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3926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926B1
KR101863926B1 KR1020110071288A KR20110071288A KR101863926B1 KR 101863926 B1 KR101863926 B1 KR 101863926B1 KR 1020110071288 A KR1020110071288 A KR 1020110071288A KR 20110071288 A KR20110071288 A KR 20110071288A KR 101863926 B1 KR101863926 B1 KR 10186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application
user
touch
cont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0577A (en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926B1/en
Priority to US13/313,224 priority patent/US9792036B2/en
Priority to EP11194400.5A priority patent/EP2549717B1/en
Priority to CN201210012175.5A priority patent/CN102890540B/en
Publication of KR2013001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2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06F9/4484Executing sub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 및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에 따라서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에 상응하는 메모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의 개시와 함께 구동시키고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와 함께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며,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a memory, a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a memo application, and a second user operation for receiving a memo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running, And controlling the memo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operation to be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ontrol the memo application to start the memo application together with the start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erminates the memo application together with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controls the memo application to store the analyzed memo content upon termin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000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0002]

본 발명은 편리한 터치 동작을 통해서 신속하고 편리한 메모 기록을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mpt and convenient memo recording through a convenient touch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단말기의 기능이 개발됨에 따라서, 기존에 종이 메모장에 기록하던 메모 기능 역시 단말기를 통해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에 따라서, 별도의 종이 메모장이 없이도 단말기만으로 순간적인 메모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As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the memo function previously recorded on the paper notepad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ord a momentary memo with only th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paper notepad.

메모의 속성상 빠른 메모 기능 구현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메모 기능을 가진 종래의 단말기는 메모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이 비로소 메모를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a quick memo function based on the nature of the memo. However, a conventional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memo function has a problem that memo can be made only after several steps are required to implement the memo function.

본 발명은 한번의 사용자 동작만으로 신속하게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quickly provide a function of a memo application with only a single user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메모 작성 후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동시에 작성된 메모를 저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toring a memo created at the same time as the end of a memo application after a memo is crea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 및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에 따라서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에 상응하는 메모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의 개시와 함께 구동시키고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와 함께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며,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a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a memo application, and a touch for receiving a second user operation for receiving a memo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runn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mo application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o analyze the memo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operation and to store the analyzed memo content in the memory, , Controls the memo application to start with the start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erminates the memo application with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o store the analyzed memo content at the same time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특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은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한 터치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uch screen displays a specific icon related to the memo application, and the first user operation is a touch operation for the specific icon.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규정된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ptionally, the first user action is a touch operation to a specified specific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메모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은 상기 메모 창에 대한 터치 동작일 수도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memo application to display a memo window for receiving the memo on the touch screen, and the second user operation may be a touch operation for the memo window.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동작의 패턴을 분석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패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user operation is a touch drag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troller analyzes a pattern of the touch dra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operation.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display a touch drag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텍스트 화일, 이미지 화일 및 음성 화일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emory contents to be stored in the memory as at least one of a text file, an image file, and a voice fi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의 내용을 판단하며,상기 메모 컨텐츠의 내용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검색 애플리케이션,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송신 애플리케이션 및 워드 작성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analyzed memo content and may drive at least one specific application using the content of the memo content. The particular appl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net search application,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sending application, and a word creating application.

상기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하여 외부 음성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외부 음성을 상기 메모 컨텐츠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ler receives an external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emo application, analyzes the inputted external voice as the memo contents And to store the analyzed memo contents in the memory.

상기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서 사이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외부 영상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외부 영상을 상기 메모 컨텐츠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receiving an image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xternal image through the inter-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emo application, analyzes the input external image as the memo contents And to store the analyzed memo contents in the memory.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동작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써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메모 컨텐츠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Wherein the second user operation is a touch operation for selecting specific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pecific contents selected by the second user operation as the memo contents by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It may be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memor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제 1 사용자 동작의 개시에 따라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사용자 동작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에 상응하는 메모 컨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에 따라서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starting a memo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tart of a first user operation through a touch screen, Analyzing the memo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operation, storing the analyzed memo contents according to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erminating the memo applic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메모가 필요한 상황에서 한번의 사용자 동작만으로 메모가 가능한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witch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note can be made only by one user operation in a situation where a note is needed.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될 수 있는 메모를 신속하게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mptly storing a memo that can be record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6c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7a 및 7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8a 및 8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창 없이 메모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10d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11a 및 11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작성된 메모를 활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12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저장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3 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저장된 메모 화일을 활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4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저장 및 표시와 관련된 동작을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are front views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on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of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6C illustrate a first user action for initiating a memo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driving operations of a memo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for displaying a memo window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displaying a note-taking operation without a memo wind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A-10D illustrate a second user action for entering note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utilizing memo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llustrates a memo storage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llustrates an operation utilizing a memo fil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llustrates operations associated with memo storage and displa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 controller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ing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 haptic module 154, 155),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enclos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53.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a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55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s similar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Or at least partly display another image on an external screen or wall.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155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tha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laser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 light source And a lens (not shown) for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Further,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include a device (not shown) capable of mechanically moving the lens or the entire module to adjust the image projection direction.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55 can be divided into a CRT (Cathode Ray Tube) modu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play means. In particular, the DLP module may b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projector module 151 by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on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Preferably,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be provided longitudinally on the side, front or back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occasion demands.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temporaril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e.g., telephone directory, message, audio, For example. The memory unit 16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for example, each telephone number, each message, and frequency of use for each multimedi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the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to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by the user to the cradle may be transmitted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A varie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user input units 130/131 and 132, the microphone 122,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body 101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1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132. The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unit 131 or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control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touch scree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The camera 121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see FIG. 2A),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121.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have a low pixel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pixels. The camera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rotatable or pop-upabl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3 and a mirror 124 ar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shoot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2A),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16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116, which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 can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rear case 102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135 for sensing a touch. The touch pad 135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like the display unit 151. [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to output time information on both sides, the tim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135 as well. The information output on both sides may be all controlled by the touch pad 135. [ Alternatively, a display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touch pad 135, and a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ase 102 as well.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related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1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3A and 3B are front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tim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se pieces of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letters, numbers, symbols, graphics, or icons.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symbols, graphics, or icons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for inputting such information, thereby being implemented as a keypad. Such a keypad may be referred to as a so-called " virtual keypad ".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A illustrates inputting a touch applied to a virtual keypad through a front surface of a terminal body.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n entire area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operated. In the latter case, the plurality of areas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For example, an output window 151a and an input window 151b are display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unit 151, respectively. The output window 151a and the input window 151b are areas allocated for outputting or inputting information, respectively. In the input window 151b, a virtual keypad 151c is displayed in which a number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is displayed. When the virtual keypad 151c is touched, number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virtual keypad are displayed on the output window 151a. When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is operated, call connection to the tele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output window 151a is attempted.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3B shows a touch input to the virtual keypa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FIG. 3A shows a case where the terminal body is vertically arranged, and FIG. 3B shows a case where the terminal body is arranged horizontally.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가상 키패드(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3B shows that the text input mode is activ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 output window 151a 'and an input window 151b'. The input window 151b 'may have a plurality of virtual keypads 151c' displayed with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The virtual keypads 151c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QWERTY key.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가상 키패드(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가상 키패드(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When the virtual keypads 151c 'are touched through the touch pad 135 (see FIG. 2B), characters, numbers,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virtual keypad are displayed on the output window 151a'.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pad 135 is advantageous in that the virtual keypad 151c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vered by the finger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135 are formed to be transparent, the finger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reby enabling a more accurate touch input.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pad 135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touch input by scrolling, as well as the input method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user can move a cursor or a pointer located on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for example, an icon or the like, by scrolling 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pad 135. [ Further, when the finger is moved on the display portion 151 or the touch pad 135, the path along which the finger moves may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151. [ This will be useful for edit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One function of the terminal may be executed in response to a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51 (touch screen) and the touch pad 135 are touched togeth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In the case of being touched together,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user clamps the terminal body us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The one function may b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pad 135, for example.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referred to below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는다 (S410). 제어부 (180) 는 제 1 사용자 동작에 따라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한다 (S420).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는다 (S430). 제어부 (180) 는 제 2 사용자 동작에 상응하는 메모 컨텐츠를 분석한다 (S440). 메모리 (160) 는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와 함께 메모 컨텐츠를 저장한다 (S450).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S460).The touch screen 151 receives the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S410). The control unit 180 starts the memo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user operation (S420). The touch screen 151 receive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receiving a memo (S430).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memo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operation (S440). The memory 160 stores the memo contents together with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S450). The control unit 180 ends the memo application (S460).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모" 는 사용자가 기록하기 원하는 대상을 입력받고 저장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입력받는 대상은 특정 형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 다양한 형식이 메모의 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메모 애플리케이션" 은 상기 메모 동작을 이동 단말기 (100) 내에서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emo " refers to an act of inputting and storing an object that a user desires to record. Here, the input destin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at. For example, various formats such as text, image, moving picture, and voice can be used as a subject of the memo. Further, the term "memo application " used herein means an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memo opera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of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메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메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메모 작성과 관련된 동작은 크게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제 1 사용자 동작 및 메모 작성을 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동작 및 제 2 사용자 동작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 1 사용자 동작 및 제 2 사용자 동작은 동시에 또는 하나의 동작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promptly operating a memo appl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memo operation from a user and performing a memo operation.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memo cre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composed of a first user operation for implementing a memo application and a second user operation for writing a mem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he second user operation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he second user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or in one operation.

