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2659B1 - 반사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659B1
KR101852659B1 KR1020147023836A KR20147023836A KR101852659B1 KR 101852659 B1 KR101852659 B1 KR 101852659B1 KR 1020147023836 A KR1020147023836 A KR 1020147023836A KR 20147023836 A KR20147023836 A KR 20147023836A KR 101852659 B1 KR101852659 B1 KR 10185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reflection film
convex portion
light
film
pro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515A (ko
Inventor
요시마사 오스미
타케히코 나카가와
테츠야 미노베
유키 야마모토
요시노리 이토
요시히코 타카기
Original Assignee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59453A external-priority patent/JP60163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59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1524B2/ja
Application filed by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6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8Anti-ref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필름 기판(22)의 표면에는, 광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나노 사이즈의 광학 돌기(23)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구조와, 광학 돌기(23)의 찌부러짐 막기 위한 보호기둥(24)을 마련하고 있다. 보호기둥(24)은, 추대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보호기둥(24)의 기단에서의 직경을 D, 보호기둥(24)의 높이를 H, 보호기둥(24)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보호기둥(24)의 측면이 보호기둥(24)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를 θ로 할 때, 이들의 사이에는, D>2H×tan(2θ)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

Description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본 발명은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여 태양광이나 실내 조명, 외란광 등의 반사를 방지하고, 화면의 시인성을 높여서 화면이 또렷이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반사 방지 필름의 작용)
휴대 전화나 모바일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 여러가지의 기기는, 정밀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태양광이나 실내 조명광 등의 외광이 화면에 입사하면, 그 일부가 화면에서 반사함에 의해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화면이 부옇게 된다는 부적합함이 있다.
이와 같이 외광이 반사하는 현상은,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일어난다. 도 1A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앞면에, 에어 갭(공간)을 통하여 커버 패널(13)을 겹친 디스플레이 장치(1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 장치(11)에 외광이 입사하는 경우, 입사한 외광 중 4%의 광량이 커버 패널(13)의 앞면에서 반사하고, 또한 입사한 외광 중 3.8%의 광량이 커버 패널(13)의 이면에서 반사하고, 입사한 외광 중 3.7%의 광량이 액정 표시 패널(12)의 앞면에서 반사한다. 그 결과, 이 디스플레이 장치(11)에 100%의 광량의 외광이 입사하는 경우, 합계하면 입사한 외광의 11.5%의 광량이 정면측을 향하여 반사되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12)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상에 반사광(백색광)이 겹쳐져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표시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사 방지 필름(ARS)이 사용된다.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투명한 필름 기판의 표면에, 필름 기판과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미세한 광학 돌기를 밀집(密集)시켜서 형성한 것이다. 광학 돌기는, 원추형상이나 원추대형상, 사각추형상 등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B는, 커버 패널(13)의 이면에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입사한 외광 중 4%의 광량이 커버 패널(13)의 앞면에서 반사하고, 또한 입사한 외광 중 0.34%의 광량이 커버 패널(13)의 이면에서 반사하고, 입사한 외광 중 3.83%의 광량이 액정 표시 패널(12)의 앞면에서 반사한다. 이 결과,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인 커버 패널(13)의 이면에서의 반사가 대폭적으로 억제되어, 합계로는 입사한 외광의 8.17%의 광량밖에 정면측을 향하여 반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1장의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임에 의해, 반사광량은,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이지 않은 경우의 약 2/3배가 된다.
또한, 도 1C는, 커버 패널(13)의 이면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앞면에 각각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입사한 외광 중 4%의 광량이 커버 패널(13)의 앞면에서 반사하고, 또한 입사한 외광 중 0.34%의 광량이 커버 패널(13)의 이면에서 반사하고, 입사한 외광 중 0.33%의 광량이 액정 표시 패널(12)의 앞면에서 반사한다. 이 결과,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인 커버 패널(13)의 이면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앞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되어, 합계로는 입사한 외광의 4.67%의 광량밖에 정면측을 향하여 반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2장의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임에 의해, 반사광량은, 반사 방지 필름(14)을 붙이지 않은 경우의 약 1/3배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반사 방지 필름을 붙여 두면, 외광의 반사를 적게 할 수 있고,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여서 화상을 선명하게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에서는, 반사 방지 필름을 붙이지 않은 면에서의 반사율을 4%로 하고, 반사 방지 필름을 붙이고 있는 면에서의 반사율을 0.35%로 하였지만, 이들은 전형적인 값을 이용한 것이고, 반사율의 값은 반사 방지 필름의 종류나 커버 패널의 재질 등에 의해 약간 다를 수 있다.
(반사 방지 필름의 약점)
휴대 전화나 모바일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염이나 피지(皮脂) 등이 부착하기 쉽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은, 오염이나 피지 등을 닦아 내기 위해, 부드러운 천(布)이나 크리너 등으로 자주 문질려진다. 표면의 오염이나 피지 등을 닦을 때에는 커버 패널이 손가락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도 1B나 도 1C와 같이 반사 방지 필름을 붙이고 있으면, 반사 방지 필름의 미세한 광학 돌기가 대향면에 가압되어 찌부러지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에 터치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손가락이나 터치 펜으로 터치 패널을 가압하기 때문에, 반사 방지 필름을 붙이고 있으면 역시 반사 방지 필름의 광학 돌기가 대향면에 가압되어 찌부러지기 쉽다. 이리하여 광학 돌기가 찌부러져 버리면,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거나 한다.
