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2335B1 -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335B1
KR101302335B1 KR1020090090076A KR20090090076A KR101302335B1 KR 101302335 B1 KR101302335 B1 KR 101302335B1 KR 1020090090076 A KR1020090090076 A KR 1020090090076A KR 20090090076 A KR20090090076 A KR 20090090076A KR 101302335 B1 KR101302335 B1 KR 10130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weight
part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536A (ko
Inventor
권현종
하경태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9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335B1/ko
Priority to JP2012529654A priority patent/JP5733730B2/ja
Priority to CN201080035653.3A priority patent/CN102470650B/zh
Priority to PCT/KR2010/005723 priority patent/WO2011037325A2/ko
Priority to US13/388,386 priority patent/US9833974B2/en
Publication of KR2011003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3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reinforced with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4Cellulosic plastic fibres, e.g. ray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가능한 식물 자원에서 추출한 원료 등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구성함으로써, 석유자원 고갈에 따른 원재료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카렌더링 공법 등의 적용이 가능하여, 바닥재의 생산 효율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CO2 등 환경 유해 물질의 배출이 적고, 폐기도 용이한 친환경적인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시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생분해성 수지, 치수안정층, 섬유층, 섬유강화수지층, 가공 조제, 폴리락트산

Description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Flooring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석유계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주택, 맨션, 아파트, 오피스 또는 점포 등의 건축물에서 바닥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 또는 카렌더링 방식 등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그 원료가 한정된 자원인 원유 등으로부터 전량 얻어지기 때문에, 석유자원의 고갈 등에 따라 향후 원재료의 수급 곤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최근 높아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려하여도, 폴리염화비닐(PVC)계 바닥재는, 유해 물질을 배출하기 쉽고, 폐기 시에도 환경에 부담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수지와 같은 지속 가능한 자원을 사용 하여 바닥재를 구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ex. 미국등록특허 제7,354,656호 등).
그러나, 생분해성 수지는, 내열충격성이나 강도 등이 떨어져서, 카렌더링 공법 등으로의 적용이 어렵고, 그에 따라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 등을 사용하여 바닥재를 구성할 경우, 외부 온도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팽창이나 수축 등에 의해 치수안정성이 떨어진다. 즉, 생분해성 수지로 제조된 바닥재의 경우, 온습도 차이에 의해 치수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수축에 의해 바닥재간 연결부가 벌어지거나, 팽창에 의해 바닥재 표면이 파도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FRP; Fiber Reinforced Polymer); 및 상기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가지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생분해성 시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가능한 식물 자원에서 추출한 원료 등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구성함으로써, 석유자원 고갈에 따른 원재료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카렌더링 공법 등의 적용이 가능하여, 바닥재의 생산 효율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CO2 등 환경 유해 물질의 배 출이 적고, 폐기도 용이한 친환경적인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시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FRP; Fiber Reinforced Polymer); 및
상기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가지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닥재는,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이하, 「치수안정층」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은, 바닥재의 치수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바닥재가 생분해성 수지 및 가공조제(processing aid)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타일 또는 시트만을 포함하는 경우, 온도 변화 등 외부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 거동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경우, 사용 과정에서 수축에 의해 바닥재간 연결부가 벌어지거나, 팽창에 의해 표면이 솟아오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을 치수안정층으로 적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섬유층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닥재에 포함되는 상기 섬유층의 형태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직포는, 전술한 섬유를 사용한 통상적인 직조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부직포의 경우, 예를 들면, 전술한 섬유에 펄프 및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의 수용성 바인더를 첨가하여 제조된 졸(sol)을 통상적인 제지 공정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섬유층은, 예를 들면, 스크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스크림」은,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그물망 형태로 직조되어 있는 망상 시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수안정층은 섬유강화수지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섬유강화수지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섬유를 수지로 함침시키고, 경화 또는 반경화시켜 제조되는 복합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수안정층은, 수지 성분,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PLA),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수지 성분으로 함침된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일 수 있다.
