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9408B1 -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 Google Patents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08B1
KR101859408B1 KR1020170126760A KR20170126760A KR101859408B1 KR 101859408 B1 KR101859408 B1 KR 101859408B1 KR 1020170126760 A KR1020170126760 A KR 1020170126760A KR 20170126760 A KR20170126760 A KR 20170126760A KR 101859408 B1 KR101859408 B1 KR 10185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upling
joint bar
formwork
joi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태성
오정태
Original Assignee
하태성
오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성, 오정태 filed Critical 하태성
Priority to KR102017012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0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은,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줄눈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줄눈바 고정부재에 줄눈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줄눈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 세파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이격거리 확보단계; 상기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콘구멍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을 상기 세파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D 콘 결합단계; 본체 볼트를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 볼트를 상기 D 콘에 결합시키는 본체 볼트 결합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 볼트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를 체결하는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 상기 주물 사각와셔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를 체결하는 주물 너트 체결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줄눈용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와 줄눈바를 분리하는 줄눈용 거푸집 해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줄눈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줄눈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중앙돌기의 하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기의 각 측면에 일체 형성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양측 끝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결합날개부와 후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후크와; 및 상기 보강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중앙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강판 삽입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exposed concrete method.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by applying an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foundation in which a reinforcing bar foundation is installed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t a position where a wall is installed; The plate formwork bodies are successively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wall. Then, on the front part of the formwork body, a joint bar fixing member And then joining both ends of the joint bar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thereby form the joint form for the joint; A step for arranging the joints for the joints, which are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 of forming the joints for the joints, so that the joints for the joi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reinforcement foundation therebetween; A step of securing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joint formers using a septa bolt; A D-cone coupling step of coupling a D-cone forming a hole of a cone hole formed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to both ends of the septa bolt; A body bolt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body bolt with the D-cone after allowing the body bolt to pass through the joint molding; A step of fastening a cast square washer to fasten the cast square washer to be fitted to the body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joint formwork; A casting nu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casting nut so that the casting square washer is not separated; A concrete curing step in which concrete is cemented between the jointing molds; Removing the joint formwork, the D-cone, the body bolt, the cast square washer, and the casting nut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And disassembling the formwork for the joint to separate the formwork body and the jointing bar; The joint ba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half-pipe structure, a coupling wing portion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At least one reinforcing plat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enter thereof and a detachment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hexahedron structure, A central protrusion in which a shape of a specific pattern on the embossed surface is machin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protrusion; A fixed wing formed integrally on each side of the central projection and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rojection, having a wid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 coupling hook formed along both ends of each of the fixed vanes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vane part of the body part in a hook coupling manner; And a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 formed by cutting the central side of each of the stationary vanes at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Description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본 발명은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또는 옹벽 및 담장과 같은 벽체의 시공 시, 벽체에 콘구멍과 격자형태의 줄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exposed concrete method in which a cone hole and a lattice-like line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wall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wall such as a retaining wall and a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노출콘크리트(exposed concrete) 공법은 건물의 벽체, 옹벽 또는 담장을 이루는 벽체를 구성하는 기본 골조재인 콘크리트 물성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마감 기법이다. 다시 말해, 노출콘크리트 공법은 콘크리트 자체가 갖고 있는 색상 및 질감으로 마감을 나타내는 형태의 공법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탈거한 상태 그대로를 노출시켜 콘크리트 자체가 나타내는 독특한 미와 중후함을 강조하는 공법이다.The exposed concrete method is a finishing technique that reveals the concrete properties of concrete, which is the basic framework of the building wall, retaining wall or fence wall. In other words, the exposed concrete method is a method that shows the finish with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concrete itself. It is a method to emphasize the unique beauty and profoundness of the concrete itself by exposing the form as it is remov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현재, 많은 건축가들이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선호하고 있기는 하지만, 종래의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수행할 때는 거푸집 탈거 후 고르지 못한 면이 발생되거나 줄이 일률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되어 표면 보수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Although many architects currently prefer exposed concrete method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urface maintenance work in case of performing the conventional exposed concrete method because uneven surface occurs after the form removal and the line is not uniform There were hassles and inconveniences, which meant that time and money had to increase.

또한, 노출콘크리트 공법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벽체의 설계 시 점, 선, 면의 3가지 요소가 잘 어우러져야 하나의 건축 작품이 완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점과 선에 해당되는 콘구멍과 줄눈의 배치와 배열은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노출콘크리트 시공 시 이들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designing the expos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the exposed concrete method, the three points of point, line, and surface should be well combined to complete one of the architectural works. Especially, Arran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o produce the liveliness and regularity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단순 적용할 경우, 점과 선에 해당되는 콘구멍과 줄눈의 배치와 배열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벽체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imply applied,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cone holes and joints corresponding to the points and lines are not constant,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the feeling of life and regularity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leteness of the wall is lowered.

이러한 점을 감안한 새로운 대응기술로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7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As a new countermeasure against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570 and the like are disclosed.

