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PTPRS는, 플라즈마 세포모양 수상 세포 pDC에 있어서 특이적 발현이 관찰되는 분자이다. 그러나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항체의 제조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인간 PTPRS는, 4개의 아이소타입이 알려져 있어 1,948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아이소타입 l,9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아이소타입 2, 1,50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아이소타입 3, 및 1,505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아이소타입 4가 있다. 이들은, 그 구조중에 세포외 구조로서 3개의 면역글로불린 모양 도메인(제1의 Ig도메인, 제2의 Ig도메인, 제3의 Ig도메인), 피브로넥틴 III형 모양 도메인과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TM영역)과 세포내 구조로서 2개의 포스파타아제 도메인(D1 및 D2 도메인)이 관찰된다.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PTP) 활성은 세포막에 가까운 D1 도메인만이 가지고 있다. 도 1에는 시그널 펩티드와 대표적인 도메인은 아미노산 서열에서 마킹된다.
인간 PTPRS의 아이소타입 3은 SEQ ID NO: 1 (도 1)의 831~851을 막관통 도메인으로서 포함한 막관통 단백질이다. N말단을 포함한 1,501 아미노산 잔기 가운데, 29 아미노산 잔기(SEQ ID NO: 1에 있어서 1 내지 29)가 시그널 서열을 구성하며, 30 내지 830이 세포외 도메인을 구성한다. 한편으로는 C말단측은 세포내 도메인이다. PTPRS에 있어서는 세포외 환경에 있는 리간드가 활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전자 발현 해석에 의해, 인간 PTPRS가 인간 pDC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인간 PTPRS를 다른 분자와 식별할 수 있는 항체를 얻을 수 있으면, pDC의 연구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인간 PTPRS를 포함한 PTP 패밀리에게는, 유사한 구조의 많은 분자가 존재한다. RPTP-σ인 PTPRS를 포함해 PTPRA (RPTP-α), PTPRD (RPTP-δ), PTPRE (RPTP-ε), PTPRF (RPTP-ζ) 등의 분자는, 특히 상동성의 높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도 8). 따라서, 세포외 도메인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부분 서열을 사용한 도메인 펩티드를 면역원으로서 이들의 분자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항체를 얻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생각됐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인간 PTPRS를 발현하는 세포를 면역원으로서 인간 PTPRS에 대한 항체의 취득을 시도했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항체를 취득하기 위해서 연구를 거듭해 특정의 형질전환 세포를 면역원과 사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항체를 수득하는 일을 명확히 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간 PTPRS는 인간 pDC에 발현하고 있는 천연의 분자, 또는 인간 pDC에 발현하고 있는 인간 PTPRS와 면역학적으로 동등한 분자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가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 인간 세포와의 반응성에 근거하는 확인:
본 발명자들이 얻은 발견에 의하면, 인간 PTPRS는, 인간 pDC에 특이적 발현을 볼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pDC의 마커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인간 PTPRS의 발현 프로파일에 근거하면, 먼저, pDC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집합과의 결합 활성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어느 세포가 pDC인 것인지는, 각 세포군에게 고유의 세포 표면 마커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 표면 마커에 결합하는 항체와 결합 활성을 확인해야할 항체에 의한 이중 염색으로 목적으로 하는 세포에 대한 결합을 확인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pDC는, 예를 들어 BOCA2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한다.
- 인간 PTPRS 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와의 반응성에 근거한 확인: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조건으로 인간 PTPRS 유전자를 발현시켰을 때에, 인간 pDC에서 발현하고 있는 인간 PTPRS의 면역학적 특징이 재구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인간 PTPRS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도입한 세포에 대한 항체의 반응성에 기초하여, 인간 PTPRS와의 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세포외 도메인으로서 포함한 분자와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세포외 도메인이란, SEQ ID NO: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으로부터 SEQ ID NO: 1 (도 1)에 있어서의 30~830에 상당하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인간 PTPRS를 코딩하는 DNA를 포함한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한 세포에 있어서는, 인간 pDC로 발현하고 있는 PTPRS의 면역학적 특징이 유지된다. 따라서, 인간 PTPRS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세포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항체의 반응성을 확인할 때, 대조군으로서 형질전환되어 있지 않은 세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는, 인간 PTPRS 이외의 PTP 패밀리를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세포군과의 교차성이 관찰되거나 관찰되지 않는 항체일 수 있다. 해당 교차성이 관찰되지 않는 항체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로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DC에 대한 결합을 확인한 조건과 같은 조건 하에서, 인간 PTPRS 이외의 PTP 패밀리를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세포군과의 결합을 확인할 수 없는 항체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로서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면역학적 특징을 갖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한다.
a) 인간 pDC와 결합함,
b) 인간 pDC와 결합하는 조건 하에서, 단구, 매크로파지, B세포, CD34 양성 세포 그리고 이들의 세포에 유래하는 수상 세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의 세포와의 결합을 확인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pDC와 결합하는 조건 하에서, 단구, 매크로파지, B세포, CD34 양성 세포 및 이들의 세포에 유래하는 수상 세포와의 결합을 확인할 수 없는 항체는,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로서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면역학적 특징을 갖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한다.
c) 인간 PTPRS를 코딩하는 DNA를 발현 가능하게 보유한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세포와 결합함,
d) 상기 c)의 형질전환 세포와 결합하는 조건 하에서, c)에서 형질전환되기 전에 숙주 세포와의 결합을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가, PTP 패밀리의 다른 분자와 교차하지 않는 것은, 각 PTP 패밀리를 강제 발현시킨 세포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PTP 패밀리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cDNA를 적당한 숙주 세포에 도입해 강제 발현시킨다. 수득된 형질전환 세포에 대하고, 교차성을 확인해야 할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를 접촉시킨다. 그리고, 인간 PTPRS 이외의 다른 PTP 패밀리 분자를 발현하는 세포에 대한 결합이 관찰되지 않으면, 그 항체가 인간 PTPRS를 다른 PTP 패밀리 분자와 면역학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의 대부분이, 특히 PTPRS와의 상동성이 높았던 PTPRA, PTPRD, 및 PTPRF와 교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인간 PTPRS와 결합하고, 같은 조건에 있어서 PTPRA, PTPRD, 및 PTPRF와의 결합을 검출할 수 없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이들 PTP 패밀리 분자를 PTPRS와 면역학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항체를 이용하면, PTPRS의 발현의 변화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PTPRS와의 상동성이 높은 분자 중에서, PTPRE의 세포내 발현은 확인되나, 세포외에서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이는 항체로서 PTPRE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결합 활성을 확인해야할 모노클로날 항체와 각종의 세포와의 결합은, 예를 들어 유세포분석기의 원리로 확인할 수 있다. 유세포분석기의 원리에 의한 항체의 반응성의 확인을 위해서, 항체는 검출 가능한 시그널을 생성하는 분자 또는 원자단에서 표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는, 형광 표지나 발광 표지가 이용된다. 형광 표지 한 항체와 세포와의 결합을 유세포분석기의 원리로 해석하기 위해서, 형광 표시식 세포분취기(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FACS)를 이용할 수 있다. FACS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항체와 세포와의 결합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pDC를 동정할 수 있는 것이 이미 명확한 항체 A와 pDC와의 결합 특성을 해석해야 할 항체 B를 동시에 pDC를 포함한 세포군과 반응시킨다. 항체 A와 항체 B에는 서로 식별할 수 있는 형광 시그널을 표지해 둔다. 두 시그널이 같은 세포군으로부터 검출되면, 이들 항체가 같은 세포군에게 결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항체 A와 항체 B가 같은 결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상이한 세포군에게 결합했을 때는, 이들의 결합 특성이 상이한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모노클로날 항체로서 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 9H5-4, 10F7-38, 13G5-52, 13G5-57, 14A8-85, 22H8-84, 49F2-30, 또는 55E7-79 가 생산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나타낼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9H5-4, 10F7-38, 13G5-52, 13G5-57, 14A8-85, 22H8-84, 49F2-30, 및 55E7-79 는, 2011년 4월 1일부로 "International Patent Organism Depositary (IPOD),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AIST)"에 각각 수탁 번호 FERM ABP-11356, FERM ABP-11357, FERM ABP-11358, FERM ABP-11359, FERM ABP-11360, FERM ABP-11361, FERM ABP-11362, 및 FERM ABP-11363 으로서 기탁되어 있다. 이하에, 기탁을 특정하는 내용을 기재한다.
(a) 기탁 기관명: International Patent Organism Depositary (IPOD),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AIST)
주소: Tsukuba Central 6. 1-1-1 Higashi, Tsukuba, Ibaraki 305-8566, Japan
(b) 기탁일: 2011년 4월 1일
(c) 수탁번호 FERM ABP-11356 (하이브리도마 9H5-4)
(c) 수탁번호 FERM ABP-11357 (하이브리도마 10F7-38)
(c) 수탁번호 FERM ABP-11358 (하이브리도마 13G5-52)
(c) 수탁번호 FERM ABP-11359 (하이브리도마 13G5-57)
(c) 수탁번호 FERM ABP-11360 (하이브리도마 14A8-85)
(c) 수탁번호 FERM ABP-11361 (하이브리도마 22H8-84)
(c) 수탁번호 FERM ABP-11362 (하이브리도마 49F2-30)
(c) 수탁번호 FERM ABP-11363 (하이브리도마 55E7-79).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gG의 효소적인 소화에 의해 생성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한 항체 단편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파인 또는 펩신에 의한 소화에 의해, Fab 또는 F(ab')2 등의 항체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이들의 항체 단편은, 항원과의 결합 친화성을 갖는 항체 분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익히 알려져 있다. 대안적으로는, 필요한 항원 결합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한, 유전자 조작에 의해 구축된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전자 조작에 의해 구축된 항체란, 예를 들어 키메라 항체, CDR-이식 항체, 단일 사슬 Fv, 다이아바디 (diabody), 선상 항체, 및 항체 단편보다 형성된 다특이성 항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것을 생산하는 항체 생산 세포를 기초로, 이들의 항체를 얻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특정 형질전환 세포를 면역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공정을 포함하는,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외인성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를 면역화될 동물에 투여하는 공정, 및
(2) 상기 면역화된 동물의 항체 생산 세포로부터,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항체 생산 세포를 선택하는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항체 생산 세포, 또는 불사화(immortalize)된 해당 항체 생산 세포를 배양하고, 그 배양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회수할 수 있다. 항체 생산 세포를 불사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원으로 하는 형질전환 세포는, 예를 들어 하기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외인성의 폴리뉴클레오티드(a)를 발현 가능하게 보유한 세포를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인성의 폴리뉴클레오티드란, 해당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인위적으로 숙주 세포에 도입된 것인 것을 지칭한다. 세포로서 인간 세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간의 세포에 인간의 유전자가 도입된다. 이와 같은 조합에 있어서도, 인위적으로 도입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외인성 폴리뉴클레오티드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인간 PTPRS의 이소성(ectopic)의 발현은, 외인성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이란, SEQ ID NO: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중, 그 세포외 도메인에 상당하는 30~830위의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N말단측으로부터 순서에서 다음의 순서로 각 영역을 포함한 아미노산 서열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아미노산 서열로서 바람직하다.
[시그널 서열 + 세포외 도메인 + 막관통 도메인 + 세포내 영역]
대안적으로는, 하기와 같이 세포내 영역을 부분적으로 빠뜨리는 아미노산 서열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아미노산 서열에 포함된다.
[시그널 서열 + 세포외 도메인 + 막관통 도메인 + 세포내 영역의 일부]
더욱이, 하기와 같이 세포내 영역이 부족한 구조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아미노산 서열에 포함된다.
