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5482B1 -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82B1
KR101855482B1 KR1020170061835A KR20170061835A KR101855482B1 KR 101855482 B1 KR101855482 B1 KR 101855482B1 KR 1020170061835 A KR1020170061835 A KR 1020170061835A KR 20170061835 A KR20170061835 A KR 20170061835A KR 101855482 B1 KR101855482 B1 KR 10185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ventilation
supply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노훈
이경순
박혜진
태경응
Original Assignee
은성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화학(주) filed Critical 은성화학(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거나, 벽면에 설치되어 내기와 외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는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배면에 형성된 배기공간, 상기 배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가 형성된 외기공간, 상기 외기공간의 측면에 위치되어 내기가 유입되는 환기구가 형성된 환기공간, 및 상기 환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외기구로 유입된 외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급기공간으로 구획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환기공간으로 유입된 내기를 상기 배기공간으로 공급하며 내기와 외기가 서로 교차되어 지나면서 열교환하는 열교환소자, 상기 배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를 통해 유입된 내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송풍기,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급기송풍기,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를 분산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그릴공이 형성된 급기그릴, 상기 급기그릴을 상기 본체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그릴힌지, 및 상기 본체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그릴의 회전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와 상기 외기구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후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가 상기 외기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풍량의 하락을 방지하고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a Heat recovery ventilating apparatus of floor typ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거나, 벽면에 설치되어 내기와 외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내기와 외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내기와 외기를 강제적으로 배기하거나 급기하여 환기를 수행하는데, 근래에는 냉난방효율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내기와 외기가 교차되어 지남에 따라 상호간에 열교환하여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열교환소자가 설치된 열회수 환기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한편, 열회수 환기장치는 설치위치에 따라 천정형과 바닥형으로 구분되는데, 천정형은 천정에 흡기 및 배기 덕트가 설치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가 설치되지 않은 건축물에는 바닥형이 설치된다.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는 종래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7229호(2012.2.9.등록)의 "상치형 환기유니트"로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상치형 환기유니트는 바닥 및 이를 둘러싼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며, 건물 밖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흡기하는 후드(Hood)와 연통하는 흡,배기-홀이 일면에 위,아래 나란히 형성되고, 측면에 환기구멍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흡기-홀을 통해 공급된 실외공기를 수용공간의 양측으로 분기하는 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확장부로 구성되어 사이드커버에 설치된 챔버(Chamber)와; 상기 배기-홀과 연통하도록 하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건물 밖으로 배기하는 배기-팬과; 상기 유로공간을 통해 분기배출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상호 열교환 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에 기울어진 상태로 수평배치된 한 쌍의 전열교환소자와; 이 전열교환소자에서 배출된 열교환공기를 흡기하여 상부에 설치된 분기-관에 직접토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전열교환소자 사이에 배치된 급기-팬과; 상기 분기-관을 통해 토출된 열교환공기를 실내로 분기하기 위한 덕트가 장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상치형 환기유니트는 급기-팬과 배기-팬이 중앙에 설치되고 급기-팬과 배기-팬의 양측에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급기-팬에 의해 전열교환소자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공기는 배기-팬에 의해 양측에서 흡입되어 열교환기를 거쳐 실외로 배출됨으로써, 내기와 외기를 열교환하여 냉난방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상치형 환기유니트는 하부케이스의 양측으로 실내공기가 흡입하기 위해 양측에 각각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되어 내기와 외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풍량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기흡입구와 내기배기구가 하나의 관에 상하로만 나뉘어져 있어서 내기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가 바로 외기흡입구로 재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개의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됨으로써, 크기가 비대해져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기구를 점검 시 상부그릴을 특수 공구로 분리하여 점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기를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을 감소시키고, 외기와 내기의 이동 유로를 단순화시켜 풍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기흡입구와 내기배기구를 분리시켜 내기가 외기흡입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그릴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는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배면에 형성된 배기공간, 상기 배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가 형성된 외기공간, 상기 외기공간의 측면에 위치되어 내기가 유입되는 환기구가 형성된 환기공간, 및 상기 환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외기구로 유입된 외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급기공간으로 구획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환기공간으로 유입된 내기를 상기 배기공간으로 공급하며 내기와 외기가 서로 교차되어 지나면서 열교환하는 열교환소자, 상기 배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를 통해 유입된 내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송풍기,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급기송풍기,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를 분산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그릴공이 