이때, 상기 특허문헌의 경우 거푸집의 일면에 다수의 블록막대를 교차 형성하여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블록막대 형성 시, 각각의 블록막대를 거푸집에 고정시켜 형성함에 따라 그 작업량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patent document, a plurality of block rods are cross-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orm to form a lattice-like structure. When the block rods are formed, each block rod is fixed to the formwork, Time is unnecessarily consumed.

또한, 거푸집에 볼트를 통해 블록막대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볼트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경우 블록막대 및 거푸집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해야 함은 물론, 블록막대의 고정력을 위해 각각의 블록막대의 양단에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할 때, 다수의 블록막대를 모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그 작업량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블록막대에 볼트의 체결홀을 형성함에 따라 블록막대에 형성된 체결홀에 의해 콘크리크의 양생 시,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지점은 매끄럽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fixing the block rod to the mold through the bolt, when the block is fixed to the mold using a bolt or an adhesive, it is necessary to form a hole into which the bolt can be inser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work required to fix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 rods is considerable. In addition, since the bolt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block r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ints where the bolt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the time of curing of the cone clicks by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block rods are not formed smoothly.

반면, 거푸집에 접착제를 통해 블록막대를 형성하는 경우, 접착력의 강도에 따라, 접착강도가 높으면 블록막대를 거푸집에서 제거하기가 어려워 블록막대의 파손에 따른 교체 필요시 교체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접착 강도가 낮으면 블록막대가 콘크리트 양생 과정중에 거푸집으로부터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ock rod is formed through the adhesive on the mol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block rod from the mold when the adhesive strength is high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force, If the adhesive strength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lock rod is removed from the mold dur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작업량이 최소화 되고, 거푸집에 격자 줄 형성을 위한 부재의 결합이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of minimizing the amount of work as described above and forming a simple and robust connection of the members for forming the lattice lines in the formwork.

한국등록특허 제10-1308043호(2013.09.06)Korean Patent No. 10-1308043 (2013.09.06)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외벽 또는 옹벽 및 담장과 같은 벽체 시공 시, 거푸집에 줄눈의 형성을 위한 기재의 형성이 견고하면서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노출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joint for forming a joint in a mold when a wall such as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retaining wall and a fence is formed, And to provide a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exposed concrete method in which a wall can be easily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줄눈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줄눈바 고정부재에 줄눈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줄눈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 세파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이격거리 확보단계; 상기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콘구멍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을 상기 세파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D 콘 결합단계; 본체 볼트를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 볼트를 상기 D 콘에 결합시키는 본체 볼트 결합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 볼트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를 체결하는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 상기 주물 사각와셔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를 체결하는 주물 너트 체결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줄눈용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와 줄눈바를 분리하는 줄눈용 거푸집 해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줄눈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줄눈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중앙돌기의 하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기의 각 측면에 일체 형성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양측 끝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결합날개부와 후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후크와; 및 상기 보강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중앙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강판 삽입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ed concrete foundation comprising: a reinforcing bar foundation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foundation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t a position where a wall is installed; The plate formwork bodies are successively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wall. Then, on the front part of the formwork body, a joint bar fixing member And then joining both ends of the joint bar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thereby form the joint form for the joint; A step for arranging the joints for the joints, which are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 of forming the joints for the joints, so that the joints for the joi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reinforcement foundation therebetween; A step of securing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joint formers using a septa bolt; A D-cone coupling step of coupling a D-cone forming a hole of a cone hole formed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to both ends of the septa bolt; A body bolt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body bolt with the D-cone after allowing the body bolt to pass through the joint molding; A step of fastening a cast square washer to fasten the cast square washer to be fitted to the body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joint formwork; A casting nu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casting nut so that the casting square washer is not separated; A concrete curing step in which concrete is cemented between the jointing molds; Removing the joint formwork, the D-cone, the body bolt, the cast square washer, and the casting nut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And disassembling the formwork for the joint to separate the formwork body and the jointing bar; The joint ba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half-pipe structure, a coupling wing portion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At least one reinforcing plat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enter thereof and a detachment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hexahedron structure, A central protrusion in which a shape of a specific pattern on the embossed surface is machin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protrusion; A fixed wing formed integrally on each side of the central projection and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rojection, having a wid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 coupling hook formed along both ends of each of the fixed vanes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vane part of the body part in a hook coupling manner; And a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 formed by cutting the central side of each of the fixed wing parts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exposed concrete method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줄눈바를 개별적으로 거푸집에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한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음에 따른 공정 및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줄눈바의 파손 시, 파손된 줄눈바의 신속한 탈거 및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 and associated costs due to the minimization of the work for installing and disassembling a plurality of joint bars individually in a formwork, Maintenance can be improved with ease of replacement.