[시그널 서열 + 세포외 도메인 + 막관통 도메인]
상기 구조에 있어서, 세포외 도메인 이외의 영역은, SEQ ID NO: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서 선택된 서열일 수도 있고, 그 밖의 상동인 아미노산 서열을 조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 서열, 막관통 도메인, 및 세포내 영역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PTPRS 이외의 PTP 패밀리 분자의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인간 이외의 종의 PTP 패밀리의 아미노산 서열을 조합할 수 있다. 더욱이, 세포외 도메인 이외의 영역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에는, 각 영역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역의 사이에 다른 영역을 개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 서열과 세포외 도메인의 사이에, FLAG 등의 에피토프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그널 서열은, 단백질로 번역된 후, 세포막 표면에 이송될 단계에서 프로세싱되어 제거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번역된 단백질의 세포막의 통과를 유도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시그널 서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PTPRS의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1)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아미노산 서열로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a)를 구성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구조 [시그널 서열 + 세포외 도메인 + 막관통 도메인 + 세포내 영역] 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임의의 염기 서열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2에 기재된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원으로 하는 형질전환 세포를 얻으려면 , 적당한 숙주 세포에,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a)를 발현 가능하게 유지 한 발현 벡터를 도입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세포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마우스, 또는 래트에서 유래하는 세포를 숙주 세포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유래의 세포를 숙주 세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K-293T세포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숙주 세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인간 배아-유래의 신장 세포주이다. HEK-293T세포는, ATCC CRL-1 1268로서 입수할 수 있다. 그 외, 면역 동물에 유래하는 세포도, 숙주 세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면역 동물에 유래하는 세포를 면역원으로서 이용하면, 숙주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이 적다. 그 때문에, 외인성으로 발현하고 있는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마우스를 면역화된 동물로서 사용할 때, 마우스 유래의 세포를 숙주 세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 세포에 있어서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벡터에 탑재해 세포에 형질전환할 수 있다. 포유동물세포에 있어서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시판 벡터를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pCMV-Script(R) Vector, pSG5 Vector (Stratagene 사제), pcDN A3.1 (Invitrogen 사제) 등의 발현 벡터를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해 수득된 형질전환 세포는, 필요에 따라 아쥬반트 등의 부가적인 성분과 함께 면역화될 동물에게 투여된다. 아쥬판트로서는 프로인드(Freund)의 완전아쥬반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마우스를 면역 동물에 이용하는 경우, 형질전환 세포는, 104 내지 109 개의 세포, 보다 구체적으로는 104 내지 106 개의 세포를 투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면역원은, 항체값이 상승할 때까지 간격을 두고 복수회 투여된다. 예를 들어, 단기간 면역법의 경우에는, 2~4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3일 간격으로 형질전환 세포를 투여하고, 2~3회의 투여의 뒤에 항체 생산 세포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주 1회 정도의 간격으로 5~6회 투여한 후에 항체 생산 세포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얻기 위해서, 회수된 항체 생산 세포가 클로닝된다. 클로닝을 위해서, 항체 생산 세포를 불사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 방법으로 대표되는 세포 융합법이나, 에프스타인-바르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에 의한 형질전환을, 항체 생산 세포를 불사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항체 생산 세포에서, 1개의 세포가 1 종류의 항체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1개의 세포에 유래하는 세포 집단을 확립(즉 클로닝)할 수 있으면, 모노클로날 항체를 얻을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이란, 항체 생산 세포를 적당한 세포주와 융합시켜, 불사화(immortalize) 한 후에 클로닝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불사화 된 항체 생산 세포는, 한계 희석법(limiting dilution method) 등의 방법에 의해 클로닝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으로 유용한 많은 세포주가 알려져 있다. 이들의 세포주는, 림프구계 세포의 불사화 효율이 우수하고, 또한 세포 융합에 성공한 세포의 선택에 필요한 각종의 유전 마커를 갖는다. 더욱이 항체 생산 세포의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항체 생산능력이 결핍된 세포주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골수종 P3x63Ag8.653(ATCC CRL-1580)이나 P3x63Ag8U.1(ATCC CRL-1597)은, 마우스나 래트의 세포 융합법으로 유용한 세포주로서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도마는, 동종의 세포의 융합에 의해 작성되지만, 근친의 이종간에서의 헤테로 하이브리도마로부터 모노클로날 항체를 취득할 수 있다.
세포 융합의 구체적인 프로토콜이 공지되어 있다. 즉, 면역 동물의 항체 생산 세포를 적당한 융합 파트너와 혼합하고, 세포 융합시킨다. 항체 생산 세포에는, 비장세포, 림프절로부터 채취된 림프구 세포, 말초혈액B세포 등이 사용된다. 융합 파트너로서는, 상기 언급한 각종의 세포주를 이용할 수 있다. 세포 융합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법이나, 전기 융합법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융합 세포가 갖는 선택 마커에 기초하여, 세포 융합에 성공한 세포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HAT 감수성의 세포주를 세포 융합에 사용한 경우에는, HAT 배지에 있어서 성장하는 세포를 선택함으로써, 세포 융합에 성공한 세포가 선택된다. 더욱 선택된 세포가 생산하는 항체가, 목적으로 하는 반응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각 하이브리도마는, 항체의 반응성에 기초하여, 스크리닝 된다. 즉,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하이브리도마를 서브클로닝하고, 최종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항체의 생산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로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세포와의 반응성, 또는 인간 PTPRS 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와의 반응성에 기초하여, 목적으로 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선택할 수 있다.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는, 면역검정의 원리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를 항원으로서 이용하는 ELISA를, 목적으로 하는 항체의 검출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pDC, 또는 면역원으로서 이용한 형질전환 세포를 고정화한 담체에, 하이브리도마의 배양 상청액을 접촉시킨다. 배양 상청액이 목적으로 하는 항체를 포함한 경우에는, 항체가 담체에 고정화된 세포에 포착된다. 그 다음에, 고상을 배양 상청액으로부터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 세정한 후에, 고상에 포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항체의 검출에는, 항체를 인식하는 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의 항체는, 항마우스면역글로불린 항체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항체를 인식하는 항체를 표지해 두면, 그 검출이 용이하다. 표지에는, 효소, 형광 색소, 발광 색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세포를 고정화하는 담체로서는, 입자나, 마이크로티터의 내벽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제의 입자나 용기의 표면에, 세포를 물리 흡착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제의 비즈나 반응 용기를, 세포를 고정시키는 담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의 선택에 있어서, 인간 PTPRS가 아니고, 면역원에 사용한 형질전환 세포의 숙주 세포에 대한 항체의 생산이 예측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세포를 면역원으로 사용하고 마우스를 면역화될 동물로서 이용하면, 인간 세포가 이물질로서 인식되어 거기에 결합하는 항체의 생산이 예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항체의 취득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인간 PTPRS 이외의 인간 세포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를 취득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스크리닝으로 배제하기 위해서, 항체의 반응성의 확인에 앞서, 목적으로 하지 않는 항체를 미리 흡수할 수 있다.
목적으로 하지 않는 항체는, 존재가 예측되는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인간 PTPRS 이외의 인간 세포 항원에 대한 항체는, 인간 PTPRS의 발현을 검출할 수 없는 세포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원에 사용한 숙주 세포는, 목적으로 하지 않는 항체를 흡수하기 위한 항원으로서 바람직하다.
항원에 대한 결합 활성이 확인된 모노클로날 항체는, 필요에 따라 실제로 pDC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된다. pDC에 대한 영향은, 예를 들어 하기 언급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그것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하고, 그 배양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로 배양할 수 있다. 시험관내에서는, RPMI1640등의 공지된 배지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할 수 있다. 배양 상청액에는 해당 하이브리도마가 분비한 면역글로불린이 축적된다. 따라서, 배양 상청액을 채취하고, 필요에 따라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얻을 수 있다. 배지에는, 혈청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면역글로불린의 정제가 용이하다. 그러나, 하이브리도마의 것보다 신속한 증식과 항체 생산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고, 10% 정도의 소 태아 혈청을 배지에 가세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는, 생체내에 있어서 배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드 마우스의 복강에 하이브리도마를 접종함으로써, 복강내에서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복수에 축적된다. 따라서, 복수를 채취하고, 필요에 따라 정제하면, 필요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얻을 수 있다. 수득된 모노클로날 항체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해당 하이브리도마로부터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을 코딩하는 cDNA를 취득하고, 이것을 적당한 발현 벡터에 삽입함으로써 발현 시킬 수 있다. 항체의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를 취득하고, 적당한 숙주 세포에 발현시키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또한,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가변 영역을, 불변영역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키메라 항체를 형성시키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모노클로날 항체로서 수탁 번호 FERM ABP-11356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9H5-4, 수탁 번호 FERM ABP-11357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10F7-38, 수탁 번호 FERM ABP-11358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13G5-52, 수탁 번호 FERM ABP-11359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13G5-57, 수탁 번호 FERM ABP-11360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14A8-85, 수탁 번호 FERM ABP-11361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22H8-84, 수탁 번호 FERM ABP-11362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49F2-30, 또는 수탁 번호 FERM ABP-11363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55 E7-79 등이 생산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가변 영역을 포함한 키메라 항체, 또는 가변 영역을 구성하는 CDR를 이식한 인간화 항체로서 IgG 또는 IgM 유래의 불변영역을 갖는 항체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항체에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PTPRS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가 PTPRS 발현 세포에 대한 CDC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IgG 또는 IgM 유래의 불변영역을 갖는 항체는, CDC 작용에 의한 PTPRS 발현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작용을 갖는다. 이와 같은 항체는, pDC등의 PTPRS 발현 세포의 세포수의 억제에 유용하다.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는, 그것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해 유전자 공학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국제 공개 W02007/041317호(JP2009-510102A)에 인간 PTPRS의 구조가 밝혀지고 나서 이미 대략 4년이 경과하였으나, 여전히 인간 PTPRS를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항체는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면역원에 의해, 처음으로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항체가 제공되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항체를 제공했다:
(1)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 단백질을 면역화될 동물에 투여하는 공정,
(2) 상기 면역화된 동물의 항체 생산 세포로부터, 인간 PTPRS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항체 생산 세포를 선택하는 공정, 및
(3) 상기 (2)에서 선택된 항체 생산 세포를 배양해 그 배양물로부터 인간 PTPRS를 인식하는 항체를 회수하는 공정.
인간 PTPRS는, 인간 pDC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의 SAGE에 의한 유전자 발현 해석에 있어서도, 인간 pDC에 있어서의 특이적 발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과거의 보고에 있어서는, 인간 PTPRS의 발현 수준은 모두 mRNA에 기초하여 해석되고 있었다. 인간 PTPRS의 검출이 가능한 항체가 제공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단백질의 발현 상태를 해석하는 것은 종래 행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는, 인간 PTPRS 단백질의 해석을 실현했다.
삭제
실제로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근거하는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인간 pDC를 특이적으로 검출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을 피검세포에 접촉시켜, 세포에 결합한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력을 포함한 단편을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형질 세포모양 수상 세포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기초하여 인간 PTPRS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세포가 pDC인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를 지표로 하는 pDC의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에 기초하여 인간 PTPRS가 검출된 세포를 분리함으로써, 인간 pDC를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를 지표로 하는 pDC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을 미리 표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색소나 형광 색소에 의해 표지함으로써, 항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형광 색소 표지 항체를 pDC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세포 집단과 접촉시켜, 본 발명의 항체가 결합한 세포를 형광 색소를 지표로서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형광 색소가 검출된 세포를 분리하면, pDC를 분리할 수 있다. 일련의 공정은, FACS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의 항체를 자성 입자 등의 고상 담체에 결합해 둘 수 있다. 고상 담체에 결합한 항체가 인간 PTPRS를 인식하고, pDC가 고상 담체에 포착된다. 그 결과, pDC를 검출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근거하는 pDC의 검출 방법으로 필요한 항체는, pDC 검출용 시약으로서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을 포함하는, pDC의 검출용 시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pDC의 검출용 시약에는, 항체외, 양성 대조, 또는 음성 대조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원에 이용한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나, 인간으로부터 채취된 pDC등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인간 pDC는 말초혈액으로부터는 오직 소량밖에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특히 형질전환 세포는, 본 발명의 시약에 있어서의 양성 대조군으로서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음성 대조군에는, 인간 PTPRS를 발현하지 않는 임의의 세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을 포함하는, 인간 pDC의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가 pDC에게 미치는 영향을 해석했다. 그 결과,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는, pDC 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의 어느 하나를 pDC에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터페론 생산 세포의 활성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인간 PTPRS에 결합하고, pDC의 활성을 억제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 및
(b) 상기 (a)의 모노클로날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이식한 면역글로불린, 또는 이의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단편.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의 어느 하나를 생체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생체중의 pDC의 활성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인간 PTPRS에 결합하고, pDC의 활성을 억제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
(b) 상기 (a)의 모노클로날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이식한 면역글로불린,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 및
(c) 상기 (a) 또는 (b)에 기재된 성분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본 발명에 있어서 pDC는, IFN 생산능력을 가져, 또한 세포 표면에 인간 PTPRS를 발현하는 세포를 지칭한다. 이하,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pDC는, 수상 세포의 전구체 세포인 세포 뿐만 아니라, IFN 생산능력을 가져, 세포 표면에 인간 PTPRS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pDC의 동정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몇 개의 세포 표면 마커를 지표로 하여 pDC를 다른 혈액 세포와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pDC의 세포 표면 마커의 프로파일은 하기와 같다(Shortman, K. and Liu, VJ. Nature R eviews 2:151-161, 2002). 최근, BDCA-2 양성 세포를 pDC라고 평가하는 보고도 있다(Dzionek, A. et al.J.Immunol.165:6037-6046, 2000).