(반사 방지 필름의 보호기둥(保護柱))
그 때문에,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반사 방지 필름에서는, 표면에 나노 오더의 광학 돌기를 밀집하여 형성된 반사 방지 필름에, 광학 돌기의 높이보다도 높은 미크론 오더의 보호기둥을 산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보호기둥에 의해 광학 돌기를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이 압류당해도 광학 돌기가 찌부러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원추, 사각추, 삼각추 등의 추형(錐形)의 보호기둥과, 사각 주, 원주, 타원주 등의 주형(柱形)의 보호기둥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추형의 보호기둥의 경우에는, 보호기둥이 대향면에 가압된 경우에는 선단이 찌부러지기 쉽다. 그 때문에, 보호기둥은, 선단면을 평탄면으로 하여 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호기둥의 선단면은 가능한 한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호기둥에 반사 방지 구조는 마련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보호기둥의 선단면의 면적을 크게 하면, 반사 방지 필름의 광학 성능이 악화한다. 또한, 보호기둥의 측면에 경사를 시행하면, 보호기둥의 기단면의 면적이 커지고,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 구조가 없는 영역의 면적이 그만큼 커진다. 한편, 균일한 단면을 갖는 주형의 보호기둥의 경우에는, 반사 방지 필름을 성형할 때의 이형성(離型性)이 나빠서 보호기둥이 성형틀(成形型)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되어, 보호기둥을 높게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당업자의 사이에서는, 성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로서, 가능한 한 보호기둥의 측면을 수직에 근접하여 보호기둥의 쓸데없는 면적을 작게 하고 싶다고 생각되고 있고, 일반적으로는, 측면이 경사하고 있고, 또한, 원주에 가까운 원추대형상의 보호기둥이 사용되고 있다.
(표면 반사와 이면 반사의 반사율 차)
그런데, 반사 방지 필름의 보호기둥을 원추대형(측면이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는 약 20°)으로 하면,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돌기(16)이나 보호기둥(15)을 마련한 면(표면)에 외광이 입사하는 경우(이하, 표면 입사라고 한다.)에 비하여,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돌기(16)나 보호기둥(15)을 마련한 면과 반대면(이면)에 외광이 입사하는 경우(이하, 이면 입사라고 한다.)의 반사 방지 효과가 나빠진다. 도 2B는 외광을 표면 입사시킨 경우의 반사 방지 필름 표면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D는 외광을 이면 입사시킨 경우의 반사 방지 필름 이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들의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면 입사의 경우에는, 표면 입사의 경우와 비교하여 각 보호기둥의 개소가 꽤 밝게 빛나고 있다. 특히, 보호기둥의 측면이 강하게 빛나기 때문에, 고리형상(環狀)으로 빛나고 있다. 수치로 나타내면, 이면 입사의 경우에는, 표면 입사의 경우와 비교하여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율이 0.49% 커진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추대형상의 보호기둥(15)에 광(L1)이 이면 입사하면, 입사한 광(L1)은 보호기둥(15)의 측면이나 선단면에서 복수회 전반사함에 의해 회귀반사(回歸反射)한다. 그 결과, 이면 입사의 경우에는, 반사 방지 필름(14)의 반사율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호기둥을 마련한 종래의 반사 방지 필름에서는, 이면 입사시키는 경우와 표면 입사시키는 경우에서 광학 특성이 크게 다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의 앞면에 붙여서 이용하는 경우(표면 입사시키는 경우)와, 커버 패널의 이면에 붙여서 이용하는 경우(이면 입사시키는 경우)에서 반사율이 크게 달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계상 또는 용도상 부적합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가압에 의한 간섭의 발생)
또한, 도 4A는,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대향 부재(18)에 대향 배치된 반사 방지 필름(14)을 나타내고 있다. 반사 방지 필름(14)은, 필름 기판(17)의 표면에 미세한 광학 돌기(16)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구조와 함께, 광학 돌기(16)보다도 높이가 큰, 광학 돌기 보호용의 보호기둥(15)을 마련한 것이다. 단, 도 4A에서는 광학 돌기(16)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보호기둥(15)의 간격(K)은 약 50㎛이다.