형성된 급기그릴, 상기 급기그릴을 상기 본체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그릴힌지, 및 상기 본체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그릴의 회전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와 상기 외기구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후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가 상기 외기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본체케이싱에서 환기공간이 위치되는 하부 측면과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 양 측면 중 상기 외기공간이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로 유입되는 내기가 상기 외기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커버, 및 상기 안내커버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과 상기 외기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환기구로 유입된 내기를 상기 안내커버를 통해 상기 환기공간으로 공급하는 환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외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를 개폐하는 외기 댐퍼, 및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소자는 세척이 가능하도록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부재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은 벽면에 걸어 설치하는 벽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로 유입되는 내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환기필터, 및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로 유입되는 내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외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소자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열교환소자가 설치되고 내기와 외기의 유로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풍량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열교환소자만 설치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시켜 설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결로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어 결로에 따른 곰팡이 및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와 외기구에 배기 댐퍼와 외기 댐퍼가 설치되어 외풍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소자를 폴리머 소재로 형성하여 물에 의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안내커버와 환기유로에 의해 급기공간이 형성된 측면에도 환기구를 형성하여 내기의 유입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환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기그릴이 그릴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급기구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급기송풍기의 설치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배기송풍기의 설치방향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환기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내기는 실내의 공기를 의미하며, 외기는 실외의 공기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본체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본체케이싱(110)은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케이싱(110)의 내부는 상부 일측에 실내로 배출하는 급기구(117)가 형성된 급기공간(117a)과, 급기공간(117a)의 하부에 위치되어 실내공간이 내부로 유입되는 환기구(111)가 형성된 환기공간(111a)과, 환기공간(111a)의 측면에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구(115)가 형성된 외기공간(115a)과, 외기공간(115a)의 상부 측 급기공간(117a)의 측면에 환기구(111)로 유입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13)가 형성된 배기공간(113a)이 격벽(119)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급기공간(117a)에 형성되는 급기구(117)는 본체케이싱(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상부로 배출하며, 배기구(113)와 외기구(115)는 본체케이싱(110)의 후면에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구(113)와 외기구(115)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배기구(113)로 배출되는 내기가 외기구(115)로 다시 도입되어 오작동 및 열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기구(117)는 본체케이싱(110)을 벽면에 걸어 설치하는 경우, 본체케이싱(110)의 전면을 향해 외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환기구(111)는 본체케이싱(110)에서 환기공간(111a)이 위치되는 측면 또는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환기구(111)은 미려한 외관을 위해 프레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10)의 후면 양측에는 본체케이싱(110)을 벽면에 걸어서도 설치할 수 있도록 벽걸이부(110b)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벽걸이부(110b)는 벽면에 설치된 못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구멍으로 구현되거나, 브래킷이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체케이싱(110)의 후면에는 전원선이 인출되는 전선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케이싱(110)의 바닥면이 위치된 부분에는 하기에 설명할 열교환소자(130)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배출하는 드레인홀(11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케이싱(110)의 저면에는 작동하는 진동이 외부로 전달됨과 동시에 본체케이싱(110)의 바닥에 형성된 환기구(111)로 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될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방진받침대(190)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방진받침대(19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10)의 내부에는 결로가 떨어지는 바닥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내면은 작동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음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케이싱(110)의 전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에는 탈착커버(110a)가 설치되어 탈착커버(110a)를 본체케이싱(1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고장 시 수리를 하거나, 필터 교체 또는 열교환소자(130)의 세척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급기그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급기그릴(120)은 본체케이싱(110)에서 급기구(117)의 상부를 덮어 급기구(117)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외기를 분산시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급기그릴(12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케이싱(110)의 급기구(117)가 형성된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급기그릴(120)의 상면에는 급기구(117)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를 실내로 분산시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그릴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그릴(120)은 