상기에서,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 등에 함침되는 수지 성분은 폴리락트산,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또는 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섬유강화수지층에 포함되는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술한 섬유층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유리 섬유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다소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에 포함되는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은, 평방미터(m2) 당 질량(g), 즉 평량이 20 g/m2 내지 120 g/m2, 바람직하게는 30 g/m2 내지 120 g/m2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평량이 20 g/m2 미만이면, 치수안정성 보강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120 g/m2를 초과하면, 층간 부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섬유강화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치수 보강 효과 및 층간 부착력 등으로 고려하여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치수안정층은 또한, 두께가 0.2 mm 내지 0.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치수안정층의 두께가 0.2 mm 미만이면, 치수안정성 보강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0.8 mm를 초과하면, 바닥재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치수안정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치수안정층의 종류, 즉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 중 어느 형태인지 여부나, 상기 치수안정층에 포함되는 섬유의 종류, 형태, 수지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두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재는, 상기와 같은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시트를 가지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A상에 형성된 B」, 「A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B」 및 「A의 일면에 형성된 B」 등의 표현은, A의 표면에 B가 직접 부착되는 경우, A의 표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B가 부착되는 경우 및 A와 B의 사이에 별도의 층이 직접, 또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개재되어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생분해성 시트」는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성형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생분해성 시트의 범위에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발포체 및 비발포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성형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엠보 처리가 수행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시트가 카렌더링 공법으로 제조된 시트, 즉 카렌더링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카렌더링 시트를 사용할 경우, 여타의 제조법(ex. 압출, 프레스 등)으로 제조된 경우와 비교하여, 내구성, 내후성 및 표면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하는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PLA)일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락타이드 또는 락트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 통상적으로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Figure 112009058462233-pat00001
상기와 같은 폴리락트산은,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 예를 들면,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 등에서 추출한 전분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락트산을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어서, 석유 자원 고갈에 의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은 사용 또는 폐기 과정에서 CO2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의 배출량이 폴리염화비닐 등의 석유 자원에 비해 월등히 적고, 폐기 시에도 자연 환경 하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폴리락트산은 통상적으로 D-폴리락트산, L-폴리락트산, D,L-폴 리락트산 또는 메조(meso)-폴리락트산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생분해성 시트의 강도 확보 등의 측면에서 L-폴리락트산(PLLA)를 사용하는 것이 다소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수지는 L-폴리락트산만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L-폴리락트산과 다른 생분해성 수지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L-폴리락트산이 다른 생분해성 수지와 혼합될 경우, 그 함량은 중량비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락트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화합물, 에탄디오산(ethanedioic acid) 또는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복실산, 글리콜산 또는 2-히드록시벤조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본산; 또는 카프로락톤 또는 프로피오락톤 등의 락톤류와 같은 적절한 공중합 성분이 추가로 공중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생분해성 수지와 함께 추가적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이 생분해성 수지와 함께 별도의 수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수지는 생분해성 수지와 혼화성(compatibility 또는 miscibility)을 가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혼화성」은 2개 이상의 성분(ex. 수지 성분)이 혼합되었을 때, 상기 성분들간에 계면 분리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어느 정도 극성을 가지는 수지는, 전술한 폴리락트산과 우수한 혼화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폴리락트산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물성을 나타내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에는,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co-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아이오노머(ionomer), 폴리글리코라이드(polyglycolid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등의 극성기(polar group)로 개질된 폴리올레핀 또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화 중성 고무(epoxidized natural rubber) 및 기타 에폭시화 고분자(epoxidized polymer)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고, 이 중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co-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아이오노머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폴리락트산과 함께 상기한 수지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계열의 수지의 경우, 그 함량은 가급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수지가, 전술한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수지 성분과 함께, 강도 보강, 성형성 개선, 심미성 확보 등의 관점에서, 가공 조제, 가소제 또는 필러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공 조제(processing acid)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폴라락트산 등과 같은 생분해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내충격강도 또는 내열성이 떨어져서,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시트화 공정에서 카렌더링(calendering) 등 기존 폴리염화비닐(PVC)계 시트의 가공 방법의 적용이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지 조성물에 적절한 가공 조제를 첨가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공 조제의 종류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Thermoplastic Polyolefin)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성분이 산무수물(ex.