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6879B1 -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879B1
KR101866879B1 KR1020110068628A KR20110068628A KR101866879B1 KR 101866879 B1 KR101866879 B1 KR 101866879B1 KR 1020110068628 A KR1020110068628 A KR 1020110068628A KR 20110068628 A KR20110068628 A KR 20110068628A KR 101866879 B1 KR101866879 B1 KR 10186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d light
stereoscopic image
filter
frame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943A (ko
Inventor
허문숙
Original Assignee
허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문숙 filed Critical 허문숙
Priority to KR102011006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8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8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편광층과 원편광층 사이의 여러 각도 구현이 가능한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D OPTICAL FILTER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3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편광과 원편광 사이의 여러 각도 구현이 가능한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3차원 공간상에 물체가 실제로 존재하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3D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이다.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술은 평면적인 시각 정보의 수준을 높여주는 새로운 개념의 실감 영상기술로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주도하는 큰 축이 될 전망이다.
입체감은 두 눈에 인지되는 물체의 서로 다른 좌·우측 영상이 뇌에서 합성되는 과정을 통해 인식된다. 즉, 두 눈이 약 65mm 간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므로 서로 약간 다른 두 방향의 영상을 보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감을 인식하게 된다.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좌우 양안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 즉, 스테레오스코픽 영상(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안경을 쓰는 방법과 안경을 쓰지 않는 방법이 있다.
안경을 쓰지 않고 3차원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 또는 후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배리어(barrier)가 부착된 구조의 광학적 차폐막을 통해 양안시차를 구현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및 작고 규칙적인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라고 불리는 반원통형의 렌즈를 사용하여 양안시차를 구현하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이 있다. 이들 방식은 안경을 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효 시야가 상당히 좁고, 한 사람 밖에 이용할 수 없거나 혹은 이차원 영상에서 3차원 영상으로의 전환이 자유롭지 않은 단점이 있다.
안경을 쓰는 방식은 크게 셔터 안경방식과 편광 안경방식으로 구분된다. 셔터 안경 방식은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좌안 화상 및 우안 화상이 셔터 안경에 의해, 각 눈에 교대로 투과되도록 한다. 관람자는 이와 같이 스크린 상에 교대로 나타나는 좌안 화상 및 우안 화상을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각각 분리하여 인식하고 뇌에서 두개의 다른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셔터 안경방식의 입체표시장치는 셔터 안경의 사용으로 인하여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셔터 안경의 구동시 발생되는 전자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안경방식인 편광 안경 방식은 화상표시장치에 패턴화된 편광판이 장착되어 있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편광특성을 갖는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이 편광안경을 통해 투시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도 1은 편광 안경 방식에 따라 입체영상 상영을 위한 종래 2 프로젝터 방식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편광 방식에 의한 입체 영상 상영을 하기 위해 종래 2 프로젝터 방식 시스템에서는 듀얼 프로젝터(1)에 의해 좌측 영상과 우측영상을 조사하도록 하여, 이들 각각의 영상을 편광 방향이 각각 수직인 편광필터들(3, 4)을 통과시켜 스크린(5)에 조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크린(5)에 조사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겹쳐진 영상은 이후 관람자가 착용한 편광 안경(6)의 좌측 영상용 렌즈(7)와 우측 영상용 렌즈(8) 각각을 통해 관람자의 좌우안에 구분되어 보임으로서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편광 안경 방식에 따라 입체영상을 상영할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듀얼 프로젝터를 통해 나오는 영상을 좌안과 우안이 90°의 위상차가 나는 편광필터들을 통과시켜 스크린에 조사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편광 필터의 경우 표준화된 규격이 없이 고객의 요청에 따라, 또는 지역적 특이성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필터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좌안과 우안의 상대적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편광 필터와 원편광 필터의 상대적 회전 각도가 자유자재로 조절가능하여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용되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자연광을 선편광으로 편광시키며, 일측에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선편광 조절부를 포함하는 선편광층;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선평관층의 일면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원편광 조절부를 포함하는 원편광층;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입체 형상 필터 및 이를 사용하는 입체 영상 프로젝터 시스템은 선편광층과 원편광층 사이의 상대적 위치 및 좌안과 우안의 상대적 회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스템에 사용가능하다.