도 4A의 향하여 좌측의 보호기둥(15)은, 대향 부재(18)로부터 떨어진 상태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A의 향하여 우측의 보호기둥(15)은, 반사 방지 필름(14)이 눌려져서 대향 부재(18)와의 사이에서 눌려 찌부러진 상태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반사 방지 필름(14)에 보호기둥(15)이 마련되어 있으면, 보호기둥(15)의 선단면에서 반사한 광(반사율 4%)과 필름 기판(17)의 하면에서 반사한 광(반사율 0.35%)의 광이 간섭을 일으킨다. 그런데, 간섭은 일어나도, 그 시각적 영향에 관해서는, 간섭을 일으키는 2개의 광선의 광강도와 그 2개의 광선의 거리차(광로차)가 효과를 미친다. 도 4A의 경우에는, 필름 기판(17)의 하면에서의 광강도가 0.35%라는 미약한 반사광과 보호기둥(15)의 선단면에서의 4%라는 반사광과의 사이에서의, 상당히 강도가 다른 광선끼리의 간섭이기 때문에, 간섭광의 강도가 육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레벨에 달하는데는, 상당히 거리차가 짧아질 필요가 있다. 실험 및 검토의 결과, 0.35%의 반사광과 4%의 반사광과의 간섭이 육안적(目視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레벨에 달하기 위해서는, 광선의 거리차가 2㎛ 정도까지 짧아질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도 4A의 좌측의 보호기둥(15)에서는, 보호기둥(15)의 높이가 통상 2㎛보다도 크기 때문에, 필름 기판(17)의 하면에서 반사한 광과 보호기둥(15)의 선단면에서 반사한 광이 간섭을 일으키고 있어도, 그것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레벨에 까지 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반사 방지 필름(14)이 예를 들면 손가락 등으로 눌려져서, 도 4A의 우측의 보호기둥(15)과 같이 눌려 찌부러져 높이가 2㎛ 이내가 되면, 필름 기판(17)의 하면에서 반사한 광과 보호기둥(15)의 선단면에서 반사한 광과의 간섭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레벨이 된다. 이리하여 간섭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레벨에 달하면, 간섭에 의한 색(간섭색)이 관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눌려지지 않은 영역에서는 반사 방지 필름(14)은 물들어 있지 않고, 눌려진 영역만이 간섭색 때문에 물들어 보이게 된다.
도 11A는, 원(R)으로 나타내는 영역을 누른 때의 반사 방지 필름을 도시하는 사진이다(원(R)의 직경은, 성인의 손가락의 폭 정도이다.). 누른 영역에 발생한 간섭색의 색은 엷은 것이다. 그러나, 간섭색 자체는 색이 엷은 것이라도, 그 주위의 간섭색이 생기지 않은 영역과의 사이에 생기는 색의 변화가 눈에 거스르게 되기 때문에, 시각적인 문제가 생긴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2-122702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4-70164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허 제453975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광학 돌기를 보호하기 위한 볼록부(보호기둥)를 구비한 반사 방지 필름에서, 이면 입사일 때의 보호기둥에 의한 회귀반사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다른 목적은, 광학 돌기를 보호하기 위한 볼록부(보호기둥)를 갖는 반사 방지 필름에서, 누른 영역에 발생하는 간섭색과, 간섭색이 생기지 않은 주위의 영역과의 사이의 색 변화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은, 필름 기판과, 상기 필름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한 광학 돌기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구조와, 상기 필름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광학 돌기보다도 높이가 큰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한 반사 방지 필름에서, 상기 볼록부는, 기단부측부터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필름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로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기단에서의 직경을 D,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H, 상기 볼록부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상기 볼록부의 측면이 상기 볼록부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를 θ로 할 때,
D > 2H×tan(2θ) … (조건 1)
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조건 1을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볼록부에 이면 입사한 광은 원래의 방향을 향하여 회귀반사하지 않고, 필름 기판 내로 유도된다. 그 때문에, 반사 방지 필름을 이면 입사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볼록부가 빛나기 어려워지고, 반사 방지 필름의 효과가 보다 양호해진다. 그 결과, 광을 반사 방지 필름에 이면 입사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와 표면 입사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서 반사율의 차가 작아진다. 또한, 반드시 모든 볼록부가 조건 1을 충족시키고 있을 것까지는 요구되지 않는다. 적어도 일부의 볼록부가 조건 1을 충족시키고 있을 뿐이라도, 이면 입사일 때의 반사광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어느 실시양태는, 상기 볼록부의 굴절률을 n으로 할 때, 복수의 상기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θ > 0.5×arcsin(1/n) … (조건 2)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종래례에서는, 조건 2를 충족시키고 있고서 이면 입사시에 회귀반사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건 2를 충족시키는 경우에 조건 1을 적용함에 의해, 이면 입사시의 반사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다른 실시양태에서의 상기 볼록부는, 그 높이 방향에서 본 치수가 60㎛보다도 작고, 또한, 100㎛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 방향에서 본 치수는, 특히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약 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간격은, 2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볼록부가 배치되어 있는 밀도는, 거의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의 높이가 2㎛보다도 작으면, 반사 방지 필름이 눌려 있지 않아도, 반사 방지 필름에 대향하는 부재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섭 줄무늬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단위면적당의 밀도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볼록부는, 일정한 하중량(荷重量)에 견뎌서 반사 방지 필름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를 위해서는, 반사 방지 필름의 면적에 대해 적어도 1% 정도의 면적은 차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볼록부의 밀도가 작아지면 볼록부 사이의 영역이 휘어서 대향 부재에 접촉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너무 지나치게 넓게 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도 보호기둥은 1% 이상의 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액정 패널과 겹쳐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배열 방향을 상기 액정 패널의 화소의 배열 방향에 대해 기울이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반사 방지 필름에서의 볼록부의 배열 피치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가 대충 같은 경우에도 무아레 줄무늬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예를 들면 정보 표시 모듈과 커버 패널 또는 터치 패널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이 태양광이나 조명광의 반사로 빛나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상 설명한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한 특징을 갖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 요소의 조합에 의한 많은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은, 볼록부에 이면 입사한 광은 원래의 방향을 향하여 회귀반사하지 않고, 필름 기판 내로 유도된다. 그 때문에, 반사 방지 필름을 이면 입사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볼록부가 빛나기 어려워지고, 반사 방지 필름의 효과가 보다 양호해진다. 그 결과, 광을 반사 방지 필름에 이면 입사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와 표면 입사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서 반사율의 차가 작아진다. .