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및/또는 에폭시 등의 극성기로 변성되어, 극성기를 포함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극성기가 그래프팅(grafting)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카렌더링 가공 등의 가공성 측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가공 조제 중에서 올레핀계 이외의 가공 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다소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가공 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가공 조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각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ex. 단량체 조성, 중량평균분자량 등) 및 상기 수지에 부가되는 산무수물 등의 구체적인 종류 및 그 함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가공 조제로서, 1 분자 당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개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가공 조제에 포함되는 극성기가 2개 미만이면, 용융강도 개선의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16개를 초과하면, 극성기의 반응이 과도하게 이루어져,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시트의 평활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가공 조제는 전술한 생분해성 수지(ex.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가공 조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용융 효율 및 용융 강도 개선 효율이 떨어져서, 예를 들면 카렌더링 가공 등으로의 적용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많아지면, 타 성분과의 상용성 저하 등에 의하여, 시트의 물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가공조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시트가 적용되는 용도 및 시트의 제조를 위해 적용되는 가공 방식이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공 조제의 함량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또한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소제는, 특히 경질의 수지, 예를 들면, L-폴리락트산 등을 사용한 경우에, 수지 조성물을 연화시켜, 가공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의 종류는, 전술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가소제로서 프탈레이트계 화합물, 알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디알킬에테르 디에스테르, 트 리카복실산 에스테르, 에폭시화 오일, 에폭시화 에스테르, 폴리알킬렌옥시드(ex. 폴리에틸렌옥시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등), 폴리에스테르, 폴리글리콜 디에스테르, 알릴 에테르 디에스테르, 지방족 디에스테르, 알킬에테르 모노에스테르, 시트레이트 에스테르, 디카복실산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 또는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에도, 기존 폴리염화비닐(PVC)계 시트의 제조에 적용되던 가소제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가소제는, 에폭시화 또는 기타 변성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에폭시화 대두유, 구체적으로는 MSO(epoxidized methyl soyate), ELO(epoxidized linseed oil), ESO(epoxidized soy oil) 또는 ETO(epoxidized tall oil)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가소제로서,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는 시트레이트계 화합물, 예를 들면, ATBC(acetyl tributyl citrate) 또는 시트레이트 및 변성 식물성 오일의 블렌드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도에 따라서, 전술한 각 가소제 중 적절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인체(사용자)으로의 악영향(건강 악화)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무독성 가소제, 예를 들면 시트레이트계 가소제(ex. ATBC) 및/또는 식물성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락트산과의 상용성 저하 또는 상기 수지의 가수분해 촉진 등의 이유로, 알코올계 가소제나 저분자량 올리고머 형태의 가소제의 사용은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가소제는 전술한 생분해성 수지(ex.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어지면, 수지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가공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많아지면, 타 성분과의 상용성 저하 등에 의하여, 시트의 물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시트가 적용되는 용도 및 시트의 제조를 위해 적용되는 가공 방식이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량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또한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러는, 생분해성 시트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강도 및 심미성 증가 또는 원재료비 절감 등을 목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필러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탄산칼슘, 탈크, 황토,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등의 무기계 필러; 또는 목질계 필러(ex. 목분, 목칩), 콜크, 케냐프 또는 펄프 등의 유기계 필러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용융 시에 원활한 작업성을 나타낼 수 있고, 가소제와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가소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어, 가소제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심미성이 우수하다는 측면에서, 상술한 필러 중 유기계 필러, 구체적으로는 목질계 필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와 같은 필러의 함량은, 생분해성 시트의 적용 용도에 따라서 달라지며, 예를 들면,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분해성 수지(ex.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필러의 양이 지나치게 낮으면, 가격 절감 또는 강도 보강 효과 등이 미미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아지면, 수지 등 타성분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가공성, 예를 들면 카렌더링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필러의 함량은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시트가 적용되는 용도나, 목적하는 강도, 심미성 또는 가격 절감 효과 등을 고려하여, 상기 필러의 함량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에 더하여,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수지 시트의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발포제(ex. OBSH(oxybisbenzene sulfonyl hydrazide), TSH(toluene sulfonyl hydrazide), ADCA(azodicarbonamide) 및/또는 ZnO), 활제, 가교제, 안료 및 자외선 안정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전술한 수지 조성물에는, 사용한 시트 가공성의 개선의 관점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교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가교 수단의 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퍼옥시드(ex. dicumyl peroxide)의 첨가 등과 같은 화학약품 처리 방법이나, 전자선을 이용한 전자선 가교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생분해성 시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상기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표면층이 투명층, 필러층 및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투명층 또는 인쇄층이 전술한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면층이 간지층, 발포탄성층, 이지층, 탄성층 및 직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간지층, 발포탄성층, 이지층 또는 탄성층이 전술한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재는, 전술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을 중심으로 