또한, 건물의 외벽 또는 옹벽 및 담장과 같은 벽체 시공 시, 콘구멍과 줄눈의 배치와 배열이 자연스럽게 일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ll is constructed such as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retaining wall and a fence,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cone hole and the joint are formed so as to be naturally constant, thereby realizing the feeling of life and regularity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노출콘크리트 벽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눈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줄눈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줄눈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줄눈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줄눈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의 줄눈바가 줄눈바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n exposed concrete wall constructed according to a wall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an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lan view showing a joint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joint bar installed in the joint mold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ar fixing member installed in the joint mold of FIG. 2.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joint bar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6 is a view showing a stepwise construction method of a wall applying the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wall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an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눈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줄눈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줄눈바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줄눈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줄눈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의 줄눈바가 줄눈바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plan view showing a joint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joint bar installed in the joint formwork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ar fixing member installed in the joint mold of FIG. 2.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joint bar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도 1 내지 5를 참고하면, 노출콘크리트 벽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눈용 거푸집(1000)이 요구된다. 이러한 줄눈용 거푸집(1000)은 줄눈용 거푸집(1000)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100)를 건물의 외벽, 옹벽 및 담장과 같은 건축물의 외벽 사이즈에 맞게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시킴으로서 전반적인 벽체 형성용 거푸집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5, a joint formwork 1000 is required as a means for forming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Such a joint formwork 1000 can be formed by connecting the formwork body 100 forming the joint formwork 1000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match the outer wall size of a building such as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 retaining wall and a fence, Structure can be applied.

이러한 줄눈용 거푸집(1000)은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철재 또는 목재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거푸집 본체(100)를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줄눈(12)에 대응되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줄눈 형성부재(200)를 포함한다.Such a joint formwork 1000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a formwork main body 100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eel or wood which is conventionally appli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joint 12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body 10, And a joint forming member 200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줄눈 형성부재(200)는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양생시 콘크리트 벽체(10)에 줄눈(12)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줄눈 형성부재(200)는 크게 줄눈바(210)와 줄눈바 고정부재(220)로 구분되어 구성된다.The joint forming member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ormwork body 100 and forms a joint 12 on the concrete wall 10 when the concrete is cured. The joint forming member 200 is divided into a joint bar 210 and a joint bar fixing member 220.

본 실시예에서의 줄눈바(210)는 상기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결합되어 거푸집 본체(100) 상에 수평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줄눈바(210) 형태로 성형되었을 때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joint bar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rranged on the formwork body 100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and is formed of plastic or resin to form a joint bar 210 It can be formed to have some degree of elasticity.

이러한, 줄눈바(210)는 원통형 관을 1/2로 절단한 것과 같은 반원관(Half-pipe)형태의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의 내측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부(212) 및 몸체부(211) 내측 중앙지점 부근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강판(213)으로 구성된다. The joint bar 210 has a half-pipe-shaped body portion 211 cut in a half of a cylindrical tube and a half-pipe-shaped body portion 211 cu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11 And a reinforcing plate 213 formed at least in the vicinity of an inner central point of the body 211. The reinforcing plate 213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몸체부(211)는 반원관(Half-pipe)형태로 형성되며, 양단 일 측에는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결합 후, 제거 시, 공구 등을 삽입하여 줄눈바(21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탈거홈(214)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211)는 줄눈바(210)가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부에 형성 시, 콘크리트 벽체에 라운드진 줄눈을 형성하게 된다. The body portion 211 is formed in a half-pip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on one side of the opposite ends thereof. A removal groove 214 is formed. When the joint bar 210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formwork body 100, the body portion 211 forms a round joint on the concrete wall.

결합날개부(212)는 줄눈바(210)를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11)가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음에 따라 양단의 개방된 하측이 벌어지면서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될 줄눈바 고정부재(220) 설명에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The coupling wing portion 212 is for fixing the joint bar 210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The body portion 211 is formed of plastic or resin and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lower side is inserted in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and joined thereto. 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보강판(213)은 콘크리트 양생시 콘크리트에 의해 몸체부(2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211)의 내측 중앙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판(213)의 형성 구조는 줄눈바(210) 전반에 걸쳐 콘크리트의 압력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줄눈바(210)가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결합 시, 양단 저면이 벌어질 수 있어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경우에 따라 줄눈바(210)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짧은 줄눈바가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 시, 해당 길이에 해당하는 줄눈바(210)의 어느 부위를 절단하여도 보강판이 존재하게 됨과 동시에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양단이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reinforcing plate 213 is for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the body portion 211 by concrete when concrete is cured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2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1, .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late 213 can appropriately support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throughout the joint bar 210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joint bar 210 is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bonding is easy. Further, when the length of the joint bar 210 is required to be adjust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en a short joint bar is required), any portion of the joint bar 210 corresponding to the length may be c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both ends can be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at the same time as the plate exists.

