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1520B1 -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포장물 및 포장물 블랭크 - Google Patents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포장물 및 포장물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520B1
KR101871520B1 KR1020137002876A KR20137002876A KR101871520B1 KR 101871520 B1 KR101871520 B1 KR 101871520B1 KR 1020137002876 A KR1020137002876 A KR 1020137002876A KR 20137002876 A KR20137002876 A KR 20137002876A KR 101871520 B1 KR101871520 B1 KR 10187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blank
areas
reduced
bending str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088A (ko
Inventor
티무 카루
티모 밀리스
올라브 피르티니에미
아이모 오자바
파이비 마타
잘리나 자비엔
Original Assignee
스토라 엔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라 엔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스토라 엔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14003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52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42Coating; Impregnating; Waterproofing; Decoating
    • B31B50/743Coating or impregnating edges or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2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7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3Fold deta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03Paper containing [e.g., paperboard, cardboard, fiberboar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물은 판지 블랭크로부터 몰딩되고, 상기 블랭크는 중간 부분(1)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2)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영역(2)은 수직으로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포장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1)은 포장물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몰딩하기 전의 판지 블랭크에는, 측벽들과 바닥부 사이에 있는 트랜지션 존(3) 내에 위치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4)이 제공된다. 포장물은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4)이 측벽과 바닥부 사이의 구부러진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블랭크로부터 몰딩되며, 구부러진 부분의 방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물 및 상기 포장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포장물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포장물 및 포장물 블랭크{METHOD FOR FORMING A PACKAGE, A PACKAGE AND A PACKAGE BLANK}
본 발명은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장물은 판지 블랭크(blank)로부터 몰딩되는데, 상기 블랭크(blank)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는 블랭크의 가장자리 영역이 수직으로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포장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이 포장물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물과 상기 포장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포장물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보관하기 위해 보통 사용되는 포장물은 소위 접시포장이라고 지칭된다. 접시포장은 종종 뚜껑으로 밀봉 방식으로 밀폐된다. 포장물에 뚜껑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포장물의 모서리는, 측벽의 상부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포장물을 감싸는 수평 림 또는 모서리 플랜지가 구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플랜지의 상부 표면은 적절한 코팅을 포함하는데, 이는 뚜껑이 포장물에 단단히 부착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유형의 음식물 포장물의 예시, 사용된 포장물 재료 및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고, 그 중에서, WO 03/033258호, EP 1 289 856호, WO 00/21854호, US 5 425 972호, WO 03/078012호 (대응 미국 특허 출원 2004/0262322호), WO2007/036598호 및 WO2009/074721호에서 개시된다.
상기 기술된 접시 포장물은 일반적으로 몰드에서 평평한 블랭크를 압축하여 형성된다. 시작 재료는 평평한 모양, 즉, 몰딩 작업에서 기계적 변형에 의해 접시 포장물로 처리되기 전에는 하나의 평면에서 연장되는 모양이다. 이러한 접시에 흔히 사용되는 판지 재료는, 방금 형성된 포장물 접시가 측벽이 외측으로 구부러져서 다시 원래의 평평한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일종의 기억 효과를 가진다. 수평 모서리 플랜지 또는 림이 구조에 일정 크기만큼 경직시킴(stiffen)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포장물에서 "뒤틀림(warping)"이라 지칭되는 약간의 변형이 있다. 이는 림의 상부 표면의 약간 볼록한 모양으로 나타난다.
외관상 결점을 제외하고도, 림의 휘어진 모양은 뚜껑을 밀봉시키는 동안에 접시 포장물에 대하여 기술적 문제점을 줄 수 있다.
