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1638B1 -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38B1
KR101851638B1 KR1020160007283A KR20160007283A KR101851638B1 KR 101851638 B1 KR101851638 B1 KR 101851638B1 KR 1020160007283 A KR1020160007283 A KR 1020160007283A KR 20160007283 A KR20160007283 A KR 20160007283A KR 101851638 B1 KR101851638 B1 KR 10185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ve
absorbing
head
reflective
comb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590A (ko
Inventor
박부고
김만겸
신은별
Original Assignee
(주)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엔디에스
Priority to KR102016000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5/00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 A01B45/02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for aer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0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9/04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correcting geometrical aberrations, distor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는: 영상장치에서 제공된 빛의 일부를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는 반사투과부재 및 반사투과부재를 투과한 빛을 흡수하는 투과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COMBINER FOR HEAD UP DISPLAY}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에 관한 것으로, 고스트 이미지를 차단하면서 외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중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와 주변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해주는 방법으로 개발 중인 여러 시스템이 있는데, 그 중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란 차량 주행 중 운전자의 정면, 즉, 운전자의 눈 높이에 따른 시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차량의 주행 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 등과 같이 차량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영상을 운전자 전방에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윈드 쉴드나 컴바이너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지점에 계기판의 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행 관련 정보에 대한 가상 영상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중에 전방 시야를 유지하면서도 차량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29287호(2013.11.07, 발명의 명칭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스트 이미지를 차단하면서 외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강한 빛에 의한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어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는: 영상장치에서 제공된 빛의 일부가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는 반사투과부재 및 상기 반사투과부재를 투과한 빛을 흡수하는 투과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과흡수부재는 상기 반사투과부재에 겹쳐지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재 및 상기 투과부재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반사투과부재를 투과한 빛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반사투과부재의 가상이미지를 관찰하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과부재의 면 중 운전자와 가까운 쪽의 면을 S1, S1과 마주하는 면을 S2라고 할 때, 상기 흡수부재는 S1과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과부재는 한 쌍의 제1,2투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제2투과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투과부재와 상기 흡수부재는 필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원도우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과부재는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투과부재와 상기 투과흡수부재는 평면, 구면, 비구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는 영상장치로부터 온 빛 중 내부에서 반사되어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고스트 이미지를 만드는 빛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 시야는 확보할 수 있어 외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등 외부에서 유입되는 강한 빛에 의한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어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흡수부재와 운전자 시선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외부광 차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제1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제2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제3변형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제4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흡수부재와 운전자 시선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의 외부광 차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100)는 면반사에 의한 고스트 이미지 및 외부 빛에 의한 반사광을 제거하면서, 가상 이미지와 외부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컴바이너(100)는 반사투과부재(110) 및 투과흡수부재(120)를 포함한다.
영상장치(1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으로 구성되거나,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e) 패널 등의 소형 패널과 패널 영상을 확대 시켜주는 광학계가 함께 구성되며, 영상장치(10)에서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에 대한 영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장치(10)는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 대시보드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반사투과부재(110)는 영상장치(10)에서 제공된 빛의 일부가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된다. 즉, 반사투과부재(110)는 정해진 반사 및 투과율을 지니고 있어 영상장치(10)로부터 온 빛 중 일부를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투과흡수부재(120)는 반사투과부재(110)를 투과한 빛을 흡수한다. 반사투과부재(110)에서 투과된 빛은 투과흡수부재(12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고스트 이미지를 만드는 빛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반사투과부재(110)와 투과흡수부재(120)는 운전자와 가까운 순서로 반사투과부재(110), 투과흡수부재(120)가 배치된다. 여기서, 반사투과부재, 투과흡수부재(110,120)는 경사지게 구비되며, 반사투과부재(110)의 하부에는 영상장치(10)가 구비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100)는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구동장치에 의해 각도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흡수부재(120)는 반사투과부재(110)에 겹쳐지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재(122) 및 투과부재(122)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반사투과부재(110)를 투과한 빛을 흡수하는 흡수부재(125)를 포함한다. 투과부재(122)는 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반사투과부재(110)와 흡수부재(12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투과부재(110)와 투과부재(122)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과부재(122)의 면 중 운전자와 가까운 쪽의 면을 S1, S1과 마주하는 면을 S2라고 할 때, 반사투과부재(110)는 투과부재(122)의 S1에 갭(Gap)없이 부착된다.
흡수부재(125)는 투과부재(122)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흡수부재(125)는 반사투과부재(110)의 가상이미지를 관찰하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투과부재(122)의 제조시 흡수부재(125)는 투과부재(122)의 내부에 가상 이미지를 관찰하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장치(10)로부터 온 빛은 흡수부재(125)에 흡수되어 자동차의 윈드쉴드(20)에 전달되지 못하므로 고스트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흡수부재(125)에 의해 투과부재(122)의 S2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투과부재(122)에서 발생되는 고스트 이미지 또한 제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쉴드(20)에 외부의 강한 빛 또한, 흡수부재(125)에 의해 흡수되므로 반사광에 의해 가상 이미지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시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100)의 제1변형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과부재(122)의 면 중 운전자와 가까운 쪽의 면을 S1, S1과 마주하는 면을 S2라고 할 때, 흡수부재(125)는 S1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수부재(125)와 투과부재(122)의 S1 사이에는 갭이 발생하면, 투과부재(122)의 S1면의 균일한 가공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투과부재(122)에 반사되는 가상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100)의 제2변형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과부재(122)는 한 쌍의 제1,2투과부재(123,134)로 구성되고, 흡수부재(125)는 제2투과부재(124)에 구비된다. 제1투과부재(123)의 면 중 운전자와 가까운 쪽의 면을 S1, S1과 마주하는 면을 S2라고 할 때, 제1투과부재(123)의 S1에는 반사투과부재(110)가 구비되고, S2에는 제2투과부재(124)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투과부재(124)와 흡수부재(125)는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어, 제1투과부재(123)의 S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투과부재가 필름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제1투과부재의 S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100)의 제3변형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투과부재(122)의 면 중 운전자와 가까운 쪽의 면을 S1, S1과 마주하는 면을 S2라고 할 때, 흡수부재(125)는 투과부재(122)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는 제2변형예와 마찬가지로 투과부재(122)의 S2에 흡수부재(125)를 부착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투과부재(122)는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과부재(122)가 반투명일 경우, 영상장치(10)에서 온 빛의 명암비가 향상되어 가상이미지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100)의 제4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사투과부재(110)와 투과흡수부재(120)는 운전자측으로 오목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흡수부재(125)는 운전자 시선과 평행하게 복수개 구비되어 영상장치(10)로부터 온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고스트 이미지를 만드는 빛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외부의 강한 빛을 흡수하여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반사투과부재(110)와 투과흡수부재(120)가 곡률지게 형성됨으로써, 영상을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에 의하면, 영상장치로부터 온 빛 중 내부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고스트 이미지를 만드는 빛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 시야는 확보할 수 있어 외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태양광 등 윈드쉴드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강한 빛에 의한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어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110 : 반사투과부재
120 : 투과흡수부재 122 : 투과부재
123 : 제1투과부재 124 : 제2투과부재
125 : 흡수부재