도 1A는, 반사 방지 필름을 마련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B는, 1장의 반사 방지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C는, 2장의 반사 방지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A는, 반사 방지 필름에 표면 입사하는 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광이 표면 입사하고 있는 반사 방지 필름의 표면측의 양상을 도시하는 현미경 사진. 도 2C는, 반사 방지 필름에 이면 입사하는 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D는, 광이 이면 입사하고 있는 반사 방지 필름의 이면측의 양상을 도시하는 현미경 사진.
도 3은, 종래의 반사 방지 필름에서, 이면 입사일 때에 보호기둥에 의해 회귀반사가 생기는 양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A는, 종래의 반사 방지 필름에서, 그 일부가 눌려져서 대향 부재와의 사이에서 보호기둥이 눌려 찌부러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B는, 도 4A에 대응하는 색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1개의 보호기둥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보호기둥의 직경과 보호기둥에 의한 회귀반사의 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만곡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보호기둥의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반사 방지 필름에서, 그 일부가 눌려져서 대향 부재와의 사이에서 보호기둥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B는, 도 10A에 대응하는 색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보호기둥의 간격을 각각 50㎛, 200㎛, 500㎛로 변화시킨 반사 방지 필름에서, 그 일부를 누른 때의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보호기둥의 직경을 각각 20㎛, 40㎛, 60㎛로 변화시킨 반사 방지 필름에서, 그 일부를 누른 때의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반사 방지 필름의 이용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4는, 반사 방지 필름과 화상 표시 패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는, 액정 패널에 대향하는 반사 방지 필름이 휘어진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B는, 높이가 2㎛ 이상의 보호기둥을 갖는 반사 필름의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A는, 보호기둥이 없는 반사 방지 필름에 생긴 간섭 줄무늬(뉴턴 링)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B는, 높이가 3㎛의 보호기둥을 갖는 반사 방지 필름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2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그 볼록부 즉 보호기둥(24)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 필름(21)은, 투명한 필름 기판(22)의 평활한 표면에, 필름 기판(22)과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투명한 광학 돌기(23)를 밀집시켜서 다수 형성한 것이다. 또한, 필름 기판(22)의 표면에는, 필름 기판(22)과 동등한 또는 거의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원추대형상의 투명한 보호기둥(24)(밀착 방지용의 볼록부)이 일정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필름 기판(22)은, 굴절률이 높은 투명 수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에 의해 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필름 기판(22)은, 경질의 수지 기판이라도 좋고, 두께가 얇은 유연한 필름 기판이라도 좋고, 특히 두께는 묻지 않는다.
광학 돌기(23)는 나노 사이즈의 미소 돌기로서, 원추형상이나 원추대형상, 4각추형상 등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광학 돌기(23)의 형상은, 회전 타원면의 일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기둥(24)은, 저면의 면적보다도 선단면의 면적이 작은 원추대형상을 하고 있고, 광학 돌기(23)보다도 큰 높이를 갖고 있다. 보호기둥(24)은, 측면(24a)과 선단면(24b)을 갖고 있고, 선단면(24b)은 필름 기판(22)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반사 방지 필름(21)에 수직하게 광(L2)가 이면 입사한 경우에는, 측면(24a)에 닿은 광(L2)은 측면(24a)에서 전반사하고, 또한 선단면(24b)에 입사하여 선단면(24b)에서 전반사한 후, 측면(24a)에 재입사하는 일 없게 필름 기판(22) 내로 들어가, 필름 기판(22) 내를 횡방향으로 도광하여 간다. 따라서 반사 방지 필름(21)에 광이 이면 입사하여도 보호기둥(24)에서 광이 회귀반사하여 원래의 방향으로 되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보호기둥(24)이 빛나 보이지 않게 된다. 이 결과, 표면 입사의 경우와 이면 입사의 경우에서, 같은 정도로 반사광을 컷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이면 입사한 광이 도 6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기 위한 조건을 명확하게 한다. 가장 회귀반사하기 쉬운 광은, 보호기둥(24)의 단(端)(도 6의 a점)에 입사한 광이기 때문에, 이 광이 회귀반사할 수 없게 되면, 측면(24a)에서 반사한 광은 모두 회귀반사하지 않게 된다. 보호기둥(24)의 굴절률을 n, 보호기둥(24)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측면(24a)이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를 θ로 하면, 보호기둥(24)의 단의 a점에 입사한 광(L3)이, 측면(24a)에서 전반사되는 조건은,
0° < θ < arccos(1/n) … (조건 3)
가 된다. a점에서 전반사한 광(L3)은, 선단면(24b)에 입사하는데, 이 광(L3)이 선단면(24b)에서 전반사하는 조건은,