이러한, 줄눈바(210)는 격자형태의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하게 배열되는 제 1 줄눈바(210a)와, 수직하게 배열되는 제 2 줄눈바(21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줄눈바(210a, 21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The joint bar 2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joint bar 210a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econd joint bar 210b arranged vertically to form a grid joint, The two joint bars 210a and 210b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한편, 줄눈바 고정부재(220)는 십자형(+)의 구조로 줄눈바(210)의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줄눈바(210)의 교차지점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연결해줌과 동시에 상기 줄눈바(210)를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부에 고정시키는 부재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 및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조비용의 절감과, 파손, 보관 등의 다양한 이점을 고려하여 목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줄눈바 고정부재(22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돌기(221) 및 복수개의 고정날개부(222)로 구분 형성된다.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joint bar 210 and the joint bar 210 so th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joint bar 2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naturally formed. And may fix the joint bar 21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lding body 100. The member may be made of rigid plastic, resin, or wood. However, it may be preferable to be formed of woo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dvantages such as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breakage, and storage.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divided into a central protrusion 221 formed of a wood material and a plurality of fixed wing portions 222.

중앙돌기(221)는 전반적으로 육면체(ex: 단면이 사각형인 정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노출콘크리트 벽(10)상에 줄눈(12)의 교차지점의 모양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측면은 줄눈바의 결합 시, 중앙돌기(221)와 줄눈바가 자연스럽게 연속되도록 구현하기 위해 줄눈바(210) 몸체부(211) 단면의 구조 및 면적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중앙돌기(221)의 중앙(센터)지점에는 체결홀(22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가공된 체결홀(223)에 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줄눈바 고정부재(220)를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entral projections 221 are formed in a generally hexahedral shape an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so as to form a shape of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joint 12, The shape of the specific pattern on the embossed surface is processed. The side surface of the joint bar 21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a as the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1 of the joint bar 210 in order to realize the naturally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joint protrusion 221 and the joint protrusion 221. A joint hole 22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jection 221 and a separate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is inserted into the joint hole 223 to fix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 Can be fixed to the molding body 100.

고정날개부(222)는 중앙돌기(221)의 4방향 측면에 형성되어 줄눈바(210)의 양단의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돌기(221)의 4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고정날개(222a~222d)로 구분 형성된다.The fixed wings 222 are formed on the four sides of the central protrusion 221 and engage with the coupling wings 212 at both ends of the joint bar 210 to be formed at four sides of the central protrusion 221 And the first to fourth fixed vanes 222a to 222d.

구체적으로, 고정날개부(222)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줄눈바(2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줄눈바(210)를 구성하는 몸체부(211)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날개부(222)는 중앙돌기(22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중앙돌기(221)의 측면 하단(=중앙돌기(221)의 저면)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fixed wing portion 222 is formed for fixing the joint bar 210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fixed wing portion 222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ide of the body portion 211 constituting the joint bar 210 described above And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having a width that is large. At this time, the fixed wing portion 22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rojection 221, and is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lower side surface (=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projection 221) of the central projection 221.

이러한, 고정날개부(222)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줄눈바(210)의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하는 결합후크(224)가 형성된다.At both sides of the fixed wing portion 222, a coupling hook 224 is formed which engages with the coupling wing portion 212 of the joint bar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결합후크(224)는 고정날개부(222)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되는 구조로 끝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후크(221)의 상방향 연장길이는 줄눈바의 결합날개부(2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날개부(222)와 줄눈바(210)가 결합 시, 결합날개부(212)와 거푸집 본체(100)와의 사이의 벌어짐 발생 없이 줄눈바(210)가 고정날개부(22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줄눈바(210)와 고정날개부(222)가 결합 고정되는 과정에 대해 보충 설명하면, 줄눈바(210) 일 단측을 고정날개부(222)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힘을 가하면 줄눈바(210)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후크(224)의 끝단이 접촉하게 된다. 이후 줄눈바(210)에 더 힘을 가하면 결합날개부(212)가 결합후크(224)의 끝단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날개부(212)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결합후크(224)가 결합날개부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줄눈바(210)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벌어졌던 결합날개부(212)가 복원되어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후크(224)가 후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줄눈바(212)가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coupling hook 224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ed wing portion 222 and has a hooking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At this time, the upward extension length of the coupling hook 221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wing portion 212 of the joint bar. When the fixed wing portion 222 and the joint bar 2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joint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fixed wing portion 222 without causing a widening between the coupling wing portion 212 and the molding body 100 It can be firmly fixed. In more detail, the joint bar 210 and the fixed wing portion 222 are coupled and fixed. When one end of the joint bar 2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wing portion 222, The end of the coupling hook 22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wing portion 212 of the bar 210. When the joint bar 210 is further pressed by the joint bar 210, the joint wing portion 212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end surface of the engaging hook 224, and the joint wing portion 212 is opened to both sides. At the same time that the coupling hook 224 is insert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vane portion, the coupling vane portion 212 which has been opened by the restoring (elastic) force of the coupling bar 210 is restored and the coupling vane portion 212 and the coupling hook 224 Can be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while the joint bar 212 is fix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