WO 2009/074721호는 몰딩을 주입하여 판지 접시의 측벽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된 플라스틱 플랜지를 가진 접시 포장물을 기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림은 접시를 단단하게 하고, 뚜껑의 밀봉을 쉽게 한다. 그러나, 일부 플라스틱 재료는 경화시킬 때 판지 재료와 비교하여 약간 수축될 수 있고, 이는 내부 힘을 만들고 결과적으로 림이 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언급된 림이 휘는 문제, 즉, 뒤틀림 문제를 극복하는 몰딩된 포장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평한 블랭크를 몰딩하여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물은 개선된 모양, 즉, 최소한도로 변형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모양을 가진 포장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과적으로 개선된 모양으로 포장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포장물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과 다른 이점들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판지 블랭크로부터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랭크는 중간 부분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고, 포장물은 판지 블랭크로부터 몰딩되며, 가장자리 영역이 수직으로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포장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은 포장물의 바닥부를 형성하며, 여기서, 몰딩하기 전의 블랭크에는 블랭크의 중간 부분의 주변에 위치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제공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블랭크가 몰딩 때문에 변형되고, 측벽과 상기 바닥부 사이에 있는 트랜지션 존에 위치된다.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블랭크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위치되는 트랜지션 존은 측벽과 바닥부 사이의 구부러진 영역에 있다. 이와 같이,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측벽과 바닥부 사이의 구부러진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영역은 구부러진 부분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블랭크 재료가 몰딩 때문에 변형되는 영역 내의 몰딩된 포장물 내에 위치될 것이고, 몰딩된 포장물의 가장자리 영역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경향에 의해 유발되는 내부 응력을 받게 된다.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가진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은 형성된 포장물의 내부 응력을 풀어준다.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심지어 더 많은 영역을 가진 포장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의 수는 형성되는 포장물의 모양과 포장물의 내부 응력이 얼마나 큰지에 좌우된다. 영역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접시모양의 포장물 내에 바닥부와 측벽 사이에 있는 트랜지션 존이 존재하는 블랭크의 이러한 장소에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즉, 블랭크 재료가 형성 공정(forming process)에서 구부러지는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판지 재료의 기억 효과(memory effect)와 림의 수축 때문에 커지는 내부 응력을 풀어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포장물의 변형이 감소되거나 전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영역은 블랭크의 직선 변(straight side)들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지는 기설정된 폭의 길쭉한 영역일 수 있다. 일반적인 직사각형 모양을 가진 블랭크에서, 네 개의 이러한 영역, 즉, 짧은 변에 평행한 두 개와 긴 변에 평행한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상기 영역은 양 쪽 변에서, 블랭크 재료의 나머지와 비교하여 더 얇게 제조함으로써 더 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블랭크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크리싱(creas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크리싱은 판지 재료가 국부적으로 평평하게 압축시켜서 판지 레이어가 분리되고 휨 저항(bending resistance)을 감소시키는 작업이다.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은 몰딩 작업 동안에 상기 영역들끼리 구부러지거나 접히지 않고, 블랭크 재료의 나머지와 함께 형성 도구(forming tool)에 의해 정해진 모양에 따라 구부러지고, 상기 영역들이 내부 응력을 누그러뜨림으로써 이들 모양으로 유지된다. 구부러지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이들 영역의 너비는 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특히 2.5 내지 4.0 mm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평행 크리싱 블레이드(multiple parallel creasing blade)를 사용하여, 원하는 영역의 너비를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지 재료 내에서 기설정된 라인을 따라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크리스 (약 0.7 mm)의 폭을 가진, 휨 강도가 감소된 좁은 영역은 보통 만족스럽게 포장물의 내부 응력을 풀어 줄 수 없다. 그러나,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의 크기는 포장물의 크기에도 좌우된다. 1 mm 이하, 예를 들어 약 0.7 mm의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을 가진 작은 포장물을 제공하는 것이 충분하다.
또한, 포장물은 포장물의 측벽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수평 모서리 플랜지 또는 림을 구비할 수 있고, 플랜지는 판지 블랭크와 상이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포장물은, 포장물 재료가 몰딩 때문에 변형되고, 포장물의 바닥부와 측벽 사이에 있는 트랜지션 존에 있는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블랭크로 형성된다.
또한, 포장물은 수평 모서리 플랜지 또는 림을 포함할 수 있고, 대략, 블랭크의 원래 면에 평행한 면인, 측벽의 상부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향한다. 이 모서리 플랜지 또는 림은 몰딩 작업(molding operation)에서 포장물의 나머지와 같이 판지 블랭크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또는 림은 상이한 재료, 가령,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포장물의 측벽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하여 몰딩 작업의 마지막 단계에서, 분리된 플라스틱 플랜지를 형성하는 공정은 국제 공개 WO2009/074721에 기술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 모양의 포장물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블랭크는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 1은 몰딩되기 전의 블랭크를 상면도로 나타낸다.