θ > 0.5×arcsin(1/n) … (조건 4)
가 된다. 또한, b점이 측면(24a)상에 없고 선단면(24b)에 있기 위한 조건은, 보호기둥(24)의 기단면의 직경을 D, 보호기둥(24)의 높이를 H로 하면,
H×tan(2θ) < D-H×tan(θ) … (조건 5)
가 된다. 또한, 이면 입사한 광(L3)이 회귀반사하지 않기 위해서는, 선단면(24b)에서 전반사한 광이 측면(24a)의 단의 c점보다도 좌측을 통과되면 좋다. 그를 위해서는,
D > 2H×tan(2θ) … (조건 6)
를 충족시키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면 입사시에 회귀반사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조건 3 내지 조건 6을 충족시키면 좋다. 여기서, 측면(24a)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θ)가 45°에 근접하면, 보호기둥(24)의 직경(D)을 매우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조건 6을 참조), 실제상은 θ는 45도에 비하여 작아야 한다. 그 때문에, 일반적인 굴절률(n)의 값이라면, 당연히 조건 3은 충족된다. 또한, 조건 6이 충족되어 있으면, 조건 5도 충족된다. 따라서, 조건 4와 조건 6을 충족시키면 좋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보호기둥(24)이 조건 4를 충족시키지 않는 것이면, 광은 선단면(24b)을 투과하여 버려 회귀반사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 문제가 없다. 따라서 적어도 일부의 보호기둥(24)이 조건 4를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 본원 발명이 유용성이 있다. 결국은, 조건 6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회귀반사에 의해 보호기둥(24)이 빛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보호기둥(24)이 조건 6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모든 보호기둥(24)이 조건 6을 충족시키는 것까지 요구되지 않는다. 적어도 일부의 보호기둥(24)이 조건 6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그 한도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사 방지 필름(21)의 성형시에 있어서, 보호기둥(24)의 성형틀로부터의 떼어냄의 쉬움이나 일그러짐이 생기기 어려움을 등을 고려하면, 측면(24a)의 각도(θ)는 3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 35° 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건 6을 충족시키는 보호기둥(24)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높이(H)를 3㎛ 정도, 직경(D)을 20㎛ 정도로 하면 좋다.
도 7은, 직경(D)이 다른 보호기둥에 광을 이면 입사시킨 때의, 각각의 현미경 사진이다. 횡축 방향은 보호기둥의 직경(D)을 작은 것부터 큰 것으로 나열한 것이고, 종축 방향은 반사광의 작은 것부터 큰 것으로 나열하고 있다. 이 측정의 조건으로는, 보호기둥의 높이(H)를 3㎛로 하고, 측면(24a)의 각도(θ)를 30°로 하였다. 이 수치례에서는, 조건 6으로부터 구한 직경(D)의 최소치는 약 10㎛이다. 왼쪽부터 첫번째와 두번째의 직경(D)이 3㎛와 5㎛의 것이 종래례이고, 직경(D)이 10㎛의 것이 경계에 있다. 또한, 직경(D)이 21㎛, 41㎛, 61㎛의 오른쪽부터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가 본 발명의 실시례이다. 직경(D)이 3㎛, 5㎛의 것에서는, 회귀반사하여 상당히 빛나고 있다. 직경(D)이 10㎛의 것에서는, 면 정밀도 등의 관계로 회귀반사광이 남아 있다. 직경(D)이 21㎛ 이상의 것에서는, 거의 회귀반사광은 알 수 없게 되어 있다.
(단면이 만곡한 보호기둥으로의 확장)
보호기둥(24)의 단면이 만곡하고 있는 경우의 조건 6의 적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이와 같은 보호기둥의 한 예로서 타원형 단면의 보호기둥(24)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보호기둥(24)의 저면부터 잰 점(P)의 높이를 H로 할 때, 그 높이(H)의 1/2의 높이에서의 보호기둥(24)의 표면의 점(N1, N2)을 생각한다. 즉, 정점(P)를 통과하고 저면에 평행한 수평면(T)의, 저면부터 잰 높이를 H로 하고, 저면부터 H/2의 높이에서의 보호기둥(24)의 표면상의 점을 N1, N2로 한다. 계속해서, 보호기둥(24)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점(N1, N2)에서 보호기둥 표면에 접하는 접선(S1, S2)을 구하고, 당해 접선(S1, S2)과 저면과의 교점을 각각 B1, B2로 하고, 접선(S1, S2)과 수평면(T)과의 교점을 각각 C1, C2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단면에서 정의된 접선(S1, S2)과 수평면(T)으로 이루어지는 대형상(臺形狀)(B1-N1-C1-P-C2-N2-B2)에 의해 정의되는 추대형상이, 조건 6을 적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다. 즉, 이와 같은 형상의 보호기둥(24)에 관해 조건 6을 적용한 경우에는, B1-B2 사이의 거리를 직경(D)으로 하여, 접선(S1, S2)이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를 θ로 하면 좋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31)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3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반사 방지 필름(31)은, 투명한 필름 기판(22)의 평활한 표면에, 필름 기판(22)과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투명한 광학 돌기(23)를 밀집시켜서 다수 형성한 것이다. 또한, 필름 기판(22)의 표면에는, 필름 기판(22)과 동등한 또는 거의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원추대형상의 투명한 보호기둥(24)(밀착 방지용의 볼록부)이 일정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필름 기판(22)은, 굴절률이 높은 투명 수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에 의해 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필름 기판(22)은, 경질의 수지 기판이라도 좋고, 두께가 얇은 유연한 필름 기판이라도 좋고, 특히 두께는 묻지 않는다.
