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4388B1 -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 Google Patents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388B1
KR101854388B1 KR1020120016207A KR20120016207A KR101854388B1 KR 101854388 B1 KR101854388 B1 KR 101854388B1 KR 1020120016207 A KR1020120016207 A KR 1020120016207A KR 20120016207 A KR20120016207 A KR 20120016207A KR 101854388 B1 KR101854388 B1 KR 10185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moving
cable
grip
automatically driv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931A (ko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2001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3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3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한 쪽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 및; 상기 이동케이블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가족단위 모두가 함께 레저를 즐길 수 있고, 설비비가 줄어들며,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Zip line of auto drive type}
본 발명은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짚 라인이 자동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정한 높이차를 갖도록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 케이블을 따라 작동도르레를 타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속도감과 스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짚 라인(Zip Line)이 하나의 레저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짚 라인은 이용자가 외줄(한 줄의 케이블)을 따라 직접 허공을 가르면서 아래로 활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활강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활강하는듯 한 스릴을 느낄 수 있어 점차적으로 그 이용자 수가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짚 라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위치의 탑승처에서 탑승자가 케이블에 연결된 작동도르레에 안전벨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낮은 위치의 착지처로 할강하면서 내려오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짚 라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먼저, 탑승처가 높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탑승처까지 올라가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가족단위로 함께 레저를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동도르레가 케이블을 타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내려오기는 하나, 이를 다시 위의 탑승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끌어올려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동도르레 및 이에 탑승한 이용자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활강 후, 착지처에 다다르면 안전요원이 이용자를 손으로 잡아서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용자의 체중에 따라 가속도가 많이 붙은 경우 제대로 정지시키지 못하여 이용자 및 안전요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큰 문제점도 있었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처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평지부위에 짚 라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높은 구조물을 축조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산간 지방 등에 자연을 훼손시키면서 설치하여야 하는바, 그 설비비가 많이 들고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역회전에 따라 자동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짚 라인을 평지에 설치함으로써, 그 설치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아 설비비가 줄어들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짚 라인이 자동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지시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이에 따라 이용자를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요원을 별도로 두지 않아도 되어 결국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짚 라인이 자동으로 운전됨에 따라 이용자에 따라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은, 어느 한쪽에 설치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전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다른 쪽에 설치된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과; 상기 이동케이블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전, 후진이 이루어지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설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에 감합된 이동케이블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이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케이블의 양단 중 다른 쪽이 역시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3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와 제1풀리, 제2풀리와 제3풀리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하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풀리, 상기 제2풀리 및 상기 제3풀리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는 상기 제2풀리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풀리는 상기 제2풀리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풀리는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3풀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케이블이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4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4풀리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동케이블은, 상기 제1풀리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2풀리, 상기 제4풀리 및 상기 제3풀리에 순차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제1풀리(122)와 상기 제2풀리(124)에 엇갈린 형태로 걸릴 수 있다. 이 같은 이동케이블은,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면 순환 가능하도록 이동되고, 순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풀리와 상기 제4풀리 사이에 위치되는 윗단 이동케이블 및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4풀리 사이에 상기 윗단 이동케이블과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아랫단 이동케이블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4풀리의 경우에는 상기 아랫단 이동케이블이 수평을 이루는 높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파지-이송부는 상기 아랫단 케이블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풀리는 상기 제2풀리, 상기 제3풀리 및 상기 제4풀리에 비하여 큰 피치원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지-이송부는 아랫단의 케이블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파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이송부의 베이스부의 상부 쪽에는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는 상기 이동케이블의 아래쪽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고정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고정케이블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에 대하여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지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이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원형 핸들과; 상기 원형 핸들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연결,설치하도록 하는 지지바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의하면, 탑승처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짚 라인 자체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바, 어린이나 노약자를 포함하여 가족단위로 모두 함께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짚 라인 자체가 평지 등에 수평으로 용이하게 설치가능함으로써, 높은 구조물을 축조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또한, 파지-이송부가 자동운전에 의해 전,후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를 굳이 종래에서와 같이 수작업으로 높은곳까지 끌어올리지 않아도 되어 그 편의성이 증대되고, 자동운전에 의해 어느 위치에서든지 쉽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또, 파지-이송부가 자동운전에 의해 전,후진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한 번 이용 후 다시 이용하고자 높은 탑승처로 이동하지 않고도 쉽게 재이용이 가능한 효과도 제공된다.