도 5(a) 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100) 가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터치 스크린 (151) 은 다수의 아이콘들 (501 내지 504)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화면들 (512 및 514) 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의 표시 영역의 하단에 메모 아이콘 (520) 을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5 (a),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display screen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501 to 504 and implementation screens 512 and 514 of a specific application. Here, the memo icon 520 is display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151. [

도 5(b) 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100) 가 사용자로부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이다.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상기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명령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으로 메모창 (530) 을 터치 스크린 (151) 에 디스플레이한다.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창 (530) 을 통하여 메모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a memo application from a user. When the memo icon 520 is touched by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e memo icon as a driving command of the memo applica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the memo window 530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driving oper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151 can receive the contents of the memo through the memo window 530.

도 5(c) 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100) 가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은 경우이다. 도면에서, 사용자는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동작을 지속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 (180) 는 사용자로부터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동안에만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메모창 (530) 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제 2 사용자 동작을 통해서 입력된 메모 내용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5 (c),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memo content from a user. In the drawing, the user is shown as continuing the first user operation of touching the memo icon 520.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80 drives the memo application only while touching the memo icon 520 from the user Is set. The memo window 530 displays memo contents inputted through a second user operation in various ways from a user.

도 5(d)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동작을 종료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한 경우이다. 도 5(c) 및 5(d) 에서 지속되던 사용자의 제 1 사용자 동작이 종료된 경우로, 제어부 (180) 는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를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종료로 인식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모 아이콘 (520) 에 대한 터치 동작을 종결한 경우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된 메모 내용을 메모리 (160) 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것을 종료한 시점에 작성된 메모가 자동으로 메모리 (160) 에 저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d), the user ends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erminates the memo application. 5 (c) and 5 (d),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s the end of the memo application and terminates the memo application . That is, when the user ends the touch operation on the note icon 520, the control unit 180 ends the note application. Here, the control unit 180 may store the memo contents created based on the end time of the memo application in the memory 160. [ That is, the memo created at the time when the user finishes touching the memo icon 520 may be automatically se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도 6a 내지 6c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6A-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irst user action for initiating a memo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 1 사용자 동작" 은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을 의미한다. 제 1 사용자 동작은 특정 동작에 국한되지 않으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제어부 (180) 또는 이동 단말기 (100) 에 의해서 설정된 모든 사용자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first user action" means an action entered by a user to drive a memo application. The first user ac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ction, and may include all user actions set by the control unit 180 or the mobile terminal 100 to drive the memo application.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은 터치 동작일 수 있고, 이동 단말기 (100) 를 흔드는 동작, 이동 단말기 (100) 를 기울이는 동작, 이동 단말기 (100) 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동작등 다양한 동작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may be a touch operation, and various operations such as shaking the mobile terminal 100, tilting the mobile terminal 100, pressing a specific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6a 를 참조하면, 상기 설명한 메모 아이콘을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제 1 사용자 동작이 예시된다. Referring to FIG. 6A, a first user operation for starting a memo application through the memo icon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도 6a 의 (a) 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은 다수의 메모 아이콘들 (520a 및 520b) 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 아이콘의 위치 및 크기는 사용자 또는 제조사의 설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메모 아이콘의 개수 역시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In FIG. 6A, the touch screen 151 may display a plurality of note icons 520a and 520b.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memo icon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or manufacturer. Also, as shown in the figure, the number of memo icons can be variously adjusted.