Claims (9)

  1. 영상장치에서 제공된 빛의 일부가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는 반사투과부재및 상기 반사투과부재를 투과한 빛을 흡수하여 고스트 이미지를 만드는 빛을 제거하는 투과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흡수부재는 상기 반사투과부재에 겹쳐지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재; 및
    상기 투과부재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반사투과부재를 투과한 빛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반사투과부재의 가상이미지를 관찰하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투과부재의 면 중 운전자와 가까운 쪽의 면을 S1, S1과 마주하는 면을 S2라고 할 때, 상기 흡수부재는 S1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투과부재는 한 쌍의 제1,2투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제2투과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2투과부재와 상기 흡수부재는 필름으로 제작되고,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투과부재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부재는 반투명이고,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투과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07283A 2016-01-20 2016-01-20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Active KR10185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283A KR101851638B1 (ko) 2016-01-20 2016-01-20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283A KR101851638B1 (ko) 2016-01-20 2016-01-20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590A KR20170087590A (ko) 2017-07-31
KR101851638B1 true KR101851638B1 (ko) 2018-04-26

Family

ID=5941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283A Active KR101851638B1 (ko) 2016-01-20 2016-01-20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560B1 (ko) * 2021-01-15 2023-04-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얇은 광학 컴바이너를 가지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076A (ja) * 2006-08-25 2008-03-06 Fujifilm Corp ガラ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076A (ja) * 2006-08-25 2008-03-06 Fujifilm Corp 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590A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38580B2 (en) In-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JP6839764B2 (ja) 情報表示装置
KR101646390B1 (ko) Hud시스템과 운전자 감시 시스템의 결합 구조
US10739588B2 (en) Projection device for a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and vehicle
US9580015B2 (en) Image display device
WO2020183844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320617A1 (en) Head-Up Display Device
US108842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WO2020059281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反射ミラー
KR101851638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컴바이너
JP7246025B2 (ja) 表示システム、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移動体
KR1022536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24287B2 (en) Heads-up display device
KR10184609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JP7632795B2 (ja) Hud用光遮断フィルム及び車両用hudシステム
JP6167960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413740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08431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155029A1 (en) Vehicular Head-Up Display Using Geometrical Optical Structure to Shield Ambient Light
US20230393391A1 (en)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KR101597033B1 (ko) 헤드업디스플레이용 필름
KR20180020331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