도 2는 몰딩된 후에, 도 1의 블랭크에서 라인(II - II)에 의해 도시된 면을 따른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이와 관련해서, 용어 "포장물"은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밀폐된 포장물 또는 개방된 포장물을 의미하고, 이러한 포장물은 뚜껑 또는 이와 유사한 클로져(closure)에 의하여 밀폐가능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블랭크는 판지 블랭크이며, 여기서, 판지는 한 면 또는 양 면이 코팅될 수 있고, 또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블랭크로 제조된 포장물이 음식물을 포장을 위해서라면, 블랭크의 코팅은 블랭크가 차단 특성(barrier property), 예를 들어, 액체, 기체, 기름 등에 대한 차단 특성을 가진 차단 재료(barrier material)일 수 있다. 코팅은 하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 또는 여러 개의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판지 포장물 재료에서 사용되는 코팅은 널리 공지되고,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논의되지 않는다.
블랭크는 연속적인 직선과 외부 모서리에 둥근 코너를 가진 일반적인 직사각형 모양이고, 이는 접시포장 용기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모양이다. 블랭크는 블랭크의 외부 모서리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제한되는 가장자리 영역(margin area, 2)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간 부분(middle portion, 1)을 가진다. 가장자리 영역(2)의 코너는 몰딩 작업 동안에 포장물의 코너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스코어 라인(score line, 5), 또는 이와 같이 공지된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포장물이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는 몰딩 작업은 블랭크를 변형시키고, 완성 모양으로 되도록 하는 압착 공구를 사용하는 압축 몰딩(compression molding)이 바람직하다. 포장물은 판지 블랭크가 절반인 두 몰드 사이에서 압축될 때 얻어진다. 작업시, 가장자리 영역(2)은 가장자리 영역의 원래 방향을 유지하는 중간 부분(1)으로부터 수직으로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질 것이고, 포장물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가장자리 영역(2)은 바닥부 주변의 포장물의 측벽을 형성하여, 모든 측면 방향으로 포장물의 내부 부피를 제한할 것이다. 몰딩 작업 때문에, 중간 부분(1)과 가장자리 영역(2) 사이의 트랜지션 존(transition zone, 3)은 블랭크의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변형을 겪을 것이다. 측벽과 바닥부를 연결하는 상기 트랜지션 존(3)은 포장물의 수직 횡단면으로 보아 곡선형을 가질 것이다. 이 변형에 의해 유발되는 내부 응력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트랜지션 존(3)은 휨 강도(bending stiffness)가 감소되고 길쭉한 영역(elongated area, 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에서, 중간 부분(1) 주위에 이러한 영역(4)은 네 개가 있는데, 블랭크의 짧은 변과 평행한 두 개와, 블랭크의 긴 변과 평행한 두 개이다. 상기 영역(4)은 주변 방향으로 제한된 길이를 갖고 서로 분리된다. 그들(영역)은 블랭크의 짧은 변과 긴 변의 직선 섹션에 평행하게 연장되나, 곡선형 코너 섹션까지 계속되지 않는데, 다시 말해 그들은 불연속하다.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들을 분리함으로써, 영역의 길이, 두께 및 너비와 같은 크기를 각 영역의 크기가 다양하게 될 수 있어서 좀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다. 좀 더 유연하고 포장물의 변형을 줄이거나 또는 심지어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이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소위 접시포장 용기로 지칭되는 몰딩된 포장물에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면은 측벽, 상기 측벽과 바닥부 사이의 구부러진 부분 및 바닥부의 부분을 도시한다.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은 구부러진 부분의 연속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구부러진 부분의 방향은 구부러진 부분의 단면이 일정하고, 블랭크 내의 트랜지션 존(3)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구부러진 부분에서, 영역(4)은 수평면으로부터 아래로 약 40-50°,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다시 말해, 구부러진 부분의 곡률의 중심과 영역(4)을 연결하는 반지름이 측벽의 측면 상의 수평면과 약 40-50°의 각도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영역(4)은, 블랭크의 원래 평면으로부터 떨어진 가장자리 영역의 구부러짐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모든 지점에서 판지 재료내의 응력 감소 효과를 가진다.