도 6a 의 (b) 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은 다수의 메모 아이콘들 (520a 및 520b) 중 하나 (520b) 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540) 을 입력받는다. 메모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로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도면에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창 (530) 을 디스플레이한다. 6A, the touch screen 151 receives a user's touch operation 540 on one of the plurality of memo icons 520a and 520b. When the user's touch operation on the memo icon is input, the control unit 180 drives the memo application. In the drawing,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the memo window 530 i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도면에서는, 메모 아이콘에 대한 터치 동작의 시점과 메모창의 디스플레이 개시 시점을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메모 아이콘에 대해서 터치하는 시점에 동일하게 메모창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of the touch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emo icon and the display start time of the memo window are not clearly known, but the memo window is displayed or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at the same time when the memo icon is touched.

도 6a 의 (c) 에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메모 아이콘 (520) 을 이동시키는 동작이 도시된다. 도 6a 의 (b) 는 메모 아이콘을 단순히 터치하는 것으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다면, 도 6a 의 (c) 는 메모 아이콘을 터치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예가 도시된다. 이것은 사용자의 터치 오작동에 의해서 잦은 메모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6C, an operation of moving the memo icon 520 by a user's touch is shown as a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6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by simply touching the memo icon. Fig. 6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when the memo icon is touched and moved. This is to prevent frequent activ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by a user's touch malfunction.

한편, 메모 아이콘 (520) 은 항상 터치 스크린 (151) 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신속한 메모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선택적으로, 설정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메모 아이콘 (520) 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시간 (1초) 을 특정 위치를 터치한 경우에만 메모 아이콘 (520) 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mo icon 520 may always exist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51. 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drive the memo application rapidly. Optionally, however, the note icon 520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only when necessary according to the settings. For example, the note icon 520 may be set to be displayed only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1 second).

도 6b 를 참조하면, 메모 아이콘 (520) 이외의 다른 터치 동작을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동작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6B, an operation of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through a touch operation other than the memo icon 520 is shown.

도 6b 의 (a) 는 어떠한 사용자 동작도 입력받지 않은 경우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전의 표시 화면이다.6 (b) shows a display screen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when no user operation is input.

도 6b 의 (b) 에서, 사용자는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대신에 특정 위치를 터치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제어부 (180) 는 사전 설정에 의해서 특정 위치가 터치된 경우를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의 좌측 하단 지역을 특정 위치로 설정한 경우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151) 의 상기 위치를 터치하여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In (b) of FIG. 6B, the user touches a specific position instead of touching the memo icon 520. The control unit 180 can set the case where the specific position is touched by the preset setting to the first user operation for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In the figure, when the lower left area of the touch screen 151 is set to a specific position, the user touches the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151, and the controller 180 drives the memo application.

도 6b 의 (c) 에서, 메모 아이콘 (520) 을 이용하는 대신에 터치 스크린 (151) 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 초) 동안 누르고 있는 동작이 도시된다. 제어부 (180) 는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사용자 동작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제어부 (180) 는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터치 스크린 (151) 상에서 메모창을 디스플레이한다.6B,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touch screen 151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ree seconds) instead of using the memo icon 520 is shown. The control unit 180 sets a touch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s a user operation. The control unit 180 drives the memo application and displays a memo window on the touch screen 151 when a touch operation over a predetermined time is inputted.

도 7a 및 7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를 참조하면, 메모 작성을 위한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의 일 예로써 제 1 사용자 동작이 지속되는 동안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지속되는 경우이다. Referring to FIG. 7A, an example of driving a memo application for writing a memo is a case where a memo application continues during a first user operation.

도 7a 의 (a) 와 (b) 는 제 1 사용자 동작이 입력되기 전 및 후의 터치 스크린 (151) 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제 1 사용자 동작을 통해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다.7A and 7B show display screens of the touch screen 151 before and after the first user operation is input. And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through the first user operation.

도 7a 의 (c)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이 지속되는 동안에 메모 입력동작을 나타낸다. 제 1 사용자 동작이 지속되어 메모창 (530) 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되는 메모창 (530) 에 터치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메모를 입력하는 동작이다. 도면에서는 "267" 이라는 숫자가 메모 내용으로 입력된다.Referring to (c) of FIG. 7, the memo input operation is shown during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first user operation is continued and the memo window 53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And a memo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drag operation to the memo window 530 to be displayed. In the figure, the numeral "267" is entered as the memo content.

도 7a 의 (d) 를 참조하면, 메모를 작성하는 동작이 종료되고,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제 1 사용자 동작도 종료된 경우를 도시한다.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동작을 종료한 경우에 제어부 (180) 는 메모창 (530) 에 작성된 메모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메모 내용을 저장한다. Referring to (d) of FIG. 7, there is shown a case where the operation of creating a memo is ended and the first user operation of driving the memo application is also ended. When the user touches the memo icon 520 in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memo contents created in the memo window 530 and stores the contents of the memo.

즉, 도 7a 의 경우,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동작이 지속되는 경우에 한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이다. 그에 따라서, 제 1 사용자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 역시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FIG. 7A, the memo application is operated only when the first user operation for touching the memo icon 520 is continued. Accordingly, when the first user operation ends, the memo application can also be set to terminate.

도 7b 를 참조하면, 메모 작성을 위한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의 다른 예로 제 1 사용자 동작이 개시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이다. Referring to FIG. 7B,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for memo generation is a case where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tarted.

도 7b 의 (a) 와 (b) 는 제 1 사용자 동작이 입력되기 전 및 후의 터치 스크린 (151) 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제 1 사용자 동작을 통해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7b 의 경우에, 제 1 사용자 동작이 지속되는 경우에만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사용자 동작이 개시된 경우 일정 시간동안만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메모 아이콘 (520) 을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터치한 경우, 터치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 (예를 들어, 2 초) 동안만 메모를 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7B and 7B show display screens of the touch screen 151 before and after the first user operation is input. And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through the first user operation. In the case of FIG. 7B, the memo application is not activated only when the first user operation is continued, but may be operated so that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tarted. That is, when the memo icon 520 is touched with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icon 520 may be set to be able to memorize the memo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from the start of the touch.

도 7b 의 (c) 를 참조하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일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동안 메모를 입력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터치 드래그 동작으로 메모창 (530) 을 통하여 터치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특정 숫자 "7" 를 메모 컨텐츠로 입력된다.Referring to (c) of FIG. 7B, an operation of inputting a not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during which the memo application is operated is shown. A specific number "7" is input as a memo content through the touch drag operation through the memo window 530 in the touch drag operation.

도 7b 의 (d) 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입력된 메모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메모 내용이 저장되는 동작이 도시된다.Referring to (d) of FIG. 7,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 operation of analyzing the inputted memo contents and storing the memo contents is shown.

즉, 도 7b 의 경우,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아이콘 (520) 을 한번 터치한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구동되며, 제 1 사용자 동작은 지속될 필요가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7B, when the memo icon 520 is touched once with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application may be dri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first user operation may be set not to be continued.