상기의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 중 하나 이상을 다양하게 조합시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재(1)의 하나의 예시로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11)을 중심으로, 상부 표면층이 투명층(22) 및 인쇄층(21)을 포함하고, 하부 이면층이 간지층(31), 탄성발포층(32) 및 이지층(33)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예시에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구성하는 층 중 하나 이상은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생분해성 시트일 수 있 으며, 바람직하게는 표면층 및 이면층을 구성하는 층이 모두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을 구성하는 층이 생분해성 시트 외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VC)계 바닥재 등 기존 공지된 바닥재에 사용되던 구성(ex. PVC계 발포층)을 채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포층으로서, 면, 마, 폴리에스테르 직포, 황마 또는 나일론 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직조 형태로는 평직 또는 능직형 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필러층으로서도,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층(22)이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경우, 상기 투명층(22)은, 전술한 생분해성 수지(또는 생분해성 수지와 기타 수지의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가공 조제 2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필요에 따라 자외선 안정제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의 예시에서, 인쇄층(21)이 생분해성 시트로부터 성형될 경우, 상기는 생분해성 수지(또는 생분해성 수지와 기타 수지의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공 조제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가소제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필러 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인쇄층(21)의 심미성 부여 또는 인쇄적성의 개선 등의 관점에서, 안료 성분, 예를 들면, 백색 안료(ex. 이산화 티탄)를 0.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인쇄층(21)상에는,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의 예시에서, 간지층(31) 또는 이지층(33)이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경우, 상기는 생분해성 수지(또는 생분해성 수지와 기타 수지의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공 조제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가소제 2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및 필러 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의 예시에서, 탄성발포층(32)이 생분해성 시트로부터 성형될 경우, 상기는 생분해성 수지(또는 생분해성 수지와 기타 수지의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공 조제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가소제 2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및 필러(ex. 탄산칼슘) 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발포 공정을 위한 발포제를 적정량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재(2)의 또 다른 예시로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11)을 중심으로, 상부 표면층이 투명층(22) 및 인쇄층(21)을 포함하고, 하부 이면층이 탄성층(34)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예시에서, 투명층(22) 또는 인쇄층(21)이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경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탄성층(34)이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될 경우, 상기 탄성층(34)은, 전술한 생분해성 수지(또는 생분해성 수지와 기타 수지의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공 조제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가소제 2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및 필러(ex. 목분) 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닥재(3, 4)의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도 1 및 2에 개시된 바닥재의 최상단에 표면처리층(41)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이고, 도 5는, 본 4의 바닥재의 최하단에 직포(직물)층(51)이 추가로 형성된 바닥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표면처리층(41)은,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이나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표면처리층(41)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ex.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UV 경화형 도료)을 표면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포층(51)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직포를 압연 방식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통상의 졸(sol)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면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생분해성 시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본 발명의 바닥재에서 치수안정층의 역할을 하는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섬유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직조 또는 제지 공정 등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섬유강화수지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직조 또는 제지 공정으로 제조된,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을 수지 조성물로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함침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락트산(PLA),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하의 가소제, 및 130 중량부 이하의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혼련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련물은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등의 부가적인 성분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나 필러 등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생분해성 시트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혼련물을 사용한 함침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캐스팅 방식 또는 립 라미네이팅(lip laminating) 방식 등의 통상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각 방식 중에서, 사용되는 혼련물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섬유강화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는 혼련물의 조성이나 함침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립 라미네이팅 방식은 혼련물이 폴리락트산이나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술한 혼련물을 소정 온도(ex. 150℃ 내지 250℃)에서 압출하고, T-다이(die) 등을 이용하여 섬유에 함침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활한 함침 가공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혼련물의 용융지수(melt index)를 40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련물이 폴리락트산을 포함할 경우, 상기 수지의 열분해 방지의 관점에서, 가공 온도를 24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스팅 방식은, 혼련물이 아크릴 수지나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경우에 유리하고, 이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롤 코터 등을 통해 혼련물을 직포 또는 부직포 등에 함침하고, 겔링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 상에 생분해성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카렌더링 또는 압출 공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이 중 카렌더링 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생분해성 시트는,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원료를 적절한 조건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균일하게 겔화하는 혼련 공정 및 최종 시트 형상으로 성형(ex. 