mm) 100 130 154 147 92 119
기계적 물성과 노화 물성은 DIN53504, 접착력은 ASTM D1002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노화 물성은 오존분위기의 노화조건으로, 오존 농도 50pphm±5, 100℃ 조건의 오븐에 7일 동안 보관시킨 후 측정하였다.
일반 접착력은 상온(25℃)에서 7일 동안 경화시킨 후 측정하였고, 노화 접착력은 상기 노화 조건과 동일하게 노화시킨 후 측정하였다.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오존노화 후 경도가 향상되어 접착제가 다소 경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경화가 더욱 진행되면 접착제층이 탄성을 잃어 탈착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아닌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비교예2), 기계적물성, 오존노화물성 및 접착력이 비교예 1보다는 다소 향상되었지만,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하여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는 노화후에도 물성의 변화가 크게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의 물성이 경도와 신장도가 적정한 값으로 나타났으며, 노화 후에도 상당히 높은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소제를 55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공기압 타이어
2: 접착제층
3: 흡음재층

Claims (11)

  1. 이너라이너 내측에 도포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에 부착된 흡음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옥시프로필렌 메톡시실란 100 중량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 내지 5 중량부, 디이소운데실 프탈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및 아미노실란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층은 개방셀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인 것인
    공명음 저감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51942A 2016-11-15 2016-11-15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187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42A KR101874705B1 (ko) 2016-11-15 2016-11-15 공명음 저감 타이어
EP17200269.3A EP3321108B1 (en) 2016-11-15 2017-11-07 Tire with reduced cavity noise
JP2017216666A JP6556806B2 (ja) 2016-11-15 2017-11-09 共鳴音低減タイヤ
CN201711123059.XA CN108068561B (zh) 2016-11-15 2017-11-14 空腔降噪轮胎
US15/814,261 US10995249B2 (en) 2016-11-15 2017-11-15 Tire with reduced cavity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42A KR101874705B1 (ko) 2016-11-15 2016-11-15 공명음 저감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871A KR20180058871A (ko) 2018-06-04
KR101874705B1 true KR101874705B1 (ko) 2018-07-04