한편, 상기 설명에서 제 1 사용자 동작이 이루어진 다음 일정 시간 동안만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선택적으로 메모를 입력하는 사용자 동작이 종료된 이후에 일정 시간 이후에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메모를 입력하는 사용자 동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한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메모 내용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memo application is operated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first user operation is performed. Alternatively, the memo application may be set to terminate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the memo is terminated have. That is, the note application can be terminated and the note contents can be stor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user action for inputting the note.

도 8a 및 8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memo window i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설명한 제 1 사용자 동작이 입력되어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한 경우,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메모창 (530) 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창 (530) 의 모양이나 크기, 위치등은 특정한 형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메모창 (530) 의 기능은 사용자로 하여금 메모를 할 수 있는 영역을 제시하고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When the first user operation described above is input and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a memo window 530 for receiving a memo.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memo window 530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at. The function of the memo window 530 is to present a region in which a user can memo a memo and receive a memo.

도 8a 를 참조하면, 메모창 (530) 의 다양한 기능을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 8A, various functions of the memo window 530 are shown.

도 8a 의 (a) 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창 (530) 뿐만 아니라 기존의 메모 화일들의 리스트 (810)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기존에 메모리 (160) 에 저장된 메모 화일들은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메모창 (530) 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메모창 (530) 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FIG. 8A, the touch screen 151 may display a list 810 of existing memo files as well as the memo window 530. The memo files stored in the memory 160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emo window 530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and the memo window 530 is displayed.

도 8a 의 (b) 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창 (530) 및 메모 화일 리스트들 (810) 이외에 메모와 관련된 부가 기능들 (821 내지 824) 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카메라 기능 (821), 계산을 위한 계산기 기능 (822), 녹음하기 위한 레코더 기능 (823) 및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 기능 (824) 등이 메모와 관련하여 메모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으로 메모창 (530) 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8A, the touch screen 151 may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821 to 824 related to the memo in addition to the memo window 530 and the memo file lists 810. In Fig. For example, a camera function 821 for receiving an external image, a calculator function 822 for calculation, a recorder function 823 for recording, and a keyboard function 824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a memo window 530 as a function for helping to create.

도 8b 를 참조하면, 메모창 (530) 의 다양한 모양의 일 예를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8B, an example of various shapes of the memo window 530 is shown.

도 8b 의 (a)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직전의 화면을 나타낸다.8 (b) shows a screen immediately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도 8b 의 (b) 에서,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사용자 동작 (540) 에 의해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메모창 (530) 이 터치 스크린 (151) 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던 것과 달리, 메모창이 터치 스크린 (151) 의 하단 영역 (840) 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8b 의 (a) 에서 처럼, 기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직전의 화면은 터치 스크린 (151) 의 상단 영역 (830) 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더라도 기전 실행되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는 영향받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In (b) of FIG. 8B,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by the user operation 540 of touching the memo icon 520. [ The memo window may be displayed in the bottom area 840 of the touch screen 151, unlike the memo window 530 is displayed in the center area of the touch screen 151 in the above description. At this time, a screen immediately before the existing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may be displayed in the upper area 830 of the touch screen 151, as shown in FIG. 8B. In this way, even if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display of various applications that have been performed in the past may be set to be unaffected.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창 없이 메모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displaying a note-taking operation without a memo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를 참조하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더라도 메모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예가 도시된다. 상기 설명들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동작이 개시되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시에 메모창을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모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으면서 터치 스크린 (151) 에 그대로 메모를 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전에 터치 스크린 (151) 에 디스플레이되던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의 표시 화면은 메모창에 의해서 가려지거나 또는 크기가 조절될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에 디스플레이되던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메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이 설명된다.Referring to FIG. 9,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memo application is not displayed, but the memo window is not display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tarted to display the memo window on the touch screen 151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running. However,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n embodiment in which a memo can be directly made on the touch screen 151 without displaying a memo window. The display screen of the other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may be covered or scaled by the memo window. Accordingly, a method of quickly performing a memo function without affecting other previously displayed applications is described.

도 9(a)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직전의 터치 스크린 (151) 의 화면을 도시한다.9 (a) shows a screen of the touch screen 151 immediately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도 9(b)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아이콘 (520) 을 사용자가 터치 동작 (540a) 하는 경우이다.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만, 메모창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되지는 않는다. 다만,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것으로 인식하고, 터치 스크린 (151) 으로부터의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을 준비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the user performs a touch operation 540a on the memo icon 520 as a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by the first user operation, but the memo window is no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However,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at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can prepare to receive the second user operation from the touch screen 151. [

도 9(c)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의 지속을 통해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지속되는 동안,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는 동작이 도시된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이므로, 터치 스크린 (151) 의 전체 영역은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을 준비가 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151) 을 통하여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특정 숫자 "72" 를 터치 드래그로 입력받은 경우, 제어부 (180) 는 해당 메모 내용 "72" 를 메모 컨텐츠로 분석한다. Referring to Figure 9 (c), the operation of receiving a second user action is shown while the memo application continues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he first user action. Since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151 is ready to receive the second user operation. In this state, when a specific number "72" is input by touch dragging through the touch screen 151 as a second user operation,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memo content 72 as memo contents.

한편, 도 9(c) 에서는, 메모 컨텐츠 "72" 가 터치 드래그 궤적 (910) 을 따라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예시적이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동작을 통해서 특정 메모 내용을 터치 스크린 (151) 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지만, 그 메모 내용은 터치 스크린 (151)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실제 터치 스크린 (151) 상에 표시되지는 않지만, 제어부 (180) 는 제 2 사용자 동작을 통해서 입력된 메모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9 (c), the memo content "72" is shown as being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along the touch drag trajectory 910, but this is exemplary. For example, the contents of a specific memo can be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151 through the second user operation, but the contents of the memo can be set not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That is, although not displayed on the actual touch screen 151, the control unit 180 may analyze the memo contents input through the second user operation and store the analyzed memo contents.

도 9(d) 를 참조하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어 메모 내용이 저장된 경우를 도시한다.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와 함께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며, 이와 함께, 제 2 사용자 동작을 통해서 입력된 메모 내용도 메모리 (160) 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이후에, 메모로 입력된 숫자가 특정 창 (920) 을 통하여 보여줌으로써 메모 내용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D, there is shown a case where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memo contents are stored.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with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the memo contents inputted through the second user operation can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In the drawing, after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 number entered in the memo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specific window 920 to confirm the memo contents to the user.