도 1은 입체영상 상영을 위한 종래 2 프로젝터 방식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 차원 입체 영상 필터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3은 원편광필터의 원리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 차원 입체 영상 필터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 차원 입체 영상 필터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에 수용되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자연광을 선편광으로 편광시키며, 일측에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선편광 조절부(210)를 포함하는 선편광층(200);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선평관층의 일면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원편광 조절부(310)를 포함하는 원편광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선편광층(200)과 상기 원편광층(300)을 고정시켜 상기 선편광층(200)과 상기 원편광층(300) 사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부에 있어서 측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원편광층의 회전 가능 범위가 정해진다. 즉,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의 높이가 낮을수록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원편광층의 회전 가능 범위가 넓어지고,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의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원편광층의 회전 가능 범위가 좁아진다.
본 발명의 3 차원 입체 영상 필터는 원편광필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편광필터의 원리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원편광필터는 직선 편광필터와 1/4 위상차판을 사용함으로써 입사광을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원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는 필터를 말한다. 원편광필터를 사용한 입체표시는 직선 편광필터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관람자가 얼굴을 크게 좌우로 기울여도 상영되는 영상을 입체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프로젝터에 장착되는 3차원 입체 영상 필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자연광을 선편광으로 편광시키며, 일측에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선편광 조절부를 포함하는 선편광층;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선편광층의 일면에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원편광 조절부를 포함하는 원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필터는 상기 좌안 영상이 통과하는 제1필터와, 상기 우안 영상이 통과하는 제2필터로 구비되고,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원편광층을 각각 회전하여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원편광층 상호간 배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한 상기 우안 영상 상호간 위상차를 조절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2.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상기 프로젝터;및
    상기 프로젝터에 장착되는 제 1항에 의한 3 차원 입체 영상 필터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68628A 2011-07-11 2011-07-11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186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28A KR101866879B1 (ko) 2011-07-11 2011-07-11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28A KR101866879B1 (ko) 2011-07-11 2011-07-11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43A KR20130007943A (ko) 2013-01-21
KR101866879B1 true KR101866879B1 (ko) 2018-07-19

Family

ID=4783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628A Active KR101866879B1 (ko) 2011-07-11 2011-07-11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30B1 (ko) * 2016-08-31 2024-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개인 몰입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720A (ja) * 1983-03-26 1984-10-06 Fuotoron:Kk 立体映写装置
KR920011064B1 (ko) * 1990-10-30 1992-12-26 주식회사 금성사 입체영상 투영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입체영상 인식장치
KR20000009015U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편광 다중영상 장치용 편광안경
JP2006113088A (ja) * 2004-10-12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ストーク解消偏光3d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720A (ja) * 1983-03-26 1984-10-06 Fuotoron:Kk 立体映写装置
KR920011064B1 (ko) * 1990-10-30 1992-12-26 주식회사 금성사 입체영상 투영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입체영상 인식장치
KR20000009015U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편광 다중영상 장치용 편광안경
JP2006113088A (ja) * 2004-10-12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ストーク解消偏光3d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43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0607C (zh) 在二维和三维图像之间进行切换的立体显示器
EP1965245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5107564B2 (ja) 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JP4546505B2 (ja) 空間映像投映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238396B (zh) 立体视觉的影像转换方法、成像方法及系统
CN102854626B (zh) 一种裸视光栅二维三维兼容显示装置
KR20120075319A (ko) 영상 표시장치
CN106526878A (zh) 多维度自由立体显示装置
CA2855385A1 (en) System for stereoscopically viewing motion pictures
US20130329191A1 (en) Projec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stereo screen
KR10186687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2408B1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JP200422692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125001A (ko) 영상 표시장치
KR20040026032A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90083772A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US9442301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autostereoscopic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2513A (ko)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 모듈, 이를 이용하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195744B2 (ja) 画像表示装置
Lee et al. 36.5 L: Late‐News Paper: Multi‐Projection 3D Display with Dual Projection System using Uniaxial Crystal
KR101861717B1 (ko) 패턴드 리타더, 이를 포함하는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및 삼차원 영상 구현시스템
KR101370915B1 (ko) 3차원 영상 프로젝션 시스템
Kejian et al. The development of stereoscopic display technology
US20150177529A1 (en) Three-dimensional eye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