광학 돌기(23)는 나노 사이즈의 미소 돌기로서, 원추형상이나 원추대형상, 4각추형상 등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광학 돌기(23)의 형상은, 회전 타원면의 일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기둥(24)은, 저면의 면적보다도 선단면의 면적이 작은 원추대형상을 하고 있고, 광학 돌기(23)보다도 큰 높이를 갖고 있다. 보호기둥(24)은, 측면(24a)과 선단면(24b)을 갖고 있고, 선단면(24b)은 필름 기판(22)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보호기둥(24)은, 기단면의 직경(D)이 60㎛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특히, 보호기둥(24)의 직경(D)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기둥(24)은,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의 간격(K)을 띄우고 필름 기판(22)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31)에서는, 종래례보다도 보호기둥(24)의 간격이 크게 되어 있다. 도 11A는 종래례의 반사 방지 필름(14)을 도시하는 사진이고, 이 반사 방지 필름(14)에서는 보호기둥(15)이 K=50㎛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반사 방지 필름(31)을 도시하는 사진이고, 각각 보호기둥(24)이 K=200㎛, 500㎛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어느 보호기둥(15, 24)도, 그 직경(D)은 100㎛ 이하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에서는, 모두 성인의 손가락의 폭 정도의 영역을 누르고 있고, 억누르고 있는 영역은 원(R)으로 둘러싸서 나타내고 있다. 도 11A의 경우(K=50㎛)에서는, 누른 영역이 희미하게 물들어 있고 주위와 구별할 수 있지만, 도 11B의 경우(K=200㎛)에서는, 누른 영역의 물들음이 상당히 엷어져서 주위의 색에 녹아들어 있고, 도 11C의 경우(K=500㎛)에서는, 누른 영역에서도 거의 물들음이 없어져 있다.
도 4와 도 10을 비교하면서, 이 이유를 설명한다. 도 4A는 종래례의 반사 방지 필름(14)의 일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그 때의 반사 방지 필름(14)에 따른 위치에서의 색도(물들음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반사 방지 필름(31)의 일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B는 그 때의 반사 방지 필름(31)에 따른 위치에서의 색도를 나타내고 있다. 사람의 육안에 의한 식별 능력(분해 성능)은 약 100㎛이기 때문에, 도 4A와 같이 보호기둥(15)의 간격이 100㎛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보호기둥(15)에서의 물들음을 개개로 인식할 수가 없고, 대향 부재(18)에 꽉 눌려 있는 영역 전체가 면형상으로 물들어 보인다. 또한, 누른 영역의 언저리(緣)의 부분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색도가 짧은 거리에서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물든 영역의 언저리가 또렷하여, 눈에 띄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도 10A와 같이 보호기둥(24)의 간격이 100㎛ 이상이 되면, 개개의 보호기둥(24)을 분리하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기둥(24)이 대향 부재(32)에 꽉 눌려 있어도, 물들어 있는 부분의 면적이 작게 느껴진다. 또한, 누른 영역의 언저리의 부분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색도(물들음의 강도)가 완만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물들은 영역의 언저리가 어렴풋하여,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보호기둥의 간격(K)은 100㎛ 이상이면 좋다. 그러나, 높은 품질을 바라는 경우에는, 도 11A 내지 11C를 참조하면, 보호기둥을 배치하는 간격(K)은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는, 직경(D)이 20㎛의 보호기둥을 200㎛의 간격으로 배치한 반사 방지 필름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12B는, 직경(D)이 40㎛의 보호기둥을 200㎛의 간격으로 배치한 반사 방지 필름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12C는, 직경(D)이 60㎛의 보호기둥을 200㎛의 간격으로 배치한 반사 방지 필름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보호기둥의 직경을 점차로 크게 하여 간 경우, 직경(D)이 20㎛나 40㎛의 경우에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기둥은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보호기둥의 직경(D)이 60㎛가 되면,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기둥에 의한 점점히 산재한 느낌이 꽤 현저해진다. 따라서, 보호기둥(24)의 직경(D)으로서는, 60㎛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 이하에서는 거의 보호기둥(24)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보호기둥(24)은, 그 간격(K)이 100㎛ 이상이고, 또한, 직경(D)이 60㎛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기둥(24)의 간격(K)은, 특히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기둥(24)의 직경(D)은, 강도가 유지되는 한도에서, 작으면 작을수록 좋고, 특히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기둥(24)은, 면적 밀도(필름 기판의 어느 면적에 대한, 그 면적 내에 포함되는 보호기둥의 면적의 합계의 백분율)가 거의 1% 정도로 되도록 하면 좋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40)(예를 들면 반사 방지 필름(21)이나 반사 방지 필름(31))을 붙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몇가지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에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1)는, 액정 표시 패널(LCD)이나 유기 EL 등(OLED)의 화상 표시 패널(42)의 앞면에, 에어 갭(공간)을 통하여 커버 패널(43)을 겹친 것이고, 커버 패널(43)의 이면과 화상 표시 패널(42)의 앞면에 반사 방지 필름(40)을 붙이고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4)는, 커버 패널(43)의 앞면 및 이면과 화상 표시 패널(42)의 앞면에 반사 방지 필름(40)을 붙이고 있다. 도 13B와 같이 커버 패널(43)의 앞면에도 반사 방지 필름(40)을 붙이면 반사 방지의 효과는 높아지지만, 커버 패널(43)의 앞면의 반사 방지 필름(40)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기 때문에, 손상되거나 더러워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도 13C에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5)는, 커버 패널(43)의 이면과 화상 표시 패널(42)의 앞면중 한쪽에만 반사 방지 필름(40)을 붙이고 있다. 도 13C와 같은 형태에서는, 반사 방지의 효과는 낮아지지만, 비용이 내려가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서는 유효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42)은 모노클로 표시용의 것이라도 좋고, 컬러 표시용의 것이라도 좋다. 커버 패널(43)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균일한 두께의 보호 시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 방지 필름(40)을 화상 표시 패널(42)과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 방지 필름(40)에서의 보호기둥(24)의 배열 피치와, 화상 표시 패널(42)의 화소 피치가 거의 같아지는 일이 있다. 