카렌더링 성형)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원료의 혼합 및 혼련 공정은, 예를 들면, 액상 또는 분말상의 원료를 슈퍼 믹서, 니더, 압출기, 혼련기(kneader), 2본 또는 3본 롤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혼합을 위하여, 배합된 원료를 반바리 믹서 등을 사용하여 소정 온도(ex. 80℃ 내지 170℃)에서 혼련하고, 혼련된 원료를 소정 온도(ex. 120℃ 내지 170℃)에서 2본 롤 등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는 방식과 같이, 상기 혼합 및 혼련 공정을 다단계로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렌더링 방식으로 시트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역 L형 4본롤 카렌더 등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카렌더링 조건 등의 가공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조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2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30 ℃ 내지 170℃의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시트의 가공 시에, 가공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수지의 연화 정도가 부족하여 성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높아지면,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서, 역시 성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되는 원료의 조성 등을 고려하여, 가공 온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생분해성 시트를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상에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예를 들면, (1)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의 일면에 생분해성 시트를 압착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압착된 생분해성 시트의 표면에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패턴이 인쇄된 섬유층 또는 섬유강화수지층과 생분해성 시트의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생분해성 시트를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우선 치수안정층과 생분해성 시트로 구성되는 인쇄물층을 부착하여 적층체(이하, 「인쇄물층 함침 치수안정층」이라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제조한 후, 다시 상기 인쇄물층 함침 치수안정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생분해성 수지로 구성되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단계 (1)에서 치수안정층상에 생분해성 시트(인쇄물층)를 부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적절한 조건에서의 열합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계 (2)에서 패턴을 인쇄하여 장식층을 형성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인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3)은 단계 (2)를 거쳐 제조된 적층체(인쇄물층 함침 치수안정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생분해성 시트를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때, 인쇄물층 함침 치수안정층에 형성되는 생분해성 시트는 투명층 또는 탄성층과 같은 단일의 층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간지층, 탄성발포층 및 이지층 등의 두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일 수 있다. 상기에서, 다층 구조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층을 적절한 조건에서 열압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 또는 (3)에서 부착되는 생분해성 시트는 열합착 공정 전에 적절한 온도(ex. 약 100℃ 내지 150℃)에서 예열 처리된 것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포 공정을 거친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에서 발포 공정은, 예를 들면, 시트 내에 전술한 발포제를 적정량 배합하고, 오븐 등을 통과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오븐 내에서의 발포 조건은 목적하는 발포 배율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0℃ 내지 180℃의 온도 하에서 4 m/min 내지 25 m/min의 속도로 약 1분 내지 3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엠보롤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 바닥재에 엠보를 형성 하거나, 또는 상기한 각 열압착 공정 중에 엠보싱 롤 등을 사용하여, 부착과 동시에 목적하는 개소에 엠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한 각 공정을 거쳐 제조된 적층체의 최하층에 직포(직물)을 합판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직포 합판 공정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에 의한 압연 방식이나, 졸(sol)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합판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각 공정을 거쳐 제조된 적층체상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면처리층의 형성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조된 적층체를 소정 조건에서 냉각 처리한 후,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치수안정층(섬유강화수지층)의 제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12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5 중량부를 배합하여, 아크릴계 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유리섬유로 제 조된 부직포(평량: 60 g/m2)에 롤코터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졸을 함침처리한 다음, 14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건조하여 치수안정층을 제조하였다.
생분해성 시트의 제조
(1) 인쇄물층의 제조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TBC) 30 중량부, 가공 조제 5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쇄물층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락트산으로는, Nature Works사의 2002D(용융지수: 3 미만)를 사용하였고, 가공 조제로는 말레산 무수물이 그래프팅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하, 실시예에서 폴리락트산과 가공 조제의 종류는 상기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성분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1차 혼련하고, 반바리 믹서로 14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였다. 그 후, 제조된 원료를 130℃의 온도에서 카렌더링 가공하여, 두께가 0.3 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2) 간지층의 제조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TBC) 40 중량부, 가공 조제 5 중량부 및 목분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거는 상기 인쇄물층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가 0.3 mm인 간지층 을 제조하였다.
(3) 탄성 발포층의 제조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TBC) 35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옥시비스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12 중량부 및 가공 조제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성 발포층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성분을 압출기로 1차 혼련하고, 13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였다. 이어서, 카렌더링 방식으로 두께가 약 1 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4) 투명층의 제조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TBC) 30 중량부 및 가공 조제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인쇄물층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가 0.5 mm인 투명층을 제조하였다.