"더 약한 영역(weaker area)"으로 지칭될 수 있는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은 블랭크를 더 얇게 제조하여 가장 바람직하게 형성되고, 이는 자동적으로 원래의 두께를 가진 블랭크와 비교하여 휨 강도를 감소시킨다. 영역(4)은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좀 더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의 기설정된 너비를 가진다. 영역의 적절한 너비는 1 내지 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mm이나, 영역은 더 넓을 수도 있다. 영역(4)의 너비는, 예를 들어 블랭크를 더 얇게 만드는 크리싱 블레이드(creasing blade)의 수의 선택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평행한 크리싱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영역(4)의 원하는 너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는 측벽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포장물을 감싸는 수평 모서리 플랜지 또는 림(6)을 나타낸다. 플랜지(6)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머로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6)가 판지 블랭크와 같은 재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용기가 형성되는 동일한 몰딩 작업 동안에, 접시-타입의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는 몰딩 캐비티로 재료를 주입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는 국제 공개 WO 제2009/07472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압착 공구에서 적절한 힘에서 개방된다. 뚜껑(7)은 점선에 의해 표시된 포장물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플랜지(6)의 상부 표면에 대해 밀봉된다. 뚜껑(7)은 판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지의 하부 표면은, 가령 뚜껑을 단단히 밀봉하거나 및/또는 재밀폐(reclosability)가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6)의 재료와 호환가능한 재료로 코팅된다. 또한, 뚜껑(7)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이 될 수 있으며, 플랜지(6)의 상부 표면에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투명해서, 포장물을 열지 않아도 포장물의 내용물을 볼 수 있다. 또한, 포장물의 재료와 관계없이, 뚜껑(7)은 단지 기계적으로 플랜지(6)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된 포장물이 음식물을 타이트하게 포장하여 밀폐된 포장물의 안팎으로 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특히 적합하지만, 상기 포장물은 또한 음식물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적합하다.
블랭크의 모양과 결과로 나온 포장물은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한, 모양은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다른 다각형의 모양도 가능하다. 또한, 블랭크와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포장물은 타원형도 가능하다.
휨 강도가 감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전체 블랭크 주위에, 상기 블랭크의 중간 부분을 감싸면서 연속적일 수 있다.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의 압축 또는 형성 이 바람직하게 코너의 스코어 라인의 형성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을 가진 코너를 하나의 공정 단계로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크리스(crease)가 두 개의 단계로 형성되면, 코너 또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데, 즉,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스코어 라인을 가지고,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을 가진 코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 또는 영역들은 포장물의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는 양 위치에서 유사한 효과를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리싱은 블랭크의 어느 한 면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이는 영역이 블랭크의 최상면 또는 바닥부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판지 재료 전체로 제조된 포장물과 상기 기술된 플라스틱 림을 가진 포장물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림의 플라스틱 재료가 판지 재료에 대해 수축되어 상기 언급된 몰딩 포장물에서 약간의 변형 문제를 유발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사항이 있다는 점이 고려되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5)

  1.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포장물은 판지 블랭크(cardboard blank)로부터 몰딩되고, 상기 블랭크는 중간 부분(1)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2)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영역(2)은 수직으로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포장물의 측벽들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1)은 포장물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몰딩하기 전의 블랭크에는 블랭크의 중간 부분(1)의 주변에 위치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이 제공되며, 상기 포장물은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이 측벽들과 바닥부 사이에 있는 트랜지션 존(3) 내에 위치되도록 블랭크로부터 몰딩되며, 상기 블랭크는 몰딩 때문에 변형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포장물의 주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상기 블랭크의 직선 변들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진 길쭉한 영역들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1 mm 이상의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블랭크의 재료를 더 얇게 제조함으로써 판지 블랭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크리싱(creas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평 모서리 플랜지(6)는 판지 블랭크와 상이한 재료로 측벽들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장물에는 휨 강도가 감소된 네 개의 영역(4)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8.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직으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들을 가진 판지 블랭크로 제조된 포장물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은 포장물의 측벽들과 바닥부 사이에 있는 트랜지션 존(3)에 위치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을 포함하며, 포장물 재료는 몰딩 때문에 변형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포장물의 주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9. 제8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판지 재료의 두께가 감소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1 mm 이상의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포장물은 판지 블랭크와 상이한 재료로 측벽들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수평 모서리 플랜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포장물은 휨 강도가 감소된 네 개의 영역(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13. 중간 부분(1)과 상기 중간 부분(1)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2)을 포함하고, 판지로 제조된 평면 모양의 포장물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중간 부분(1)과 가장자리 영역(2) 사이의 트랜지션 존(3)에서 블랭크의 중간 부분(1)의 주변에 위치되고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을 포함하며,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블랭크의 중간 부분의 주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블랭크.