아울러, 파지-이송부가 자동운전으로 전,후진됨에 따라 그 전,후진 속도를 임의로 조절가능하게 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전,후진시킬 수 있고, 속도감을 즐기고자 하는 젊은 이용자들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전,후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이용자에 따라 속도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짚 라인 구성을 개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구동부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파지-이송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구동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파지-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110)와, 이 제1구동부(11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한 쪽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130)와, 제1구동부(110)와 제2구동부(130)를 연결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150)을 포함한다.
제1구동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120)와, 이 구동모터(120)의 축에 축설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풀리(122)와, 이 제1풀리(122)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의 양단 중, 어느 한쪽 단이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2풀리(124)와, 이 제2풀리(124)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케이블(150)의 양단 중, 다른 한쪽 단이 역시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3풀리(12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20)와 제1풀리(122), 제2풀리(124), 제3풀리(126)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대(12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케이블(150)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2줄로 형성되며, 이러한 이동케이블(150)은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에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 또한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대(13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2줄로 형성되는 이동케이블(150) 중,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에는 파지-이송부(200)가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이 파지-이송부(200)는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베이스부(220)와, 이 베이스부(22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파지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이송부(200)는 베이스부(220)의 상부 쪽에 도르래(2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도르래(222)는 이동케이블(150)의 아래쪽에 설치된 고정케이블(240)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이용자의 체중에 의해 이동케이블(15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케이블(150)의 아랫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128) 및 제2지지대(138)에 대하여 연결설치된 고정케이블(2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고정케이블(240)은 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파지-이송부(200)의 베이스부(220)에 설치된 도르래(222)가 상기 고정케이블(240)을 타고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용자의 체중이 많이 나가게 되더라도 고정케이블(240)이 그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이동케이블(15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이 예방된다.
한편, 상기 파지-이송부(200)의 파지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핸들(232)과, 이 원형 핸들(232)을 베이스부(220)에 대하여 연결,설치하도록 하는 지지바(234)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파지-이송부(200)의 파지부(230)를 원형 핸들(232)로 구성한 것은, 이용자가 진행방향에 따라 몸의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이 안전벨트의 연결끈을 파지-이송부(200)의 파지부(230)에 대하여 고정시킨 후 양 손으로 원형 핸들(232)을 잡는다. 이때, 안전벨트의 연결끈은 파지부(230)의 지지바(234)들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안전요원 등이 제1구동부(110)의 구동모터(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120)가 회전되도록 하면 파지-이송부(200)가 이동케이블(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파지-이송부(200)의 전,후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구동모터(120)를 왼쪽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이 구동모터(120)와 축설된 제1풀리(122)가 왼쪽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풀리(122)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왼쪽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3풀리(126)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이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풀리(124)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과 고정,설치된 파지-이송부(200) 또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방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는 이동케이블(150)을 감합하고 있는 상태인바,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이 왼쪽으로 이동하고,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요원 등이 상기 구동모터(120)에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구동모터(120)의 역회전에 따라 파지-이송부(200)는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즉, 구동모터(120)의 역회전에 따라 구동모터(120)와 축설된 제1풀리(122)가 오른쪽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풀리(122)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3풀리(126)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이 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풀리(124)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과 고정,설치된 파지-이송부(200) 또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후방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는 이동케이블(150)을 감합하고 있는 상태인바,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이송부(200)가 전,후진 하는 상태에서, 파지-이송부(200)의 베이스부(220) 윗단에 설치된 도르래(222)는 양쪽 지지대(128, 138)에 대하여 견고하게 설치된 고정케이블(240)을 타고 이동하게 되면서 파지-이송부(200) 및 이 파지-이송부(200)에 매달린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바, 이동케이블(150)이 이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으로 처짐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는 파지-이송부(200)에서,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230)가 원형 핸들(232)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용자는 진행방향에 따라 몸의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바꿀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짚 라인 110 : 제1구동부