그릴힌지(123)에 의해 본체케이싱(11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급기구(117)를 덮거나, 급기구(117)를 통해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급기구(117)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급기그릴(120)은 그릴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그릴필터(122)는 급기그릴(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그릴공(123)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그리고, 급기그릴(120)이 급기구(117)를 덮은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래치(1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래치(127)에는 급기그릴(120)이 급기구(117)을 덮은 상태에서 급기그릴(120)에 걸쳐지는 래치턱(129)가 형성되어 래치턱(129)이 급기그릴(120)에 걸쳐지는 형태로 급기그릴(120)이 급기구(117)를 덮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치턱(129)은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급기그릴(117)에 걸쳐져 급기그릴(120)을 고정하거나, 급기그릴(120)에서 이탈되어 급기그릴(1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급기그릴(120)에는 래치턱(129)이 삽입되어 걸쳐지는 걸침홈(1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래치(127)와 걸침홈(125)은 본체케이싱(110)에서 그릴힌지(123)가 결합되는 반대방향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래치(127)은 본체케이싱(110)의 전방을 밀폐하는 탈착커버(110a)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급기그릴(120)에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열교환소자(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열교환소자(130)는 내기와 외기를 서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한편, 열교환소자(130)는 설치지역의 온도에 따라 현열을 교환하는 현열교환소자이거나, 전열을 교환하는 전열교환소자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소자(130)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케이싱(1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소자(130)의 각 둘레면은 급기공간(117a), 배기공간(113a), 외기공간(115a), 환기공간(111a)을 각각 바라보도록 본체케이싱(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소자(130)는 내기와 외기가 서로 직접적으로 교차되지 않고 서로 다른 통로를 지나 교차함으로써, 열교환소자(130)에 의해 서로 열교환할 수 있으며, 열교환소자(130)는 열뿐만 아니라, 습기도 함께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소자(130)는 실질적으로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부재가 종이 재질이 아닌 폴리머 재질 또는 금속박판 소재로 형성되어 오염시 물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소자(13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배기송풍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기송풍기(150)는 환기구(111)로 유입되는 내기를 열교환소자(130)를 거쳐 배기구(113)를 통해 실외로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배기송풍기(150)는 중앙 양측면으로 내기를 흡입하고 둘레로 흡입된 내기를 배출하는 양흡입형 원심팬(Sirocco Fan)과 양흡입형 원심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양흡입형 원심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송풍기(150)를 양흡입형 원심팬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흡입량이 높아 단시간 안에 빠른 배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배기송풍기(150)는 하기에 설명될 급기송풍기(140)와 같이, 단방향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기송풍기(150)는 환기공간(111a)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기송풍기(150)에서 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는 환기구(11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급기송풍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급기송풍기(140)는 외기구(115)로 유입되는 외기를 열교환소자(130)를 거쳐 급기구(117)를 통해 실내로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급기송풍기(140)는 중앙 일측면으로 외기를 흡입하고 둘레로 흡입된 외기를 배출하는 단방향 원심팬(Plenum Fan)과 단방향 원심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단방향 원심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기송풍기(140)를 단방향 원심팬으로 사용할 경우, 배출되는 외기량의 조절이 용이하며, 급기송풍기(140)는 배기송풍기(150)와 같이 양방향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급기송풍기(140)는 급기공간(117a)에 설치될 수 있으며, 흡입한 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본체케이싱(11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배기 댐퍼(113b) 및 외기 댐퍼(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기 댐퍼(113b)는 배기구(113)에 설치되어 배기구(113)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 댐퍼(115b)는 외기구(115)에 설치되어 외기구(115)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배기 댐퍼(113b)와 외기 댐퍼(115b)는 버터플라이 도어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모터 댐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환기필터(171) 및 외기필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환기필터(171)는 환기구(111)에 설치되어 환기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에 의한 본체케이싱(110)의 내부 및 열교환소자(13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환기필터(171)는 프리필터(free filter)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외기필터(172)는 외기구(115)를 통해 외기공간(115a)으로 유입된 외기가 열교환소자(130)로 공급되기 전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외기공간(115a)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외기필터(172)는 서로 다른 입자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복수 개 겹쳐 구성될 수 있으며, 외기필터(172)는 항균을 수행하는 항균필터가 더 겹쳐져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오염감지센서(165)와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오염감지센서(165)는 환기공간(111a)에 설치되어 환기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16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오염감지센서(165)는 CO2를 감지하거나, 미세먼지, 냄새 또는 화학적인 오염물을 감지하거나, 둘을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60)는 급기송풍기(140)를 제어하여 급기량을 조절하거나, 배기송풍기(150)를 제어하여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급기송풍기(140)와 배기송풍기(150)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60)는 오염감지센서(165)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오염이 감지된 경우, 정지된 상태에서는 급기송풍기(140)와 배기송풍기(150)를 작동시켜 환기를 수행하거나, 풍량을 증대하도록 급기송풍기(140)와 배기송풍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환기를 수행하는 경우, 컨트롤러(160)가 급기송풍기(140)와 배기송풍기(150)를 작동시킨다.