도 10a 내지 10d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Figures 10A-10D illustrate a second user action for entering note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제 1 사용자 동작과 구별되는 사용자 동작으로 제 2 사용자 동작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2 사용자 동작"은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실제 메모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 2 사용자 동작은 메모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특정 형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모창에 터치 드래그 동작을 통해서 입력받는 동작,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녹음하는 동작, 터치 스크린 (151)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영상을 입력받는 동작등 다양한 동작들이 제 2 사용자 동작에 해당될 수 있다.There is a second user action in this specification as a user action distinct from a first user ac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econd user operation" means an oper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ting actual memo contents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running. The second user operation is for receiving the memo content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at. For example, an operation of receiving input through a touch drag operation on a memo window, an operation of recording a voice through a microphone, an operation of selecting specific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an operation of inputting an image through a camera module Various operations may correspond to a second user operation.

도 10a 는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 (151) 상의 메모창 (520) 을 통한 입력 방식이 도시된다.10A shows an input method via the memo window 520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a memo.

도 10a의 (a) 를 참조하면,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 (151) 상의 메모창 (530) 에 직접 터치하여 메모하는 방식이 도시된다.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메모창 (530) 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창 (520) 을 통해서 입력받을 준비가 되어있다. 따라서, 메모창 (520) 에 대한 직접 터치 동작, 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특정 메모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 드래그 동작으로 표시할 수 있는 내용은 숫자, 문자도 될 수 있지만, 그림과 같은 다양한 모양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A, a method of directly touching the memo window 530 on the touch screen 151 with a second user operation is illustrated. When the memo window 53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the touch screen 151 is ready for input through the memo window 5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put a specific memo content through a direct touch operation on the memo window 520, for example, a touch drag operation. The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touch drag operation can be numbers and characters, but various shapes such as a picture can also be displayed.

도 10a 의 (b) 를 참조하면,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 (151) 상의 메모창 (530) 에 키보드 (540) 를 통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도시된다. 메모창 (530) 을 통한 터치 동작을 통하여 직접 메모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 원하는 문자를 정확히 입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키보드를 표시하여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0, a method of inputting through the keyboard 540 to the memo window 530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second user operation is shown. In the case of directly inputting the memo contents through the touch operation through the memo window 530, desired characters can be input correctly, so that a desired character or numeral can be inputted by displaying the keyboard.

도 10b 는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카메라 모듈 (121) 을 통한 입력 방식이 도시된다.10B shows an input metho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1 a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a memo.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은 터치 스크린 (151) 을 통한 입력 방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메모를 하는 목적이 특정 문자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지만, 주변의 영상을 긴급하게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경우, 선택적으로 외부 영상을 메모 컨텐츠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the memo is not limited to the input method through the touch screen 151. [ Although the purpose of the memo may be for inputting specific character content, it may be for urgently storing the surrounding image. Therefore,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driven, an external image may be selectively input as memo contents.

도 10b 의 (a)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직전의 터치 스크린 (151) 의 표시 화면이다.10B is a display screen of the touch screen 151 just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도 10b 의 (b)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한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됨과 함께 메모창 (530) 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 (121) 을 구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 (121) 이 구동되고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모두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 (121) 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은 메모창 (530) 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b) of FIG. 10B, when the memo icon 520 is touched by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a memo window 53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The control unit 180 can drive the camera module 121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camera module 121 is driven and receives an image from the outside. Here, the image includes both a still image and a moving imag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module 121 is displayed through the memo window 530.

도 10b 의 (c) 에서,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와 함께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로, 카메라 모듈 (121) 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저장되는 동작이 도시된다.In (c) of FIG. 10, an operation in which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module 121 is stored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with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hown.

도 10c 는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마이크 모듈 (122) 을 통한 입력 방식이 도시된다.FIG. 10C shows an input method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122 a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a memo.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카메라 모듈 (121) 을 통한 영상 입력 방식 이외에 마이크 모듈 (122) 을 통한 음성 입력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메모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 문자보다는 음성을 통한 메모 방식이 더 적합한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한 경우를 위하여 마이크 모듈 (122) 을 통한 입력 방식을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고려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deo input metho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1, a voice input method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considered a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a memo. In the case of inputting memo contents, there is a case in which a memo method based on voice is more suitable than a character. In such a case, the input method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considered as a second user operation.

도 10c 의 (a)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직전의 터치 스크린 (151) 의 표시 화면이다.10C is a display screen of the touch screen 151 just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도 10c 의 (b)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한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됨과 함께 메모창 (530) 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 (180) 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그와 동시에 마이크 모듈 (122) 을 동작시킬 수 있다. 마이크 모듈 (122) 은 외부로부터 다양한 음성 또는 소리 (1020) 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 (180) 는 마이크 모듈 (122) 의 모든 음성 또는 소리를 입력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음성만을 분리하여 메모 컨텐츠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분석된 메모 컨텐츠는 메모창 (530) 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0C, when the memo icon 520 is touched by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a memo window 53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 The control unit 180 can operate the microphone module 122 at the same time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microphone module 122 can receive various sounds or sounds 1020 from outside. Here, the control unit 180 may receive all the voice or sound of the microphone module 122 as input, but may receive only the voice of the user as the memo contents. The selectively analyzed memo contents may be displayed in the memo window 530.

도 10c 의 (c)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로 입력된 음성 메모 내용이 저장되는 동작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c) of FIG. 10C, the operation of storing the contents of the voice memo inputted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at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hown.

도 10d 는 메모를 입력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 (151) 상에 표시되는 특정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이 도시된다.FIG. 10D shows a method for directly selecting specific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a memo.

메모를 하는 이유는 특정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표시된 다른 내용을 복사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 사이트 내용을 보고 있는 동안에, 원하는 내용을 발견 한 경우, 해당 내용을 메모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동하여 해당 내용을 직접 메모하여 저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reason for making a note is that the user may write a specific content, but may also copy the displayed content. For example, while viewing the content of a particular site on the touch screen 151 via the Internet, if desired content may be found, the user may want to note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romptly drive the memo application to directly memorize and store the content.

도 10d 의 (a)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려는 동작이 개시된다. 터치 스크린 (151) 상에는 특정 뉴스 애플리케이션 (1030) 이 디스플레이되며, 다양한 뉴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a) of FIG. 10d, an operation to start the memo application with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tarted. On the touch screen 151, a specific news application 1030 is displayed and various news contents are displayed.