120 : 구동모터 122 : 제1풀리
124 : 제2풀리 126 : 제3풀리
128 : 제1지지대 130 : 제2구동부
132 : 제4풀리 138 : 제2지지대
150 : 이동케이블 152 : 윗단 이동케이블
154 : 아랫단 이동케이블 200 : 파지-이송부
210 : 고정부 220 : 베이스부
222 : 도르레 230 : 파지부
232 : 원형 핸들 234 : 지지바

Claims (11)

  1. 전후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쪽 및 다른 쪽에 각각 설치된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부는 각각 좌우 수평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풀리와 제2풀리와 제3풀리 및 상기 제1풀리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3풀리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풀리는 하측으로 배치된 상기 제1풀리와 상측으로 배치된 상기 제3풀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좌우 수평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풀리이며,
    상기 제1풀리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2풀리, 상기 제4풀리 및 상기 제3풀리에 순차적으로 걸린 이동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케이블은, 상기 제1풀리를 회전시키면 순환 가능하게 이동되고, 순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풀리와 상기 제4풀리 사이에 위치되는 윗단 이동케이블 및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4풀리 사이에 상기 윗단 이동케이블과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아랫단 이동케이블을 가지며,
    상기 아랫단 이동케이블에는 이용자가 파지하는 파지-이송부가 고정되어, 상기 파지-이송부는 상기 이동케이블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진되거나 후진되고,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4풀리는 상기 아랫단 이동케이블이 수평을 이루는 높이에 각각 배치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는 피치원이 상기 제2풀리, 상기 제3풀리 및 상기 제4풀리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3풀리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대에 설치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풀리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에 설치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이송부는, 상기 아랫단 이동케이블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로 구성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이송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쪽에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가 상기 아랫단 이동케이블의 하측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고정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제3풀리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제4풀리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케이블은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에 연결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이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수평으로 배치된 원형 핸들과;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원형 핸들을 연결하는 지지바들로 구성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KR1020120016207A 2012-02-17 2012-02-17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Active KR10185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07A KR101854388B1 (ko) 2012-02-17 2012-02-17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07A KR101854388B1 (ko) 2012-02-17 2012-02-17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31A KR20130094931A (ko) 2013-08-27
KR101854388B1 true KR101854388B1 (ko) 2018-06-20

Family

ID=4921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207A Active KR101854388B1 (ko) 2012-02-17 2012-02-17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127A (ko) 2022-10-31 2024-05-08 이재영 동력형 짚라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30B1 (ko) * 2015-03-12 2015-08-20 (주)피아이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KR102545581B1 (ko) * 2020-11-09 2023-06-20 조대진 레저용 로프 구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743U (ja) * 1992-05-13 1993-12-14 日立造船株式会社 滑空式乗物装置
JPH09323806A (ja)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搬送装置
KR100915746B1 (ko) * 2008-06-20 2009-09-04 이창섭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US20110162917A1 (en) * 2007-06-26 2011-07-07 Steele Charles Z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272A (ja) * 1989-04-28 1990-11-30 Yasuda Kogyo Kk 移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743U (ja) * 1992-05-13 1993-12-14 日立造船株式会社 滑空式乗物装置
JPH09323806A (ja)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搬送装置
US20110162917A1 (en) * 2007-06-26 2011-07-07 Steele Charles Z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KR100915746B1 (ko) * 2008-06-20 2009-09-04 이창섭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127A (ko) 2022-10-31 2024-05-08 이재영 동력형 짚라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31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3904A (en) Rotary elevator observation tower
KR101186959B1 (ko) 차량용 캐리어
KR101854388B1 (ko)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JP2019110615A (ja) 架空線走行装置および自走式電線点検装置
US20160304101A1 (en)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EP3196159B1 (en) Stairlift apparatus
KR20190010558A (ko) 오버헤드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는 운송 비히클 및 이러한 유형의 비히클을 포함하는 시스템
JP2018207744A (ja) 自走式電線点検装置
CN203246984U (zh) 安装在建筑物楼梯底面上的吊运装置
JPH10287230A (ja) 介護用昇降装置
CN214527889U (zh) 一种便于移动的建筑工程提升装置
CN214570537U (zh) 一种高空作业平台用安全防护升降机
CN206172921U (zh) 一种装修用棚顶板起升工作平台
CN107651625A (zh) 一种电力设备安装托举装置
CN213859077U (zh) 一种电梯门挂轮轴承安装设备
CN108946393A (zh) 牵引式滑行电梯
JP2018207742A (ja) 自走式電線点検装置
KR20130003224U (ko)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안전 도착 유도 시스템
CN220925975U (zh) 一种围绕楼梯扶手连续运动的电梯
JP2009101095A (ja) 車いす搭載登降装置
JP4141027B2 (ja) 車椅子用昇降装置
CN111732024A (zh) 一种室内装修重物辅助吊升安装设备
JP6760800B2 (ja) 対象物移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歩行支援装置
CN216403499U (zh) 一种设有水平踏板的建筑工地用电梯
KR101460906B1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