보호기둥(24)의 배열 피치와 화소 피치가 거의 같아지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무아레 줄무늬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반사 방지 필름(40)의 보호기둥(24)과 화상 표시 패널(42)의 화소가 같은 피치(p, q)로 배열하고 있어서 무아레 줄무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 필름(40)을 화상 표시 패널(42)에 대해 약 90° 회전시켜서, 반사 방지 필름(40)에서의 피치(p)의 보호기둥 배열 방향과 화상 표시 패널(42)에서의 피치(q)의 화소 배열 방향이 거의 평행하게, 또한, 반사 방지 필름(40)에서의 피치(q)의 보호기둥 배열 방향과 화상 표시 패널(42)에서의 피치(p)의 화소 배열 방향이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도 14와 같이 피치(p, q)가 다른 보호기둥(24)의 배열 방향과 화소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보호기둥(24)의 배열 방향을 화소의 배열 방향에 대해 조금 기울여서 이용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도 14의 화상 표시 패널(42)에서는, 적색 화소(46r), 녹색 화소(46g) 및 청색 화소(46b)가 1조(組)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42)에 커버 패널(43)이 대향하여 있는 때, 커버 패널(43)에 반사 방지 필름이 붙여지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 패널(43)이 눌려져서 커버 패널(43)과 화상 표시 패널(42)의 간극이 60㎛ 정도가 되면 간섭 줄무늬(뉴턴 링)가 발생한다. 도 16A는, 커버 패널(43)을 손가락 끝으로 눌러서 간섭 줄무늬가 생긴 것이다. 이에 대해, 도 15A와 같이 커버 패널(43)의 내면에 반사 방지 필름(40)을 붙이고 있는 경우에는, 간극이 2㎛ 정도가 되지 않으면 간섭 줄무늬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5B와 같이 높이가 2㎛ 이상의 보호기둥(24), 바람직하게는 3㎛ 정도의 높이의 보호기둥(24)을 반사 방지 필름(40)에 마련해 두면,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B는, 높이가 3㎛의 보호기둥(24)을 갖는 반사 방지 필름(40)을 커버 패널(43)의 이면에 붙인 것이다. 도 16B도, 도 16A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으로 누른 때의 사진이지만, 간섭 줄무늬는 발생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간섭 줄무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높이가 2㎛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정도의 높이의 보호기둥(24)을 반사 방지 필름(40)에 마련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보호기둥(24)을 마련한 경우에는, 단위면적당으로 1% 이상의 밀도로 보호기둥(24)을 마련하는 것이 유효하다. 보호기둥(24)의 밀도가 작으면, 보호기둥(24)과 보호기둥(24)의 중간 영역이 화상 표시 패널(42)에 밀착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1, 31, 40 : 반사 방지 필름
22 : 필름 기판
23 : 광학 돌기
24 : 보호기둥
24a : 보호기둥의 측면
24b : 보호기둥의 선단면
42 : 화상 표시 패널
43 : 커버 패널
K : 보호기둥의 간격

Claims (11)

  1. 필름 기판과,
    상기 필름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한 광학 돌기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구조와,
    상기 필름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광학 돌기보다도 높이가 큰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한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기단부측부터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필름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로 작게 되어 있고, 또한, 기단면의 면적보다도 선단면의 면적이 작은 원추대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볼록부의 기단에서의 직경을 D,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H, 상기 볼록부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상기 볼록부의 측면이 상기 볼록부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를 θ로 할 때,
    D > 2H×tan(2θ)
    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굴절률을 n으로 할 때, 복수의 상기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θ > 0.5×arcsin(1/n)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그 높이 방향에서 본 치수가 60㎛보다도 작고, 또한, 200㎛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 방향에서 본 상기 치수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가,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단위면적당의 밀도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액정 패널과 겹쳐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배열 방향을 상기 액정 패널의 화소의 배열 방향에 대해 기울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정보 표시 모듈과 커버 패널 또는 터치 패널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KR1020147023836A 2012-03-15 2013-03-12 반사 방지 필름 Expired - Fee Related KR10185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9453A JP6016394B2 (ja) 2012-03-15 2012-03-15 反射防止フィルムを備えた情報表示装置
JP2012059487A JP5931524B2 (ja) 2012-03-15 2012-03-15 反射防止フィルム
JPJP-P-2012-059487 2012-03-15
JPJP-P-2012-059453 2012-03-15
PCT/JP2013/056806 WO2013137251A1 (ja) 2012-03-15 2013-03-12 反射防止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515A KR20150009515A (ko) 2015-01-26
KR101852659B1 true KR101852659B1 (ko) 2018-04-26

Family

ID=4916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2659B1 (ko) 2012-03-15 2013-03-12 반사 방지 필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116834A1 (ko)
EP (1) EP2827177B1 (ko)
KR (1) KR101852659B1 (ko)
CN (1) CN104169746B (ko)
DK (1) DK2827177T3 (ko)
SG (1) SG11201405513QA (ko)
TW (1) TWI572885B (ko)
WO (1) WO2013137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7271A (en) * 2014-04-07 2015-12-23 Ujett D P Ltd Coated optical substrates
JPWO2016006651A1 (ja) * 2014-07-10 2017-04-27 Scivax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5122768A1 (de) * 2015-12-23 2017-06-29 Temicon Gmbh Plattenförmiges optisches Element zur Auskopplung von Licht
US20180188861A1 (en) * 2017-01-03 2018-07-05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10804347B2 (en) * 2017-09-13 2020-10-13 Int Tech Co., Ltd. Display panel
