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900B1 -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및 강화 천연석 - Google Patents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및 강화 천연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1900B1 KR101861900B1 KR1020150177500A KR20150177500A KR101861900B1 KR 101861900 B1 KR101861900 B1 KR 101861900B1 KR 1020150177500 A KR1020150177500 A KR 1020150177500A KR 20150177500 A KR20150177500 A KR 20150177500A KR 101861900 B1 KR101861900 B1 KR 101861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natural stone
- silica
- chip
- average part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4—Metals, e.g. ferro-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3—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불량 판정을 받은 강화천연석용 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양호 판정을 받은 강화천연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불량 판정을 받은 강화천연석을 도시한 것이다.
성분 | 제조회사 | 비고 |
샌드형 실리카 | Kale Maden | ① 평균입경 0.1 내지 0.3mm; ② 평균입경 0.3 내지 0.7mm; ③ 평균입경 0.7 내지 1.2mm |
파우더형 실리카 | 21세기 실리카 | 평균입경 45㎛ (#325) |
UPE | 애경화학 | |
금속 펄 | 전성상사 | |
스티렌계 모노머 | - | |
가교제 | 구담 | 실란계 WD-80 |
경화촉진제 | 진양 화성 | 코발트계(6%-Cobal) |
경화제 | 세기 아케마 | tert-Butylperoxy benzoate |
성분 | 제조회사 | 비고 |
샌드형 실리카 | Kale Maden | 평균입경 0.1 내지 1.2mm |
파우더형 실리카 | 21세기 실리카 | 평균입경 45㎛ |
석영 칩 | 21세기 실리카 | 평균입경 1.2 내지 5.6㎛ |
UPE | 애경화학 | |
금속 펄 | 전성상사 | |
가교제 | 구담 | 실란계 WD-80 |
경화촉진제 | 진양 화성 | 코발트계(6%-Cobal) |
경화제 | 세기 아케마 | tert-Butylperoxy benzoate |
안료 | 우신 피그먼트 | 무기계 안료 318M, Red110, Y3910, Y8G, Y6R 외 다수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
샌드형 실리카① (중량%) |
30 | 40 | 45 | 43 | 40 | 40 | 40 | 40 |
샌드형 실리카② (중량%) |
10 | - | - | - | - | - | - | - |
샌드형 실리카③ (중량%) |
- | - | - | - | - | - | - | - |
파우더형 실리카 (중량%)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UPE (중량%) |
25 | 25 | 20 | 22 | 25 | 25 | 24 | 23 |
금속 펄 (중량%) |
3 | 3 | 3 | 3 | 3 | 3 | 4 | 5 |
스티렌 (중량%) |
2 | 2 | 2 | 2 | 2 | 2 | 2 | 2 |
가교제 (중량부)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경화촉진제 (중량부)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경화제 (중량부)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칩 상태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질감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비교예 8 |
비교예 9 |
비교예 10 |
|
샌드형 실리카① (중량%) |
10 | - | - | 20 | - | - | - | - | - | - |
샌드형 실리카② (중량%) |
20 | - | 40 | 20 | - | - | - | - | ||
샌드형 실리카③ (중량%) |
10 | 40 | - | - | 50 | 50 | 30 | 40 | 40 | 36 |
파우더형 실리카 (중량%) |
30 | 30 | 30 | 30 | 35 | 30 | 25 | 30 | 30 | 30 |
UPE (중량%) |
25 | 25 | 25 | 25 | 10 | 15 | 30 | 27 | 26 | 25 |
금속 펄 (중량%) |
3 | 3 | 3 | 3 | 3 | 3 | 3 | 1 | 2 | 7 |
스티렌 (중량%)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가교제 (중량부)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0.25 |
경화촉진제 (중량부)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경화제 (중량부)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0.50 |
칩 상태 | 불량 | 성형 불가 |
성형 불가 |
불량 | 성형 불가 |
성형 불가 |
불량 | 불량 | 양호 | 성형 불가 |
질감 | 불량 | - | - | 불량 | - | - | 불량 | 불량 | 불량 | - |
실시예9 | 실시예10 | 실시예11 | 비교예11 | 비교예12 | 비교예13 | |
사용 칩 (중량%) |
실시예3 10 |
실시예4 10 |
실시예5 10 |
비교예5 10 |
비교예6 10 |
비교예7 10 |
샌드형 실리카 (중량%) |
51 | 36 | 25 | 54 | 21 | 5 |
석영칩 (중량%) |
10 | 10 | 10 | 10 | 10 | 10 |
파우더형 실리카 (중량%) |
22 | 32 | 35 | 20 | 38 | 45 |
UPE (중량%) |
7 | 12 | 20 | 6 | 21 | 30 |
사용 칩 표면경도 |
78~85 | 77~82 | 75~80 | 40~60 | 40~60 | 65~77 |
Ry(㎛) | 3.7 | 3.8 | 4.9 | 31.5 | 8.9 | 10.6 |
Ry(㎛) | 6.1 | 6.8 | 7.5 | 61.8 | 21.4 | 28.5 |
판정 | 양호 | 양호 | 양호 | 불량 (성형안됨) |
불량 (홀발생) |
불량 (홀발생) |
Claims (16)
- (A) 평균입경이 0.1 초과 0.3㎜ 이하인 샌드형 실리카 10 내지 60 중량%;
(B) 평균입경이 0.1㎜ 이하인 파우더형 실리카 5 내지 40 중량%;
(C)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40 중량%;
(D) 금속성 펄(metallic pearl) 입자 1 내지 10 중량%; 및
(E) 스티렌계 모노머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고,
평균입경이 0.7 mm 초과인 샌드형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천연석용 조성물은 평균입경이 0.3 mm 초과 0.7 mm 이하인 샌드형 실리카를 더 포함하는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경화촉진제, 가교제, 안료, 염료,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저장안정제, 광확산제, 산화방지제, 중합방지제, 난연제 및 대전방지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 0.01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하는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 70,000 내지 100,000이며, 25℃에서의 점도가 500 내지 600 cps인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오르토 타입, 이소 타입, 비스페놀 타입, 비닐에스테르 타입 및 노볼락 비닐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펄(metallic pearl) 입자는 자개, 돌, 석분, 석영, 숯, 황토, 자석분, 향료, 펄, 패각류 및 거울 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모노머는, α-메틸 스티렌, o-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m-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 I-부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o-브로모 스티렌, p-브로모 스티렌, m-브로모 스티렌, o-클로로 스티렌, p-클로로 스티렌 및 m-클로로 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강화천연석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천연석용 칩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연속상에 샌드형 실리카, 파우더형 실리카 및 금속성 펄 입자가 분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천연석용 칩.