도 10d 의 (b)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을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제어부 (180) 는 제 1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인식한 경우, 특정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상태로 터치 스크린 (151) 을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동작 (540b) 이 존재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151) 또는 제어부 (180) 는 해당 터치 동작을 분석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판단한다. 도면에서는, 특정 기사 내용 (1040) 이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선택된 것으로 제어부 (180) 는 판단한다. 즉,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 (180) 는 이러한 특정 컨텐츠를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저장하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0d,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specific content as a second user operation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running through the first user operation is shown. If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memo application as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touch screen 151 to receive the specific content. Accordingly, if there is a touch operation 540b for selecting a specific content as a second user operation, the touch screen 151 or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corresponding touch operation to determine the selected content .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article content 1040 is selected as the second user operation. That is, when selecting a specific content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running, the control unit 180 can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as an instruction to store the specific content through the memo application.

도 10d 의 (c) 를 참조하면,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된 이후에 제 1 사용자 동작까지 종료되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이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때문에, 선택된 특정 컨텐츠는 메모리 (160) 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10, the first user operation is terminated after the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as the second user operation, and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Because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도 11a 및 11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작성된 메모를 활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FIGS. 11A and 11B are diagrams showing operations utilizing memo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메모 내용이 입력된 경우에 해당 메모 내용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 내용을 직접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도 있고, 관련된 다른 화일들을 직접 검색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through the corresponding memo contents when various memo contents are inputted. For example, you can directly analyze the memo contents to run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it, or search and display other related files directly.

도 11a 는 작성된 메모 내용을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표시하는 동작이 도시된다.Figure 11A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nalyzing the memo content created and directly displaying the associated application.

도 11a 의 (a)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을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메모창 (530) 을 통하여 특정 메모 내용 "113" 이 입력된 경우이다.Referring to (a) of FIG. 11,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first user operation and a specific memo content "113" is input through the memo window 530.

도 11a 의 (b) 를 참조하면, 메모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제어부 (180) 는 입력된 메모 내용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 (180) 는 분석된 메모 내용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화일이 존재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151) 을 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 또는 화일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기본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메모 컨텐츠 내용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애플리케이션 (1110) 을 기본으로 설정하여 메모 컨텐츠 내용을 바로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메모 내용이 숫자인 경우, 전화 애플리케이션 (1120) 을 통하여 바로 전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는 별개로, 관련된 메모 내용을 포함하는 다른 메모 내용을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 (1130) 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A (b), the operation of displaying various applications related to the memo contents on the touch screen 151 is shown. The control unit 180 can quickly analyze the entered memo contents. The control unit 180 may display the application or the file through the touch screen 151 when an application or a file related to the analyzed memo content exists. Alternatively, the contents of the memo content may be applied through the default application. For example, the search application 1110 may be set as a default, and the content of the memo content may be immediately retrieved. Alternatively, if the contents of the memo is a number, it may be set to call immediately through the telephone application 1120. [ Alternatively, it may display an application 1130 that shows other memo content, including related memo content.

도 11b 는 작성된 메모 내용을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바로 전달하는 동작이 도시된다.11B shows an operation of directly transferring the created memo contents to another application.

도 11b 의 (a) 를 참조하면, 도 11a 의 (a) 와 유사하게, 제 1 사용자 동작을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메모창 (530) 을 통하여 특정 메모 내용 "113" 이 입력된 경우이다. 11A, a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through a first user operation and a specific memo content 113 is input through the memo window 530, similar to (a) of FIG. 11A.

도 11b 의 (b) 를 참조하면, 메모창 (530) 을 통하여 제 2 사용자 동작이 입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애플리케이션들 (1142 내지 1148) 을 터치 스크린 (151) 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MS 애플리케이션 (1142), Chat 애플리케이션 (1144), 워드 애플리케이션 (1146) 및 검색 애플리케이션 (1148) 이 메모창 (530) 을 중심으로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B, when a second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memo window 530, at least one of the related applications 1142 to 1148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151. FIG. For example, the SMS application 1142, the Chat application 1144, the word application 1146, and the search application 1148 may be set to be displayed centered on the memo window 530.

도 11b 의 (c) 를 참조하면,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내용이 입력되고, 해당 메모 내용을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전달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본 발명은 작성된 메모 내용을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신속하게 활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1142 내지 1148) 중 SMS 애플리케이션 (1142) 을 선택하여 메모 내용을 해당 SMS 애플리케이션 (1142) 에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11, an operation of inputting a memo content by a second user operation and selecting and transmitting a specific application i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quickly utilize the memo content created in another application. Accordingly, in the drawing, an SMS application 1142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1142 to 1148 may b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the memo may be transmitted to the SMS application 1142.

도 11b 의 (d)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와 함께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SMS 애플리케이션 (1142) 에 전달된 메모 내용이 SMS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송신되는 것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1B (d), when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with the end of the first user action, it is shown that the memo content delivered to the SMS application 1142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MS application.

도 12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저장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memo storing oper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메모 내용을 입력받은 경우 제어부 (180) 는 해당 메모 내용을 분석한다. 메모 내용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일 수도 있고, 음성일 수도 있고,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동작으로 터치 드래그 동작으로 특정 문자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 (180) 는 이러한 특정 문자를 정지 영상으로 그림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해당 특정 문자를 인식하여, 이를 텍스트로 저장할 수도 있다.When the memo contents are input in the second user operation,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memo. As described above, the memo content may be a video, a voice, a text, or the like. When the user inputs a specific character in the touch drag operation by the second user opera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store the specific character as a still image, selectively recognize the specific character, and store the character as a text have.

한편, 메모 저장에 있어서, 다양한 부가 정보가 메모 내용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가 기록되던 환경에 대한 부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메모가 기록되던 시간, 메모가 기록되던 위치 정보, 제 2 사용자 동작의 종류등 다양한 부가 정보가 메모 컨텐츠로 메모리 (160) 에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memo storage,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memo contents. For exampl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emo was recorded,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at which the memo was recorded, the location where the memo was recorded, the type of the second user operation, Lt; / RTI >

도 12(a) 를 참조하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메모창 (530) 을 통하여 이미지와 텍스트가 포함된 메모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12 (a), the memo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memo contents including an image and text are input through the memo window 530. FIG.

도 12(b) 를 참조하면,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동작이 종료되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어 작성된 메모 내용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작성된 메모 내용이 다른 정보의 추가 없이 저장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는, 부가적 정보로써 메모의 작성 시간, 메모의 작성 시점의 위치 정보가 부가 정보 (1210) 로써 메모 컨텐츠에 포함되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2B, the memo contents created by terminating the memo application and ending the first user operation of touching the memo icon 520 are stored. Here, the created memo content may be stored without adding other information, but in the figure, the memo creation time and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memo creation are included in the memo contents as additional information 1210 and stored .

도 13 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저장된 메모 컨텐츠를 활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utilizing memo content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저장된 메모 컨텐츠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stored memo contents in various ways.