[인간 pDC의 세포 표면 항원의 프로파일]
CD4 양성, CD123 양성, Lineage (CD3, CD14, CD16, CD19, CD20, CD56) 음성, CDllc 음성
따라서, 이들의 공지된 마커의 발현 프로파일을 가져, IFN 생산능력을 가지는 세포를 pDC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들의 마커의 발현 프로파일의 발현 패턴과는 상이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세포군, IFN 생산능력을 갖는 생체 중의 세포는 pDC에 포함된다.
더욱이, 인간 pDC에 공통적으로 관찰되고, 이하와 같은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세포의 형태상의 특징]
- 플라즈마 세포를 닮음,
- 세포 표면이 평활한 둥근 세포임,
- 상대적으로 큰 핵을 가짐 [세포의 기능적인 특징],
- 바이러스 감염시에, 단기간에 대량의 I형 IFN를 생산함,
- 감염 후 수지상세포와 상이함.
본 발명에 있어서, pDC의 활성 억제란, pDC가 갖는 기능이 적어도 하나를 억제하는 것을 지칭한다. pDC의 기능으로서, IFN의 생산과 세포 생존을 나타낼 수 있다. 세포의 생존은, 세포수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능의 둘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억제하는 것은 pDC의 활성을 억제함을 지칭한다. pDC에 의해 생산되는 I형 IFN이 여러 가지의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pDC의 세포수나 IFN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은, 이들 질환의 치료 전략으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자기면역성의 질환의 병리학적 병태와 IFNα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다. IFNα의 대부분이 pDC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그 생산을 억제하면, IFNα에 의해 초래되는 병리학적 병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pDC에 의한 IFN 생산 억제와는 pDC가 생산하는 IFN의 적어도 1 종류의 IFN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IFN는, I형 IFN이다. 그 중에서도 IFNα가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IFN 생산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를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IFN의 생산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본 발명은,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의, IFN의 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pDC에는, 소수의 세포로 대량의 IFN를 생산하는 세포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등으로 자극을 받은 수상 세포의 전구체 세포는, 생체가 생산하는 IFN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대량의 IFN를 생산하는 pDC의 세포수를 억제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IFN의 생산 양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pDC의 세포수의 억제에 의해, IFNα에 의해 초래되는 병리학적 병태를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는, 인간 PTPRS-발현 세포에 결합하고, CDC (보체 의존성의 세포독성; Complement Dependent Cyto toxicity) 작용에 의해 세포독성 작용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CDC 작용은, 항체 의약의 중요한 작용 기전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도, 그 CDC 작용에 의해, pDC등의 인간 PTPRS 발현 세포에 대한 강력한 세포독성 작용을 갖는다. 즉,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는,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IFN 생산의 억제 기전 이외에도, pDC에 대한 세포독성 작용에 의해, IFN 생산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인식하는 항체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방법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체는, 임의의 클래스일 수 있다. 또한, 항체가 유래하는 생물종도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을 항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gG의 효소적인 소화에 의해 생성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한 항체 단편도, 본 발명에서 항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파인 또는 펩신에 의한 소화에 의해, Fab 또는 F(ab')2 등의 항체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이들 항체 단편은, 항원과의 결합 친화성을 갖는 항체 분자로서 이용할 수 있음이 익히 공지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필요한 항원 결합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한, 유전자 조작에 의해 구축된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전자 조작에 의해 구축된 항체란, 예를 들어 키메라 항체, CDR 이식 항체, 단일 사슬 Fv, 디아바디( diabody), 선상 항체, 및 항체 단편보다 형성된 다특이성 항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를 기본으로, 이들의 항체를 얻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는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인식하는 항체는, pDC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즉, 항체 그 자체가 pDC에 대한 세포독성 작용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고려되었다. 강한 효과기 작용을 나타내는 항체의 서브 클래스가 공지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항체를 세포 장애물질 (cytotoxic agent)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pDC의 활성 억제 효과를 더욱 증강할 수 있다. 세포 장애물의 예로는, 이하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독소: 슈도모나스 내독소(PE), 디프테리아톡신, 리신
방사성 동위 원소: Tc99m, Sr89, 1131, Y90
항암제: 카리키아마이신, 마이토마이신, 파클리탁셀.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독소류는, 2 관능성 시약에 의해 항체 또는 그 단편 등에 결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항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독소류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접합하고, 양자의 융합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방사성 동위 원소를 항체에 결합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킬레이트제를 이용하고, 항체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할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더욱 항암제는, 당 사슬 또는 2 관능성 시약등의 이용에 의해, 항체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위적으로 구조를 개편된 항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의 세포독성 작용이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가지 변형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쇄의 당 사슬이 개편된 면역글로불린이 알려져 있다(Shinkawa, T. et al., J.Biol.Chem 278:3466-3473. 2003.). 당 사슬의 변형에 의해, 면역글로불린의 ADCC (Antibody 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활성이 증강되었다.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는, pDC에 접촉시키면 그 활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이들의 항체를, pDC의 활성 억제제, 또는 억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a)-(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pDC의 활성 억제제를 제공한다. 혹은 본 발명은, 하기(a)-(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성분을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한 pDC의 활성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본 발명은, 하기(a)-(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성분의 pDC 활성 조절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a)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 및
(b) 상기 (a)의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이식한 면역글로불린, 또는 이의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단편.
본 발명에 있어서, pDC의 활성을 억제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로서는,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인식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인식하는 복수종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배합하고,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항체가 pDC의 IFN 생산 활성의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pDC는 바이러스의 자극에 의해 IFN를 대량으로 생산한다. pDC에 대한 바이러스 자극 전, 후, 또는 바이러스 자극과 동시에 항체를 주어 항체를 주지 않는 pDC를 대조로서 IFN의 생산능력을 비교한다. IFN 생산능력은, pDC의 배양 상청액 안에 포함되는 IFNα나 IFN-β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비교의 결과, 항체의 첨가에 의해, 상청액 안의 IFN의 양이 유의하게 저하하면, 시험된 항체는, IFN 생산능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IFN의 측정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pDC는, 생체에 있어서의 IFN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세포이다. 따라서, pDC의 IFN 생산능력의 억제에 의해, 생체의 IFN의 생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DC의 활성에는 pDC의 세포수의 유지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pDC의 활성의 억제는, pDC의 세포수의 억제를 포함한다. pDC의 세포수가, 항체의 존재하에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면, 해당 항체가 pDC의 활성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비교 대조로서는, IFN 생산과 마찬가지로, 활성을 확인해야할 항체와 같은 동물종에 유래하는 불활성인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할 수 있다. pDC의 세포수는, 세포의 계수에 의해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세포수는, FACS나 현미경에 의해 계수할 수 있다.
또한, pDC는 바이러스등의 감염의 결과 DC2 (Dendritic Cell 2)로 지칭되는 Th2를 유도하는 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바이러스 자극에 의한 pDC의 IFN 생산을 억제할 수 있으면, Th2에 대한 분화도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IFN 생산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각종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인식하는 항체를, 그 항체가 유래하는 생물종과는 상이한 숙주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해당 숙주에게 있어 이물질로 인식되기 어려운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분자로 가공함으로써, 면역글로불린을 이물질로서 인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이하와 같이 가공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 불변영역을 결여되어 없어진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단편(Monoclonal 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third edition, Academic Press Limited. 1995; Antibody Engineering, 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1996)
- 모노클로날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과 숙주의 면역글로불린의 불변영역으로 구성되는 키메라 항체(Experimental Manual for Gene Expression, Kodansha Ltd., 1994 (edited by Isao Ishida and Tamie Ando))
- 면역글로불린에 있어서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모노클로날 항체의 CDR 로 치환한 CDR 치환 항체(Experimental Manual for Gene Expression, Kodansha Ltd., 1994 (edited by Isao Ishida and Tamie Ando)).
대안적으로는, 살균 바이러스 디스플레이법(McCafferty J. et al., Nature 348: 552-554, 1990; Kretzschmar T et. al., Curr Opin Biotechnol 2002 Dec: 13 (6): 598-602)에 의해, 인간의 면역글로불린 가변 영역 유전자를 취득할 수 있다. 살균 바이러스 디스플레이법에 있어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살균 바이러스 유전자에 혼입된다. 다양한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소스로서 살균 바이러스 라이브러리를 작성할 수 있다. 살균 바이러스는 자신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로서 해당 가변 영역을 발현한다. 살균 바이러스에 의해 발현된 살균 바이러스 표면의 가변 영역은, 항원과의 결합 활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항원 또는 항원을 발현한 세포 등에 결합하는 살균 바이러스를 선택함으로써, 살균 바이러스 라이브러리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결합 활성을 갖는 가변 영역을 발현한 살균 바이러스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더욱이, 이렇게 선택된 살균 바이러스 입자 안에는, 목적으로 하는 결합 활성을 갖는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보유되어 있다. 즉, 살균 바이러스 디스플레이법에 있어서는, 가변 영역의 결합 활성을 지표로서 목적으로 하는 결합 활성을 갖는 가변 영역을 코드하고 있는 유전자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pDC의 활성 억제제, 또는 억제 방법에 있어서, 인간 PTPRS의 세포외 도메인을 인식하는 항체, 또는 그 적어도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로서 혹은 그것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서 투여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기 위해,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도록, 적당한 프로모터의 제어하에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배치한 벡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벡터에는, 인핸서나 터미네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을 구성하는 중쇄과 경쇄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발현할 수 있는 벡터가 공지되어 있다. 면역글로불린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는, 세포에 도입함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생체에 대한 투여에 대해서는, 생체에 대한 투여에 의해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 것은 그대로 투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일단 생체로부터 분리한 림프구에 벡터를 도입해 다시 생체에 되돌릴 수도 있다(ex vivo).
본 발명에 근거하는 pDC의 활성 억제제, 또는 억제 방법에 있어서, 생체에 투여되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양은, 면역글로불린으로서 체중 1 kg 당, 통상 O.5 mg 내지 10O mg, 예를 들어 1 mg 내지 50 mg, 바람직하게는 2 mg 내지 10 mg이다. 생체에 대한 항체의 투여 간격은, 치료 기간중의 생체내에 있어서의 면역글로불린의 유효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 ~ 2주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임의적이다. 당업자는, 치료에 즈음하여 효과적인 투여 경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구적인 투여 또는 비경구적인 투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주사, 근육내 주사, 복강내 주사, 또는 피하 주사등에 의해, 전신 또는 국소에 항체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경구투여에 적당한 제제로서 주사제, 좌제, 분무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포에게 주는 경우에는, 배양액중에 통상 1 μg/mL, 바람직하게는 10 μg/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g/m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O.5 mg/mL 이상의 면역글로불린이 제공된다.