Family

ID=6026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42A KR101874705B1 (ko) 2016-11-15 2016-11-15 공명음 저감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95249B2 (ko)
EP (1) EP3321108B1 (ko)
JP (1) JP6556806B2 (ko)
KR (1) KR101874705B1 (ko)
CN (1) CN108068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020B1 (ko) * 2016-10-25 2018-11-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1874705B1 (ko) * 2016-11-15 2018-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1978032B1 (ko) * 2017-03-31 2019-05-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JP7136628B2 (ja) * 2018-08-22 2022-09-13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22167781A (ja) * 2021-04-22 2022-11-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2009A (ja) * 2011-08-02 2013-02-14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フォーム製ノイズダンパを備えている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387A (en) * 1998-12-22 2000-09-26 Adco Products, Inc. Fast-cure silylated polymer adhesive
US7211616B2 (en) * 2002-02-14 2007-05-01 The Glidden Company Moisture curable adhesive
ATE496097T1 (de) * 2002-10-02 2011-02-15 Kaneka Corp Härtbare zusammensetzung
JP2006316262A (ja) * 2005-04-15 2006-11-24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
US7789990B2 (en) * 2006-07-24 2010-09-0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Silane functional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bonding a window to a substrate without a primer
US7569645B2 (en) * 2007-06-27 2009-08-0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Curable sil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paint adhesion additive
JP5554891B2 (ja) * 2007-07-20 2014-07-23 株式会社カネカ 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9126463A (ja) * 2007-11-27 2009-06-11 Bridgestone Corp タイヤ
DE102008000360A1 (de) * 2008-02-21 2009-08-27 Evonik Goldschmidt Gmbh Neue Alkoxysilylgruppen tragende Polyetheralkohole durch Alkoxylierung epoxidfunktioneller Alkoxysilane an Doppelmetallcyanid (DMC)-Katalysator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8020980A1 (de) * 2008-04-25 2009-10-29 Henkel Ag & Co. Kgaa Härtba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silylierte Polyurethane auf Basis von Polyetherblockpolymeren
DE102009027357A1 (de) * 2009-06-30 2011-01-05 Wacker Chemie Ag Alkoxysilanterminierte Polymere enthaltende Kleb- oder Dichtstoffmassen
DE102009034607A1 (de) * 2009-07-24 2011-01-27 Evonik Goldschmidt Gmbh Neuartige Siliconpolyethercopolymer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733210B2 (ja) 2009-08-17 2015-06-10 旭硝子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DE102010030096A1 (de) * 2010-06-15 2011-12-15 Wacker Chemie Ag Silanvernetzende Zusammensetzungen
US20110308706A1 (en) * 2010-06-21 2011-12-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making pneumatic tire with foam noise damper
KR101356402B1 (ko) * 2010-11-30 2014-01-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US8859674B2 (en) * 2011-03-31 2014-10-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Moisture curable silylated 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adhesion to concrete
JP5048881B1 (ja) 2011-05-13 2012-10-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20130022893A (ko) 2011-08-26 2013-03-07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주식회사 공기압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EP3330065B1 (en) * 2011-10-04 2020-03-0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DE102012203737A1 (de) * 2012-03-09 2013-09-12 Evonik Goldschmidt Gmbh Modifizierte Alkoxylierungsprodukte, die zumindest eine nicht-terminale Alkoxysilylgruppe aufweisen und mehrere Urethangruppen enthalten und deren Verwendung
DE102013206883A1 (de) * 2013-04-17 2014-10-23 Evonik Industries Ag Alkoxysilylhaltige Klebdichtstoffe mit intrinsisch reduzierter Viskosität
JP5636141B1 (ja) * 2013-06-14 2014-12-03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
FR3015983B1 (fr) * 2013-12-30 2016-02-05 Bostik Sa Article auto-adhesif supporte sur mousse
JP2015166134A (ja) 2014-03-03 2015-09-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吸音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70050474A1 (en) * 2014-04-30 2017-02-2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ire comprising a strip of damping foam
MX2017004152A (es) * 2014-10-03 2017-07-04 Pirelli Neumatico a prueba de sonido para ruedas de vehiculos.
US9777189B2 (en) * 2014-11-03 2017-10-03 Kaneka North America Llc Curable composition
CN107873038A (zh) * 2015-06-02 2018-04-0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改进型甲硅烷基封端的聚合物粘着剂
FR3043020B1 (fr) * 2015-10-28 2017-11-03 Michelin & Cie Pneumatique avec un organe fixe a sa surface et procede de fixation d'un organe a la surface d'un pneumatique
KR101893260B1 (ko) * 2016-10-24 2018-10-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1020B1 (ko) * 2016-10-25 2018-11-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1874705B1 (ko) * 2016-11-15 2018-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1861476B1 (ko) * 2017-03-23 2018-07-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공기압 타이어
KR101978032B1 (ko) * 2017-03-31 2019-05-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2009A (ja) * 2011-08-02 2013-02-14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フォーム製ノイズダンパを備えている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871A (ko) 2018-06-04
EP3321108A1 (en) 2018-05-16
EP3321108B1 (en) 2019-05-15
JP2018083617A (ja) 2018-05-31
CN108068561B (zh) 2019-11-26
US10995249B2 (en) 2021-05-04
US20180134933A1 (en) 2018-05-17
JP6556806B2 (ja) 2019-08-07
CN108068561A (zh)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705B1 (ko)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2142379B1 (ko) 오르가닐 옥시실란-종결화된 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가교성 물질
US7534840B2 (en) Room temperature-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US7754829B2 (en) Room temperature-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US20080293865A1 (en) Room temperature-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US20040002571A1 (en) Room temperature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EP3700978B1 (en) Polysiloxane composition
EP3315319B1 (en) Tire with reduced cavity noise
US20180298252A1 (en) Silyl terminated polymer adhesives
JP6527599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CN115485336A (zh) 用于聚合物固化的固化催化剂及其制造方法、湿气固化型组合物、固化物的制造方法
WO2019077942A1 (ja) 室温硬化性組成物、シーリング材及び物品
US20150068661A1 (en) Silyl terminated prepolymers, method for making them and adhesive compositions made therefrom
EP1932887B1 (en) Room temperature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KR101938959B1 (ko) 공명음 저감 타이어
JP2012057150A (ja) 硬化性組成物
JPH11103085A (ja) 太陽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ユニット
US5126208A (en) Optical laminates
KR20090104491A (ko) 아연계 계면활성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
KR101978032B1 (ko)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20210015418A (ko) 공명음 저감 타이어
KR102388213B1 (ko) 용접 대체용 난연성 실란트 조성물
WO2024056473A1 (en) Moisture-curable composition and adhesive containing the composition
JP2022080386A (ja) 表面にトップコート層を塗布する硬化物を形成するための湿気硬化性組成物
CN116917436A (zh) 适用于温度和湿度极端天气条件的胶粘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5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