이때, 배기구(113)와 외기구(115)에 각각 설치되는 배기 댐퍼(113b)와 외기 댐퍼(115b)는 배기구(113) 및 외기구(115)를 개방한다.
한편, 급기송풍기(140)와 배기송풍기(150)가 작동하면, 내기는 배기송풍기(150)에 의해 환기구(111)에 설치된 환기필터(171)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환기공간(111a)으로 유입되고, 환기공간(111a)으로 유입된 내기는 열교환소자(130)를 거쳐 배기공간(113a)으로 유입되며, 배기공간(113a)으로 유입된 내기는 배기송풍기(150)를 통해 배기구(113)를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외기는 급기송풍기(140)에 의해 급기구(117)를 통해 급기공간(117a)으로 유입되고, 급기공간(117a)으로 유입된 외기는 외기필터(172)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열교환소자(130)를 지난다.
이때, 열교환소자(130)를 거치는 외기는 내기와 상호 열교환하여 내기와 유사한 온도 및 습도로 변화된 상태에서 급기공간(117a)으로 제공되고, 급기공간(117a)으로 제공된 외기는 급기송풍기(140)에 의해 급기구(117)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정지 시에는 컨트롤러(160)는 배기 댐퍼(113b)와 외기 댐퍼(115b)를 제어하여 배기구(113)와 외기구(115)를 폐쇄하여 외부에서 외풍이 유입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소자(130)에서 온도차이로 인해 결로가 발생할 경우에는 결로가 본체케이싱(110)의 내부 바닥으로 떨어지며, 바닥에 떨어진 응축수는 드레인홀(110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환기구(111)에 특징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의 환기구(111)는 본체케이싱(110)에서 환기공간(111a)이 위치된 측면뿐만 아니라, 외기공간(115a)이 위치된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케이싱(110)에서 외기공간(115a)이 형성된 측면에 환기구(111)가 형성될 경우, 환기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구(115)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서로 혼입되기 때문에 외기공간(115a)이 형성된 측면에 형성된 환기구(111)에는 안내커버(183)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안내커버(183)는 환기구(111)의 내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안내커버(183)의 하부는 개방되어 외기공간(115a)이 위치된 환기구(111)로 유입되는 내기는 외기공간(115a)으로 유입되지 않고 안내커버(183)를 통해 본체케이싱(110)의 바닥으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10)에서 외기공간(115a)이 위치된 바닥에는 외기공간(115a)과 유로형성판(181)에 의해 구획되어 안내커버(183)의 하부로 이동되는 내기가 외기공간(115a)의 바닥을 가로질러 환기공간(111a)으로 이동하는 환기유로(1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급기송풍기(140) 및 배기송풍기(150)에 의해 외기는 외기구(115)를 통해 유입되어 열교환소자(130)를 거쳐 급기구(117)로 배출되고, 내기는 환기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열교환소자(130)를 거쳐 배기구(113)로 배출된다.