본 발명 pDC의 활성 억제제 또는 억제 방법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생체에 투여할 수 있다. 통상 모노클로날 항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배합된다. 모노클로날 항체에는, 필요에 따라 증점제, 안정제, 방부제 및 가용화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담체 또는 첨가제로서는, 락토오스, 시트르산,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수크로오스, 전분, 탤크, 젤라틴, 한천, 식물유, 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라고 하는 용어는, 각국 정부의 감독 당국에 의해 승인되고 있는지, 또는 각국의 약국 혹은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약국에 동물, 포유동물, 및 특히 인간에 대한 사용에 관해서 나열 기록되고 있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pDC의 활성 억제제는, 1회 또는 복수회의 용량의 동결건조 분말 또는 정제의 형태로 공급할 수 있다. 동결건조 분말 또는 정제는, 더욱이, 투여 전에 그 조성물을 원하는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기 위한 주사용의 멸균 생리식염수 또는 완충액을 조합할 수 있다.
더욱이, 면역글로불린을 발현하는 벡터로서 투여하는 경우에는 체중 1 kg 당 각 플라스미드를 O.1~10 mg , 예를 들어 1~5 mg로 투여할 수 있으며, 중쇄 및 경쇄는 다른 플라스미드로서 공-형질감염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시험관내에 있어서 세포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1~5 μg/106cell 의 벡터가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용된 모든 선행 기술 문헌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A. PTPRS의 발현 해석
A-l) SAGE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분석
인간단구, pDC, 및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SV) 처리한 pDC에 있어서의 유전자의 발현을, SAGE™(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법에 의해 비교, 해석했다. 해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간 말초혈액로부터, 단구를 CD14 양성 세포로서 pDC를 BDCA-4 양성 세포로서 세포 분류기에 의해 분리했다. 더욱 pDC를 HSV 존재하에서 12시간 배양하고, 활성화한 pDC를 조제했다. 각각의 세포로부터 RNA를 취득하고, I-SAGE™ 키트 (Invitrogen사제)를 이용하고, SAGE 라이브러리를 제작했다. 수득된 약 100,000 태그의 염기 서열 데이터를, SAGE Analysis Software (Invitrogen사제)로 해석했다. 그 결과, 단구/pDC/pDC + HSV의 스코어 값이 0/7/0 인 유전자, 즉 pDC 특이적 발현을 나타내는 유전자로서 이미 알려진 유전자인 PTPRS (GenBank Acc# NM_002856.3)으로 밝혀졌다. PTPRS는, SEQ ID NO: 2로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된다. 게다가, 이는 면역글로불린 모양 도메인(Ig-like domain) 및 피브로넥틴 III형 모양 도메인(Fibronectin type III-like domain)을 세포외 영역에 갖는 1회막관통막단백질이다. 또한, 이는 세포내 영역에 2개의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 영역(PTP domain)을 갖는다(도 1).
A-2) 정량 RT-PCR에 의한 PTPRS mRNA의 인간 각종 면역 담당 세포에 있어서의 발현 해석 PTPRS의 혈구 세포에서의 발현을 보다 상세하게 검토했다.
인간 말초혈액로부터, 세포 분류기에 의해 각 세포를 분취했다. 분취한 각 세포군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했다. 수득된 cDNA를 주형으로서 정법에 따라 정량적 PCR를 실시하고, PTPRS mRNA의 발현 수준을 해석했다. 항상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의 발현 수준으로 표준화함으로써, PTPRS 유전자의 발현을 각 조직간에 비교했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염기 서열, 및 PCR의 조건은 하기이다.
PTPRS용 진행방향 프라이머: 5' CAC GGC CTA TGA CCT CCA 3' (SEQ ID NO: 3)
PTPRS용 역방향 프라이머: 5' AAG TTC TTG GGC GAG ACT TG 3' (SEQ ID NO: 4)
GAPOH용 진행방향 프라이머: 5' CCA CCC ATG GCA AAT TCC 3' (SEQ ID NO: 5)
GAPOH용 역방향 프라이머: 5' TGG GAT TTC CAT TGA TGA CAA G 3' (SEQ ID NO: 6)
50℃ 2분을 1 사이클,
95℃ 10분을 1 사이클,
[95℃ 15초, 60℃ 60초]를 50 사이클.
단구, pDC, HSV로 자극한 pDC, B세포(CD19+세포), T세포(CD3+세포), PMA (Phorbol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로 자극한 활성화 T세포, NK세포(CD56+세포)에 대해 검토했는데, PTPRS가 pDC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징으로서, HSV로 자극한 pDC에 의해 PTPRS의 발현이 저하됨이 밝혀졌다(도 2).
A-3) 정량적 RT-PCR에 의한 인간 조직에 있어서의 PTPRS mRNA의 발현 해석
더욱이, 그 밖의 장기, 조직에 있어서의 발현을 ABI PRISM 7000(Applied Biosystem사제)을 사용한 정량 PCR에 의해 검토했다. cDNA 패널로서 "BD™MTC multiple tissue cDNA panel" (Human I;Cat.No. 636742, Human immune;Cat.No.636748, Human blood fractions;Cat.No. 636750; 모두 Becton Dickinson사제)을 사용했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염기 서열을 이하에 나타낸다.
PTPRS용 진행방향 프라이머: 5' ACT CAC CCA CAC CCT ACA AGA 3' (SEQ ID NO: 7)
PTPRS용 역방향 프라이머: 5' CTT GGT GGT ACG GCC ATC 3' (SEQ ID NO: 8)
GAPDH용 진행방향 프라이머: 5' CCA CCC ATG GCA AAT TCC 3' (SEQ ID NO: 5)
GAPDH용 역방향 프라이머: 5' TGG GAT TTC CAT TGA TGA CAA G 3' (SEQ ID NO: 6)
SYBR 그린 PCR 마스터 믹스 키트 (Applied Biosystem사제)를 이용하고, 동일 회사의 ABI PRISM 7000에 의해 PCR를 실시했다. 해석에는 동일회사 Sequence Detection System Software를 사용했다. 반응 조건은 하기와 같다.
단계 1: 50℃ 2분을 l사이클
단계 2: 95℃ 10분을 1 사이클
단계 3: 95℃ 15초, 60℃ 1분을 40 사이클.
항상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의 발현 수준으로 표준화함으로써, PTPRS 유전자의 발현을 각 조직간 비교했다. 그 결과, PTPRS mRNA는 조직에서 광범위하게 발현하였다(도 3).
B. PTPRS 발현 벡터의 제작
PTPRS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해, PTPRS 유전자의 발현 벡터의 제작을 실시했다. pCR4-TOPO 클로닝 벡터에 혼입된 PTPRS cDNA 클론(Open Biosystem cc# MHS1010-98052887)으로부터의 PTPRS 유전자만을 EcoRI 효소로 꺼내, pcDNA3.1 발현 벡터에 혼입했다(PTPRS/pcDNA3.1). 수득된 PTPRS/pcDNA3.1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서 사용하여, EcoRI, Not I, 및, 코작(Kozak) 서열 (GCC GCC ACC)를 포함한 프라이머로 PTPRS 유전자를 증폭했다(프라이머의 정보는 하기에 나타낸다). PCR 산물을 EcoRI와 Not I 사이트에서 pMX-IP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에 클로닝하였다(PTPRS/pMX-IP). PCR 반응에 대해, "KOD Plus DNA polymerase" (TOYOBO사제) 1 유닛을 이용하고 반응 조건으로서는 94℃ 2분을 1사이클 간 후, [94℃ 15초 68℃ 4분30초]를 25 사이클로 했다.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9) 5' aaa GAA TTC gcc gcc acc ATG GCG CCC ACC TGG GGCCCT3'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10) 5' aaa gcg gcc gcT TAG GTT GCA TAG TGG TCA AAG C3'
상기의 염기 서열에 있어서, 소문자는 제한 효소 EcoRI의 절단 부위 또는 Not I의 부위를 나타낸다. 5'말단의 aaa는 제한 효소 절단을 위한 부가 염기이다.
C. 인간 PTPRS (hPTPRS)-발현 세포의 제작
PTPRS 유전자를 함유하는 레트로 바이러스를 제조하기 위해, 제작한 PTPRS/pMX-IP를 FuGENE 키트 (Roche사제)에 의해 레트로바이러스 패키징 벡터의 PCL-ECO 과 함께 인간 배아의 신장 세포주인 HEK-293T세포에 일시적으로 유전자 도입했다. 2일 후에, hPTPRS 유전자를 포함한 바이러스가 생산되고 있는 세포 배양 상청액을 회수하고, BALB/c마우스의 비장 유래의 수상 세포인 D2SC/l세포(Paglia et al., J. Exp. Med., 178, 1893-1901 (1993)에 근거해 제조)에 감염시켰다. pMX-IP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는 puromycIn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감염시킨 D2SC/l세포를 puromYCIn와 배양하는 것으로, hPTPRS 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할 수 있게 되어,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hPTPRS 발현 D2SC/l세포를 FACS 분류에 의해 선택하고, 배양했다. hPTPRS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10 μg/mL에 조제한 염소 IgG (SantaCruz사제)와 시판되고 있는 hPTPRS 폴리클로날 항체(pAb; R&D사제)를 각각 100 μl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4℃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PBS로 세포를 세정한 후, 100배 희석한 FITC 라벨링된 항염소 IgG 항체(SantaCruz사제)를 50 μL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4℃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PBS로 세정한 후, FACSCalibur(BD)에서 데이타를 뽑았다(도 4).
실시예
2
A. 항인간 PTPRS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작
A-1) 면역
면역원으로 사용하는 세포로서는, 상기 hPTPRS/D2SC/I 세포를 사용했다. BALB/c마우스의 마취 후, 풋패드(footpad)에 각 발에 50 μl로 프로인드 완전 아쥬반트(Freund's Complete Adjuvant; CFA) 에멀젼을 피하 주사했다. 합계 100μl/마우스이다. 다음날, 면역원으로서 준비한 hPTPRS/D2SC/1 세포를 프로인드 불완전 아쥬반트(Freund's Incomplete Adjuvant; IFA)로 에멀젼을 만들어, 풋패드(footpad)에 피하 주사했다(50μl/발, 합계 100μl/마우스). 면역은 2일 간격으로 합계 3회 실시하고, 마지막 면역화 3일 후에 림프절을 회수했다.
A-2) 세포 융합
면역화한 마우스의 양 발 림프절로부터 세포를 채취하고, 10% FBS를 포함한 RPMI1640 배지(SIGMA)로 배양한 마우스 골수종 세포 P3-X63-Ag8.563과 림프절 유래 세포와 골수종 세포의 비가 5:4가 되도록 혼화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했다. 세포 융합용 혼합 세포에, PEG1500 (Roche사제)를 첨가하였다. 융합한 세포(하이브리도마)는 세정한 후, 세포 성장 서플리먼트를 포함한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 HAT (Sigma사제)-RPMI1640 배지(2 mM L-글루타민, 100 Unit/ml 페니실린,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 10 mM HEPES,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50μM 2-ME를 포함)로 배양했다.
A-3) 면역화한 hPTPRS/D2SC/1 세포를 사용한 하이브리도마의 FACS 스크리닝
3x105/웰의 D2SC/1 세포 또는 hPTPRSI D2SC/1 세포에 2.5μg/ml로 조제한 항CD16/32 (2.4 G2)를 50μL씩 첨가해 FC수용체를 블로킹했다. PBS로 세정 후, 10μg/ml로 조제한 염소 IgG, 시판되고 있는 항일 TPRS pAb (R&D사제), 마우스 IgGZak(BioLegend사제)와 배양하고 있던 하이브리도마의 배양 상청액을 각각 60μl씩 첨가하고, 4℃에서 60분간 인큐베이션했다 PBS로 세정 후, 세포에 50배 희석한 FITC 라벨링된 항염소 IgG 항체와 100배 희석의 PE 라벨링된 항마우스 IgG 항체(BD사제)를 50μl씩 첨가하고, 차광 하에서 4℃에서 30분 인큐베이션했다. PBS로 세정하고, 세포를 PBS 200μl로 현탁했다. FACS Calibur (BD사제)에서 데이타를 뽑았다. 수집한 데이터를 FSC와 SSC의 도트 플롯으로 전개하고, 생 세포를 게이팅했다. 이 게이트내의 세포의 데이터가 2,000 카운트가 될 때까지 데이타를 뽑았다. 그 결과, 항일 TPRS 항체를 생산하는 13개의 하이브리도마를 얻을 수 있었다(2G6, 28G10, 4B2, 2G2, 9H5, 10F7, 22H8, 49F2, 9D2, 14A8, 55E7, 13G5, 16H2) (도 5).