바닥재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치수안정층상에 인쇄물층을 150℃의 온도에서 열합판한 다음, 그라비어 인쇄를 통해 패턴을 부여하여 인쇄물 함침 치수안정층을 제조하였다. 한편, 제조된 간지층 및 탄성발포층은 140?의 히팅 드럼에 통과시켜 예열한 후, 엠보롤에 통과시켜 열합판시켜 적층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적층물을 165℃의 발포 오븐에 8 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약 150초 동안 발포시켰다(발포 배율: 약 200%). 이어서, 상기 제조된 인쇄물 함침 치수안정층 및 투명층을 약 160℃의 히팅 드럼에서 압착시켜, 예열한 후, 상기 발포물과 함께 엠보롤에 통과시켜 열합판함으로써, 두께가 약 3 mm인 적층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적층물의 투명층 표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UV 경화형 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면층으로 사용된 간지층 및 탄성발포층 대신 탄성층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탄성층은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TBC) 40 중량부, 목분 10 중량부 및 및 가공 조제 5 중량부를 압출기로 1차 혼련하고, 140℃에서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한 후, 이어서, 카렌더링 방식으로 두께가 약 1 mm인 시트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된 바닥재의 최하부에 두께가 약 1 mm인 황마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닥재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2, 3, 4, 5: 바닥재
11: 치수안정층 21: 인쇄층
22: 투명층 31: 간지층
32: 탄성발포층 33: 이지층
34: 탄성층 41: 표면처리층
51: 직물층

Claims (20)

  1. 수지 성분으로 함침된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을 포함하며 상기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은 평량이 20 g/m2 내지 120 g/m2인 섬유강화수지층;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투명층 및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표면층; 및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고,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간지층,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발포탄성층 및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이지층을 포함하거나 생분해성 시트를 포함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는 이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분해성 시트는 폴리락트산 및 가공 조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이고, 가공 조제는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며, 극성기 함유 아크릴 수지, 극성기 함유 우레탄 수지 또는 극성기 함유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인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직포, 부직포 또는 스크림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강화수지층의 수지 성분은 폴리락트산,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닥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강화수지층은 두께가 0.2 mm 내지 0.8 mm인 바닥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은 L-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바닥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및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바닥재.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화합물, 알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디알킬에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카복실산 에스테르, 에폭시화 오일, 에폭시화 에스테르, 폴리알킬렌옥시드, 폴리에스테르, 폴리글리콜 디에스테르, 알릴 에테르 디에스테르, 지방족 디에스테르, 알킬에테르 모노에스테르, 시트레이트 에스테르, 디카복실산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및 글리세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바닥재.
  12. 제 8 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바닥재.
  13. 제 8 항에 있어서, 필러가 유기계 필러 또는 무기계 필러인 바닥재.
  14. 제 8 항에 있어서, 필러는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로 포함되는 바닥재.
  15.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은, 발포제, 활제, 가교제 및 자외선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바닥재.
  16. 삭제
  17. 삭제
  18. 섬유강화수지층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섬유강화수지층상에 생분해성 시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바닥재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생분해성 시트는 카렌더링 방식으로 제조되는 바닥재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는, (1) 섬유강화수지층의 일면에 생분해성 시트를 압착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압착된 생분해성 시트의 표면에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패턴이 인쇄된 섬유강화수지층과 생분해성 시트의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생분해성 시트를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 방법.
KR1020090090076A 2009-09-23 2009-09-23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0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76A KR101302335B1 (ko) 2009-09-23 2009-09-23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2529654A JP5733730B2 (ja) 2009-09-23 2010-08-26 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080035653.3A CN102470650B (zh) 2009-09-23 2010-08-26 地板材及其制造方法
PCT/KR2010/005723 WO2011037325A2 (ko) 2009-09-23 2010-08-26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US13/388,386 US9833974B2 (en) 2009-09-23 2010-08-26 Flooring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76A KR101302335B1 (ko) 2009-09-23 2009-09-23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36A KR20110032536A (ko) 2011-03-30
KR101302335B1 true KR101302335B1 (ko) 2013-08-30

Family

ID=4379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2335B1 (ko) 2009-09-23 2009-09-23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33974B2 (ko)
JP (1) JP5733730B2 (ko)
KR (1) KR101302335B1 (ko)
CN (1) CN102470650B (ko)
WO (1) WO201103732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60A (ko) * 2014-09-02 2016-03-10 (주)엘지하우시스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KR101627732B1 (ko) 2015-10-28 2016-06-07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내마모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비-폴리염화비닐 재활용성 친환경 바닥재
