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321B1 -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4321B1 KR101854321B1 KR1020180001001A KR20180001001A KR101854321B1 KR 101854321 B1 KR101854321 B1 KR 101854321B1 KR 1020180001001 A KR1020180001001 A KR 1020180001001A KR 20180001001 A KR20180001001 A KR 20180001001A KR 101854321 B1 KR101854321 B1 KR 1018543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finishing foil
- adhesive composition
- bo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이에 의해, 목가구용을 포함한 피니싱 호일 접착에 1액형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을 적용시 수성 친환경 생산 적용으로 작업 환경이 양호해 지며, 접착제의 2회 도포에서 1회 도포가 가능하므로 라인의 성력화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재료가 친환경적이며, 기존의 Hot Press 공정에 그대로 적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제조 과정 중 단계(S10)의 접착제 조성물 제조 과정(S1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존 요소/멜라민계 | 본 발명 | |
주성분 | 요소/멜라민 수지계 | 변성 PVAC계(친환경임) |
성상 | 2액형(관리 불편) | 1액형(관리, 취급 용이) |
도포 방법 | 모양지 및 대판에 도포 | 대판에만 도포 |
기타 | 기존의 Hot Press 공정에 그대로 적용 가능 |
Claims (2)
- PVAc(Polyvinyl Acetate), PAV(Polyvinyl Alcohol), PLA(PolyLactic Acid)를 1 : 0.8 내지 0.9 : 0.2 내지 0.3의 중량비로 준비하며, PVAc와 PLA의 혼합액 표면에 PVA가 혼합되거나 또는 자연분해 캡슐형으로 준비되며, 자연분해 캡슐형으로 형성된 캡슐에는 희석제가 포함되므로 PVA는 PVAc 및 PLA 혼합액의 표면 전체 면적에서 60% 이상에 분포되며, 캡슐이 분해시 사용되는 희석제는 PVAc 및 PLA 혼합액에 PVA에 의한 수지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되 구조 접착제용으로 유용한 폴리머 반응성 희석제로서 기능이 있는, 저분자량, 폴리머 수반응성(moisture reactive) 조성물을 활용하며, 희석제는 PVAc(Polyvinyl Acetate), PAV(Polyvinyl Alcohol), PLA(PolyLactic Acid) 총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 중량% 사이에서 폴리머 반응성 희석제를 활용하는 제 1 단계;
PVAc, PAV, PLA 혼합물 전체 중량인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입자를 20 내지 25 중량부, PHA(Poly Hydroxyl Alkanoate) 수지 1 내지 10 중량부, 수용성 접착제(methyl cellulose) 3 내지 20 중량부, 보습제(glcerine) 10 내지 20 중량부, 에스테르(drying agent) 2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생성하되,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입자는 폴리에틸렌 원료를 사용하며, 발포제와 함께 스크류 방식에 의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에 대한 배합을 수행한 뒤, 고체 형태로 형성하여 미립자로 분쇄하여 형성되며, 최종 제조되는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가 부착 대상에 접착되어 건조시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 폴리에틸렌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30,000g/mol 이상, 용융지수는 0.3 내지 7g/12분(150℃)이고, 분자량분포(PI)가 5.7 이상이며, 용융강도가 35 mN 이상인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2 내지 23 중량부를 배합하며,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에틸렌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 혼합물로 형성된 뒤 발포과정을 거쳐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혼합물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틸렌비닐초산 코폴리머(EVA) 25 내지 30 중량부, 폴리우레탄 10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을 활용하며, PVAc, PAV, PLA 혼합물에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입자, PHA 수지를 혼합한 상태에서, 수용성 접착제(methyl cellulose)를 정량 함께 혼합기에서 교반하면서, 보습제(glcerine)를 첨가하면서 혼합기 온도를 30 내지 35℃의 온도로 설정하여 30분 정도 교반을 유지한 뒤, 중합 완료 전에 에스테르(drying agent)를 혼합하며, 에스테르는 oleic acid와 stearic acid를 1 : 0.5 내지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제 2 단계;