  14. 제13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블랭크의 직선 변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쭉한 영역들이며 직선 변들 사이의 코너에서 불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블랭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휨 강도가 감소된 영역(4)들은 1 mm 이상의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블랭크.
KR1020137002876A 2010-08-26 2011-08-25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포장물 및 포장물 블랭크 Expired - Fee Related KR101871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50874-5 2010-08-26
SE1050874A SE536107C2 (sv) 2010-08-26 2010-08-26 Metod för att bilda en förpackning, en förpackning och ett förpackningsämne
PCT/IB2011/053730 WO2012025898A1 (en) 2010-08-26 2011-08-25 Method for forming a package, a package and a package bl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088A KR20140030088A (ko) 2014-03-11
KR101871520B1 true KR101871520B1 (ko) 2018-06-26

Family

ID=4572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8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1520B1 (ko) 2010-08-26 2011-08-25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포장물 및 포장물 블랭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016497B2 (ko)
EP (1) EP2609017A4 (ko)
JP (1) JP5788514B2 (ko)
KR (1) KR101871520B1 (ko)
CN (1) CN103068686B (ko)
AU (1) AU2011294801B2 (ko)
BR (1) BR112013005734A2 (ko)
CA (1) CA2807455C (ko)
MX (1) MX2013001532A (ko)
RU (1) RU2583361C2 (ko)
SE (1) SE536107C2 (ko)
WO (1) WO2012025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9090B1 (en) * 2012-10-17 2017-08-2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ontainer with score lines
US20170174417A1 (en) 2013-07-01 2017-06-22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The Like
CN105658545B (zh) * 2013-10-22 2017-10-1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制备诸如咖啡和类似饮料的胶囊
MX380251B (es) 2015-02-27 2025-03-12 Graphic Packaging Int Llc Recipiente con recubrimiento.
US10647467B1 (en) 2016-09-26 2020-05-12 Peerless Machine & Tool Corporation Paperboard tray with fold-over flange
ES2743730T3 (es) * 2016-11-28 2020-02-20 Packable Bv Envasado para envasado en atmósfera modificada y método
IT201700057712A1 (it) * 2017-05-26 2018-11-26 Sacmi Metodo e apparato per applicare una guarnizione di tenuta a una capsula per produrre bevande.
US11535417B2 (en) 2019-01-22 2022-12-27 Peerless Machine & Tool Corporation Meat tray
CN112810943A (zh) * 2019-11-18 2021-05-18 上海紫丹食品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单面内侧包胶纸塑结合成型的包装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4721A1 (en) * 2007-12-12 2009-06-18 Stora Enso Oyj A method for forming a package and a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4181A (en) * 1965-06-29 1968-12-03 Union Carbide Corp Partial deorientation of segments of bioriented thermoplastic sheet
FR1530505A (fr) * 1967-05-12 1968-06-28 Siemco Soc Ind D Emballage Et Nouveau carton, convenant notamment à l'emboutissage profond
US3680733A (en) * 1970-07-20 1972-08-01 Samuel J Winslow Hollowware construction
US3792809A (en) 1971-10-29 1974-02-19 D Schneider Disposable tray
US5230939A (en) * 1990-09-04 1993-07-27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Forming of pressed trays
US5236119A (en) * 1992-11-05 1993-08-17 Chu Ming Hsiang Paper plate
US5425972A (en) 1993-04-16 1995-06-20 Westvaco Corporation Heat sealed, ovenable food carton lids
JP3448435B2 (ja) * 1996-07-01 2003-09-22 東洋アルミホイ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紙容器及び紙容器の成形方法
AU6421099A (en) 1998-10-09 2000-05-01 Blue Ridge Paper Products, Inc. Oven release food packaging