도 13(a) 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창 (530) 이외에 최근 메모 화일 리스트 (1310) 및 연계된 메모 화일 리스트들 (1332 내지 1326) 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저장된 메모 컨텐츠들은 최근에 작성된 순서대로 최근 메모 리스트 (1310 내지 1318) 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관련된 메모 화일들을 연계된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151) 은 연계된 메모 화일 리스트들 (1332 내지 1326) 을 디스플레이한다. 각각의 메모 화일들 (1332 내지 1326) 은 하나의 연계선 (1330) 을 통하여 연계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하여 서로 연관된 메모 화일들을 시각적으로 분명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3A,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a list of recent memo files 1310 and associated memo files 1332 to 1326 in addition to the memo window 530. The memo contents stored through the memo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recent memo lists 1310 to 1318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crea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related memo files as linked.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the linked memo file lists 1332 to 1326. Each of the note files 1332 to 1326 is displayed as if it is linked through one link line 1330. [ Through this, the related memo files can be visually and clearly communicated to the user.

한편, 최근 메모 리스트로 표현되었지만, 이름순, 중요도순, 메모 내용순등으로 다양하게 정렬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expressed by a recent memo list, it can be variously sorted by name order, importance order, and note contents order.

도 13(b) 를 참조하면, 연계된 메모 화일 리스트에 추가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연관된 것처럼 보이는 메모 화일 리스트들은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여기에서, 기존의 최근 메모 리스트 (1312 내지 1318) 중 특정 메모 화일 (1316) 을 터치 동작을 통하여 연계된 것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3 (b), the operation of adding to the linked memo file list is shown. Lists of memo files that appear to be associated can be added or deleted. Here, among the existing memo lists 1312 to 1318, the specific memo file 1316 may be displayed as being linked through the touch operation.

도 13(c) 를 참조하면, 도 13(a) 및 13(b) 와 비교할 때, 특정 메모 화일 (1340) 이 "SECRET" 으로 표시된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저장된 다양한 메모 화일들은 다양한 종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특정인만 볼 수 있도록 비밀 메모 화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비밀 메모 화일로 설정된 경우, 비밀 번호를 통하여 암호 해제가 된 경우에만 보여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3 (c), when compared with Figs. 13 (a) and 13 (b), the specific memo file 1340 is displayed as "SECRET ". Various memo files stored through the memo application can be set to various types, and may be set as a secret memo file so that only a specific person can view the memo files. If it is set as a secret memo file, it may be set to be displayed only when decryption is made through a password.

도 14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저장 및 표시와 관련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memo storage and displa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 저장 및 표시하는 다른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 (15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 메모를 저장 또는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151) 상에 특정 인터넷 사이트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트의 특정 이미지에 대해서 메모를 기록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The memo may be stored or displayed for a specific area or specific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n other ways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memo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Internet sit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t may be set to record a note on a specific image of the site.

도 14(a) 를 참조하면,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직전의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 (151) 은 특정 인터넷 사이트 (1410) 를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14 (a), a screen immediately before the memo application is started is shown.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a specific Internet site 1410.

도 14(b)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으로써 메모 아이콘 (520) 을 터치하는 동작 (540a) 을 통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이다. 메모를 입력받기 위한 메모창이 표시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 (151) 은 메모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도록 준비된다. 상기 특정 인터넷 사이트 (1410) 중 특정 이미지 (1420) 을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 (180) 는 해당 이미지 (1420) 에 대한 메모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메모 내용을 입력받을 준비를 한다.Referring to FIG. 14 (b), the memo application is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540a of touching the memo icon 520 as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window for inputting the memo is not displayed, but the touch screen 151 is prepared to receive the second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the memo operation. If there is a second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a specific image 1420 among the specific Internet sites 1410,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e selected image 1420 as a memo for the image 1420 and prepares to receive the memo .

도 14(c) 를 참조하면, 선택된 상기 이미지 (1420) 에 대한 메모 내용을 메모창 (530) 을 통하여 입력받는 동작이 도시된다. 도면에서, 메모창 (530) 을 통하여 특정 메모 컨텐츠가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14C,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memo contents of the selected image 1420 through the memo window 530 is shown. In the drawing, specific memo contents are inputted through the memo window 530. [

도 14(d) 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동작의 종료로 인하여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이다.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됨과 함께, 작성된 메모가 저장된다. 이 경우, 작성된 메모 내용은 단순히 메모리 (160) 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이미지 (1420) 에 대해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미지 (1420) 에 대해서 메모가 작성되었음을 알림창 (1430) 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한 메모 내용을 작성할 수 있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d),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due to the end of the first user operation.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the created memo is stored. In this case, the created memo contents can be displayed not only in the memory 160 but also in the corresponding image 1420.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notification window 1430 that a memo has been created for the image 1420. In this manner, the contents of a specific content or a memo about a specific location can be created and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100 이동 단말기 151 터치 스크린
121 카메라 모듈 122 마이크 모듈
160 메모리 180 제어부
520 메모 아이콘 530 메모창
100 mobile terminal 151 touch screen
121 Camera module 122 Microphone module
160 memory 180 control unit
520 Memo icon 530 Memo window

Claims (20)

메모리;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메모 아이콘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메모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상기 메모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된 동안에만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 컨텐츠 입력을 위한 메모창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창에 상기 메모 컨텐츠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며,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메모창에 입력되었던 상기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Memory;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memo icon for executing a memo application; And
When the memo icon is touched by the user, the memo application is executed only while the user touches the memo icon,
A memo window for inputting memo content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executed,
The execution of the memo application is terminated in response to the release of the user's touch on the memo icon while the memo content is entered in the memo window,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storing the memo contents input in the memo window in the memory in response to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memo appl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컨텐츠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및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tore the memo contents in the memory with at least one of a text file, an image file and an audio fi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컨텐츠의 내용을 판단하며, 상기 메모 컨텐츠의 내용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judges contents of the memo contents and drives at least one specific application using contents of the memo contents.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마이크 모듈을 동시에 구동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통해 입력된 외부 음성을 상기 메모 컨텐츠로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icrophone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from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drives the memo application and the microphone module while the user's touch on the memo icon is maintained, analyzes the external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into the memo content, And stores the content in the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된 외부 영상을 상기 메모 컨텐츠로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메모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mera module for receiving an image from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drives the memo application and the camera module while the user's touch on the memo icon is maintained, analyzes the external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as the memo content, And stores the content in the memory.
삭제delete 터치스크린 상에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메모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모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상기 메모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된 동안에만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 컨텐츠 입력을 위한 메모창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모창에 상기 메모 컨텐츠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메모창에 입력되었던 상기 메모 컨텐츠를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isplaying a memo icon for execution of the memo application on the touch screen;
Executing the memo application only while the user's touch on the memo icon is held when the memo icon is touched by the user;
Displaying a memo window for inputting memo contents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memo application is executed;
Ending the execution of the memo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on the memo icon being released in a state that the memo content is entered in the memo window; And
And automatically storing the memo contents input in the memo window in a memory in response to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memo appl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71288A 2011-07-19 2011-07-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863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88A KR101863926B1 (en) 2011-07-19 2011-07-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3/313,224 US9792036B2 (en) 2011-07-19 2011-12-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o display memo content
EP11194400.5A EP2549717B1 (en) 2011-07-19 2011-12-19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210012175.5A CN102890540B (en) 2011-07-19 2012-01-16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88A KR101863926B1 (en) 2011-07-19 2011-07-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577A KR20130010577A (en) 2013-01-29
KR101863926B1 true KR101863926B1 (en) 2018-06-01