제 1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충진제 및 증점제를 배합하여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생성하되, 충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실리카, 산성백토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탈크를 이용시 접착제의 성형성과 내가수분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1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재료인 제 1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진제 60 내지 65 중량부를 사용하며, 최종 생산되는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점제는 실리카, 흄실리카, 벤토나이트, 클레이, 아마이드,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제 1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 4 내지 7 중량부를 사용하는 제 3 단계;
첨가제로 제 2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탄소 섬유 24 내지 25 중량부, 난연제 7 내지 10 중량부, 자외선차단제 8 내지 13 중량부, 표면보호제 2 내지 3 중량부를 배합하되, 탄소 섬유는 피니싱 호일과 접착제 조성물 간의 전도성에 따라 용량이 조절되며, 1액형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은 탄소 섬유를 첨가 혼합하여 탄소 섬유 강화형(CFR, G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에 해당하는 레진을 수득하여 사용하며, 난연제는 몰리브덴산 안티몬,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자외선차단제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수성아크릴계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0 내지 1000㎛의 분체의 평균입도를 갖는 이산화티탄(TiO2) 34 내지 37 중량부와 산화아연(ZnO2) 33 내지 35 중량부를 혼합한 뒤, 혼합물에 감마아미노에틸렌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실란계 화합물 25 내지 27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성을 부여하고, 혼합 용액에 pH 5 내지 7의 실리콘 오일 2 내지 5 중량부, 계면활성제 2 내지 5 중량부를 혼입하여 15℃ 내지 25℃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표면을 개질하여 자외선차단제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 내지 40 중량부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2 시간 사이에서 가열 및 교반하고, 가열 및 교반 완료된 조성물에 대해서 진공탈포하여 접착제 조성물 생성을 완료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 따라 생성된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을 피니싱 호일이 부착되는 대상에 도포하되 접착력 확보를 위해서 피니싱 호일 및 부착 대상 간의 접착 면에는 에칭(Etching), 코로나 (Corona)처리를 포함한 표면처리를 하여 기계적 맞물림에 따른 앵커링(Anchoring)되도록 하며, 피니싱 호일이 부착되는 대상에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크게 액형과 고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두 가지 분류로 수행되며 액형의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스프레이(Spray)나 바코팅(Bar Coating) 방법으로 하거나, 고형의 접착제의 경우에는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이 필름 형태로 제조된 것을 이용하여 열압착(thermal lamination) 방법으로 접착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의 피니싱 호일 접합 과정을 거쳐 열간프레스(Hot press) 과정을 수행하되, 피니싱 호일을 접착제가 도포된 부착 대상으로의 접합 과정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열간프레스(Hot press)로 100 ℃이하로 가열, 압착시키며, 1액형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은 피니싱 호일의 평량이 30 이상 50g/m2 미만인 경우에는 양을 7 내지 12g/m2로, 피니싱 호일의 평량이 50 이상 70g/m2 미만인 경우에는 양을 10 내지 18g/m2, 피니싱 호일의 평량이 70 이상 100 이하인 경우 양을 17 내지 25m2으로 평량에 따라 접착제 조성물의 양을 가변하여 주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001A KR101854321B1 (ko) | 2018-01-04 | 2018-01-04 |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001A KR101854321B1 (ko) | 2018-01-04 | 2018-01-04 |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4321B1 true KR101854321B1 (ko) | 2018-05-03 |
Family
ID=6224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1001A Active KR101854321B1 (ko) | 2018-01-04 | 2018-01-04 |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432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02979A (zh) * | 2019-12-05 | 2020-02-18 | 漳州金马百虹金葱粉有限公司 | 一种水性可降解金葱粉 |
CN110802978A (zh) * | 2019-12-05 | 2020-02-18 | 漳州金马百虹金葱粉有限公司 | 一种水性可降解金葱粉的制作工艺 |
KR102063009B1 (ko) * | 2019-07-11 | 2020-03-02 | 주식회사 코트코리아 | 친환경 투명도막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친환경 투명도막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5450A (ko) * | 2000-07-07 | 2002-01-17 | 켐 케네스 엠. | 접착제용으로 특히 유용한 비닐 아세테이트계 중합체라텍스 조성물 |