또한, 고정날개부(222)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판(213)이 삽입될 수 있는 보강판 삽입홈(225)이 보강판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이때, 보강판 삽입홈(225)은 보강판(213)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각 고정날개부(222)의 중앙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날개부(222)와 줄눈바(210)가 결합 시 보강판(213)이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날개부(222)에 줄눈바(210)의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된 줄눈바(210)의 양단을 포함한 줄눈바(210) 전체에 걸쳐 보강판(213)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A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 225 into which the reinforcing plate 213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wing portion 222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plate.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 22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213 such that the central side of each of the fixed wing portions 222 is cut, and the fixed wing portion 222 and the joint bar The reinforcing plate 213 is inser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joint bar 210 to the fixed wing portion 222 and to support the joint bar 210 including both ends of the joint bar 210 by the reinforcing plate 213 have.

한편,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거푸집 본체(100)에 줄눈바(210) 및 줄눈바 고정부재(220)가 설치되는 위치에 자리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리홈은 첫째로 줄눈바(210)와,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고정 위치를 잡아주고, 둘째로는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설치시,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회전을 방지해주며, 셋째로는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줄눈바(210)의 결합 시, 줄눈바(210)의 결합날개부(212)와 거푸집 본체(100) 전면부와의 사이가 들뜨지 않고 견고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necessarily, a seat groove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joint bar 210 and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are installed in the form body 100. This seat groove is used to fix the joint bar 210 and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n a fixed position and secondly to fix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The joint wing portion 212 of the joint bar 21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formwork body 100 are exaggerated when the joint bar 210 is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effect of firmly adhering to the surface.

상기에서와 같이 설명된 줄눈바(210)와 줄눈바 고정부재(220)는 줄눈용 거푸집(1000)의 제작 시, 줄눈바(210)를 거푸집 본체(100)에 설치하기 위해 줄눈바 고정부재(220)만을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하고, 줄눈바(210)를 단순 삽입(끼워맞춤)하여 고정시키면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모든 줄눈바를 거푸집 본체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하나하나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부수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접착제 도포 및 접착제 경화 시간 등이 요구되지 않음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전반적인 거푸집 제작 공정, 제작시간 및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줄눈바(210)의 파손 시, 파손된 해당 줄눈바(210)의 신속한 탈거 및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joint bar 210 and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joint bar fixing member in order to install the joint bar 210 on the mold body 100 220 are fixed to the molding body 100 and the joint bar 210 is simply inserted and fixed so that it is necessary to fasten all the joint bars to the molding body one by one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none. In addition, since no separate auxiliary material such as an adhesive is used as in the prior art, it is not required to apply the adhesive and harden the adhesive, so that the overall mold making process, manufacturing time, and related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joint bar 210 is broken, the damaged joint bar 210 can be quickly removed and replaced, thereby improving maintenance.

더욱이, 공사완료에 따른 거푸집의 해체 시, 거푸집 본체(100)로부터 줄눈바(210)의 탈거홈(214)에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하면 결합날개부(212)가 결합홈(224)으로터 이탈됨에 따라 줄눈바(210)의 선 분리 후, 줄눈바 고정부재(220)를 분리하여 해체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줄눈바(2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된 줄눈바 고정부재(220) 고정상태의 해제를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고정 해제와 동시에 줄눈바(210)의 설치 상태가 해체(분리)되도록 하는 등, 전반적인 거푸집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detachment groove 214 of the joint bar 210 from the mold body 100 and the force is applied to the detachment groove 214 of the mold barrel 210 when the work is dismantled,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may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after the joint bar 210 is separated from the joint bar 210 or the joint bar fixed to the form body 100 may be fixed The disassembly state of the joint bar 220 is disassembled at the same time as the disassembly of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performed by collectively performing the disengagement of the member 220 in the fixed state, .

더욱이, 줄눈바 고정부재(220)를 일괄적으로 수평과 수직이 일치되도록 설치하면, 줄눈바(210)는 자연스럽게 수직과 수평이 맞춰짐에 따라 줄눈(12)의 정확한 수직, 수평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whe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installed so as to be align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a time, the joint bar 210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igned, The process (work) can be done easi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epwise construction method of a wall applying the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wall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an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wall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an exposed concret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실시예의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은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S10),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S20), 거푸집 배치단계(S30), 이격거리 확보단계(S40), D콘 결합단계(S50), 본체 볼트 결합단계(S60),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S70), 주물 너트 체결단계(S80), 콘크리트 양생단계(S90), 부품 제거단계(S100) 및 줄눈용 거푸집 해체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l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the exposed concret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steel foundation (S10), forming a mold for a joint (S20), arranging a mold (S30), securing a distance (S40) S50), body bolt joining step S60, casting square washer fastening step S70, cast nut fastening step S80, concrete curing step S90, component removing step S100 and joint mold release step S110. . ≪ / RTI >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S10)는 도 7(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구성되는 보강재인 철근(310)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 고정하여 벽체 형태로 형성되는 철근 기초물(3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철근 기초물이 벽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만큼 시공되는 벽체의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the reinforcing bar foundation installation step S10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310, which are reinforcing members in the wall, ),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wall to be installed as long as the reinforcing bar base is located inside the wall.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S20)는 노출콘크리트 벽체(10)와 대응되게 거푸집 본체(10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킨 다음 줄눈바 고정부재(220)와 줄눈바(210)를 설치하여 줄눈용 거푸집(1000)을 제작하는 과정이다.In the step S20 of forming the joint form, the formwork bodies 100 are successively connected to correspond to the exposed concrete wall body 10 and the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and the joint bar 210 are installed to form the joint formwork 1000 ).