Family

ID=4537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2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3926B1 (en) 2011-07-19 2011-07-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2036B2 (en)
EP (1) EP2549717B1 (en)
KR (1) KR101863926B1 (en)
CN (1) CN10289054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423B2 (en) * 2010-06-30 2017-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concurrently presented versions in web conferences
KR101921203B1 (en) * 2012-03-02 2018-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emo function which is associated audio recording function
KR20140014510A (en) * 2012-07-24 201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Editing method of text generatied by a speech recognition and terminal thereof
KR101943320B1 (en) * 2012-09-21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60054A1 (en) * 2012-12-06 2014-06-12 Qualcomm Incorporated Anchor-drag touch symbol recognition
KR20140100316A (en) * 2013-02-06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8098B1 (en) * 2013-02-15 2020-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281429A (en) * 2013-06-01 2013-09-04 苏州联讯达软件有限公司 Mobile phone call record function extension method
KR20150006720A (en) * 2013-07-09 2015-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51834B1 (en) * 2013-07-10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US20150339936A1 (en) 2014-05-21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15816B1 (en) * 2014-07-09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87995A4 (en) * 2014-09-19 2017-08-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unning application program
KR20160055552A (en) * 2014-11-10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memo
WO2016106570A1 (en) * 2014-12-30 2016-07-0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and interaction system and interaction method for memo thereof
CN106170755B (en) * 2014-12-30 2019-09-2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The gen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of voice memos recording system and voice memo
CN105989035A (en) * 2015-02-03 2016-10-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In-page quick dialing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5141747A (en) * 2015-06-23 2015-12-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Information storage method and device and intelligent terminal
KR20170092409A (en) * 2016-02-03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020636A (en) * 2016-05-06 2016-10-1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An application content generating method and a terminal
CN110741619B (en) * 2017-08-25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A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remark information
WO2019074244A1 (en) * 2017-10-09 2019-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omatically managing activities of application
CN108282591A (en) * 2018-02-06 2018-07-13 南京君宜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eam collaboration's management method with real voice Advise By Wire
CN109298818B (en) * 2018-09-14 2020-07-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A window adjustment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085775A (en) * 2019-12-31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A mobile terminal supportting a electronic note function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424428B1 (en) * 2020-12-15 2022-07-21 장기원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6931A1 (en) * 2005-11-08 2007-05-10 Nokia Corporation Active notes application
US20090273587A1 (en) * 2008-05-02 2009-11-05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and digital data storage media
US20100257447A1 (en) * 2009-04-03 2010-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sture-based function control
US20110060986A1 (en) * 2009-09-10 2011-03-10 Chao-Kuang Ya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0297B (en) * 2000-08-21 2002-12-31 Mikko Kalervo Vaeaenaenen System, procedure and terminal for short audio / voice messages
US20050052427A1 (en) 2003-09-10 2005-03-10 Wu Michael Chi Hung Hand gesture interaction with touch surface
KR20050045437A (en) * 2003-11-11 2005-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toring photo and voice together in mobile phone
US7365787B2 (en) * 2004-02-26 2008-04-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camera operations
US7779347B2 (en) * 2005-09-02 2010-08-17 Fourteen40,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ly annotating electronic documents
KR20080073872A (en)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same
WO2009071112A1 (en) * 2007-12-03 2009-06-11 Nokia Corporation Media embedded in mobile messaging
KR20090058073A (en) 2007-12-04 2009-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and its function performing method
US20100146437A1 (en) * 2008-12-04 2010-06-10 Microsoft Corporation Glanceable animated notifications on a locked device
EP3247094B1 (en) * 2009-02-13 2021-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ATE546008T1 (en) * 2009-02-26 201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OPERATION OF THE SAME
JP5278064B2 (en) * 2009-03-16 2013-09-04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Method for using portable terminal and voice-recognized text data
KR101608532B1 (en) 2009-08-11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8294683B2 (en) * 2009-09-25 2012-10-23 Mitac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processing touch commands and voice commands in parallel in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peech recognition
US8432367B2 (en) 2009-11-19 2013-04-30 Google Inc. Translating user interaction with a touch screen into input commands
KR101103471B1 (en) 2009-12-21 2012-01-09 주식회사 케이씨텍 Substrate Plating Equipment
US8548449B2 (en) * 2010-05-20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ntact notes
US8429674B2 (en) * 2010-07-20 2013-04-23 Apple Inc. Maintaining data states upon forced exit
US9104288B2 (en) * 2011-03-08 2015-08-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media functions from a locked scre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6931A1 (en) * 2005-11-08 2007-05-10 Nokia Corporation Active notes application
US20090273587A1 (en) * 2008-05-02 2009-11-05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and digital data storage media
US20100257447A1 (en) * 2009-04-03 2010-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sture-based function control
US20110060986A1 (en) * 2009-09-10 2011-03-10 Chao-Kuang Ya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2036B2 (en) 2017-10-17
US20130021270A1 (en) 2013-01-24
CN102890540A (en) 2013-01-23
EP2549717A1 (en) 2013-01-23
EP2549717B1 (en) 2017-05-31
CN102890540B (en) 2017-07-07
KR20130010577A (en)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92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2699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power saving method
KR101651134B1 (en) Mobile terminal and group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759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thereof
KR10169061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7374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9981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4329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9272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obtaining message about outside object
KR101674213B1 (en) Method for managing picked-up imag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74125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clipboard
KR10198070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706941B1 (en) Mobile terminal and quick access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139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162221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thereof
KR10152068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7095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list thereof
KR101498061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709503B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74043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KR10190493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0995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26994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52702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7431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