이때, 본체케이싱(110)에서 환기공간(111a)에 형성된 환기구(111)로 내기가 바로 유입되어 열교환소자(130)로 제공되지만, 외기공간(115a)에 형성된 환기구(111)로 유입되는 내기가 안내커버(183)에 의해 환기유로(180)가 위치되는 본체케이싱(110)의 바닥으로 이동하고, 본체케이싱(110)의 바닥으로 이동한 내기는 환기유로(180)를 통해 환기공간(111a)으로 이동하여 열교환소자(13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본체케이싱(110)의 양 측면에 환기구(111)가 형성되어 내기의 유입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양 측면에서 내기가 유입되어 환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중앙에 위치된 열교환소자(130)를 중심으로 내기와 외기가 교차하도록 지나 열교환함으로써, 내기와 외기의 이동 경로가 단순화되어 풍량의 하락을 방지하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홀(110c)이 형성되어 결로 발생시 드레인홀(110c)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결로로 인한 곰팡이, 및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113)와 외기구(115)에 배기 댐퍼(113b)와 외기 댐퍼(115b)를 설치하여 외풍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기구(113)와 외기구(115)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배기구(113)로 배출되는 오염된 내기가 외기구(115)로 바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소자(130)의 열교환부재를 폴리머 소재 또는 금속박판 소재로 채용하여 물 세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소자(130)를 설치지역의 특성에 따라 현열교환소자 또는 전열교환소자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환기구(111)가 본체케이싱(11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내기의 유입량을 증대시키고, 환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기그릴(170)이 래치(127)에 의해 고정 및 고정의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급기구(117)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110: 본체케이싱
110a: 탈착커버 110b: 벽걸이부
110c: 드레인홀 111: 환기구
111a: 환기공간 113: 배기구
113a: 배기공간 113b: 배기 댐퍼
115: 외기구 115a: 외기공간
115b: 외기 댐퍼 117: 급기구
117a: 급기공간 119: 격벽
120: 급기그릴 121: 그릴공
122: 그릴필터 123: 그릴힌지
125: 걸침홈 127: 래치
129: 래치턱 130: 열교환소자
140: 급기송풍기 150: 배기송풍기
160: 컨트롤러 165: 오염감지센서
171: 환기필터 172: 외기필터
180: 환기유로 181: 유로형성판
183: 안내커버 190: 방진받침대

Claims (8)

  1.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배면에 형성된 배기공간, 상기 배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가 형성된 외기공간, 상기 외기공간의 측면에 위치되어 내기가 유입되는 환기구가 형성된 환기공간, 및 상기 환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외기구로 유입된 외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급기공간으로 구획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환기공간으로 유입된 내기를 상기 배기공간으로 공급하며 내기와 외기가 서로 교차되어 지나면서 열교환하는 열교환소자,
    상기 배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를 통해 유입된 내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송풍기,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급기송풍기,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를 분산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그릴공이 형성된 급기그릴,
    상기 급기그릴을 상기 본체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그릴힌지, 및
    상기 본체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그릴의 회전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래치,
    상기 배기구와 상기 외기구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후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가 상기 외기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 양 측면 중 상기 외기공간이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로 유입되는 내기가 상기 외기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커버, 및 상기 안내커버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과 상기 외기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환기구로 유입된 내기를 상기 안내커버를 통해 상기 환기공간으로 공급하는 환기유로,
    상기 열교환소자는 세척이 가능하도록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부재가 폴리머 재질 또는 금속박판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는 결로가 떨어지는 바닥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내면은 작동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시트,
    상기 본체케이싱의 저면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진동이 외부로 전달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방진받침대,
    상기 환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감지센서, 및
    상기 오염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오염도에 따라 상기 급기송풍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를 개폐하는 외기 댐퍼, 및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벽면에 걸어 설치하는 벽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로 유입되는 내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환기필터, 및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구로 유입되는 내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외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소자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0170061835A 2017-02-17 2017-05-18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Active KR101855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1751 2017-02-17
KR1020170021751 2017-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82B1 true KR101855482B1 (ko) 2018-05-04

Family

ID=5991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835A Active KR101855482B1 (ko) 2017-02-17 2017-05-18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5482B1 (ko)
CN (1) CN206531233U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734B1 (ko) * 2018-05-29 2018-12-17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공기조화장치