보다 구체적으로, 줄눈용 거푸집(1000) 제작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가 거푸집 본체(100)를 노출콘크리트 벽체(10)와 대응되도록 연속하여 설치한 다음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수직방향의 줄눈과 수평방향의 줄눈이 교차하는 교차지점과 대응되는 거푸집 본체 상에 줄눈바 고정부재(220)를 설치한다. 이때, 줄눈바 고정부재(220)는 연속설치된 거푸집 본체(100)에 일괄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설치는 줄눈바 고정부재(220) 자리홈이 형성되어 있다면 매우 짧은 시간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joint formwork 100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worker sets the formwork body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exposed concrete wall body 10,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installed on the mold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where the joint and the j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 At this time,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installed collectively on the continuously formed mold body 100. The provision of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can be stably performed in a very short time if the joint groove 220 of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s formed.

이후,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일괄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 및 수평방향의 줄눈바(210a) 또는 제 2 줄눈바(210b)를 순서에 관계없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고정날개부(222)에 결합시켜 설치한다. 이러한 줄눈바(210)의 설치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순서에 관계없이 이루어지고, 단순히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설치 작업 또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bundle installation of the joint bar fixing members 220 is completed, the joint bars 210a or the second joint bars 210b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re placed o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To the fixed wing portion (222). The installation of the joint bars 210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as the installation is simply performed.

또한, 줄눈바(210)의 길이에 있어서, 벽체의 전반적인 크기에 의해 벽체의 외각측에 배치되는 줄눈바(210)의 길이는 보통의 것에 비해 짧은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줄눈바(210)를 해당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줄눈바(210)를 절단하더라도, 절단된 줄눈바(210)는 길이만 짧을 뿐 다른 것은 변하지 않아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결합 가능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length of the joint bar 210, the overall length of the wall may require a length of the joint bar 210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wall to be shorter than that of the ordinary one. In this case, the joint bar 210 can be cut by a corresponding length. This is because even if the joint bar 210 is cut, the cut joint bar 210 can be coupl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only with a short length but without changing the other.

거푸집 배치단계(S30)는 도 7(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S10)를 통해 제작된 줄눈용 거푸집(1000)들을 상호간 이격 배치하는 과정이다.As shown in FIG. 7 (b), the form placement step S30 is a process of arranging the joint formworks 1000 manufactured through the joint form production step S10.

이격거리 확보단계(S40)는 세파 볼트(41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과정이다.The step of securing spacing distance (S40) is a step of securing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using the seperate bolts (410).

세파 볼트(410)는 노출콘크리트 벽체(10) 내에 영구히 묻혀 고정된다. 세파 볼트(410)의 양쪽 끝에는 나사산을 통해 D 콘(420)이 결합된다. 이때, 세파 볼트(410)의 길이에 따라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세파 볼트(410)는 콘크리트 양생 시 줄눈용 거푸집들이 좁아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이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Sepa bolts 410 are permanently buried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and secured. The D cone 42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pta bolt 410 through a thread.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eperat bolt 410. Sepha bolts (410) prevent cracking of joint formwork during concrete curing and maintain spacing between them.

D 콘 결합단계(S50)는 노출콘크리트 벽체(10)에 형성되는 콘구멍(11)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420)을 세파 볼트(410)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D 콘(420)이 해당 위치에서 제거되어 재사용되는데, 이처럼 D 콘(420)이 제거된 자리에 원형의 콘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D-cone coupling step S50 is a process of coupling the D-cone 420 forming the seat of the cone hole 11 formed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to both ends of the seperate bolt 410. [ At this time,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the D-cone 420 is remov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reused. Thus, the circular cone hole 11 can be formed in the place where the D-cone 420 is removed.

본체 볼트 결합단계(S60)는 본체 볼트(430)를 줄눈용 거푸집(1000)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D 콘(42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The body bolt joining step S60 is a process of joining the main body bolt 430 to the D-cone 420 after allowing each of the dies 1000 to pass through.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S70)는 줄눈용 거푸집(1000)들의 외측에서 본체 볼트(430)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440)를 체결하는 과정이다.The step of fastening the square square washer S70 is a process of tightening the square square washer 440 so as to be fitted to the body bolt 430 from the outside of the molding form 1000 for joints.