US10527878B2 (en) * 2017-09-13 2020-01-07 Int Tech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766649A (zh) * 2019-03-30 2020-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元件、摄像头模组、终端和光学元件的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164A (ja) 2002-08-08 2004-03-04 Alps Electric Co Ltd 反射防止膜および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WO2007139210A1 (en) 2006-05-31 2007-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2009009078A (ja) 2007-05-31 2009-0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部材、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50981A (ja) 2007-12-19 2009-07-09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154674A (ja) 2009-09-02 2011-08-11 Sony Corp タッチパネル、情報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7757A1 (en) * 1995-03-03 1996-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ght directing film having variable height structured surface and light directing article constructed therefrom
JP3358935B2 (ja) * 1995-10-02 2002-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509808B (en) * 1997-06-12 2002-11-1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459275B (en) * 1999-07-06 2001-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2122702A (ja) 2000-10-17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素子
JP2003279705A (ja) * 2002-03-25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反射防止部材
JP2004177806A (ja) * 2002-11-28 2004-06-24 Alps Electric Co Ltd 反射防止構造および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並びに反射防止膜成型用金型
JP4225110B2 (ja) * 2003-05-09 2009-02-18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と表示装置
US7384173B2 (en) * 2004-12-30 2008-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ightness enhancement article
JP2006331757A (ja) * 2005-05-25 2006-12-07 Omron Corp 面光源装置と該面光源装置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78873A (ja) * 2005-12-28 2007-07-12 Nikon Corp 光学素子
US20080049330A1 (en) * 2006-08-25 2008-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directing laminate
JP4539759B2 (ja) 2007-10-01 2010-09-08 オムロン株式会社 反射防止シート、表示素子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254664B2 (ja) * 2008-05-27 2013-08-07 株式会社Dnpファインケミカル 反射防止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8953B2 (ja) * 2008-11-17 2012-07-04 修司 岩田 反射防止機能を有する機能性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5257066B2 (ja) * 2008-12-26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表示装置、反射防止機能付き光学部品、および原盤
JP2011107195A (ja) * 2009-11-12 2011-06-02 Olympus Corp 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微細凹凸構造および成形型
JP2012037622A (ja) * 2010-08-04 2012-02-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および透過型表示装置
US9557448B2 (en) * 2011-09-15 2017-01-31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Contact prevention film,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over pan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164A (ja) 2002-08-08 2004-03-04 Alps Electric Co Ltd 反射防止膜および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WO2007139210A1 (en) 2006-05-31 2007-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2009009078A (ja) 2007-05-31 2009-0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部材、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50981A (ja) 2007-12-19 2009-07-09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154674A (ja) 2009-09-02 2011-08-11 Sony Corp タッチパネル、情報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69746B (zh) 2016-06-08
KR20150009515A (ko) 2015-01-26
DK2827177T3 (en) 2018-02-12
TW201344233A (zh) 2013-11-01
EP2827177A1 (en) 2015-01-21
US20150116834A1 (en) 2015-04-30
CN104169746A (zh) 2014-11-26
WO2013137251A1 (ja) 2013-09-19
EP2827177B1 (en) 2017-11-29
SG11201405513QA (en) 2014-11-27
TWI572885B (zh) 2017-03-01
EP2827177A4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659B1 (ko) 반사 방지 필름
KR101802573B1 (ko) 밀착 방지 필름,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패널
EP3699683A1 (en) Anti-peep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TWI362468B (en) Back-light portion
JP2013195599A (ja) 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US10466393B2 (en) Display device
JP2013003272A (ja) 光拡散シート、透過型表示装置
JP6016394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を備えた情報表示装置
JP2004070164A (ja) 反射防止膜および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JP5931524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101343118B1 (ko) 가변 배열된 양면 패턴 도광판
CN204926762U (zh) 触控面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343116B1 (ko)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JP2006208535A (ja) 液晶表示装置
US20100189962A1 (en) Transparent coordinate input device and transparent composite material having ridge portion formed in transparent resistance film
KR20140086061A (ko)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펜 시스템
KR20050115664A (ko) 광학필름
JP6957869B2 (ja) 表示装置
CN223038568U (zh) 显示屏和电子设备
KR20190076921A (ko)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TWI695190B (zh) 光學膜、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07765439A (zh) 光栅、具有该光栅的立体显示装置及显示方法
JP6859655B2 (ja) 表示装置
KR20050094212A (ko) 오목 5각형 구조의 프리즘 패턴을 갖는 도광판
JP2018087893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