KR101921206B1 (ko) 2018-06-18 2019-02-13 최성철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1965770B1 (ko) * 2018-02-06 2019-04-04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20190113516A (ko) * 2018-03-28 2019-10-08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102079212B1 (ko) * 2019-06-21 2020-02-19 오충록 대용량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079211B1 (ko) * 2019-07-31 2020-02-19 오충록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079214B1 (ko) * 2019-05-07 2020-02-19 오충록 소음 개선용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093936B1 (ko) * 2018-10-02 2020-03-2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105006B1 (ko) * 2019-05-23 2020-04-27 오충록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12B1 (ko) * 2019-06-18 2020-04-27 오충록 대용량의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17B1 (ko) * 2019-07-31 2020-04-27 오충록 측면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105008B1 (ko) * 2019-05-09 2020-04-27 오충록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210049248A (ko) * 2019-10-24 2021-05-06 ㈜제피로스 공기환기청정기
US20210310671A1 (en) * 2020-04-06 2021-10-07 Tae Yeon Won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KR102352817B1 (ko) 2021-06-23 2022-01-19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혼성 소재를 활용한 클린룸 시스템
KR20220045405A (ko) * 2020-10-05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
KR102484327B1 (ko) * 2021-09-10 2023-01-04 (주)에이피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전열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냉난방 복합기
CN116567964A (zh) * 2022-01-28 2023-08-08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通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6443A (ja) *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384289Y1 (ko) * 2005-03-03 2005-05-12 오창권 벽부착형 열교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6443A (ja) *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384289Y1 (ko) * 2005-03-03 2005-05-12 오창권 벽부착형 열교환 환기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770B1 (ko) * 2018-02-06 2019-04-04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20190113516A (ko) * 2018-03-28 2019-10-08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102381534B1 (ko) 2018-03-28 2022-03-31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101929734B1 (ko) * 2018-05-29 2018-12-17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공기조화장치
KR101921206B1 (ko) 2018-06-18 2019-02-13 최성철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2093936B1 (ko) * 2018-10-02 2020-03-2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079214B1 (ko) * 2019-05-07 2020-02-19 오충록 소음 개선용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08B1 (ko) * 2019-05-09 2020-04-27 오충록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06B1 (ko) * 2019-05-23 2020-04-27 오충록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12B1 (ko) * 2019-06-18 2020-04-27 오충록 대용량의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079212B1 (ko) * 2019-06-21 2020-02-19 오충록 대용량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17B1 (ko) * 2019-07-31 2020-04-27 오충록 측면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079211B1 (ko) * 2019-07-31 2020-02-19 오충록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20210049248A (ko) * 2019-10-24 2021-05-06 ㈜제피로스 공기환기청정기
KR102308012B1 (ko) 2019-10-24 2021-10-01 (주)제피로스 공기환기청정기
US20210310671A1 (en) * 2020-04-06 2021-10-07 Tae Yeon Won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US11913652B2 (en) * 2020-04-06 2024-02-27 Tae Yeon Won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KR20220045405A (ko) * 2020-10-05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
KR102439304B1 (ko) 2020-10-05 202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
KR102352817B1 (ko) 2021-06-23 2022-01-19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혼성 소재를 활용한 클린룸 시스템
KR102484327B1 (ko) * 2021-09-10 2023-01-04 (주)에이피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전열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냉난방 복합기
CN116567964A (zh) * 2022-01-28 2023-08-08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531233U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482B1 (ko)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149815B1 (ko)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KR101578528B1 (ko)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KR101967279B1 (ko) 실내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KR101513651B1 (ko) 댐퍼로 제어성능을 향상시킨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21206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1658644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20200065454A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CN110431355B (zh) 换气装置
KR20170139388A (ko) 환기장치
JP2016070528A (ja) 給気装置
KR102118622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2118621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0953269B1 (ko) 환기 장치
KR101576217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JP2016070534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19158244A (ja) 換気装置
KR20220135261A (ko) 대형환기장치
KR100531084B1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JP3903844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5064170A (ja) 空調部材と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
KR101904481B1 (ko) 바이패스 배기가 가능한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44363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5227074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