주물 사각와셔(440)의 사이즈가 큰 이유는 줄눈용 거푸집(1000)들을 관통하는 본체 볼트(430)의 구멍 주위로 배치되는 거푸집 보강용 각재 또는 철재(미도시) 등을 감싸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size of the rectangular square washer 440 is large is to wrap the formwork reinforcement slab or steel material (not shown) arranged around the hole of the body bolt 430 passing through the joint formwork 1000.

주물 너트 체결단계(S80)는 주물 사각와셔(440)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45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주물 너트(450)는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버틸 수 있고, 이로 인해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두께가 설계치보다 늘어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The casting nut tightening step S80 is a process of fastening and fixing the casting nut 450 so that the casting square washer 440 is not separated. The cast nut 450 can withstand lateral pressure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reby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from increasing beyond the designed value.

콘크리트 양생단계(S90)는 도 7(c)처럼 줄눈용 거푸집(1000)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과정이다. The concrete curing step (S90) is a process of curing concrete by placing the concrete between the joint formwork (1000) as shown in Fig. 7 (c).

부품 제거단계(S100)는 도 7(d)처럼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줄눈용 거푸집(1000)들, D 콘(420), 본체 볼트(430), 주물 사각와셔(440) 및 주물 너트(450)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필요에 따라 이들 부품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The part removing step S100 is a step of removing the joint molds 1000, the D-cone 420, the body bolt 430, the cast square washer 440 and the casting nut 450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as shown in FIG. . These components can be reused as needed.

줄눈용 거푸집 해체 단계(S110)는 전반적인 시공이 완료된 이후 거푸집 본체(100)의 야적, 또는 이동을 위해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100)와 줄눈바(210) 및 줄눈바 고정부재(220)를 분리하는 과정이다. 이때, 거푸집의 해체 시, 줄눈바(2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된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줄눈바 고정부재(220)의 고정 해제와 동시에 줄눈바(210)의 설치 상태가 해체(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거푸집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거푸집 해체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fter the overall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mold disassembling step S110 is performed to remove the mold body 100 from the joint bar 210 and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Process. At this time, when the form joint is dismantled, when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fixed to the formwork body 100 is released from the fixing state of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in a state where the joint bar 210 is installed, Sinc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joint bar 210 can be disassembled, the form disassembly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time required for disassembling the form can be shorten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줄눈용 거푸집(1000)들을 양쪽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내면 혹은 외면 모두에 콘구멍(11)과 줄눈(12)이 형성되나, 줄눈용 거푸집(1000)들을 한쪽에만 배치하고 다른쪽에는 일반적인 거푸집을 사용할 경우,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내면에만 혹은 외면에만 콘구멍(11)과 줄눈(1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joint formwork 1000 is disposed on both sides, the cone hole 11 and the joint 12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The cone hole 11 and the joint 12 may be formed only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when the concrete structures 1000 are disposed on only one side and a general form is used on the other si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구멍(11)과 줄눈(12)의 배치와 배열이 정렬되어 설치되는 줄눈바 고정부재(22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노출콘크리트 벽체(10)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완성도가 종래보다 훨씬 상승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의 미적 아름다움을 드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cone hole 11 and the joint 12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joint bar fixing member 220 arranged in an aligned manner, The liveliness and the regularity can be produced, and the completeness of the building can be raised much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so that the aesthetic beauty of various types of buildings can be enhanced.

특히, 노출콘크리트 벽체(10) 상에 줄눈(12)이 부드러우면서도 정교한 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양한 건물에 있어서 규칙적인 외관의 노출콘크리트를 표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joints 12 on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can be represented as smooth and sophisticated lines, and exposed concrete having regular appearance in various buildings can be expressed.

아울러, 노출콘크리트 벽체(10) 상에 줄눈(12)을 양측 또는 어느 한 측에만 설치 가능함에 따라, 건물벽의 외측을 형성하는 거푸집에 줄눈바 고정부재 및 줄눈바를 설치하고, 견물벽의 내측을 형성하는 거푸집에는 줄눈바 고정부재 및 줄눈바를 설치하지 않고 전기 배선을 위한 설치 공간과 같은 별도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패널 또는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용도 및 목적에 맞는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건축물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joint 12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10, a joint bar fixing member and a joint bar are provided on a mold forming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all, A concrete wall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purpose can be selectively formed by providing a panel or member for provid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n installation space for electric wiring without providing a joint bar fixing member and a joint bar,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design of the building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노출콘크리트 벽체
11:: 콘구멍 12: 줄눈
100: 거푸집 본체
200: 줄눈 형성부재
210: 줄눈바
211: 몸체부 212: 결합날개부
213: 보강판 214: 탈거홈
220: 줄눈바 고정부재
221: 중앙돌기 222: 고정날개부
223: 체결홀 224: 결합후크
225: 보강판 삽입홈
1000: 줄눈용 거푸집
10: Exposed concrete wall
11 :: Cone hole 12: Joints
100: Formwork body
200: joint formation member
210: Joint bar
211: body portion 212: coupling wing
213: reinforcing plate 214: removable groove
220: joint bar fixing member
221: central projection 222: stationary wing
223: fastening hole 224: coupling hook
225: Reinforcing plate insertion groove
1000: Die for joint