A-4) CAL-1 세포를 사용한 FACS 스크리닝
인간 pDC모양 세포주 CAL-1 세포 3x105를 상기 각 하이브리도마의 배양 상청액 50μl로 15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FACS 버퍼(1% FBS+PBS)로 1회 세정한 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제거했다. 다음으로, PE라벨링된 항마우스 IgG 항체 2μgl ml를 20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1번 세정한 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제거했다. 세포 펠릿은 FACS 버퍼로 재현탁하고, Calibur 해석했다. 그 결과, 하이브리도마 배양 상청액의 2G6, 4B2, 2G2, 9H5, 10F7, 22H8, 49F2, 14A8, 55E7, 13G5 및 16H2는 CAL-1에 잘 반응했다. 한편으로는, 28G10 및 9D2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도 6).
A-5) 인간 말초혈액pDC를 사용한 FACS 스크리닝
[인간 PBMC의 단리]
건강한 성인으로부터 20 ml의 말초혈액을 회수하고, HISTOPAQUE-1077 (SIGMA사제)을 사용한 비중 원심분리로 말초혈단핵구(PBMC)를 분리했다. 1x106의 PBMC를 샘플마다 염색했다. FACS 버퍼로 세포를 세정한 후, Fc 블로킹 시약 (Miltenyi사제)를 5배 희석으로 25μl 첨가하고 4℃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각 하이브리도마의 세포 배양 상청액 50μl, 10μg/ml의 염소 IgG, 항hPTPRS pAb, 및 마우스 IgG2a,κ를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8 μg/ml의 FITC 라벨링된 항염소 IgG 항체 또는 2μg/ml의 PE라벨링된 항마우스 IgG 항체를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APC 라벨링된 항BDCA2 항체를 10배 희석의 50μl로 4℃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300μl의 FACS 버퍼에 세포를 재현탁하고, FACS calibur 해석했다. 그 결과, 2G6, 28G10, 4B2, 2G2, 9H5, 10F7, 22H8, 49F2, 14A8, 55E7 및 13G5는 pDC 세포군에 대해 특이적 결합 반응을 나타냈다. 9D2는 pDC에 결합을 나타낸다 한편으로는, pDC 이외의 세포군(BDCA2-)에도 반응을 나타냈다. 16H2는 PBMC 자체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도 7).
항PTPRS 항체의 특이성 시험
PTPRS는 PTPR 패밀리에 속하고, 그 중 몇개의 패밀리 분자의 아미노산 서열은 PTPRS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높은 상동성을 갖는다(도 8).
A-6) PTPRS를 인식하고, 인간 pD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10 종류의 하이브리도마 세포 배양 상청액(2G6, 4B2, 2G2, 9H5, 10F7, 22H8, 49F2, 14A8, 55E7, 13G5)이 PTPRS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 어떤지를 검토했다. 특히 PTPRS와의 상동성의 높았던 PTPRA (40%), PTPRD (76%) 및 PTPRF (67%)의 유전자 도입 세포를 분자의 N말단에 FLAG 태그를 부가해 제작하고, 염색했다. hPTPRE 는 유전자 도입 세포에서의 발현은 Western Blot으로 확인했지만, 세포 표면에서의 발현은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세포 표면에 발현하지 않았다. 그 결과, 4B2는 hPTPRD에 반응하고(도 9c), 2G6는 hPTPRF에 교차 반응성을 나타냈다(도 9 d). 그 이외의 8 종류의 항체는 PTPRS 특이적 결합을 나타냈다(도 9a-d).
A-7) 항PTPRS 항체의 원숭이에 대한 교차 반응성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의 PBMC는 말초혈액(10 ml; Shin-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으로부터 HISTOPAQUE-1077(SIGMA사제)을 사용하여 비중 원심으로 분리했다. FACS에는, 1 샘플 당 5x105의 세포를 사용했다. FACS 버퍼로 세포를 세정한 후, FACS 버퍼로 희석한 10%의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의 혈청을 10μl 더해 4℃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각 하이브리도마의 세포 배양 상청액 100μl, 10μg/ml의 마우스 IgG2a,κ 또는 마우스 IgG1,κ (BioLegend사제)를 첨가하고 4℃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lμg/ml의 APC 라벨링된 항마우스 IgG 항체(BD사제)를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FIT C라벨링된 항Lineage1 항체(BD사제), PE라벨링된 항CD123 항체(BD 사제), 및 PerCP7Cy5.5-라벨링된 항HLA-DR항체(BD사제)를 10배 희석의 25μl로 4℃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300μl의 FACS 버퍼에 세포를 재현탁하고, FACS calibur에서 해석했다. 사용한 하이브리도마 배양 상청액은, PTPRS 특이적으로, CAL-1 세포나 인간 pDC에 되고 결합하는 49F2, 55E7, 14A8, 13G5, 10F7, 22H8 및 9H5의 7 종류를 선택했다. 그 결과, 모든 하이브리도마 세포 배양 상청액은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의 pDC 세포군(Lineage-CD123+HLA-DR+)에게 특이적으로 결합했다(도 10).
A-8) 하이브리도마의 싱글화
상기 7 종류(49F2, 55E7, 14A8, 13G5, 10F7, 22H8 및 9H5)의 하이브리도마를 회수하고, 분류 버퍼(1 %FBSIPBS)로 1x105 세포/ml가 되도록 현탁했다. FACS Aria(BD)를 이용해 단일 세포 분류(single cell sorting)을 실시했다. 데이타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X축:FSC와 Y축:SSC의 2 차원 도트 플롯으로 전개했다. 그 도트 플롯상에서 생 세포를 게이팅하였다. 생 세포 게이트내의 세포로부터 더블릿을 제외하기 위한 게이트를 걸쳐 그 세포 집단을 96-웰 편평 바닥 플레이트에 1 세포/웰이 되도록 분산시켰다. 단일 세포 분류로 처리한 세포를 HAT 배지((RPMI1640+2 mM L-글루타민, 100 Unit/ml 페니실린,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 10 mM HEPES,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50 mM 2-ME)+a 하이브리도마 성장 보충물 HFCS (Roche))에서 배양했다. 그 후, 하이브리도마의 세포 배양 상청액을 이용해 D2SC 세포와 hPTPRS/D2SC 세포(도 11a 및 b), CAL-1 세포(도 11c), 및 인간 pDC(도 11d)를 염색하고, 싱글 하이브리도마를 선택했다.
실시예
3
항체 정제
"ProteinG Sepharose FastFlow" (GE Healthcare)를 사용한 정제에 의해, 하이브리도마의 배양 상청액으로부터 8 종류(9H5-4, 10F7-38, 13G5-52, 13G5-57, 14A8-85, 22H8-84, 49F2-30, 55E7-79)의 정제 항체를 얻었다. "Pierce Rapid ELISA mouse mAb Isotyping Kit" (Thermo Fisher Scientific사제)를 이용해 아이소타입을 결정했다. 그 결과, 13G5-52로 13G5-57은 마우스 IgG2b,κ 그리고, 55E7-79는 마우스 IgG2b,κ와 마우스 IgGl,κ의 둘 모두를 가져, 그 외는 마우스 IgGl,κ 였다. 정제 항체에 내독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성질 결정 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있기 때문에, 내독소 농도의 측정을 실시했다. 사용한 키트는 Endospecy ES-50 M세트, Toxicolor DIA-MP세트, 및 내독소 표준품 CSE-L세트(모두 Seikagaku Biobusiness Corporation사제)이다. 그 결과, 어느 정제 항체의 내독소 농도도 기준치인 0.3 EU/mg Ab 이하였다(도 12).
정제 항체의 반응성의 검토
정제 항체의 결합 능력을 인간 pDC모양 세포주인 CAL-1 세포로 확인했는데, 어느 항체도 세포 표면상의 인간 PTPRS에 대한 결합 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 또한, 인간 말초혈액의 pDC 세포군(BDCA2+)에 대해서도 특이적으로 결합했다(도 14).
인간 PTPRS의 마우스 PTPRS (mPTPRS)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은 약 96%이다. 이들이 서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제작한 항인간 PTPRS 항체가 마우스 PTPRS에도 결합하는지 아닌지 검토하였다. mPTPRS의 유전자를 강제 발현시킨 CHO 세포(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 이하 mPTPRS/CHO로 지칭함)를 각 항PTPRS 항체 10μg/ml로 염색했다. 세포수는 1 샘플 당 2x105로 했다. FACS 버퍼로 세정 후, PE라벨링된 항마우스 IgG 항체를 50배 희석하고, 25 μl로 염색했다. 그 결과, 49F2-30, 13G5-52, 13G5-57, 및 22H8-84는 mPTPRS/CHO에 결합했다(도 15).
실시예
4
항PTPRS 항체의 hPTPRS 발현 세포에 대한 보체 의존적 세포독성
어린 토끼 혈청을 보체원으로서 인간 PTPRS를 발현하는 CHO 세포(이하 hPTPRS/CHO로 지칭함) 및 마우스 PTPRS/CHO 세포(이하 mPTPRS/CHO로 지칭함)에 대한 항PTPRS 항체의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활성(Complement-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이하 CDC 활성으로 지칭함)를 측정했다. 활성은 세포로부터 방출된 락트산 탈수소효소(lactase dehydrogenase; LDH)의 측정치로부터 산출한 세포 독성을 지표로 했다. 각 세포를 2x104세포/50μl/웰씩 96-웰 U 바닥 플레이트에 분산시켰다. CDC 배지(RPMI1640+O.1%BSA+10 mM HEPES+2 mM L-글루타민+100 Unit/ml 페니실린+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로 189 Complement (CEDARLANE사제)를 조제했다. 대조군 항체(마우스 IgGl,κ 또는 마우스 IgG2b,κ)와 항PTPRS 항체를 3.3μg/ml와 30μg/ml의 조제했다. CytoTox 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Promega사제)의 키트를 사용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PTPRS/CHO의 표적에 대해, 13G5-52 및 13G5-57은 약 20%의 CDC 활성을 나타냈다(도 16A). 한편으로는, mPTPRS/CHO의 표적에 대해서는, 13G5-52로 13G5-57은 약 100%의 CDC 활성을 나타냈다(도 16B).
실시예
5
키메라화 항체의 제작 마우스항PTPRS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로서는, 하기의 것을 사용했다.
하이브리도마 9H5-4 (수탁번호: FERM ABP-11356)
하이브리도마 10F7-38 (수탁번호: FERM ABP-11357)
하이브리도마 13G5-52 (수탁번호: FERM ABP-11358)
하이브리도마 13G5-57 (수탁번호: FERM ABP-11359)
하이브리도마 14A8-85 (수탁번호: FERM ABP-11360)
하이브리도마 22H8-84 (수탁번호: FERM ABP-11361)
하이브리도마 49F2-30 (수탁번호: FERM ABP-11362)
1. 불변영역의 아이소타입 확인
7 개의 하이브리도마(9H5-4,10F7-38,13G5-52, 13G5-57, 14A8-85, 22H8-84 및 49F2-30)로부터 생산된 각 마우스 항체의 불변 영역의 아이소타입을 확인했다.
확인을 위해 "mouse monoclonal antibody isotyping kit" (Catalog No.: MMT1; Serotec Product; Oxford, UK) 또는 "Pierce Rapid ELISA mouse mAb Isotyping Kit"(Thermo Fisher Scientific), 및 시료로서 이러한 9H5-4,10F7-38,13G5-52, 13G5-57, 14A8-85, 22H8-84 및 49F2-30 하이브리도마 배양 상청액을 사용했다.
그 결과, 13G5-52 및 13G5-57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된 항체의 아이소타입은 중쇄로서 IgG2b 를 포함하고 경쇄로서 κ를 포함하는 아이소타입이었다.