WO2017095028A1 (en) * 2015-12-02 2017-06-08 Lg Hausys, Ltd. Pvc tile including polyester fiber
US10724252B2 (en) 2015-10-28 2020-07-28 Nox Corporation Non-polyvinyl chloride recyclable environment-friendly floor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abrasion-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US11254805B2 (en) 2017-09-13 2022-02-22 Waps Co., Ltd Eco-friendly floo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189B1 (ko) * 2010-03-15 2014-07-09 (주)엘지하우시스 우드 칩과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KR101404296B1 (ko) * 2010-06-07 2014-06-09 (주)엘지하우시스 직물 표면을 갖는 pla 바닥재
KR200473372Y1 (ko) * 2011-03-31 2014-06-27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재 및 벽지
KR101304144B1 (ko) 2011-05-13 2013-09-05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시트
KR101317605B1 (ko) * 2011-05-13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자연소재를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
KR101299358B1 (ko) * 2011-05-13 2013-08-22 (주)엘지하우시스 발포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JP5603494B2 (ja) * 2011-06-13 2014-10-08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Pla樹脂を用いたチップインレイド床材
KR101379552B1 (ko) * 2011-08-18 2014-03-31 (주)엘지하우시스 Pla 수지를 사용한 친환경 시트
KR101385814B1 (ko) * 2011-12-26 2014-04-17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의 제조방법
KR20130090065A (ko) * 2012-02-03 2013-08-13 (주)엘지하우시스 마루 바닥재
KR101456330B1 (ko) * 2012-04-09 2014-11-04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고강도 수지 복합재
KR101460399B1 (ko) * 2012-04-09 2014-11-10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가소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 제품
CN102815436A (zh) * 2012-08-09 2012-12-12 中山市久力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包装体的制作方法
KR20140032131A (ko) * 2012-09-06 2014-03-14 (주)엘지하우시스 투명 표면층을 갖는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WO2014046321A1 (ko) 2012-09-21 2014-03-27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판넬
CN103863342B (zh) * 2012-12-08 2017-05-0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高速列车用隔音吸声材料及制造方法
KR101483464B1 (ko) * 2013-01-02 2015-01-16 주식회사케이엘피케미칼 인조잔디용 충진칩 및 그 제조 방법
CN103264555B (zh) * 2013-05-20 2015-06-03 四川辉腾科技有限公司 耐高低温及高能辐射环境的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95635B1 (ko) * 2013-07-11 2018-09-05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50175767A1 (en) * 2013-12-20 2015-06-25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Biobased impregnating composition and products comprising same
KR20150128099A (ko) * 2014-05-08 2015-11-18 (주)엘지하우시스 Pla 및 pha 혼합수지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BE1021929B1 (nl) * 2014-07-04 2016-01-27 Unilin Bvba Vloerpaneel
KR102038157B1 (ko) * 2014-07-22 2019-10-29 (주)엘지하우시스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5999B1 (ko) * 2014-09-12 2016-02-23 이응우 친환경 수지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2014555B1 (ko) * 2014-09-19 2019-08-27 (주)엘지하우시스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5328709A1 (en) * 2014-10-10 2017-04-27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Linoleum composition with hydrophobic additive
CN104358385B (zh) * 2014-11-06 2017-02-01 北京威廉顺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pvc运动卷材地板及制备方法
JP6416044B2 (ja) * 2015-06-12 2018-10-31 東リ株式会社 床材の製造方法及び床材
KR101804756B1 (ko) 2015-12-09 2017-12-05 주식회사 녹수 직물 소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타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496945A4 (en) * 2016-08-10 2020-04-01 Pressing Developments, L.L.C. COLORABLE MELAMINE LAMINATE PRODUCTS,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BE1024734B1 (nl) 2016-11-10 2018-06-19 Ivc Bvba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loerpaneel
EP3330055A1 (en) * 2016-12-01 2018-06-06 Tarkett GDL S.A. Floor ti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JP7039218B2 (ja) * 2017-09-01 2022-03-22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熱可塑性合成樹脂製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94339B1 (ko) * 2017-12-20 2021-08-26 (주)엘엑스하우시스 경량 바닥재
WO2020028633A1 (en) * 2018-08-01 2020-02-06 Klockner Pentaplast Of America, Inc. Calendered polyvinyl chlorsde/cellulose ester blend film
KR102244033B1 (ko) * 2018-10-02 2021-04-23 (주)엘지하우시스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2096717B1 (ko) * 2018-10-04 2020-05-27 유은정 포설용 코르크 바닥재 조성물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포설용 코르크 바닥재 조성물
KR102146644B1 (ko) * 2020-01-17 2020-08-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8390B1 (ko) * 2020-02-10 2022-01-07 주식회사 동신포리마 논슬립 발포폼을 포함하는 타일형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3446B1 (ko) * 2020-04-03 2020-05-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GB2595848B (en) * 2020-06-01 2023-04-19 Altr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KR102371324B1 (ko) * 2021-10-05 2022-03-07 (주)다오코리아 친환경 운동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18061628B (zh) * 2024-01-05 2024-08-13 浙江奕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磨塑胶地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806A (ja) * 2005-01-14 2006-07-27 Tohcello Co Ltd ポリ乳酸系延伸積層フィルム