Claims (5)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줄눈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줄눈바 고정부재에 줄눈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줄눈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
세파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이격거리 확보단계;
상기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콘구멍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을 상기 세파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D 콘 결합단계;
본체 볼트를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 볼트를 상기 D 콘에 결합시키는 본체 볼트 결합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 볼트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를 체결하는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
상기 주물 사각와셔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를 체결하는 주물 너트 체결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줄눈용 거푸집을 해체하는 줄눈용 거푸집 해체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줄눈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줄눈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중앙돌기의 하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기의 각 측면에 일체 형성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양측 끝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결합날개부와 후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후크와; 및 상기 보강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중앙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강판 삽입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A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foundation in which a reinforcing bar foundation is installed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t a position where the wall is installed;
The plate formwork bodies are successively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wall. Then, on the front part of the formwork body, a joint bar fixing member And then joining both ends of the joint bar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thereby form the joint form for the joint;
A step for arranging the joints for the joints, which are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 of forming the joints for the joints, so that the joints for the joi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reinforcement foundation therebetween;
A step of securing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joint formers using a septa bolt;
A D-cone coupling step of coupling a D-cone forming a hole of a cone hole formed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to both ends of the septa bolt;
A body bolt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body bolt with the D-cone after allowing the body bolt to pass through the joint molding;
A step of fastening a cast square washer to fasten the cast square washer to be fitted to the body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joint formwork;
A casting nu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casting nut so that the casting square washer is not separated;
A concrete curing step in which concrete is cemented between the jointing molds;
Removing the joint formwork, the D-cone, the body bolt, the cast square washer, and the casting nut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And
Disassembling the formwork for the joint to disassemble the joint formwork; ≪ / RTI >
In the joint bar,
A half body having a half-pipe structure; a coupling wing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o a predetermined width; At least one reinforcement plat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part and ri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a detachment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The joint bar fixing member
A central protrusion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having a top surface formed with a specific pattern shape with a negative or positive angle and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fixed wing formed integrally on each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rojection and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rojection, having a wid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coupling hook formed along both ends of each of the fixed vanes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vane part of the body part in a hook coupling manner; And a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 formed by cutting the center side of each of the fixed wing parts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기의 측면은 상기 줄눈바의 몸체부 단면과 대응되는 구조 및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rojection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body of the joint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눈바의 양단은 고정날개부에 형성된 결합후크와의 접촉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결합날개부가 걸림부에 결합됨으로써 줄눈바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joint bar are opened by contact with a coupling hook formed on the fixed blade and then restored to their original shape by elasticity so that the coupling blade is fixed to the joint bar fixing member by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 wall construction method applying the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눈바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bar is formed of plastic or a resin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 삽입홈은 보강판의 형성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s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inforcing plates formed.
KR1020170126760A 2017-09-29 2017-09-29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1859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60A KR101859408B1 (en) 2017-09-29 2017-09-29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60A KR101859408B1 (en) 2017-09-29 2017-09-29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08B1 true KR101859408B1 (en) 2018-06-28

Family

ID=6278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9408B1 (en) 2017-09-29 2017-09-29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8362A (en) * 2007-12-04 2009-06-25 Kajima Corp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all jointer
KR101308043B1 (en) 2013-03-20 2013-09-12 (주)세정건설 Form and exposed concret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65107B1 (en) * 2017-02-28 2017-08-04 박철범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8362A (en) * 2007-12-04 2009-06-25 Kajima Corp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all jointer
KR101308043B1 (en) 2013-03-20 2013-09-12 (주)세정건설 Form and exposed concret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65107B1 (en) * 2017-02-28 2017-08-04 박철범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107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AU2014289215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1801270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KR101645462B1 (en) Precast crossing beam manufacturing method for bridge and precast crossing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KR101165563B1 (en) Variable steel formwork for precast concrete
KR101812565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KR10185465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based on exposed concrete method
KR101770172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process
KR101237333B1 (en) Spacer for stripping deck
KR101859398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KR101668521B1 (en) A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KR101590180B1 (en)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lightweight body and ribs provided with wide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same
KR101900689B1 (en) Walls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method
KR101641339B1 (en) Device for maintaining distance of concrete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KR10192536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wall
KR101859406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KR10189986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uilding wall
KR101859408B1 (en)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xposed concrete method
KR102120426B1 (en) The prefabricated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KR101812955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process
KR101812560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2002429B1 (en) Sandwich precast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5184B1 (en) Cross line forming member of concrete structure
KR10191518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KR10190619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