2. 마우스 항PTPRS 항체의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의 클로닝
2-1) 총 RNA의 단리
시판 키트 "RNeasy Mini Kit" (Qiagen, Catalog No.: 74106)을 이용해 키트 첨부의 지시서에 따라, 7 개의 하이브리도마로부터 총 RNA를 단리 했다. 5x106 세포수의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로부터 조제하고, 약 30μg의 총 RNA를 얻을 수 있었다.
2-2) 마우스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의 증폭 및 단편화
상기 2-1)로 단리한 총 RNA중 5μg를 사용하고, 5' RACE PCR 법에 의해, 마우스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를 증폭했다. 증폭에 대해, 시판 키트 "5' RACE System for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Version 2.0 Kit" (Invitrogen, Catalog No.: 18374-058)를 사용했다. 상세사항은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2-1)로 수득된 총 RNA로부터 역전사진 효소에 의해, 제1가닥 cDNA를 합성했다. 이때, 하기에 나타낸 안티센스 프라이머(GSP1)를 사용했다.
각 마우스 중쇄의 아이소타입에 따르는 GSP1 프라이머를 cDNA 증폭에 사용했다. 예를 들어, 하기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중쇄로서 마우스 IgG1 을 포함하는 9H5-4, 10F7-38, 14A8-85, 22H8-84 및 49F2-30 하이브리도마의 중쇄 가변 영역의 클로닝에 사용했다.
GSP1 프라이머 : mu IgG1 VH-GSP1
서열 : 5'-CCA GGA GAG TGG GAG AGG CTC TTC TCA GTA TGG TGG-3' (36-mer) (SEQ ID NO: 39)
GSP2 프라이머 : mu IgG1 VH-GSP2
서열 : 5'-GGC TCA GGG AAA TAG CCC TTG ACC AGG CAT CC-3' (32-mer) (SEQ ID NO: 40)
또한, 예를 들어, 하기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중쇄로서 마우스 IgG1를 포함하는 9H5-4, 10F7-38, 14A8-85, 22H8-84 및 49F2-30 하이브리도마의 중쇄 가변 영역의 클로닝에 사용할 수 있다.
GSP1 프라이머 : mu IgG Hγ1-GSP1
서열 : 5'-TCC AGA GTT CCA GGT CAC TGT CAC-3' (24-mer) (SEQ ID NO:11)
GSP2 프라이머 : mu IgG Hγ1-GSP2
서열 : 5'-AGG GGC CAG TGG ATA GAC AGA TGG-3' (32-mer) (SEQ ID NO:13)
또한, 하기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중쇄로서 마우스 IgG2b를 포함하는 13G5-52 및 13G5-57 하이브리도마의 중쇄 가변 영역의 클로닝에 사용하였다.
GSP1 프라이머 : mu IgGHγ 2B-GSP1
서열 : 5'-TCC AGA GTT CCA AGT CAC AGT CAC-3' (24-mer) (SEQ ID NO: 41)
GSP2 프라이머 : mu IgG Hγ 2B-GSP2
서열 : 5'-AGG GGC CAG TGG ATA GAC TGA TGG-3' (24-mer) (SEQ ID NO: 42)
게다가, 제 1사슬 cDNA의 3'-말단에,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트랜스퍼라아제(TdT)를 이용하고, 뉴클레오티드 단독중합체인 dC를 부가했다. 그리고, dC(앵커-서열)에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중합체를 3'-말단에 가지고 있는 앵커 프라이머(SEQ ID NO: 12)와 안티센스 프라이머(GSP2)를 이용하고, PCR법에 의해 cDNA를 증폭했다. 더욱이, 수득된 PCR 산물을 주형으로 하고, AUAP 프라이머(SEQ ID NO: 14)와 안티센스 프라이머(GSP2)를 이용하고, Nested PCR법에 의해 cDNA 를 증폭했다. 게다가 이 PCR 산물을 1.5% 저융점 아가로스법에 의해 정제했다.
5' RACE용 앵커 프라이머(SEQ ID NO: 12) 5'-GGC CAC GCG TCG ACT AGT ACG GGI IGG G II GGG IIG-3' (36-mer)
5' RACE용 AUAP 프라이머(SEQ ID NO: 14) 5'-GGC CAC GCG TCG ACT AGT AC-3' (20-mer)
2-3) 마우스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의 증폭 및 단편화
상기 2-1)로 단리 한 총 RNA로부터, 상기 2-2) 와 유사한 방식으로, 마우스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를 증폭했다.
이들 7 개의 항체가 마우스 Igκ 경쇄를 포함하기 때문에, 하기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경쇄의 클로닝에 사용했다.
GSP1 프라이머 : Mu IgVL5RACE-GSP1
서열 : 5'-TTC ACT GCC ATC AAT CTT CCA CTT-3' (24-mer) (SEQ ID NO:15)
GSP2 프라이머 : Mu IgVL5RACE-GSP2
서열 : 5'-GAT GGA TAC AGT TGG TGC AGC-3' (21-mer) (SEQ ID NO:16)
수득된 PCR 산물을 1.5%저융점 아가 로스법에 의해 정제했다.
2-4) cDNA의 염기 서열의 확인과 CDR 영역의 결정
상기 2-2)로 수득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상기 2-3)으로 수득된 경쇄 가변 영역의 cDNA 단편을, 각각, 시판 키트 "Zero Blunt TOPO PCR Cloning Kit" (Invitrogen, Catalog No.: 1325137)을 이용해 키트 첨부의 지시서에 따라 pCR4Blunt-TOPO 벡터에 클로닝 하고, 대장균 콘피텐트 세포에 도입해 대장균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이 형질전환체로부터 플라스미드를 얻어, 서열 해석을 위해서, 플라스미드 DNA 시료를 Operon Biotechnolog y Co.Ltd(도쿄)에 송부하고, 플라스미드 안의 cDNA 염기 서열을 확인했다. 서열의 해석에는 "Sequencher DNA sequence assembly and analysis software version 4.2.2 (Gene Codes Corporation)" 및 "GENETYX-MAC Version 11.1.1" software (GENETYX CORPORATION)"를 사용했다.
상보성 결정 영역(이하, "CDR 영역"으로 지칭함) 주변에, 프레임 시프트, 넌센스 변이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불활성 RNA가 된 것의 형질전환체는 제외하고, 올바른 서열의 것을 추출했다. 게다가 해당 플라스미드 안에 포함되는 cDNA 염기 서열에 대해, 면역글로불린 데이타베이스(IgBLAST, URL:www.ncbi.nlm.nih.gov/igblast/) 및 상동성을 확인하고, 각 가변 영역 내의 CDR 영역(CDRs; CDR1,CDR2,CDR3) 의 서열을 결정하고, 가변 영역의 서열 및 골격 영역을 "Kabat numbering system"(Kabat et al.,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ublication No. 91-3242, 5th e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Bethesda, MD) 에 따라 결정했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 43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44 이다. 마우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서열은 각각 SEQ ID NO: 45, SEQ ID NO: 46 및 SEQ ID NO: 47 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 48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49 이다. 마우스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 50, SEQ ID NO: 51 및 SEQ ID NO: 52 이다.
또한,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10F7-38 항체 및 14A8-85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9H5-4 항체에 대한 것과 동일하였으며, CDR1, CDR2 및 CDR3 의 서열을 포함한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 53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54 이었다. 마우스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 55, SEQ ID NO: 56 및 SEQ ID NO: 57 이었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 58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59 이다. 마우스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 60, SEQ ID NO: 61 및 SEQ ID NO: 62 이다.
또한,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13G5-52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13G5-57 항체의 것과 동일하며, CDR1, CDR2 및 CDR3 의 서열을 포함한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 63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64 이었다. 마우스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 65, SEQ ID NO: 66 및 SEQ ID NO: 67 이었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 68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69 이다. 마우스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 70, SEQ ID NO: 71 및 SEQ ID NO: 72 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49F2-30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25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26 이었다. 마우스 49F2-30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27, SEQ ID NO:28 및 SEQ ID NO:29 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49F2-30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은 SEQ ID NO:30 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31 이다. 마우스 49F2-30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에서 CDR1, CDR2 및 CDR3 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32, SEQ ID NO:33 및 SEQ ID NO:34 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 (471bp)은 하기 나타낸다 (SEQ ID NO: 43). 대문자는 마우스 9H5-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157 a.a)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44). 대문자는 VH 가변 영역의 서열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부분은 시그널 서열을 의미하고 이중 밑줄친부분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의미한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NYRMH (SEQ ID NO: 45)이고,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VITVKSDNYGANYAESVKG (SEQ ID NO: 46)이고,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SVYYGYVLAFDY (SEQ ID NO: 47)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 (402bp)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48). 대문자는 마우스 9H5-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134 a.a)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49). 대문자는 마우스 9H5-4 VH 가변 영역의 서열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부분은 시그널 서열을 의미하고 이중 밑줄친부분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의미한다.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RASQDISNYLN (SEQ ID NO: 50)이고,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YTSRLHS (SEQ ID NO: 51)이고, 9H5-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QQGNTLP (SEQ ID NO: 52)이다.
항-PTPRS 마우스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 (465bp)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53). 대문자는 마우스 13G5-57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2b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155 a.a)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54). 대문자는 VH 가변 영역의 서열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2b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부분은 시그널 서열을 의미하고 이중 밑줄친부분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의미한다.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DYYMY (SEQ ID NO: 55)이고,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YISNGGGSTYYPDTVKG (SEQ ID NO: 56)이고,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HVYYGRNYAMDY (SEQ ID NO: 57)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 (465bp)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58). 대문자는 마우스 13G5-57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155 a.a)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59). 대문자는 마우스 13G5-57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부분은 시그널 서열을 의미하고 이중 밑줄친부분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의미한다.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RASQDISNYLN (SEQ ID NO: 60)이고,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YTSRLHS (SEQ ID NO: 61)이고, 13G5-57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QQGNTLPY (SEQ ID NO: 62)이다.
항-PTPRS 마우스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 (458bp)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63). 대문자는 마우스 22H8-8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152 a.a)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64). 대문자는 VH 가변 영역의 서열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부분은 시그널 서열을 의미하고 이중 밑줄친부분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의미한다.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SYWMQ (SEQ ID NO: 65)이고,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AIYPGDGDTRYTQKFKG (SEQ ID NO: 66)이고,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RIYYGYYYAMDY (SEQ ID NO: 67) 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 (430bp)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68). 대문자는 마우스 22H8-8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143 a.a) 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69). 대문자는 마우스 22H8-84 VH 가변 영역의 서열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부분은 시그널 서열을 의미하고 이중 밑줄친부분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의미한다.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KASQSVDYDGDSYMN (SEQ ID NO: 70)이고,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AASNLES (SEQ ID NO: 71)이고, 22H8-84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QQSNEDPL (SEQ ID NO: 72)이다.
항-PTPRS 마우스 49F2-30 항체 (469 bp) 의 중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25). 대문자는 마우스 49F2-30 VH 의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49F2-30 항체 (156 a.a) 의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26). 대문자는 VH 가변 유전자를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 서열은 시그널 서열을 나타내고, 이중 밑줄친 서열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나타낸다.
49F2-30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SYGMS (SEQ ID NO:27) 이고, 49F2-30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TISSGGSDTYYPDSVKG (SEQ ID NO:28) 이고, 및 49F2-30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QVYYGLYWYFDV (SEQ ID NO:29) 이다.
수득된 항-PTPRS 마우스 49F2-30 항체 (413 bp) 의 경쇄 가변 영역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30). 대문자는 마우스 49F2-30 VL 의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마우스 49F2-30 항체 (137 a.a) 의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31). 대문자는 마우스 49F2-30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마우스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밑줄친 서열은 시그널 서열이고, 이중 밑줄친 서열은 CDR 영역 (CDR1, CDR2, CDR3) 을 나타낸다.
49F2-30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1 은 KASQDVNTAVA (SEQ ID NO:32) 이고, 49F2-30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2 는 SASYRYT (SEQ ID NO:33) 이고, 49F2-30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의 CDR3 은 QQHYSTP (SEQ ID NO:34) 이다.