JP2008207535A (ja) * 2007-01-31 2008-09-1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8213340A (ja) * 2007-03-06 2008-09-1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積層ストレッチ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2588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806A (ja) * 1996-11-13 1998-05-26 Tajima Inc パネル状クッション床材
CN1404441A (zh) * 2000-12-29 2003-03-19 Lg化学株式会社 防火复合板及其制成的防火装饰复合板
JP2003027723A (ja) * 2001-07-13 2003-01-29 Hagihara Industries Inc 畳床被覆用防水シート
JP2004107413A (ja) * 2002-09-17 2004-04-08 Mitsui Chemicals Inc 可塑剤含有ポリ乳酸系樹脂水分散体
US7354656B2 (en) 2002-11-26 2008-04-08 Michigan State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Floor covering made from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lactide-based composite formulation
CN100363432C (zh) * 2003-01-10 2008-01-23 日本电气株式会社 用南非槿麻纤维增强的树脂组合物
JP4273836B2 (ja) * 2003-05-27 2009-06-03 東レ株式会社 生分解性樹脂架橋発泡体を用いた建材
US7029750B2 (en) * 2003-07-14 2006-04-18 Mitsubishi Rayon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1175819B (zh) * 2005-08-02 2012-05-23 尤尼吉可株式会社 树脂组合物、其制造方法、由其所得的成型物
JP2007284587A (ja) * 2006-04-18 2007-11-01 Mitsubishi Rayon Co Ltd 耐擦傷性成形体
JP2008008138A (ja) * 2006-05-29 2008-01-17 Toray Ind Inc 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75367A (ja) 2006-09-22 2008-04-03 Toppan Printing Co Ltd 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40236B2 (ja) * 2006-09-27 2012-10-03 凸版印刷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体並びに床材
JP2008239857A (ja) * 2007-03-28 2008-10-09 Inoac Corp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樹脂成形体
EP2197957A1 (en) * 2007-10-01 2010-06-23 Arkema, Inc. Blends of biodegradable polymers and acrylic copolymers
US8536077B2 (en) * 2008-01-22 2013-09-17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Flooring underlayment membrane
CA2719409A1 (en) * 2008-03-24 2009-10-01 Biovation, Llc Biolaminate composit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806A (ja) * 2005-01-14 2006-07-27 Tohcello Co Ltd ポリ乳酸系延伸積層フィルム
JP2008207535A (ja) * 2007-01-31 2008-09-1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8213340A (ja) * 2007-03-06 2008-09-1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積層ストレッチ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2588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60A (ko) * 2014-09-02 2016-03-10 (주)엘지하우시스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KR101968781B1 (ko) * 2014-09-02 2019-04-12 (주)엘지하우시스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KR101627732B1 (ko) 2015-10-28 2016-06-07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내마모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비-폴리염화비닐 재활용성 친환경 바닥재
US10724252B2 (en) 2015-10-28 2020-07-28 Nox Corporation Non-polyvinyl chloride recyclable environment-friendly floor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abrasion-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WO2017095028A1 (en) * 2015-12-02 2017-06-08 Lg Hausys, Ltd. Pvc tile including polyester fiber
US11254805B2 (en) 2017-09-13 2022-02-22 Waps Co., Ltd Eco-friendly floo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0650A (zh) 2012-05-23
WO2011037325A3 (ko) 2011-06-16
CN102470650B (zh) 2015-04-15
US20120128946A1 (en) 2012-05-24
US9833974B2 (en) 2017-12-05
JP5733730B2 (ja) 2015-06-10
KR20110032536A (ko) 2011-03-30
JP2013504702A (ja) 2013-02-07
WO2011037325A2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335B1 (ko)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4820B1 (ko) 바닥재용 수지 조성물
KR101304144B1 (ko) 생분해성 시트
KR101320265B1 (ko) 무늬목 형태의 pla 표면층을 갖는 마루 바닥재
EP2554370B1 (en) Board complex having a pla cover
KR200470687Y1 (ko) 바이오 폴리머 수지를 구비하는 바닥재
CN102933392B (zh) 具有织物表面的聚乳酸地板材
KR101299358B1 (ko) 발포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101382809B1 (ko) 발포층을 포함하는 pla 바닥재
KR101285478B1 (ko) 발포pvc코팅사, 발포pvc직물시트 및 이들을 포함하는 바닥재
KR101262646B1 (ko) Pla 및 bio 블렌드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KR20140035614A (ko) Pla를 사용하는 벽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0810A (ko) 폴리락타이드 수지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 및 바닥재
EP2719846B1 (en) Chip-inlaid flooring material using pla resin
KR20110103808A (ko)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pla 바닥재
KR20110009268U (ko) 다층구조로 된 바닥재
KR20110103811A (ko) Pla 수지를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94535B1 (ko) 우드 칩과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KR20150073413A (ko) 보드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루 바닥재
KR101286339B1 (ko) Pla 수지를 사용한 우드 칩 인레이드 바닥재
KR101260562B1 (ko) Pla 수지를 이용한 칩 인레이드 그린 바닥재
KR101417189B1 (ko) 우드 칩과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KR101303442B1 (ko) Pla 수지를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34504B1 (ko) 내수안정성이 있는 pla 바닥재
KR101276525B1 (ko) 우드 칩 인레이드와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