RU2168923C2 (ru) * 1999-08-03 2001-06-20 Лебедев Андрей Борисович Упаков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одуктов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питания (варианты)
FI112048B (fi) 2000-04-10 2003-10-31 Stora Enso Oyj Kerrostettu kuumasaumautuva pakkausmateriaali, siitä muodostettu elintarvikepakkaus sekä pakkausmenetelmä
CA2405178A1 (en) * 2001-09-26 2003-03-26 Sumika Plastech Company, Limited Resin box
FI117748B (fi) 2001-10-15 2007-02-15 Stora Enso Oyj Pakkauksen kansi, sen valmistusmenetelmä sekä kannella suljettu pakkaus
JP2003175924A (ja) 2001-12-13 2003-06-24 Rengo Co Ltd 段ボール成形体
US20040262322A1 (en) 2002-03-15 2004-12-30 Middleton Scott William Container having a rim or other feature encapsulated by or formed from injection-molded material
FI20040415A7 (fi) * 2004-03-18 2005-09-19 Stora Enso Oyj Einespakkaus ja sen valmistusmenetelmä
FI117933B (fi) * 2005-09-29 2007-04-30 Stora Enso Oyj Menetelmä kartonkivuoan valmistamiseksi, vuoka-aihio sekä siitä menetelmän mukaisesti saatava vuoka
EP1993918B1 (en) * 2006-01-13 2011-07-13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Paperboard container having increased rigidity
RU72677U1 (ru) * 2007-12-17 2008-04-27 Евгений Валерьевич Азаров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для упаковочной тары
SE531982C2 (sv) * 2008-01-21 2009-09-22 Vilho Eriksson Stabiliserad förpackning för ett flytbart material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därav
FI20085702A7 (fi) * 2008-07-04 2010-01-05 Stora Enso Oyj Menetelmä kartonkipohjaisen muotokappaleen valmistamiseksi ja siihen soveltuva muott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4721A1 (en) * 2007-12-12 2009-06-18 Stora Enso Oyj A method for forming a package and a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088A (ko) 2014-03-11
JP5788514B2 (ja) 2015-09-30
RU2013113207A (ru) 2014-10-10
BR112013005734A2 (pt) 2016-05-10
US9016497B2 (en) 2015-04-28
CN103068686B (zh) 2015-11-25
AU2011294801A1 (en) 2013-02-21
US20130146608A1 (en) 2013-06-13
EP2609017A1 (en) 2013-07-03
SE1050874A1 (sv) 2012-02-27
AU2011294801B2 (en) 2015-04-23
CN103068686A (zh) 2013-04-24
CA2807455C (en) 2018-05-15
RU2583361C2 (ru) 2016-05-10
SE536107C2 (sv) 2013-05-07
MX2013001532A (es) 2013-03-18
WO2012025898A1 (en) 2012-03-01
JP2013538144A (ja) 2013-10-10
EP2609017A4 (en) 2015-12-23
CA2807455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520B1 (ko) 포장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포장물 및 포장물 블랭크
FI128578B (fi) Pinottava tuotepakkaus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sekä tuotepakkausaihio
JP5220867B2 (ja) 射出成形複合構造体及び該構造体を成形するための工具
CA2544321C (en) Nestable container with uniform stacking features
US11370576B1 (en) Straddle flange top seal punnet
EP2969839B1 (en) Multiple-compartment container
EP2368811A1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243201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ffusion-tight plastic container
WO2016148699A1 (en) Tray with enhanced rigidity and crush strength
RU205283U1 (ru) Контейнер, состоящий из емкости с фланцем, скрепленным в угловых сопрягаемых частях, и пристыкованной крышкой
JP7093120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とその成型方法
DK173463B1 (da) Fødevarebeholder
US20240253893A1 (en) Container, intermediate product, denes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RU2263055C1 (ru)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и заготовки для него
JP3170410U (ja) 包装用容器
WO2022197202A1 (ru) Контейнер
RU2263054C1 (ru) Емкость-лоток
KR200226928Y1 (ko) 농산물 포장용상자
JP2022537950A (ja) 物品用の容器、関連するブランクおよび作成方法
IE44915B1 (en) Composite lid
GB2487245A (en) A moulded contain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