3. 키메라화 항체의 발현 벡터의 제작
3-1) 인간 Ig 불변영역을 코딩하는 cDNA의 클로닝
인간 PBMC의 총 RNA로부터, 인간 IgGl 중쇄 불변영역과 인간 Igκ 경쇄 불변영역의 cDNA를 클로닝하고, 각각, 시판 키트 "Zero Blunt TOPO PCR Cloning Kit" (Invitrogen, Catalog No.: 1325137)을 이용해 키트 첨부의 지시서에 따라 pCR4Blunt-T OPO 벡터에 클로닝 하고, 대장균 컴피텐트 세포에 도입해 대장균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이 형질전환체로부터 상기 플라스미드를 수득하고 플라스미드 DNA 샘플을 서열 분석을 위해 "Operon Biotechnology Co.,Ltd.(Tokyo)" 에 보내 플라스미드 내에서 cDNA 염기 서열을 확인했다.
3-2) 키메라 9H5-4 (10F7-38, 14A8-85) 항체의 발현 벡터의 제조
키메라화 PTPRS 항체의 중쇄를 코딩하는 cDNA를 조제하기 위해서, 상기 2-2) 에서 수득된 마우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 IgG 중쇄 불변영역이 혼입된 pEE6.4 벡터 (Lonza Biologics, Slough, UK) 를 융합하고, 마우스 9H5-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을 PCR 방법으로 증폭시키고 약 450 염기 길이의 PCR 산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프라이머는 하기와 같다. 수득된 수득된 PCR 산물을 1.5% 저융점 아가로스법으로 정제했다.
키메라 9H5-4 항체에서 중쇄 발현용 프라이머
1)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10F7VH-IF(Hind3)
서열: 5' ttt AAG CTT gcc gcc acc ATG GAG TTG GGA CTG AGC TGG 3' (39-mer) (SEQ ID NO: 73)
2) 역방향 프라이머: chi10F7VH-462R(ApaI)
서열: 5' cga tgg gcc ctt ggt gct agc TGA GGA GAC TGT GAG AGT GGT 3' (42-mer) (SEQ ID NO: 74)
"9H5-4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PCR 산물" 을 상기 2-2) 에서 수득된 마우스 9H5-4 항체 중쇄 가변 영역으로부터 PCR 방법에 의해 수득하였다. 9H5-4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PCR 산물을 Hind III 및 Apa I 제한 효소로 소화하고 1.5% 아가로스 겔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이를 ddH2O 에 의해 용해시켜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 단편 용액을 생성하였다.
수득된 cDNA를, Hind III와 EcoR I를 클로닝 사이트로서 49F2-30의 VH코드 영역을, pEE6.4 벡터(Lonza Biologics, Slough, UK)에 대한 클로닝을 위한 바람직한 제한 부위(HindIII 및 EcoRI) 그리고 이상적 Kozak 서열(GCCGCCACC)을 도입한, 프라이머 chi49F2VH-IF(Hind3) 및 chi49F2VH-1434 R(RI)를 이용하고, 49F2-30의 VH영역을 포함한 pCR4Blunt-TOPO 플라스미드 클론으로부터 PCR로 증폭했다. Chi49F241 pEE6.4 벡터는, 인간 IgG1의 중쇄 불변영역을 포함한다. VH PCR 단편을, HindIII 및 ApaI를 이용하고 인프레임으로, pEE6.4 벡터에 삽입했다. 구축물을 cDNA 염기 서열 해석에 의해 조사하고 플라스미드 DNA 샘플을 서열 분석을 위해 Operon Biotechnology Co.,Ltd.(Tokyo) 에 보내고 플라스미드 내의 cDNA 염기 서열을 확인했다.
키메라 9H5-4 항체의 경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PCR 산물을 PCR 단편으로부터 중복 신장 PCR 을 기초로 하는 기술에 의해 약 730 염기 길이로 증폭시켰고, 이때, 상기 2-3) 에서 수득된 마우스 9H5-4 항체 경쇄 가변 영역 및 상기 3-2) 에서 수득된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융합했다.
9H5-4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PCR 산물을 Hind III 및 EcoRI 제한 효소로 소화하고, 1.5% 아가로스 겔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이를 ddH2O 에 용해시켜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 단편 용액을 생성했다.
수득된 VL-코딩 cDNA of 9H5-4 를 프라이머 chi11G9VL-IF (Hind) 및 chi11G9VL-726R (RI) 를 사용하는 9H5-4 의 VL 영역을 포함하는 pCR4Blunt-TOPO 플라스미드 클론으로부터 PCR 증폭시켰으며, 여기에 pEE14.4 벡터 (Lonza Biologics) 로의 클로닝을 위한 바람직한 제한 부위 (Hind III 및 EcoRI) 및 이상적인 Kozak 서열을 도입했다. Chi9H5-4VL-pEE14.4 벡터는 kappa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Hind III 및 EcoRI 을 사용하여 인프레임으로, VL PCR 단편을 pEE14.4 벡터에 삽입했다. 구축물을 cDNA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해 조사했다.
키메라 9H5-4 항체에서 경쇄 발현용 프라이머
1)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11G9VL-IF(Hind)
서열: 5' acc AAG CTT gcc gcc acc ATG ATG TCC TCT GCT CAG TTC 3' (39-mer) (SEQ ID NO: 75)
2) 역방향 프라이머: chi11G9VL-408R
서열: 5' agc cac agt tcg TTT GAT TTC CAG CTT GGT GCC 3' (33-mer) (SEQ ID NO: 76)
3)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11G9VL-385F
서열: 5' CTG GAA ATC AAA cga act gtg gct gca cca tct 3' (33-mer) (SEQ ID NO: 77)
4) 역방향 프라이머: chi11G9VL-726R(RI)
서열: 5' aaa GAA TTC cta gca ctc tcc cct gtt gaa 3' (30-mer) (SEQ ID NO: 78)
3-2) 13G5-57(13G5-52) 항체의 발현 벡터의 제조
키메라 PTPRS 항체의 중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2-2) 에서 수득된 마우스 13G5-57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pEE6.4 벡터 (Lonza Biologics, Slough, UK) (이에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이 혼입됨) 를 융합했다. 이때, 프라이머는 하기와 같다.
키메라 13G5-57 항체에서 중쇄 발현용 프라이머
1)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13G5.57VH-IF(Hind3)
서열: 5' ttt AAG CTT gcc gcc acc ATG AAC TTG GGG CTC AGC TTG 3' (39-mer) (SEQ ID NO: 79)
2) 역방향 프라이머: chi13G5.57VH-456R(ApaI)
서열: 5' cga tgg gcc ctt ggt gct agc TGA GGA GAC GGT GAC TGA GGT 3' (42-mer) (SEQ ID NO: 80)
키메라 13G5-57 항체의 경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PCR 산물을 중복 신장 PCR 에 기초한 기술에 의해 PCR 단편으로부터 약 730 염기 길이로 증폭시키고, 이때 상기 2-3) 에서 수득된 마우스 13G5-57 항체 경쇄 가변 영역 및 상기 3-2) 에서 수득된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융합했다.
키메라 13G5-57 항체에서 경쇄 발현용 프라이머
1)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11G9VL-IF(Hind)
서열: 5' acc AAG CTT gcc gcc acc ATG ATG TCC TCT GCT CAG TTC 3' (39-mer) (SEQ ID NO: 81)
2) 역방향 프라이머: chi11G9VL-408R
서열: 5' agc cac agt tcg TTT GAT TTC CAG CTT GGT GCC 3' (33-mer) (SEQ ID NO: 82)
3)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11G9VL-385F
서열: 5' CTG GAA ATC AAA cga act gtg gct gca cca tct 3' (33-mer) (SEQ ID NO: 83)
4) 역방향 프라이머: chi11G9VL-726R(RI)
서열: 5' aaa GAA TTC cta gca ctc tcc cct gtt gaa 3' (30-mer) (SEQ ID NO: 84)
키메라 9H5-4 항체의 발현 벡터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키메라 13G5-57 항체의 중쇄 및 경쇄용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
3-2) 키메라 22H8-84 항체의 발현 벡터의 제조
키메라 PTPRS 항체의 중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2-2 에서 수득된 마우스 22H8-8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pEE6.4 벡터 (Lonza Biologics, Slough, UK) (이에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이 혼입됨) 를 융합했다. 9H5-4 항체와 유사한 방법으로, PCR 산물을 수득하고 정제했다. 이때 프라이머는 하기와 같다.
키메라 22H8-84 항체에서 중쇄 발현용 프라이머
1)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22H8VH-IF(Hind3)
서열: 5' ttt AAG CTT gcc gcc acc ATG GAA TGT AAC TGG ATA CTT 3' (39-mer) (SEQ ID NO: 85)
2) 역방향 프라이머: chi22H8VH -456R(ApaI)
서열: 5' cga tgg gcc ctt ggt gct agc TGA GGA GAC GGT GAC TGA GGT 3' (42-mer) (SEQ ID NO: 86)
키메라 22H8-84 항체의 경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PCR 산물을 중복 신장 PCR 에 기초한 기술에 의해 PCR 단편으로부터 약 730 염기 길이로 증폭했고, 이때 상기 2-3) 에서 수득된 마우스 22H8-84 항체 경쇄 가변 영역 및 상기 3-2) 에서 수득된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융합했다.
키메라 22H8-84 항체에서 경쇄 발현용 프라이머
1)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22H8VL-IF(Hind)
서열: 5' acc AAG CTT gcc gcc acc ATG GAG ACA GAC ACA ATC CTG 3' (39-mer) (SEQ ID NO: 87)
2) 역방향 프라이머: chi22H8VL-420R
서열: 5' agc cac agt tcg TTT CAG CTC CAG CTT GGT CCC 3' (33-mer) (SEQ ID NO: 88)
3) 진행방향 프라이머: chi22H8VL-397F
서열: 5' CTG GAG CTG AAA cga act gtg gct gca cca tct 3' (33-mer) (SEQ ID NO: 89)
4) 역방향 프라이머: chi49F2VL-726R(RI)
서열: 5' aaa GAA TTC cta gca ctc tcc cct gtt gaa 3' (30-mer) (SEQ ID NO: 90)
키메라 9H5-4 항체의 발현 벡터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키메라 22H8-84 항체의 중쇄 및 경쇄에 대한 발현 벡터를 제조했다.
3-2) 키메라 PTPRS 항체의 중쇄를 코딩하는 cDNA 의 제조
키메라 PTPRS 항체의 중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PCR 단편에서 중복 신장 PCR 방법을 기초로 한 2 개의 PCR 단편을 변경하였고, 이때 상기 2-2) 에서 수득된 마우스 49F2-30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상기 3-1) 에서 수득된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을 융합하고, PCR 산물을 하이브리드 작업의 결과로서 부분적으로 이중의 필라멘트 분자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1434 염기 길이로 증폭시켰다. 이때, 프라이머 (SEQ ID NOS: 17 내지 24) 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수득된 PCR 산물 1.5% 저융점 아가로스법으로 정제했다.
[표 1]
상기 2-2) 에서 수득된 마우스 49F2-30 항체 중쇄 가변 영역 및 상기 3-1) 에서 수득된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cDNA가 오버랩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영역을 이용해, 중복 신장 PCR 방법으로 수득된 "49F2-30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PCR 산물" 을 수득했다. 49F2-30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PCR 산물을 Hind III 및 EcoR I 제한 효소로 소화하고 1.5% 아가로스 겔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이를 ddH2O 에 용해하여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 단편 용액을 제공했다.
수득된 cDNA의 49F2-30 의 VH 코딩 영역을, 클로닝 부위로서 Hind III 및 EcoRI 를 사용하여 이상적인 Kozak 서열 (GCCGCCACC) 및 pEE6.4 벡터 (Lonza Biologics, Slough, UK) (Hind III 및 EcoRI) 로의 클로닝을 위한 바람직한 제한 부위가 도입한, 프라이머 chi49F2VH-IF (Hind3) 및 chi49F2VH-1434R (RI) 를 이용함으로써, 49F2-30 의 VH 코딩 영역을 포함하는 pCR4Blunt-TOPO 플라스미드 클론으로부터 PCR 에 의해 증폭시켰다. chi49F2VH-pEE6.4 벡터는 인간 IgG1 의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Hind III 및 EcoRI 을 사용하여 인프레임에 의해, VH PCR 단편을 pEE6.4 벡터에 삽입했다. 구축물을 cDNA 염기 서열 분석으로 조사했다.