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천연석용 칩은 바콜경도계(GYZJ 934-1, Barber Colman company)로 측정한 경도가 75 내지 85인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 제 9항에 따른 강화천연석용 칩 1 내지 20 중량%;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7 내지 20 중량%; 및
실리카계 무기물 60 내지 90 중량%;
를 포함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강화 천연석.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천연석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매트릭스에 강화천연석용 칩 및 실리카계 무기물이 분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강화 천연석.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계 무기물은 평균입경 0.1 내지 2.0㎜의 샌드형 실리카계 무기물, 평균입경 1.2 내지 5.6㎜의 석영 칩 및 평균입경 0.1㎜ 이하의 파우더형 실리카계 무기물을 포함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강화 천연석.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천연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경화촉진제, 가교제, 안료, 염료,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저장안정제, 광확산제, 산화방지제, 중합방지제, 난연제 및 대전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 0.01 내지 2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강화 천연석.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천연석은 JIS B 0601로 측정한 최대 단면 골 깊이(Rv)가 6.0㎛ 이하, 최대 높이(Ry)가 10㎛ 이하인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 천연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13726 WO2016099114A1 (ko) | 2014-12-16 | 2015-12-15 | 강화천연석용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및 강화 천연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1783 | 2014-12-16 | ||
KR20140181783 | 2014-12-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3313A KR20160073313A (ko) | 2016-06-24 |
KR101861900B1 true KR101861900B1 (ko) | 2018-05-28 |
Family
ID=5634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7500A Active KR101861900B1 (ko) | 2014-12-16 | 2015-12-11 |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및 강화 천연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19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4279A (ko) | 2016-12-23 | 2018-07-03 | 롯데첨단소재(주) | 강화 천연석 및 그 제조방법 |
WO2018124427A1 (ko) * | 2016-12-30 | 2018-07-05 | 롯데첨단소재(주) | 강화 천연석 |
KR102250434B1 (ko) * | 2018-10-23 | 2021-05-10 | 롯데첨단소재(주) | 강화 천연석 |
-
2015
- 2015-12-11 KR KR1020150177500A patent/KR101861900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3313A (ko) | 2016-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3804B1 (ko) | 수지계 강화 천연석용 입체질감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계 강화 천연석 | |
CN103288384B (zh) | 具有天然纹理和发光图案的人造大理石及其制备方法 | |
EP2051951B1 (en) | Marble chip,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 |
KR100796437B1 (ko) | 투명칩을 이용하여 석영효과를 구현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제조방법 | |
KR100728589B1 (ko) | 마블칩,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 |
JP2013536294A (ja) | 花崗岩パターンのアクリル系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3172400B (zh) | 含多孔金属碎片的人造大理石及其制造方法 | |
KR101861900B1 (ko) | 강화천연석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및 강화 천연석 | |
JP2011102233A (ja) | 着色物質透明チップで表面処理された人造石用着色物質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人造石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 |
JP5636101B2 (ja) | 板状廃ガラスチップを含む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85254B1 (ko) | 선형 줄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투명칩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 |
KR101596545B1 (ko) | 다색층을 가지는 강화천연석용 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천연석 | |
KR102250434B1 (ko) | 강화 천연석 | |
WO2016099114A1 (ko) | 강화천연석용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금속 펄 질감을 갖는 강화천연석용 칩 및 강화 천연석 | |
US20150166761A1 (en) | Amorphous artificial marble ch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0028142A (ko) |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인조대리석 | |
KR20140045218A (ko) | 인조대리석용 투명 칩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 |
KR100396834B1 (ko) | 열경화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
US11708292B1 (en) | Glass/quartz composite surface | |
KR20230147506A (ko) | 천연석과 같은 질감을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 |
JPH04280884A (ja) | 人造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