KR101315785B1 (ko) * | 2012-08-31 | 2013-10-08 | 대상 주식회사 | 전분계 핫멜트 접착제 |
US20150090156A1 (en) * | 2013-09-30 | 2015-04-02 | Celanese Acetate Llc | Adhesives that include plasticized starch derivatives and methods and articles relating thereto |
KR20170052599A (ko) * | 2014-09-05 | 2017-05-12 |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KR20170097148A (ko) * | 2014-12-22 | 2017-08-2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폴리락트산 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필름 |
-
2018
- 2018-01-04 KR KR1020180001001A patent/KR10185432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5450A (ko) * | 2000-07-07 | 2002-01-17 | 켐 케네스 엠. | 접착제용으로 특히 유용한 비닐 아세테이트계 중합체라텍스 조성물 |
KR101315785B1 (ko) * | 2012-08-31 | 2013-10-08 | 대상 주식회사 | 전분계 핫멜트 접착제 |
US20150090156A1 (en) * | 2013-09-30 | 2015-04-02 | Celanese Acetate Llc | Adhesives that include plasticized starch derivatives and methods and articles relating thereto |
KR20170052599A (ko) * | 2014-09-05 | 2017-05-12 |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KR20170097148A (ko) * | 2014-12-22 | 2017-08-2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폴리락트산 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필름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3009B1 (ko) * | 2019-07-11 | 2020-03-02 | 주식회사 코트코리아 | 친환경 투명도막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친환경 투명도막 조성물 |
CN110802979A (zh) * | 2019-12-05 | 2020-02-18 | 漳州金马百虹金葱粉有限公司 | 一种水性可降解金葱粉 |
CN110802978A (zh) * | 2019-12-05 | 2020-02-18 | 漳州金马百虹金葱粉有限公司 | 一种水性可降解金葱粉的制作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2335B1 (ko) |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04820B1 (ko) | 바닥재용 수지 조성물 | |
KR101854321B1 (ko) | 피니싱 호일 접착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 |
JP5097752B2 (ja) | 生分解性広告用フィルム | |
KR200470687Y1 (ko) | 바이오 폴리머 수지를 구비하는 바닥재 | |
WO2009064052A1 (en) | The composition for laminate coating of paper, and the food packaging paper using it | |
CN102197178A (zh) | 壁纸及其制造方法 | |
KR102587591B1 (ko)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응용제품 | |
CN107207814B (zh) | 地板材用透明膜、其制备方法以及包括其的地板材 | |
KR102189505B1 (ko) | 친환경 라벨 | |
JP2017066761A (ja) | コンクリート自己修復性接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コンクリート自己修復性接着シートを用いた修復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 |
KR20150128099A (ko) | Pla 및 pha 혼합수지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10103898A (ko) | Pla 및 bio 블렌드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 |
JP5555988B2 (ja) | 化粧シート用着色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2719846B1 (en) | Chip-inlaid flooring material using pla resin | |
KR20150120810A (ko) | 폴리락타이드 수지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 및 바닥재 | |
KR101423371B1 (ko) |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바닥재용 수지 조성물 | |
KR102775466B1 (ko) |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ldpe 친환경 종이 코팅 방법 | |
JP4331467B2 (ja) | 耐熱性を有する生分解性軽量パネル | |
KR20110103811A (ko) | Pla 수지를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JP2001234475A (ja) | 樹脂加工布の製造方法 | |
KR102752240B1 (ko) |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 |
JP3954826B2 (ja) | 生分解性ヒートシールラッカー組成物および生分解性複合体 | |
KR101836866B1 (ko) | 친환경 재생재료 기반의 거푸집용 폼 | |
KR102040101B1 (ko) | 재생섬유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