3-3) 키메라 PTPRS 항체의 경쇄를 코딩하는 cDNA 의 제조
키메라 PTPRS 항체의 경쇄를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PCR 산물을 PCR 단편으로부터 중복 신장 PCR 에 기초한 기술에 의해 726 염기 길이로 증폭했고, 이때 상기 2-3) 에서 수득된 마우스 49F2-30 항체 경쇄 가변 영역 및 상기 3-2) 에서 수득된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융합했다.
49F2-30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PCR 산물을 Hind III 및 EcoRI 제한 효소에 의해 소화하고, 1.5% 아가로스 겔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이를 ddH2O 에 용해하여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 단편 용액을 제공했다.
수득된 49F2-30 의 VL-코딩 cDNA 를, 이상적인 Kozak 서열 및 pEE14.4 벡터 (Lonza Biologics) 로의 클로닝을 위한 바람직한 제한 부위 (Hind III 및 EcoRI) 를 도입한, 프라이머 chi49F2VL-IF (Hind) 및 chi 49F2VL-726R (RI) 를 사용하여 49F2-30 의 VL 영역 영역을 포함하는 pCR4Blunt-TOPO 플라스미드 클론으로부터 PCR 증폭했다. Chi49F2VL-pEE14.4 벡터는 kappa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VL PCR 단편을 Hind III 및 EcoRI 을 사용하여 인프레임으로 pEE14.4 벡터에 삽입했다. 구축물을 cDNA 염기 서열 분석으로 조사했다.
3-4) 키메라 PTPRS 항체 이중 유전자 Lonza 발현 벡터의 구축
키메라 PTPRS 항체 (이중 유전자) Lonza 발현 벡터 (이때 키메라 PTPRS 항체의 중쇄 발현 벡터 및 키메라 PTPRS 항체의 경쇄 발현 벡터가 하나의 이중 유전자 벡터에서 결합됨) 를 표준 클로닝 기술로 구축하였다.
4. HEK-293F 세포에서의 일시적 발현
하기 일시적인 발현 벡터 DNA (80 μg) 를 사용하였다.
1) chi9H5-4VH/VL DG Lonza 벡터 DNA
2) chi13G5-57VH/VL DG Lonza 벡터 DNA
3) chi22H8-84VH/VL DG Lonza 벡터 DNA
4) chi49F2-30VH/VL DG Lonza 벡터 DNA
트랜스펙션 전날, 293F 세포를 250 mL Erlenmeyer 플라스크 (Corning#431144) 에서 8x105 세포/mL 에서 80 mL 로 조정하고, 7 일 동안 8% CO2 농도 및 37℃ 의 조건 하에서 진탕 배양했다.
7일간 배양 후에, 트랜스펙션을 실시한 293 F세포의 배양액을 50 mL튜브에 회수하고, 2,070 g, 4℃ 조건으로 5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했다. 상청액을 공극 크기 0.45 μm 의 시린지 필터 (Catalog No.431220; CORNING) 로 여과하고, 배양 상청액을 함께 모았다.
5. 항-PTPRS 키메라 항체의 정제
키메라 9H5-4, 13G5-57, 22H8-84 및 49F2-30 항체를 단백질 A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재했다. 상기 4) 에서 수득된 미정제 항체액을 각각 단백질 A 친화도 컬럼 (rProtein A Sepharose Fast Flow (Catalog No.17-1279-01; Lot. 311272; GE Healthcare) 으로 정제했다. 컬럼 조건은 하기와 같다. 결합 버퍼 (20 mM 나트륨 포스페이트, 0.15 M NaCl, pH 7.4) 및 용출 버퍼 (0.1 M Glycine-HCl, pH 2.7) 를 사용함으로써 친화도 정제를 수행하였다. 용출 분획의 pH 를 중화 버퍼(1 M Tris-HCl pH 9.5)를 첨가해 pH 7.2 근처로 조정했다. 정제 후의 항체의 버퍼를 PBS 로 치환하기 위해서, Slide-A-Lyzer MINI Dialysis Unit 10 kMWCO를 이용해 버퍼의 교환을 실시했다.
정제 항체의 농도는 28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1 mg/l 를 1.38 OD으로서 산출했다.
정제된 항-PTPRS 키메라 항체 (ch9H5-4Ab, ch13G5-57Ab, ch22H8-84Ab 및 ch49F2-30Ab) 를 SDS-PAGE 및 Flowcytometry 방법으로 분석했다.
제조된 키메라 9H5-4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핵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 서열 번호로 각각 나타낸다.
중쇄 경쇄
SEQ ID NO: 91 SEQ ID NO: 93
(핵산 서열) (핵산 서열)
SEQ ID NO: 92 SEQ ID NO: 94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1419 bp) 의 중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1). 대문자는 키메라 9H5-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472 a.a.) 의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2). 대문자는 키메라 9H5-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705 bp) 의 경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3). 대문자는 키메라 9H5-4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234 a.a.)의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4). 대문자는 키메라 9H5-4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13G5-57>
제조된 키메라 13G5-57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 및 핵산 서열을 각각 하기 서열 번호로 나타낸다.
중쇄 경쇄
SEQ ID NO: 95 SEQ ID NO: 97
(핵산 서열) (핵산 서열)
SEQ ID NO: 96 SEQ ID NO: 98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1413 bp)의 중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5). 대문자는 키메라 13G5-57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470 a.a.)의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6). 대문자는 키메라 13G5-57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705 bp)의 경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7). 대문자는 키메라 13G5-57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234 a.a.)의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8). 대문자는 키메라 13G5-57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제조된 키메라 22H8-84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핵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각각 하기 서열 번호로 나타낸다.
중쇄 경쇄
SEQ ID NO: 99 SEQ ID NO: 101
(핵산 서열) (핵산 서열)
SEQ ID NO: 100 SEQ ID NO: 102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1413 bp)의 중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99). 대문자는 키메라 22H8-8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470 a.a.)의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100). 대문자는 키메라 22H8-84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717 bp)의 경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101). 대문자는 키메라 22H8-84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238 a.a.)의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 102). 대문자는 키메라 22H8-84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제조된 키메라 49F2-30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핵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각각 하기 서열 번호로 나타낸다.
중쇄 경쇄
SEQ ID NO:35 SEQ ID NO:37
(핵산 서열) (핵산 서열)
SEQ ID NO:36 SEQ ID NO:38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1413 bp)의 중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35). 대문자는 키메라 49F2-30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470 a.a.) 의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36). 대문자는 키메라 49F2-30 VH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G1 중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705 bp) 의 경쇄의 핵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37). 대문자는 키메라 49F2-30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234 a.a.) 의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하기에 나타낸다 (SEQ ID NO:38). 대문자는 키메라 49F2-30 VL 가변 영역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인간 Igκ 경쇄 불변 영역을 나타낸다.
실시예
6
제작한 항인간 PTPRS 키메라 항체(ch49F2-30,ch9H5-4,ch13G5-57 및 ch22H8-84)의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 (ADCC 활성)을 측정했다. 활성은 세포로부터 방출된 락트산 탈수소효소(LDH)의 측정치로부터 산출한 세포 독성을 지표로 사용함으로써 수득했다. 효과기 세포가 되는 인간 말초혈단핵구를 HISTOPAQUE-1077을 사용한 비중 원심으로 정제했다. 표적이 되는 세포로서, CHO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주)를 사용한 hPTPRS 유전자의 강제 형질전환 세포를 사용했다(2x104/웰). 효과기와 표적 세포의 비율이, 10:1, 20:1, 40:1 및 80:1, 10 μg/제조된 항-인간 PTPRS 키메라 항체 (ch49F2-30, ch9H5-4, ch13G5-57 및 ch22H8-84) 의 ml 이 되도록 혼합하거나, 또는 대조군 항체 Synagis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여, 항체의 세포성 세포독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항hPTPRS 키메라 항체의 ch49F2-30, ch9H5-4, ch13G5-57 및 ch22H8-84 는 효과기 세포수-의존적으로 표적 hPTPRS/ CHO 세포를 용해했다 (도 17A 및 도 17B). 이 결과는, 제작한 항PTPRS 키메라 항체가, PTPRS를 발현하는 세포에 대해 선택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것이다.
항PTPRS 항체의 pDC에 대한 효과를 검토했다. 인간 말초혈액로부터 PBMC를 정제하고, 10μg/ml의 항인간 PTPRS 키메라 항체와 혼합해 24시간 배양했다. 그 후, pDC에서 발현하고 있는 Toll-모양 수용체 9 의 리간드인 CpG2216로 24시간 자극하고, IFNα 생산을 유도했다. CpG 자극 24h 후, IFNα의 생산 양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항-인간 PTPRS 키메라 항체 (ch49F2-30, ch9H5-4, ch13G5-57 및 ch22H8-84) 처리에 의해 IFNα생산이 완전하게 저해됨을 확인했다(도 18A). 게다가 ch49F2-30, ch9H5-4, ch13G5-57 및 ch22H8-84 처리한 후에 6 시간 세포를 회수하고, pDC 세포를 항BDCA2 항체와 항BDCA4 항체의 이중 염색으로 확인하했고, pDC 세포군이 대조군 항체의 Synagis 처리보다 감소되었음이 밝혀졌다(도 18B 및 도 18C).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인간 PTPRS 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항체의 생산에 유용한 면역원, 및 이러한 면역원을 이용하는 항-인간 PTPRS 항체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수탁 번호]
FERM ABP-11356
FERM ABP-11357
FERM ABP-11358
FERM ABP-11359
FERM ABP-11360
FERM ABP-11361
FERM ABP-11362
FERM ABP-11363
[서열 목로 프리 텍스트]
SEQ ID NO: 3: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4: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5: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6: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9: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10: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11: 안티센스 프라이머
SEQ ID NO: 12: 앵커 프라이머
SEQ ID NO: 12: n 은 데옥시이노신임.
SEQ ID NO: 13: 안티센스 프라이머
SEQ ID NO: 14: AUAP 프라이머
SEQ ID NO: 15: 안티센스 프라이머
SEQ ID NO: 16: 안티센스 프라이머
SEQ ID NO: 17: 프라이머
SEQ ID NO: 18: 프라이머
SEQ ID NO: 19: 프라이머
SEQ ID NO: 20: 프라이머
SEQ ID NO: 21: 프라이머
SEQ ID NO: 22: 프라이머
SEQ ID NO: 23: 프라이머
SEQ ID NO: 24: 프라이머
SEQ ID NO: 35: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중쇄 핵산 서열
SEQ ID NO: 36: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중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37: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경쇄 핵산 서열
SEQ ID NO: 38: 항-PTPRS 키메라 49F2-30 항체 경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39: 프라이머
SEQ ID NO: 40: 프라이머
SEQ ID NO: 41: 프라이머
SEQ ID NO: 42: 프라이머
SEQ ID NO: 73: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4: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5: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6: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7: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8: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79: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0: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1: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2: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3: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4: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5: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6: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7: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8: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89: 진행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90: 역방향 프라이머
SEQ ID NO: 91: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중쇄 핵산 서열
SEQ ID NO: 92: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중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93: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경쇄 핵산 서열
SEQ ID NO: 94: 항-PTPRS 키메라 9H5-4 항체 경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95: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중쇄 핵산 서열
SEQ ID NO: 96: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중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97: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경쇄 핵산 서열
SEQ ID NO: 98: 항-PTPRS 키메라 13G5-57 항체 경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99: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중쇄 핵산 서열
SEQ ID NO: 100: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중쇄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 101: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경쇄 핵산 서열
SEQ ID NO: 102: 항-PTPRS 키메라 22H8-84 항체 경쇄 아미노산 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